맨위로가기

쩐 인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인종은 1258년에 태어나 1308년에 사망한 쩐 왕조의 제2대 황제이다. 1278년 황위에 올라 쿠빌라이 칸의 원나라로부터 복속 요구를 거절하고, 쩐흥다오에게 군권을 맡겨 1285년 티엔막 강 전투에서 승리하며 2차 대월 원정을 격퇴했다. 1287년 원나라의 3차 침공을 바익당 강 전투 등에서 승리하여 막아냈다. 1293년 아들 영종에게 양위하고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죽림종을 창시했다. 그는 원나라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불교를 진흥시킨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선승 - 틱낫한
    틱낫한은 베트남 출신의 승려, 평화 운동가, 시인, 작가로, 서구에 불교와 마음챙김을 알리고 행동하는 불교를 실천하며 마음챙김의 창시자로 불린다.
  • 1257년 출생 - 프셰미수 2세
    프셰미수 2세는 미에슈코 3세의 후손으로 비엘코폴스카 공작과 폴란드 국왕을 지냈으며, 분열된 폴란드를 재통일하려 노력했지만 암살당했고, 그의 통치는 폴란드 왕국 부활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1308년 사망 - 둔스 스코투스
    존 둔스 스코투스는 개체성과 의지의 우월성을 강조한 독창적인 사상으로 스콜라 철학에 기여한 프란치스코 수도회 신학자이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을 비판하며 '존재의 일의성' 개념을 제시하고 신 존재 증명에 새로운 형이상학적 논증을 제시한 인물이며, 그의 사상은 근대 주체주의와 현대 철학자 질 들뢰즈에게 영향을 주었고 1993년 복자로 시복되었다.
  • 1308년 사망 - 충렬왕
    충렬왕은 원종과 순경태후 사이에서 태어나 쿠빌라이 칸의 딸과 혼인하여 몽골 제국의 부마가 되었으며, 원나라와의 외교를 통해 영토를 회복하고 자치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몽골의 일본 원정 강제 동원, 외부 침입, 방탕한 생활 등으로 비판받은 고려의 제25대 국왕이다.
쩐 인종 - [인물]에 관한 문서
정보
쩐 인종 황제의 초상
쩐 인종 황제의 초상
기본 정보
이름쩐 인종 (Trần Nhân Tông/陳仁宗)
칭호황제
신상 정보
쩐 캄 (Trần Khâm/陳昑), 쩐 녓 똔 (Trần Nhật Tôn/陳日燇)
출생일1258년 12월 7일
출생지탕롱(Thăng Long)
사망일1308년 12월 16일
사망지옌뜨 산(Yên Tử Mountain)
묘소덕릉 (Đức Lăng)
가족 관계
아버지쩐 성종
어머니엠프레스 티엔 깜 (Empress Thiên Cảm)
배우자엠프레스 바오 탄 (Empress Bảo Thánh), 엠프레스 뚜옌 뜨 (Empress Tuyên Từ)
자녀크own 프린스 쩐 투옌, 프린스 후에 부 쩐 꿕 쩐, 프린세스 후옌 쩐
통치
즉위1278년 ~ 1293년
선임자쩐 성종
후임자쩐 아인종
상왕
재위 기간1294년 ~ 1308년
선임자쩐 성종
후임자쩐 아인종
왕조
왕가쩐 왕조
시대
연호티에우 바오 (Thiệu Bảo, 紹寶, 1278년 ~ 1285년)
쭝 흥 (Trùng Hưng, 重興, 1285년 ~ 1293년)
연호명파 티엔 응으 끅 아인 리엣 부 탄 민 인 황제 (Pháp Thiên Ngự Cực Anh Liệt Vũ Thánh Minh Nhân Hoàng Đế/法天御極英烈武聖明仁皇帝)
묘호인종 (Nhân Tông/仁宗)
시호파-티엔 숭-다오 응-쎄 호아-전 롱-뜨 히엔-훼 탄-반 턴-부 응우옌-민 두에-효 황제 (Pháp-thiên Sùng-đạo Ứng-thế Hoa-dân Long-từ Hiển-huệ Thánh-văn Thần-vũ Nguyên-minh Duệ-hiếu Hoàng Đế/法天崇道應世化民隆慈顯惠聖文神武元明睿孝皇帝)
종교
종교불교

2. 생애

1258년 12월 11일(음력 11월 11일), 성종과 원성황후의 장자로 태어났다. 1273년 12월, 성종의 명에 따라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1278년 11월 8일(음력 10월 22일) 성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1282년 10월, 쿠빌라이 칸원나라로부터 복속 요구를 받았으나 거절하였다. 1284년 12월, 원나라의 2차 침공이 시작되었으나, 아버지 성종과 함께 명장 진흥도에게 군권을 맡겨 요격하였다. 한때 원나라 군의 압도적인 군세에 수도 탕롱이 함락되는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쩐흥다오의 강경한 반대로 항복을 번복하고 항전을 계속하였다.

1285년 5월, 티엔막 강(天幕江) 전투에서 승리하여 전세를 역전시켰고, 이후 원나라 군은 후퇴하였다. 1287년 12월, 원나라의 3차 침공이 다시 시작되었고, 1288년 4월, 바익당 강과 낭산 전투 등에서 원나라 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1289년 3월, 원나라 격퇴에 큰 공을 세운 쩐흥다오에게 대왕 칭호를 하사하였다. 1293년 4월 16일(음력 3월 9일), 황태자 영종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었고, 1299년 8월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출가 후에도 쩐흥다오와 함께 아들의 통치에 협력하였다.

1308년 11월 16일(음력 11월 3일), 천장부 중광궁에서 51세로 승하하였다.

2. 1. 출생과 즉위

1258년 11월 11일(12월 11일), 성종과 원성황후의 장자로 태어났다.[3] 갓 태어난 쩐 인종의 모습은 매우 아름다워서 할아버지 타이 통과 아버지 성종은 그를 킴 티엔 동 뜨(Kim Tiên đồng tử, 천상의 킴 티엔의 제자)라고 불렀다고 한다.[8]

1273년 12월, 성종의 명에 따라 황태자로 책봉되었다.[4] 1274년, 아버지 탄 통은 저명한 문관이자 장군인 레 푸 쩐(Lê Phụ Trần)을 황태자의 스승으로 임명하고, 유명한 학자 응우옌 시 코(Nguyễn Sĩ Cố)와 응우옌 탄 후안(Nguyễn Thánh Huấn)을 보좌관으로 임명하였다. 황제 자신도 쩐 캄 왕자를 교육하기 위해 시와 문학 작품인 ''디 후 록(Di hậu lục)''을 지었다.[4]

1278년 10월 22일(11월 8일), 성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쩐 왕조의 제3대 황제로 즉위하였다.[7] 즉위 후 연호를 찌에우 바오(Thiệu Bảo, 紹寶, 1278–1285)로 변경했으며,[9]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또 다른 연호인 쭝 흥(Trùng Hưng, 重興, 1285–1293)을 사용했다.[10] 탄 통은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지만, 1279년부터 1290년 사망할 때까지 인종과 함께 국가를 공동 통치했다.

2. 2. 원나라의 침입과 격퇴

1282년 10월, 쿠빌라이 칸원나라로부터 복속 요구를 받았으나 이를 거절하였다.[13] 1284년 12월, 원나라의 2차 침공이 시작되었으나, 아버지 성종과 함께 진흥도에게 군권을 맡겨 격퇴하였다.[14] 한때 원나라 군의 압도적인 군세에 수도 탕롱이 함락되는 위기에 처하기도 했지만, 쩐흥다오의 강경한 반대로 항복을 번복하고 항전을 계속하였다.

1285년 5월, 티엔막 강(天幕江) 전투에서 승리하여 전세를 역전시켰고, 이후 원나라 군은 후퇴하였다.[17] 1285년 6월 6일, 황제와 왕족들은 수복한 수도 탕롱으로 복귀하였다.[19]

1287년 12월, 원나라가 다시 3차 침공을 감행하여 국경 분쟁을 시작으로 전쟁이 재개되었다.[10] 1288년 1월, 원나라 군은 다시 탕롱을 함락하였으나, 다이비엣 군대의 반격과 식량 보급 문제로 오래 버티지 못하고 철수하였다. 원나라 군은 풍토병 등으로 인해 3월에 철군을 시작하였고, 4월에는 바익당 강(白藤江)과 낭산 전투 등에서 대패하였다.[20]

1289년 3월, 원나라 격퇴에 큰 공을 세운 쩐흥다오에게 대왕의 칭호를 하사하였다.[38]

2. 3. 양위와 출가

1293년 4월 16일(음력 3월 9일), 황태자인 영종에게 양위하여 태상황(太上皇)이 되었다.[31][38] 1299년 8월,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40] 출가 후에도 진흥도와 함께 아들의 통치에 협력하였다.[38][40]

1308년 11월 16일(음력 11월 3일), 천장부(天長府) 중광궁(重光宮)에서 승하하였다. 향년 51세였다.[40]

2. 4. 외교

1306년, 딸 후옌쩐 공주를 참파 왕 체만에게 시집보내고, 그 대가로 두 개의 참파 지방을 할양받았다.[1]

3. 사상

쩐 인종은 베트남 불교의 죽림선을 창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전국을 여행하며 승려들에게 선 수행을 가르치고, 신하들에게 십선업을 따르도록 장려했다. 불교 관련 저서로 『승가쇄사』 등이 있다.[40]

4. 평가

인종은 원나라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군사적 지도자이자, 불교를 진흥시킨 종교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베트남의 많은 도시에는 그의 이름을 딴 도로가 있다.[35]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부친쩐호앙성종선효황제(Thánh Tông Tuyên Hiếu Hoàng Đế/聖宗宣孝皇帝)
모친쩐 티 티에우원성천감황후(Nguyên Thánh Thiên Cảm Hoàng Hậu/元聖天感皇后)
황후쩐 티 찐흠자보성황후(Khâm Từ Bảo Thánh Hoàng Hậu/欽慈保聖皇后) (? ~ 1293년)
황후진씨(Trần thị/陳氏)선자황후(Tuyên Từ Hoàng Hậu/宣慈皇后) (? ~ 1318년)
장남쩐투옌황태자(皇太子), 흠자보성황후 소생. 제4대 영종인효황제(英宗仁孝皇帝).
차남쩐꾸옥쩐혜무대왕(Huệ Vũ Đại Vương/惠武大王) (1281년 ~ 1328년), 선자황후 소생.
장녀상진공주(Thượng Trân Công Chúa/上珍公主)
차녀천진공주(Thiên Trân Công Chúa/天珍公主)(? ~ 1309년)
삼녀현진공주(1287년 ~ 1340년), 참파왕 체만(Chế Mân)과 정약혼인.


6. 연호

연호 (年號)기간간지 (干支)서력 (西曆)
소보 (紹寶)1년 - 7년기묘(己卯) - 을유(乙酉)1279년 - 1285년
중흥 (重興)1년 - 9년을유(乙酉) - 계사(癸巳)1285년 - 1293년


참조

[1] 서적 Trúc Lâm Buddhism in Vietnam: Its History, Development, and Legac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 서적 Viet Nam: A History from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2-10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웹사이트 Chuyển đổi ngày âm dương - Lunar calendar converter http://www.informati[...] 2021-03-22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서적 Khubilai Khan's Lost Fleet: In Search of a Legendary Armad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33]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34] 간행물
[35] 서적 Vietnam Country Map Periplus Travel Maps 2002-2003
[36] 서적 元史
[37] 서적 大越史記全書
[38] 서적 大越史記全書
[39] 서적 ベトナム史略
[40] 서적 大越史記全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