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틱낫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틱낫한은 베트남의 승려, 평화 운동가, 시인, 작가로, 서구에 불교와 마음챙김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1926년 베트남에서 태어나 1942년 출가했으며, 베트남 전쟁 중에는 '행동하는 불교'의 지도자로서 난민 구제 활동을 펼쳤다. 미국에서 반전 운동을 펼치며 마틴 루터 킹 주니어에게 영향을 주었고, 1967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했다. 1982년 프랑스에 플럼 빌리지 명상 센터를 설립하여 마음챙김 명상을 보급했으며, 2005년 베트남 정부의 허가를 받아 귀국 후 2022년 입적했다. 그는 실천 불교, 참여 불교, 상호존재(interbeing)를 강조하며 마음챙김의 창시자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선승 - 쩐 인종
    쩐 인종은 쩐 왕조의 제3대 황제로,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고 죽림선종을 창시하여 베트남 불교 발전에 기여한 성군이다.
  • 베트남의 평화주의자 - 틱찌꽝
    틱찌꽝은 남베트남의 불교 탄압에 항거하며 민주주의와 종교의 자유를 옹호한 승려로, 고 딘 디엠 정권에 맞서 시위를 주도하고, 응우옌반티에우, 응우옌 카오 키 정권의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틱낫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틱낫한
2006년 파리에서 찍은 틱낫한 사진
법명풍쑤언, 디에우쑹
속명응우옌쑤언바오
다른 이름응우옌딘랑
별칭Thầy (스승)
출생일1926년 10월 11일
출생지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안남 보호령 트어티엔후에성 후에
사망일2022년 1월 22일
사망지베트남 트어티엔후에성 후에
종교선불교
학교임제종 (Lâm Tế)
상즉종
플럼 빌리지 전통
계보임제종 42대
류꽌 8대
칭호선사
거주지플럼 빌리지 수도원
스승틱찬텃
알려진 업적참여 불교, 마음챙김 운동의 창시자
관련 정보
주요 저서(저서 정보는 문서에 없음)
발음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ティク・ナット・ハン, 釈一行
생몰년1926년 10월 11일 - 2022년 1월 22일
일본어 출생지베트남 후에
일본어 사망지베트남 후에
일본어 종파임제종
일본어 사원플럼 빌리지
일본어 스승(정보 없음)
일본어 제자(정보 없음)
일본어 저서(정보 없음)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틱낫한
한국어 법명(정보 없음)
한국어 본명응우옌딘랑
한국어 출생일1926년 10월 11일
한국어 출생지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안남 보호령 트어티엔후에성 후에
한국어 사망일2022년 1월 22일
한국어 사망지베트남 트어티엔후에성 후에
한국어 국적베트남
한국어 학력(정보 없음)
한국어 경력(정보 없음)
한국어 직업(정보 없음)
한국어 병역(정보 없음)
한국어 활동 기간(정보 없음)
한국어 소속(정보 없음)
한국어 종교상즉종 (선불교)
한국어 배우자(정보 없음)
한국어 상훈(정보 없음)
한국어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생애

1926년 베트남 중부 후에(Huế)에서 태어나, 1942년 자효사(Chùa Từ Hiếu)에서 출가하여 선승이 되었다.

1950년에는 선의 도량을 설립하고, 베트남 최초로 승려 교육에 외국어와 서양 과학, 철학을 도입하는 등 교육 개혁을 시도했다.[119]

베트남 전쟁 중에는 사원에서의 수행과 세상 속에서의 구제 활동 사이에서 고민한 끝에, '행동하는 불교'를 이끌며 전쟁 피해자와 난민 구제 활동에 헌신했다. 1964년 이후 병원, 사회복지 청년학교, 만행대학(Văn Hại Phật Giáo Đại Học|반 하인 불교대학vie), 접현동수(Tập Hiện Đồng Tu|티엡 히엔 교단vie) 등을 설립하여[119] 고아 지원과 시신 수습 등 구호 활동을 펼쳤다.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한 평화 제안을 했으며,[118] 그의 활동과 사상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에게 영향을 주었다. 킹 목사의 추천으로 1967년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1973년 파리 평화 회담에 베트남 불교도 대표로 참여했으나, 이후 베트남 정부로부터 귀국을 거부당해[119]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

1982년 프랑스 남부에 플럼 빌리지 명상 센터(Plum Village Mindfulness Practice Center)를 설립하여[118] 전 세계에서 모인 사람들에게 명상 지도를 하며 사회 활동을 이어갔다. 플럼 빌리지는 그의 지도 아래 서구에서 가장 크고 활동적인 불교 사원 중 하나로 성장했다.

이후에도 국제적인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1995년 4월 일본을 방문하여[120] 약 20일간 리트리트, 명상회, 강연회를 열었다.[121] 2003년과 2011년에는 미국 의회에서 명상을 지도했고, 2006년에는 파리 유네스코(UNESCO) 본부에서 폭력, 전쟁,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2007년 하노이 국제 웨사카 축제 기조연설, 2008년 인도 의회 개회사, 2009년 멜버른 만국 종교 회의 강연, 2011년 캘리포니아 구글(Google) 본사 마음챙김 리트리트 지도, 2012년 웨스트민스터 영국 의회와 스토몬트 북아일랜드 의회 초청 강연 등 평화와 비폭력, 마음챙김의 메시지를 전파했다.

2014년 11월 프랑스에서 중증 뇌출혈로 쓰러졌으나 이듬해 의식을 회복했고, 2018년 베트남으로 영구 귀국하여 자효사에서 여생을 보냈다.

2022년 1월 22일, 베트남 자효사에서 향년 96세(법랍 80세)로 입적했다.[117]

2. 1. 어린 시절

1926년 10월 11일 베트남 중부의 고도 후에에서 '''응우옌 쑤언 바오'''(Nguyễn Xuân Bảo)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6][59][15] 그의 아버지는 프랑스 행정부의 관리였고,[7] 어머니는 주부였다.[59] 여섯 남매 중 다섯째였으며,[7] 시인이자 ''육운천(Lục Vân Tiên)''의 저자인 응우옌 딘 치우(Nguyễn Đình Chiểu)가 그의 조상이다.[7] 다섯 살 때까지 할머니 집에서 대가족과 함께 살았다.[7]

어린 시절, 풀밭에 평화롭게 앉아 있는 부처 그림을 보고 깊은 기쁨을 느꼈다고 회상했다.[15][59] 또한 학교 수학여행 중에 방문한 산에서, 하루 종일 조용히 앉아 수행한다는 은둔자의 이야기를 듣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곳에서 발견한 자연 우물의 물을 마시고 완전한 만족감을 느낀 경험은 그가 불교 승려가 되기로 결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2] 열두 살 때 승려가 되고 싶다는 뜻을 밝혔으나 부모는 처음에는 망설였다. 그러나 결국 그의 뜻을 받아들여, 열여섯 살 때 출가를 허락했다.[15]

틱낫한이 출가한 뜨 히에우 사원의 불당


16세에 후에에 있는 뜨 히에우 사원(Từ Hiếu)에 들어가 선불교 승려가 되었다.[6][11][15] 그는 임제종 제43대이자 리에우꾸안(Liễu Quán) 법맥 제9대인 타인 꾸이 찬 탓(Thanh Quý Chân Thật) 선사를 스승으로 모셨다.[6][11][15]

그는 일생 동안 여러 이름을 가졌다. 출가 전에는 '''응우옌 쑤언 바오'''(Nguyễn Xuân Bảo) 또는 '''응우옌 딘 랑'''(Nguyễn Đình Lang)[6] 등으로 불렸다. 출가 후에는 여러 법명을 거쳐 1949년 사이공으로 이주하면서 '''틱낫한'''(Thích Nhất Hạnh)이라는 법명을 얻었다. '틱'(Thích)은 석가모니의 성씨인 '석'(釋)에서 유래한 것으로, 베트남 불교 승려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성씨와 같다. '낫'(Nhất, 一)은 '하나' 또는 '최고'를, '한'(Hạnh, 行)은 '행동' 또는 '올바른 실천'을 의미한다. 그는 자신의 법명을 '하나의 행동'으로 풀이했다. 그의 제자나 추종자들은 그를 존경의 의미를 담아 '타이'(Thầy, 스승)라고 부른다.

2. 2. 베트남 전쟁과 망명

1960년대 초,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에 초청되어 불교 강의를 하던 중 베트남으로 돌아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쳤다.[129] 그는 전쟁의 참화 속에서 사원에서의 수행과 세상 속에서의 구제 활동 사이에서 고민한 끝에, 고통받는 민중과 함께하는 '행동하는 불교'를 이끌었다. 1964년 이후 병원, 사회복지 청년학교, 만행대학(Văn Hại Phật Giáo Đại Họcvie), 접현동수(Tập Hiện Đồng Tuvie) 등을 설립하여[119] 전쟁 고아 지원과 시신 수습 등 구호 활동에 헌신했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 운동으로 인해 그는 남베트남 정부에 의해 추방당하는 비극을 겪었다.[129]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베트남 전쟁의 종식을 호소하며 평화 제안을 했고,[118] 그의 사상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다. 킹 목사의 추천으로 1967년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1973년 파리 평화 회담에서는 베트남 불교도 대표로 참여했으나, 전쟁 후 통일된 베트남 정부마저 그의 귀국을 거부하여[119] 기나긴 망명 생활을 시작해야 했다.[128]

망명 중이던 1982년, 프랑스 남부에 명상 공동체인 '플럼 빌리지'를 세워[128] 전 세계에서 모인 사람들에게 명상 지도를 하며 평화와 마음챙김의 가르침을 전파했다.[118]

2. 3. 프랑스 정착과 플럼 빌리지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베트남 전쟁 종결을 위한 평화 제안을 했고[118], 시와 저술을 통해 미국 사회에 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의 평화 사상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으며, 킹 목사의 추천으로 1967년 노벨 평화상 후보가 되었다. 1973년 파리 평화 회담에서는 베트남 불교도 대표를 역임했으나, 이후 베트남 정부로부터 귀국을 거부당했다.[119]

귀국이 막힌 틱낫한은 프랑스에 정착하게 되었고, 1982년 찬 홍 스님과 함께 남프랑스 보르도 근처 도르도뉴 지역에 플럼 빌리지(Plum Village, 자두 마을) 명상 센터를 설립했다.[118] 플럼 빌리지는 소규모 지역 농장에서 시작하여 점차 서구에서 가장 크고 활동적인 불교 수련원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매년 200명 이상의 상주 수련자와 1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는 곳이 되었다. 플럼 빌리지의 운영은 '실천 불교 자두 마을 공동체'(구 통일 불교회)와 프랑스 내 자매 단체인 '매화 마을 선종교단'이 맡고 있으며, 이들 단체는 프랑스에서 법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틱낫한은 플럼 빌리지를 중심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전 세계에 보급했으며, 그의 가르침 아래 여러 나라에 수행 공동체가 설립되었다. 2019년까지 프랑스,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베트남, 홍콩 등지에 수행원과 명상원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틱낫한 관련 주요 수행원 및 단체
국가명칭위치비고
미국블루 클리프 수행원뉴욕 파인 부시2007년 버몬트의 단풍 숲 수련원푸른 숲 달마 수련원 이전 통합
미국마음 챙기는 생활의 공동체캘리포니아 버클리
미국파럴랙스 프레스(Parallax Press)캘리포니아 버클리출판사
미국사슴 공원 수행원캘리포니아 에스콘디도2000년 설립
미국목련 덤불 수행원 (Đạo Tràng Mộc Lan|다오 짱 목 란vie)미시시피 베이츠빌
독일유럽 실천 불교회발드브뢸
베트남투 히우 사 인근 수행원후에
베트남프라나 사 인근 수행원중앙 고원



이 수행원들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어 지속적인 명상 수련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틱낫한이 이끄는 수행 공동체(Order of Interbeing)는 가족, 청소년, 퇴역 군인, 연예계 종사자, 국회의원, 법조 공무원, 유색인 등 특정 집단을 위한 맞춤형 명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틱낫한 재단은 '실천 불교 자두 마을 공동체'의 모금 활동을 지원하는 자선 단체로, 2017년 기준으로 틱낫한이 설립한 수행 종파는 전 세계 9곳의 수행원에서 750명 이상의 수행자를 포함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2. 4. 귀국과 사망

2005년 베트남 정부는 귀국을 허용하였고, 뇌졸중으로 병약해진 틱낫한은 2018년 베트남으로 영구 귀국하였다.[128]

2014년 11월, 틱낫한은 심각한 뇌출혈을 겪고 입원했으며,[93][94] 수개월간의 재활 치료 후 보르도 제2대학교의 뇌졸중 재활 클리닉에서 퇴원했다. 2015년 7월에는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샌프란시스코로 가서 UCSF 메디컬 센터의 집중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받았다.[95] 2016년 1월 프랑스로 돌아왔고,[96] 2016년을 프랑스에서 보낸 후 태국의 플럼 빌리지(Thai Plum Village)로 이동했다.[97] 그는 태국에 머물며 동서양 의료 전문가들을 계속 만났지만,[97] 남은 생애 동안 말로 의사소통을 할 수는 없었다.[97]

2018년 11월, 플럼 빌리지 공동체는 당시 92세였던 틱낫한이 마지막으로 베트남으로 돌아와 여생을 투 히에우 사원(Từ Hiếu Temple)에서 보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수석 제자들과의 만남에서 몸짓과 고갯짓으로 질문에 답하며 베트남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4] 2019년 1월, 플럼 빌리지 대표인 '진정한 공양'(True Dedication) 비구니는 다음과 같이 소식을 전했다.

:틱낫한 스님의 건강은 놀랍도록 안정적이며, 동양 의학과 침술 치료를 계속 받고 있습니다. 비가 잠시 그치면 스님은 휠체어를 타고 제자들과 함께 근원 사원의 연못과 탑을 방문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냅니다. 많은 재가자와 승려들이 투 히우(Tu Hieu)를 방문하고 있으며, 공동체가 스님의 곁에서 함께 수행하며 아름답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누리고 있습니다.[98]

틱낫한이 더 이상 말을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당국은 사복 경찰을 배치하여 사원에서의 그의 활동을 감시했다.[99]

2022년 서거한 틱낫한의 위패, 후에의 투 히우 사원


틱낫한은 7년 전 앓았던 뇌졸중의 합병증으로 2022년 1월 22일, 후에의 투 히에우 사원에서 95세를 일기로 입적했다.[31][5][100] 그의 죽음은 베트남 안팎의 여러 불교 단체들에 의해 널리 애도되었다. 달라이 라마,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 그리고 미국 국무부도 애도의 성명을 발표했다.[101][102][103]

사망 당일부터 5일간의 장례식이 시작되었고,[100] 7일간의 추모 기간을 거쳐 1월 29일 화장으로 마무리되었다.[104] 틱낫한은 2015년 출간된 책에서 자신의 유해 처리에 대한 뜻을 밝혔는데, 이는 자신이 가르침 속에서 계속 살아 숨 쉰다고 믿는 방식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베트남에 있는 제자 한 명이 제가 죽으면 제 유골을 위한 스투파를 짓고 싶어 합니다. 그와 다른 사람들은 "여기에 나의 사랑하는 스승이 잠들어 있다"라는 글이 적힌 명판을 세우고 싶어 합니다. 저는 그들에게 사찰 땅을 낭비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제가 제안한 것은, 만약 그들이 여전히 스투파를 짓는 데 고집한다면, 명판에 "나는 여기에 없다"라고 적으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두 번째 명판에 "나는 저기에도 없다"라고 적을 수 있습니다. 여전히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한다면, 세 번째이자 마지막 명판에는 "당신의 호흡과 걸음걸이에서 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적을 수 있습니다.[105]

49일간의 추모 기간이 끝난 후, 틱낫한의 유골은 나누어져 투 히에우 사원과 플럼 빌리지 관련 사찰들에 뿌려졌다.

3. 교육 및 경력

틱낫한은 16세인 1942년 후에의 투 히에우 사원에서 출가하여 선불교 승려가 되었다.[6][11][15] 그는 이곳에서 대승불교와 상좌부불교의 베트남 전통을 배우고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등을 익혔다.[6][12] 이후 보국사 불교 아카데미를 거쳐 사이공 대학교에서 과학을 공부했으며,[6][56] 1951년 비구계를 받았다.[15]

1955년부터 2년간 베트남 불교 총회의 공식 간행물인 ''Phật Giáo Việt Nam''(''베트남 불교'')의 편집장으로 일했으나, 그의 통합 불교 주장에 대한 반발로 중단되었다.[6] 이후 달랏 근교에 수도 공동체를 세우고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며 인본주의적 통합 불교 사상을 발전시켰다.[6] 1959년부터 사이공의 여러 사찰에서 강의했으나 반대에 부딪혔고,[6]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비교종교학을 연구했다.[12][13] 이후 프린스턴 신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코넬 대학교 등에서 공부하거나 강의했다.[14][31][15]

1963년 베트남으로 돌아와 교육 및 사회 활동에 힘썼다. 1964년 만행 불교대학교의 전신인 고등불교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불교 심리학, 반야바라밀다 등을 강의했으며,[6][15] 베트남 최초로 승려 교육에 외국어와 서양 학문을 도입했다.[119] 같은 해, 전쟁 피해 지역 구호를 위한 사회봉사 청년학교(SYSS)를 공동 설립하여 "행동하는 불교"를 실천했다.[2][43] 또한, 승려와 재가 신자들로 구성된 '접현종'(Tiếp Hiện|티엡히엔vi)을 창설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평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66년 미국을 방문하여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를 만나 전쟁 종식을 호소했고,[118] 킹 목사는 이듬해 그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그러나 그의 평화 활동은 남베트남 정부의 반발을 사 귀국이 거부되었고, 이후 통일 베트남 정부 역시 귀국을 허락하지 않아 사실상 망명길에 올랐다.[119][129][128]

1966년부터 프랑스에 머물며 베트남 불교 평화 대표단 의장 등으로 활동했고,[15] 1982년 남프랑스에 플럼 빌리지 명상 센터를 설립했다.[128][6] 이후 플럼 빌리지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마음챙김 명상을 전파하고 평화 운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영적 지도자로 활동했다. 그는 미국 의회, 유네스코 본부, 인도 의회, 영국 의회 등에서 강연하고 명상을 지도했으며, 구글 본사 등 기업에서도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3. 1. 교육



16세(1942년)에 틱낫한은 후에에 있는 투 히에우 사원의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의 주요 스승은 람테 선종(Lâm Tế) 43대이자 리우콴 선종(Liễu Quán) 9대인 청귀진실(Thanh Quý Chân Thật) 선사였다.[6][11][15] 그는 이곳에서 3년 동안 사미(sramanera)로 수학하며 대승불교(Mahayana)와 상좌부불교(Theravada)의 베트남 전통에 대한 훈련을 받았다.[6] 또한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도 배웠다.[12]

이후 틱낫한은 보국사 불교 아카데미에 다녔으나,[6][31] 그곳의 철학, 문학, 외국어 교육이 부족하다고 느껴 1950년에 떠났다.[6] 그는 사이공(현 호찌민시)의 안꽝사(Ấn Quang Pagoda)로 거처를 옮겨 1951년에 비구(bhikkhu)로 출가했다.[15] 사이공 대학교(Saigon University)[6]에서 과학을 공부하는 동안 책과 시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56]

1955년, 틱낫한은 후에로 돌아와 베트남 불교 총회(Tổng Hội Phật Giáo Việt Nam)의 공식 간행물인 ''Phật Giáo Việt Nam''(''베트남 불교'')의 편집자로 2년간 일했다. 그러나 남베트남의 다양한 불교 단체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대해 일부 고위 승려들이 반감을 가지면서 간행물 발행이 중단되었다. 1956년, 그가 달랏(Đà Lạt)에서 가르치고 있을 때, 그의 이름은 안꽝사의 승려 명단에서 삭제되어 사실상 사원에서 추방되었다. 1957년 말, 틱낫한은 달랏 근처 대라오 숲(Đại Lao Forest)에 '푸옹 보이'(Phương Bôi)라는 이름의 수도 공동체를 설립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인근 고등학교에서 가르치고 글을 쓰면서 인본주의적이고 통합된 불교 사상을 발전시켰다.[6]

1959년부터 1961년까지 틱낫한은 샤로이 사원을 포함한 여러 사이공 사원에서 불교 단기 강좌를 열었지만, 그의 가르침에 대한 반대로 인해 수업이 중간에 취소되고 그는 강제로 퇴출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6] 베트남 내 종교 및 세속 권력과의 갈등 속에서, 틱낫한은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Princeton University)[13]에서 비교종교학을 연구했다.[12] 그는 1961년에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도 공부했다.[14][31] 1962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15]에서 불교 강사로 임명되었고, 코넬 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도 강의했다.[31] 이 시기에 그는 모국어인 베트남어 외에도 프랑스어, 한문(Classical Chinese),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영어에 능통하게 되었다.[13]

진 공(Chân Không)(Sister True Emptiness)


1963년 베트남으로 돌아온 틱낫한은 교육 활동에 힘썼다. 1964년 3월 13일, 그는 안꽝사의 승려들과 함께 고등불교연구소(Học Viện Phật Giáo Việt Nam)를 설립했다.[6] 이 기관은 나중에 만행 불교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사이공에서 불교학, 베트남 문화, 언어를 가르치는 사립 대학으로 발전했다. 틱낫한은 이곳에서 불교 심리학과 반야바라밀타 문헌을 직접 강의했으며,[15] 지지자들의 모금을 통해 대학 운영 자금을 마련했다.[6] 그는 베트남 최초로 승려 교육에 외국어와 서양 과학, 철학을 도입하는 등 교육 개혁을 시도했다.[119]

같은 해인 1964년, 틱낫한은 사회봉사 청년학교(SYSS)를 공동 설립했다.[2] SYSS는 베트남 전쟁 중에도 중립적인 입장에서 활동하는 불교 평화 운동가들로 구성되었으며,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농촌 지역에 학교를 세우고, 의료 시설을 건설하며, 마을 재건을 돕는 등 구호 활동을 펼쳤다.[43] SYSS는 약 1만 명의 자원봉사자와 사회복지사들이 참여하여 학교 재건, 의료 센터 설립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19] 틱낫한이 미국으로 떠나 돌아오지 못하게 된 후에는 진 공(Chân Không) 수녀가 SYSS를 이끌며 의료, 교육, 농업 시설 조직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0]

3. 2. 1963-1966 베트남 민주화 운동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64년 1월, 여러 불교 단체가 모여 베트남 통일 불교 교회(UBCV)를 설립했다. 틱낫한은 UBCV가 공식적으로 베트남 전쟁 종식을 촉구하고, 미래 지도자를 양성할 불교 연구 기관 설립에 기여하며, 불교 가르침에 기반한 평화주의 사회 운동가를 훈련하는 센터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1964년, 틱낫한의 제자 두 명은 응오반히우( Ngo Van Hieu|vi ) 여사의 지원을 받아 라보이 출판사( Nhà xuất bản Lá Bối|vi )를 설립했다. 이 출판사는 2년 동안 12권의 책을 출판했으나, 1966년경 남베트남 정부가 '평화'라는 단어를 공산주의와 동일시하면서 출판사 관계자들은 체포와 구금의 위협에 놓였다.[16] 틱낫한은 UBCV의 공식 간행물인 주간지 Hải Triều Âm|vi (''밀물의 소리'')의 편집도 맡았다. 그는 꾸준히 평화와 화해를 주장했으며, 특히 톤킨만 사건 직후인 1964년 9월에는 공개적으로 평화적 해결을 요구하며 베트콩을 '형제'라고 불렀다. 결국 남베트남 정부는 이 잡지를 폐간시켰다.

같은 해인 1964년 3월 13일, 틱낫한과 안꽝사( Chùa Ấn Quang|vi )의 승려들은 UBCV의 지원과 승인 아래 '고등 불교학 연구소'( Học viện Phật giáo Việt Nam|vi )를 설립했다. 이 기관은 이후 반한 불교 대학( Viện Đại học Vạn Hạnh|vi )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사이공에서 불교학, 베트남 문화, 언어 등을 가르치는 사립 교육 기관이었다. 틱낫한은 이곳에서 불교 심리학과 반야경을 가르쳤고, 대학 운영을 위한 모금 활동에도 참여했다.

또한 1964년, 틱낫한은 '사회적 책무를 위한 청년 학파'(SYSS, School of Youth for Social Service영어)를 공동 설립했다. SYSS는 불교 평화 활동가들의 중립적인 단체로, 전쟁으로 피폐해진 농촌 지역에 들어가 학교를 세우고 의료 시설을 만들며 마을 재건을 도왔다. SYSS는 약 1만 명의 자원봉사자와 사회복지사로 구성되어 활동했다. 틱낫한은 초기에 SYSS 운영의 핵심 역할을 맡았으나, 이후 미국으로 떠나면서 찬콩 비구니에게 책임을 맡겼다. 찬콩은 SYSS의 여러 활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베트남 농촌 지역에 의료, 교육, 농업 시설을 확충하는 데 기여했다. 초기에 반한 대학 소속이었던 SYSS는 1966년 4월, 대학 총장이 틱낫한 및 SYSS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찬콩을 공산주의자로 비난하면서 대학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29]

1964년에서 1966년 사이, 틱낫한은 승려와 재가 신자들로 구성된 '접현종'(接現宗, Tiếp Hiện|vi )을 창설했다. 그는 접현의 철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오정심관'(五停心觀)과 '14가지 마음챙김 수행'을 통해 이 모임을 이끌었다. 접현종은 SYSS 간부 6명(남성 3명, 여성 3명)이 '참여 불교의 14가지 계율'을 실천하겠다고 서약하면서 시작되었다.

1966년 5월 1일, 틱낫한은 자효사(베트남어: Chùa Từ Hiếu|vi )에서 스승인 친텃( Chân Thật|vi ) 선사로부터 '등불 전수'를 받았다. 이로써 그는 법사(dharmacharya|다르마차리아sa, 가르침을 전하는 스승)가 되었으며, 자효사(투히에우 사원)와 관련 수행처들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17] [18]

3. 3. 베트남 전쟁 기간의 활동

그 결과, 1964년 1월 여러 불교 단체들이 합쳐져 베트남 통일 불교 교회(UBCV)가 설립되었다. 틱낫한은 이 자리에서 행정부가 공개적으로 베트남 전쟁 종식을 촉구하고, 미래 지도자 양성을 위한 불교 연구소를 설립하며, 불교 가르침에 기반한 평화주의 사회복지사 양성 센터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1964년, 틱낫한의 제자 두 명이 라보이 출판사(vi)를 설립했다. 이 출판사는 2년 동안 12권의 책을 출판했지만, 당시 남베트남에서는 "평화"라는 단어가 공산주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1966년경에는 출판사 관련자들이 체포와 투옥의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16] 틱낫한은 또한 UBCV의 공식 간행물인 주간지 ''vi''(''밀려오는 파도의 소리'')의 편집을 맡아 평화와 화해를 지속적으로 주장했다. 특히 톤킨만 사건 직후인 1964년 9월에는 평화 협정을 공개적으로 촉구하며 베트콩을 형제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남베트남 정부는 해당 잡지를 폐간시켰다.

같은 해 3월 13일, 틱낫한은 안꽝사(An Quang Pagoda)의 승려들과 함께 UBCV의 지원을 받아 고등불교연구소(vi)를 설립했다.[6] 이 연구소는 나중에 만행 불교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사이공에서 불교학, 베트남 문화, 언어를 가르치는 사립 기관이었다. 틱낫한은 이곳에서 불교 심리학과 반야바라밀다 경전을 강의했고,[15] 지지자들의 모금을 통해 대학 운영 자금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6]

또한 1964년, 틱낫한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사회적 책무를 위한 청년 학파’(en)를 공동 설립했다. 이 단체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활동하는 불교 평화 운동가들로 구성되었으며, 농촌 지역에 들어가 학교를 세우고, 건강관리 시설을 만들며, 파괴된 마을을 재건하는 활동을 펼쳤다. SYSS에는 약 만 명의 자원봉사자와 복지 노동자들이 참여했다. 틱낫한이 미국으로 떠난 후에는 비구니 찬콩(Chân Không)이 SYSS의 운영을 맡았다. SYSS는 처음에는 만행 불교대학교의 일부였으나, 1966년 대학 측과의 갈등으로 인해 분리되었다.

1964년과 1966년 사이, 틱낫한은 수행자와 평신도들의 모임인 ‘접현종’(vi)을 창설했다. 그는 이 모임을 통해 오정심관(五停心觀)과 ‘열네 가지 알아차림 수행’을 가르쳤다. 접현종은 처음에 ‘실천 불교의 십사 계율’을 실천하기로 맹세한 여섯 명의 SYSS 간부(남성 3명, 여성 3명)로 시작되었다.

1966년 5월 1일, 튀히우 사원(Từ Hiếu Temple)에서 틱낫한은 선불교 스승 친텃(Chân Thật)으로부터 "등불 전수"를 받아 법사(sa, 가르침을 전하는 사람)가 되었고, 튀히우 사원과 관련된 사찰들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다.[17] [18]

1965년, 틱낫한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에게 "인간의 적에 대한 탐구에서"라는 제목의 편지를 보냈다. 이듬해인 1966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그는 킹 목사를 직접 만나 베트남 전쟁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코넬 대학에서 베트남 불교에 관한 심포지엄을 열고 평화 활동을 이어갔다. 코넬 대학의 조지 맥터넌 카힌 교수의 초청으로 베트남에서의 미국 정책에 관한 포럼에도 참석했다.

1966년 6월 1일, 틱낫한은 미국 정부에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사항을 제안했다:

# 미국은 베트남 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정부를 세울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힐 것.

# 미국과 남베트남은 베트남 전역에서의 공습을 중단할 것.

# 모든 반공 군사 작전은 순수하게 방어적인 성격으로 제한할 것.

# 미국은 수개월 내에 철수할 의사가 있음을 표명할 것.

# 미국은 전쟁 피해 복구를 위한 재정 지원을 제안할 것.

이러한 평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틱낫한은 미국 언론으로부터 "반전 시인", "공산주의 옹호 선동가"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남베트남 정부는 그의 귀국을 막으려 했고, 이에 토마스 머튼은 "틱낫한은 나의 형제이다"라는 글을 발표하며 연대를 표했다. 1967년, 틱낫한은 자신의 제안을 담은 책 『베트남 — 불바다 가운데의 연꽃』(en)을 출간했다. 이에 남베트남 군부는 그를 반역 및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고발했다.

1967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틱낫한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 킹 목사는 추천서에서 "개인적으로 베트남에서 온 이 온화한 승려보다 노벨 평화상에 더 걸맞은 사람을 알지 못한다"고 쓰며 그를 "평화와 비폭력의 사도"라고 칭했다. 그러나 그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 없었다.

같은 해, 접현종의 초기 멤버 중 한 명인 낫치마이(vi)가 베트남 전쟁 종식을 요구하며 사이공의 투응히엠 탑 앞에서 분신했다. 틱낫한은 이후 서구 사회에 틱꽝득을 비롯한 베트남 승려들의 분신이 단순한 자살 행위가 아니라, 억압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베트남 민중이 겪는 고통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촉구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1966년 이후 프랑스 파리로 사실상 망명하게 된 틱낫한은 베트남 불교 평화 사절단의 단장을 맡았다. 1969년에는 프랑스에서 통일 불교회(fr)를 설립했다. 1973년에는 파리 평화 협정 회담에 베트남 불교도 대표로 참여했으나, 이후 베트남 정부로부터 귀국을 거부당했다.[119]

1975년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점령한 후, 틱낫한은 베트남으로 돌아오라는 제안을 거절했고, 새롭게 들어선 공산주의 정부는 그의 저서 출판을 금지했다. 그는 시암 만에서 베트남 보트 피플을 구출하는 활동을 이끌었지만, 태국과 싱가포르 정부의 압력으로 중단해야 했다.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비밀리에 난민 구조 활동을 조직하다가 발각되어, 찬콩 스님과 함께 여권이 무효화되고 24시간 내 출국 명령을 받았다. 당시 프랑스 대사의 중재로 열흘간의 시간을 벌어 활동을 마무리하고 추방되었다. 틱낫한은 이후 2010년에야 싱가포르 방문이 허용되었다.

3. 4. 프랑스 망명과 국제 활동

베트남 전쟁 중이던 1966년, 미국으로 건너가 평화 활동을 펼친 후 남베트남 정부에 의해 추방되었고,[129] 이후 통일 베트남 정부 역시 귀국을 거부하여 오랜 망명 생활을 시작했다.[128]

1966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15] 베트남 불교 평화 대표단 의장으로 활동했다.[15] 1969년에는 프랑스에 통일불교교회(Église Bouddhique Unifiéefra)를 설립했으며,[6] 1975년에는 파리 남동쪽 퐁반(Fontvannes)에 고구마 명상 센터를 세웠다.[6] 이후 7년간 저술에 집중하여 《마음챙김의 기적》(The Miracle of Mindfulnesseng), 《달과 대나무》(The Moon Bambooeng), 《내 마음의 태양》(The Sun My Hearteng) 등을 완성했다.[6] 1970년대 중반부터는 이러한 저서, 특히 1975년에 출간된 《마음챙김의 기적》을 통해 마음챙김 수행법을 가르치기 시작했다.[39][40]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이 공산화되자 베트남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고,[15] 공산 정부는 그의 저서 출판을 금지했다.[6] 이 시기 틱낫한은 태국만에서 위험에 처한 보트 난민들을 구출하기 위한 활동을 이끌었다.[41] 그는 싱가포르에서 종교 및 평화 관련 회의에 참석하던 중 보트 난민들의 참상을 알게 되었고, 당시 난민 수용을 거부하던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정부의 비인도적인 정책에 맞서 비밀 구출 작전을 조직했다.[11]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의 지원을 받아 배를 빌려 난민들에게 식량, 물, 의약품을 전달하고, 구조된 난민들을 프랑스 대사관을 통해 안전한 곳으로 옮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 활동이 싱가포르 정부에 발각되면서 동료인 찬콩(Chân Khôngvie)과 함께 여권을 압수당하고 24시간 내 출국 명령을 받았다. 당시 주 싱가포르 프랑스 대사의 중재로 구출 활동을 마무리할 10일의 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11] 이 사건으로 인해 틱낫한은 태국과 싱가포르 정부의 압력으로 난민 구호 활동을 중단해야 했으며,[42] 2010년에야 싱가포르를 다시 방문할 수 있었다.

1982년, 틱낫한은 프랑스 남부 도르도뉴 지방에 명상 공동체인 '플럼 빌리지'(Plum Village)를 설립했다.[128][6] 플럼 빌리지는 그의 정신적 지도 아래 서구에서 가장 크고 활발한 불교 수행 센터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118]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블루 클리프 수도원(Blue Cliff Monastery), 디어 파크 수도원(Deer Park Monastery), 목련 숲 수도원(Magnolia Grove Monastery) 등 다수의 수행 센터와 명상 공동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중심지가 되었다.[118] 2017년 기준으로 틱낫한이 설립한 수행 종단은 전 세계 9곳의 수행원에 750명 이상의 수행자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는 또한 베트남 내에도 후에의 자효사(Chùa Từ Hiếu)와 중부 고원지대의 프라나 사(Pràjnà Monastery) 두 곳의 수행원을 설립했다.

망명 기간 동안 틱낫한은 전 세계를 순회하며 마음챙김 명상 강좌와 워크숍을 열고, 종교 간 대화와 평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주요 국제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활동 내용
1995년일본 방문, 약 20일간 리트리트, 명상회, 강연회 개최[120][121]
2003년, 2011년미국 의회 의원들에게 명상 지도
2006년파리 유네스코 본부 연설 (폭력, 전쟁,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 촉구)
2007년하노이 유네스코 주최 국제 웨삭(Vesak) 축제 기조 연설
2008년인도 의회 개회사
2009년멜버른 만국 종교 회의 강연
2011년캘리포니아 구글 본사에서 마음챙김 리트리트 지도
2012년영국 의회북아일랜드 의회 초청 강연 (자비와 비폭력 메시지 전달)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틱낫한은 국제적인 평화 운동가이자 존경받는 영적 지도자로 자리매김했다.

4. 종교적 접근과 영향

레와타 담마, 산가라크시타, 틱낫한 (좌-우) 베를린, 1992


틱낫한은 불교의 다양한 전통(초기 불교, 대승불교, 선불교)과 서구 심리학을 접목하여 현대적인 명상 수행법을 제시했다. 그는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불교를 주창했으며, 일상 속에서의 알아차림 수행을 강조했다. 또한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접현(Interbeing)' 개념을 통해 불교의 핵심 사상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자 했다.

그는 반야심경을 새롭게 번역하고, 유식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유현(唯現)' 가르침을 펼치기도 했다. 특히 서구 사회에 마음챙김 명상을 널리 알린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이는 현대 심리 치료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토머스 머튼 등 다른 종교 지도자들과 교류하며 종교 간 대화에도 힘썼다.

4. 1. 실천 불교



틱낫한은 초기 불교 여러 학파, 대승불교, 선불교의 가르침과 서구 심리학의 사상을 결합하여 명상 수행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을 제시하며, 지관과 사념처를 가르쳤다.[74]

그는 또한 참여불교 운동의 중요한 지도자였다.[1] (그는 이 용어를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75]) 이 운동은 사회 변화를 만들어내는 데 있어 개인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한다. 틱낫한은 13세기 베트남 황제 쩐인종(Trần Nhân Tông)이 이러한 참여 불교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고 보았다. 쩐인종은 왕위를 버리고 승려가 되어 대나무 숲 전통의 베트남 불교 학파를 창시했으며,[76]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이를 응용 불교라고 불렀다고 한다.

4. 2. 알아차림 수행

틱낫한은 전통적인 오계(五戒)를 재해석하여 단순히 부정적인 행위를 삼가는 것을 넘어, 타인의 부정적인 행위를 막고 최소화하기 위한 긍정적인 행동을 강조했다.[77] 예를 들어, 단순히 도둑질을 삼가는 대신, 불공정한 관행이나 안전하지 않은 작업 환경에 맞서는 등 "인간의 고통이나 지구상 다른 종의 고통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을 막는다"는 실천을 강조했다.[77] 플럼 빌리지에 따르면, 유네스코(UNESCO)가 발표한 '매니페스토 2000(Manifesto 2000)'은 이러한 다섯 가지 알아차림 수행에 큰 영향을 받았다.[78][79]

북방불교 전통의 보살 계율을 따라, 틱낫한은 십행(十行)에 근거하여 접현종(Order of Interbeing)을 위한 열네 가지 알아차림 수행을 만들었다.[80] 이는 접현종 수행의 핵심적인 지침이 된다. 또한 그는 플럼 빌리지의 승려들을 위해 설일체율(Dharmaguptaka Vinaya)을 현대적으로 개정하였으나, 승려 250계, 비구니 348계라는 계율의 수는 그대로 유지했다.[81]

틱낫한은 모든 현상의 상호 연결성을 나타내기 위해 영어 단어 "상호존재(interbeing)"를 만들었다.[82] 이는 접두사 "inter-"와 동사 "to be"를 결합한 것이다. 이 개념은 화엄종의 법장(法藏) 스님이 화엄경(Avatamsaka Sutra)의 핵심 사상을 요약한 "금사자장(金獅子章)"에 나오는 중국어 단어 '상즉(相卽)'에서 영감을 받았다.[83] 일부 학자들은 이를 선(禪)의 철학적 기반이 되는 반야바라밀다(Prajnaparamita) 사상의 표현으로 보기도 한다.[84][85]

틱낫한은 "내 마음의 태양", "진흙이 없으면 연꽃도 없다", "구름은 결코 죽지 않는다"와 같은 간결한 비유를 통해 상호의존성, 깨달음과 고뇌의 관계, 생사의 초월과 같은 심오한 가르침을 쉽게 전달했다.[86] 그는 또한 왼손과 오른손의 비유로 비이원성(非二元性)을, 강과 파도의 관계로 진리와 현상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며 무원(無願, apranihita)의 명상을 가르쳤다.[86]

4. 3. 접현(Interbeing)

틱낫한은 접두사 "inter-"와 동사 "to be"를 결합하여 모든 현상의 상호 연결을 나타내는 영어 용어 "접현(Interbeing)"을 만들었다.[82] 이 개념은 법장(法藏) 스님이 화엄경의 핵심 내용을 요약한 "금사자장(金獅子章)"[83]에 나오는 중국어 단어 '상즉'(相卽)에서 영감을 받았다. 일부 학자들은 '접현'이 반야바라밀다 사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종종 선(禪)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말해진다"고 본다.[84][85]

틱낫한은 또한 간단한 문구나 비유를 통해 심오한 불교 가르침을 쉽게 풀어 설명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 "내 마음의 태양"이라는 표현은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하고 있다는 명상적 통찰을 나타낸다.
  • "진흙이 없으면 연꽃도 없다"는 말은 깨달음(알아차림)과 번뇌(고통), 행복과 불행이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임을 설명한다.
  • "구름은 결코 죽지 않는다"는 구름이 비가 되어 땅으로 스며들 듯, 생명의 형태는 변할지언정 사라지지 않는다는 통찰, 즉 삶과 죽음을 넘어서는 현상에 대한 사색을 담고 있다.
  • 그는 불이일원론을 가르치기 위해 종종 자신의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이야기를 예로 들었다.
  • 목표나 의도 없이 행하는 '무원(無願, apraṇihita|아프라니히타sa)'의 개념은 흐르는 강물에 비유하여 설명했다.
  • 파도와 물의 관계를 통해, 본질적인 진리(물)와 다양한 현상(파도)이 서로 막힘없이 통하며 하나를 이루는 법계의 이치를 설명했다.[86]

4. 4. 반야심경 새 번역

틱낫한(Thích Nhất Hạnh|틱낫하인vie)은 2014년 9월에 새로운 영어판과 베트남어판 반야심경 번역본을 완성했다.[87] 그는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87]에서 원문의 부적절한 단어 선택으로 인해 거의 2000년 동안 이 가르침에 대한 심각한 오해가 발생했다고 생각하여 이 새로운 번역본을 작성했다고 밝혔다.[87]

4. 5. 유현(Manifestation-Only) 가르침

유가행파와 달마락사나 학파를 계승하여 틱낫한은 '의식의 본성에 대한 오십 게송(偈頌)'을 지었다. 그는 자신의 가르침이 일종의 관념론으로 잘못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유식(唯識, vijnana-matrata|비즈나나-마트라타sa)이라는 용어 대신 유현(唯現, vijnapti-matrata|비즈납티-마트라타sa)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

2006년 네덜란드 뷔흐트에서의 틱낫한

4. 6. 마음챙김의 창시자



"마음챙김의 아버지"로 불리는[88] 틱낫한은 불교를 서구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특히 서구에서 마음챙김을 널리 알린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88] 미국 불교 잡지 ''트리사이클: 불교 리뷰''의 편집장 제임스 섀힌(James Shaheen)에 따르면, "서구에서는 그가 아이콘입니다. 틱낫한을 모르는 서구 불교도는 없을 것입니다."[64]

그의 1975년 저서 ''마음챙김의 기적''(The Miracle of Mindfulness영어)은 "마음챙김 기반 인지 치료"(MBCT)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 마음챙김을 사용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며,[89] 변증법적 행동 치료(DBT)의 창시자인 워싱턴 대학교 심리학 교수 마샤 M. 라인핸의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89] 옥스퍼드 대학교와 옥스퍼드 마음챙김 센터의 J. 마크 G. 윌리엄스는 "그가 해낸 일은 불교의 지혜를 전달하고 전 세계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고, 현대 심리 과학과 현대 의료 시스템, 그리고 이러한 고대의 지혜 실천 사이의 다리를 놓은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그의 가르침을 통해 이를 실천했습니다."라고 평가했다.[89]

틱낫한의 제자인 존 카밧진은 전 세계 병원과 의료 센터에서 이용 가능한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MBSR) 프로그램을 개발했고,[56] 2015년 기준으로 약 80%의 의과대학에서 마음챙김 훈련을 제공한 것으로 보고되었다.[90] 2019년 기준으로 틱낫한이 주창한 마음챙김은 미국에서 11억달러 규모의 산업의 이론적 기반이 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고용주 중 35%가 직장에서 마음챙김을 실천하고 있다.[56]

4. 7. 종교 간 대화

틱낫한(Thích Nhất Hạnh)은 초기에는 드물었던 종교 간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와 토머스 머튼(Thomas Merton)과의 친분으로도 유명했으며, 킹은 틱낫한의 노벨상 추천서에 "그의 평화에 대한 사상이 적용된다면, 세계주의, 세계 형제애, 인류에 대한 기념비를 세울 것"이라고 썼다.[91] 머튼은 1966년 8월 ''주빌리''(Jubilee)에 "틱낫한은 나의 형제다"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기고했는데, 그 안에서 그는 "나는 많은 미국인들보다 틱낫한과 훨씬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대감을 인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들은 새로운 연대의 유대감이며… 5개 대륙 모두에서 나타나기 시작했고 모든 정치적, 종교적, 문화적 경계를 넘어 모든 나라의 젊은 남녀를 이상보다 더 구체적이고 프로그램보다 더 생생한 것으로 하나로 묶는다"라고 말했다.[91] 같은 해 틱낫한은 바오로 6세(Pope Paul VI)를 만났고, 두 사람은 특히 베트남 전쟁과 관련하여 세계 평화를 가져오는 데 가톨릭교도와 불교도들이 도움을 줄 것을 촉구했다.[91] 불교 학자 샐리 B. 킹(Sallie B. King)에 따르면, 틱낫한은 "특정 불교 용어가 아닌 보편적인 영성의 언어로 자신의 가르침을 표현하는 데 매우 능숙했다. 이 보편적인 영성의 언어는 그들이 다른 종교에서도 표현된다고 보는 기본적인 가치와 같다"고 한다.[92]

5. 베트남 정부와의 관계

틱낫한의 베트남 정부와의 관계는 여러 해에 걸쳐 변화했다. 그는 정치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남베트남 정부의 가톨릭 우선 정책을 지지하지 않았다. 또한 미국베트남 전쟁 개입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당시 사이공 지도부와 갈등을 겪었고, 이로 인해 1966년 해외 체류 중 남베트남으로 돌아오는 것이 금지되었다.[33][34][64]

베트남 통일 이후 들어선 공산주의 정부와의 관계 역시 무신론적 국가 정책 때문에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 공산 정부는 틱낫한을 회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았고, 해외 베트남인들과의 활동을 불신했으며, 여러 차례 그의 추모 기도 활동을 제한하기도 했다.[69]

2005년, 오랜 협상 끝에 베트남 정부는 틱낫한의 베트남 방문을 허가했다. 그는 베트남 내에서 강연하고, 자신의 저서 4권을 베트남어로 출판하며, 승려 및 신도들과 함께 전국을 여행할 수 있었다. 이 방문에는 후에에 있는 그의 출가 사찰인 뚜히에우 사원(Tu Hieu Temple) 방문도 포함되었다.[64][65] 틱낫한은 망명 39년 만인 2005년 1월 12일 베트남에 도착했다.[6]

그러나 이 방문은 논란을 낳았다. 당시 활동이 금지된 베트남 통일불교회(UBCV)를 대표하여 글을 쓴 틱 비엔딘(Thich Vien Dinh)은 틱낫한에게 베트남 정부의 열악한 종교의 자유 실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것을 촉구했다. 비엔딘은 정부가 실제 종교적 박해는 지속하면서도 틱낫한의 방문을 이용하여 종교 자유가 개선된 것처럼 선전할 것을 우려했다.[66][67][68]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틱낫한은 UBCV의 지도자들인 틱후옌꽝과 틱꽝도가 가택 연금 상태에 있는 동안 2007년에 베트남을 다시 방문했다. UBCV는 그의 방문을 동료 종교인들을 억압하는 정부와 협력하는 행위, 즉 '배신'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UBCV 대변인 보반아이(Võ Văn Ái)는 "틱낫한의 방문은 하노이 정부가 베트남 통일불교회에 대한 탄압을 은폐하고 베트남의 종교 자유에 대한 허위 인상을 조성하기 위해 조작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69] 플럼빌리지 웹사이트는 2007년 베트남 방문의 세 가지 목표로 자신의 교단 소속 새로운 승려 지원, 베트남 전쟁의 상처 치유를 위한 "대규모 염불 의식" 조직 및 진행, 승려와 신도들을 위한 수행 지도를 제시했다. 이 염불 의식은 본래 "모든 사람을 위해 공평하게 기도하는 불의한 고통의 매듭을 푸는 위한 대영가"라고 불렸지만, 베트남 관리들은 남베트남 및 미국 군인들을 위해 '공평하게' 기도하는 것은 정부에 용납될 수 없다며 반대했다. 틱낫한은 이름을 "대영가"로 변경하는 데 동의했다.[69] 2007년 방문 중 틱낫한은 응우옌민찌엣 당시 대통령에게 종교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종식시킬 것을 제안했다.[70] 이후 한 지방 경찰관이 한 기자에게 이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틱낫한이 베트남 법을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이 경찰관은 "[틱낫한]은 불교에 집중하고 정치에 개입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했다.[71]

2005년 방문 당시 틱낫한의 추종자들은 베트남 공식 베트남 불교 승가의 일원인 득응 주지의 초청을 받아 밧냐 사원을 점거하고 수행을 계속했다.[71] 틱낫한의 추종자들은 2006년 플럼빌리지 사원에서 거행된 성스러운 의식에서 득응 주지가 틱낫한으로부터 전승을 받고 그들이 밧냐 사원을 점거하는 것을 허락했다고 말한다.[70] 틱낫한의 추종자들은 1,8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명상당을 건설하는 등 사원을 개발하는 데 100만달러을 투자했다.[71] 처음에는 그의 추종자들에게 주어졌던 정부의 지원은 이제 베트남을 미국 국무부의 종교 자유 감시 대상 명단에서 제외하고, 세계무역기구 가입 가능성을 높이며, 외국인 직접 투자를 증가시키기 위한 책략이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72]

2008년 이탈리아 TV 인터뷰에서 틱낫한은 달라이 라마에 관한 발언을 했는데, 그의 추종자들은 이 발언이 중국 관리들을 화나게 했고, 이로 인해 베트남 정부에 압력이 가해졌다고 주장한다. 베트남 국가 종교 문제 위원회 위원장은 틱낫한의 단체가 웹사이트에 베트남에 대한 허위 정보를 게시했다고 비난하는 서한을 보냈다. 게시된 정보는 베트남의 종교 정책을 잘못 표현했고 국가 통합을 훼손할 수 있다고 적혀 있었다. 위원장은 틱낫한의 추종자들이 밧냐 사원을 떠날 것을 요청했다. 서한에는 득응 주지도 그들이 떠나기를 원한다고 명시되어 있었다.[71] "득응 주지는 우리에게 한 서약을 어기고 있다… 우리는 그가 사후에도 플럼빌리지 전통에 따라 사원을 예배 장소로 만들 것을 요청한 영상을 가지고 있는데, 심지어 그가 사망한 후—삶 이후의 삶에서조차 말이다. 누구도 그 의지에 반하여 행동할 수 없다,"고 파프캄(Phap Kham) 보살은 말했다.[70] 2009년 9월과 10월에 대치 상황이 발생했고, 당국이 전력을 차단하고 조직폭력배와 연계된 폭도들을 동원한 경찰 급습으로 끝났다. 공격자들은 몽둥이와 망치를 사용하여 건물에 침입하고 수백 명의 승려와 수녀들을 끌어냈다.[72][73] 한 마을 주민은 전화 인터뷰에서 "고승들이 마치 동물처럼 방에서 끌려 나온 후 비를 맞으며 앉아 있다가 경찰이 택시로 끌고 가서 '흑사회' 악당들이 차에 밀어 넣었다."라고 말했다.[73] 두 명의 고승은 신분증을 빼앗기고 고향에서 아무런 혐의 없이 가택 연금에 처해졌다.[73]

6. 수상 및 명예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는 1967년에 틱낫한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35] 하지만 그 해에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106] 틱낫한은 1991년 양심의 용기상을 수상했다.[107]

틱낫한은 2015년 파쳄 인 테리스 평화와 자유상을 받았다.[108][109]

2017년 11월, 홍콩 교육대학교는 "전 세계에 걸쳐 마음챙김, 평화, 행복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틱낫한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틱낫한이 홍콩에서 열리는 수여식에 참석할 수 없었기에, 2017년 8월 29일 태국에서 간소한 수여식이 열렸고, 홍콩 교육대학교의 부총장(학술 담당)인 존 리 치킨(John Lee Chi-kin)이 학교를 대표하여 틱낫한에게 명예 박사 학위 증서와 가운을 수여했다.[110][111]

7. 저서

틱낫한은 영어로 된 100권 이상을 포함하여 총 130권 이상의 책을 출판했으며, 이 책들은 2019년 1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5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122] 그의 저서는 정신 수양 지침서, 불교 경전 해설, 알아차림(Mindfulness)에 대한 가르침, 시, 이야기 모음집, 선 수련에 대한 학문적 글 등 다양한 주제를 망라하며, 2022년 1월까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1986년에는 비영리 서적 출판사이자 플럼 빌리지(Plum Village) 공동체의 일부인 '시차 출판사'(Parallax Press)를 설립했다.

오랜 망명 기간 동안 틱낫한의 책들은 베트남 내에서 금서였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밀반입되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주요 저서 목록이다.


  • '''화해''': 내 안의 아이 치유하기 (원제: Reconciliation), 틱낫한 저, 진우기 역, 불광출판사, 2011. ISBN 978-89-7479-763-8
  • '''화 anger : 화가 풀리면 인생도 풀린다''', 틱낫한 저, 최수민 역, 명진출판, 2002.
  • '''너는 이미 기적이다''': 틱낫한 스님의 365일 잠언 모음집, 틱낫한 저, 이현주 감수, 불광출판사, 2017. ISBN 978-89-7479-337-1
  • '''틱낫한 기도의 힘''', 틱낫한 저, 이현주 역, 불광출판사, 2016. ISBN 978-89-7479-320-3
  • '''틱낫한 명상''', 틱낫한 저, 이현주 역, 불광출판사, 2013. ISBN 978-89-7479-027-1

참조

[1] 웹사이트 Mindfulness Bell: A Profile of Thich Nhat Hanh https://www.lionsroa[...] Lion's Roar 2018-08-14
[2] 백과사전 Engaged Buddhism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6-28
[3] 뉴스 An advocate for peace starts with listening http://www.csmonitor[...] 2010-09-13
[4] 뉴스 Thich Nhat Hanh Returns Home https://plumvillage.[...] 2018-11-02
[5]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Vietnamese Zen Master, Dies at 95 https://tricycle.org[...] 2022-01-21
[6] 서적 Modernity and Re-enchantment: Religion in Post-revolutionary Vietnam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8-10-09
[7]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20-page Biography https://plumvillage.[...] Plum Village 2022-01-22
[8]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full biography https://plumvillage.[...] 2022-01-21
[9] 웹사이트 Vietnamese Names http://www.thingsasi[...] Things Asian website 2010-09-13
[10] 웹사이트 Title attributed to TNH on the Vietnamese Plum Village site http://www.langmai.o[...] Langmai.org 2013-06-16
[11] 웹사이트 The Tu Hieu Lineage of Thien (Zen) Buddhism http://www.woodmoorv[...] 2010-09-13
[12] 뉴스 Thich Nhat Hanh obituary https://www.thetimes[...] 2022-01-25
[13] 웹사이트 Remembering Thich Nhat Hanh (1926–2022) https://www.lionsroa[...] 2022-01-25
[14] 웹사이트 Dear Mr. Mudd: Did Thich Nhat Hanh Attend or Teach at Princeton University? https://blogs.prince[...] 2020-11-04
[15] 웹사이트 Peace in Every Step http://www.lionsroar[...] Lion's Roar 2016-10-02
[16] 서적 Learning True Love: Practicing Buddhism in a Time of War Parallax Press
[17] 웹사이트 A Letter to Friends about our Lineage http://orderofinterb[...] 2014-11-23
[18] 간행물 Application for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sutras
[19] 웹사이트 Mindfulness in Life and Death https://www.yesmagaz[...] 2022-01-26
[20] 웹사이트 Path of Peace: The Life and Teachings of Sister Chan Khong http://www.lionsroar[...] Shambhala Sun 2022-01-25
[21] 웹사이트 The Five Mindfulness Trainings https://plumvillage.[...] 2018-12-28
[22] 웹사이트 The Fourteen Mindfulness Trainings of the Order of Interbeing https://orderofinter[...] 2018-12-28
[23] 웹사이트 The Fourteen Precepts of Engaged Buddhism https://www.lionsroa[...] 2022-01-26
[24] 학술지 Struggling for Peace: South Vietnamese Buddhist Women and Resistance to the Vietnam War https://muse.jhu.edu[...] 2022-01-29
[25] 학술지 They Who Burned Themselves for Peace: Quaker and Buddhist Self-Immolators during the Vietnam War https://www.jstor.or[...] 2000
[26] 웹사이트 THICH NHAT HANH(1926– )from Vietnam: Lotus in a Sea of Fire: In Search of the Enemy of Man https://ethicsofsuic[...] 2022-02-12
[27] 웹사이트 Why have some Buddhist monks set themselves on fire? https://tricycle.org[...] 2022-02-12
[28] 웹사이트 How Thích Nhất Hạnh changed the world beyond Buddhism https://religionnews[...] 2022-02-12
[29] 웹사이트 Nhat Hanh's Peace Activities" in "Vietnamese Engaged Buddhism: The Struggle Movement of 1963–66" http://www.giaodiemo[...] 2010-09-13
[30] 웹사이트 Talking Buddha, Talking Christ https://tricycle.org[...]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2022-01-29
[31]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Monk, Zen Master and Activist, Dies at 95 https://www.nytimes.[...] 2022-01-21
[32] 웹사이트 When Giants Meet https://thichnhathan[...] Thich Nhat Hanh Foundation 2021-03-22
[33] 웹사이트 Searching for the Enemy of Man" in Nhat Nanh, Ho Huu Tuong, Tam Ich, Bui Giang, Pham Cong Thien http://www.aavw.org/[...] Saigon: La Boi 2010-09-13
[34] 웹사이트 Beyond Vietnam http://www.aavw.org/[...] 2010-09-13
[35] 웹사이트 Nomination of Thich Nhat Hanh for the Nobel Peace Prize http://www.hartford-[...] Archived on the Hartford Web Publishing website 2010-09-13
[36] 뉴스 Thich Nhat Hanh, poetic peace activist and master of mindfulness, dies at 95 https://www.reuters.[...] 2022-01-30
[37] 웹사이트 Facts on the Nobel Peace Prize http://nobelprize.or[...] 2010-06-24
[38] 웹사이트 Nomination Process http://nobelprize.or[...] 2010-06-24
[39]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the Buddhist monk who introduced mindfulness to the West, prepares to die http://theconversati[...] 2022-01-30
[40] 웹사이트 Remembering Thich Nhat Hanh, Brother Thay: 2003 Interview Transcript https://onbeing.org/[...] 2022-01-31
[41] 뉴스 At a Retreat, a Zen Monk Plants the Seeds of Peace https://www.nytimes.[...] 2018-08-13
[42]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http://www.integrati[...] Integrative Spirituality 2010-09-13
[43] 웹사이트 Religion & Ethics – Thich Nhat Hanh http://www.bbc.co.uk[...] BBC 2013-06-16
[44] 논문 Meeting Life in Plum Village – Engaging With Precarity and Progress in a Meditation Center https://studentthese[...] Cultural Anthropology and Development Sociology 2020
[45] 웹사이트 Plum Village https://plumvillage.[...] 2023-01-17
[46] 웹사이트 Plum Village Community of Engaged Buddhism Inc. Web Site http://www.pvengaged[...] 2018-12-16
[47] 웹사이트 Thich Nhat Hanh's final mindfulness lesson: How to die peacefully https://www.vox.com/[...] 2022-01-31
[48] 서적 Handbook of Ethical Foundations of Mindfulness https://books.google[...] Springer
[49] 웹사이트 Plum Village Practice Centers https://plumvillage.[...] 2022-01-31
[50]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Practice Centers from the official Community of Mindful Living site http://www.iamhome.o[...] 2013-03-09
[51] 웹사이트 About the European Institute of Applied Buddhism http://eiab.eu/about[...] 2013-03-18
[52] 웹사이트 A Practice Center in the Tradition of Thich Nhat Hanh http://www.deerparkm[...] 2006-07-07
[53] 웹사이트 Article: ''Thich Nhat Hahn Leads Retreat for Members of Congress'' (2004) Faith and Politics Institute website http://www.faithandp[...] Faithandpolitics.org 2013-06-16
[54] 학술지 Zen and the Art of Law Enforcement http://www.csmonitor[...] 2013-06-16
[55] 웹사이트 2016–2017 Annual Highlights from the Thich Nhat Hanh Foundation https://thichnhathan[...] 2019-03-06
[56] 잡지 The Father of Mindfulness Awaits the End of This Life https://time.com/551[...] 2022-01-24
[57]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https://plumvillage.[...] 2019-01-29
[58] 웹사이트 About – Parallax Press http://www.parallax.[...] 2017-12-16
[59] 뉴스 Thich Nhat Hanh, Buddhist monk who sought peace and mindfulness, dies at 95 https://www.washingt[...] 2022-01-25
[60] 웹사이트 Pope Francis And Other Religious Leaders Sign Declaration Against Modern Slavery http://m.huffpost.co[...] 2014-12-05
[61] 웹사이트 The Fruitful Darkness: A Journey Through Buddhist Practice and Tribal Wisdom http://www.goodreads[...] Grove Press 2013-12-03
[62] 웹사이트 "Oprah Talks to Thich Nhat Hanh" from "O, The Oprah Magazine" http://www.oprah.com[...] 2013-12-03
[63] 웹사이트 Being the Change We Want to See in the World: A Conversation with Christiana Figueres (Episode #21) https://plumvillage.[...] 2023-02-15
[64] 뉴스 A Long Journey Home http://www.time.com/[...] 2010-09-13
[65] 웹사이트 Local Buddhist Monks Return to Vietnam as Part of Historic Trip http://www.buddhistc[...] North County Times (re-published on the Buddhist Channel news website) 2010-09-13
[66] 웹사이트 Buddhist monk requests Thich Nhat Hanh to see true situation in Vietnam http://www.buddhistc[...] Released by th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05 2010-09-13
[67] 웹사이트 Vietnam: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10-09-13
[68] 웹사이트 Vietnam: The Suppression of the Unified Buddhist Church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0-09-13
[69] 뉴스 The Fighting Monks of Vietnam http://content.time.[...] Time Magazine 2010-09-13
[70] 뉴스 Tensions rise as police question monk's followers https://www.taiwanne[...] Associated Press 2009-10-03
[71] 웹사이트 Vietnam's Dispute With Zen Master Turns Violent https://www.taiwanne[...] Associated Press 2009-08-01
[72] 웹사이트 Vietnamese riot police target Buddhist monk's followers https://www.theguard[...] 2009-10-02
[73] 웹사이트 Monks Driven from Monastery http://www.rfa.org/e[...] Radio Free Asia 2009-09-29
[74] 서적 The Miracle of Mindfulness; An Introduction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 Beacon Press
[75]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Engaged Buddhism http://www.pbs.org/t[...] PBS 2010-03-26
[76] 서적 Engaged Buddhism in the West Wisdom Publications
[77] 서적
[78] 웹사이트 Manifesto 2000: Creating a Culture of Peace and Nonviolence https://plumvillage.[...] 2022-03-10
[79] 웹사이트 Information kit on the Global Movement for The International Year for the Culture of Peace: peace is in our hands https://unesdoc.unes[...]
[80] 서적 Interbeing: The 14 Mindfulness Trainings of Engaged Buddhism Parallax Press
[81] 서적 Freedom Wherever We Go: A Buddhist Monastic Code for the 21st Century https://terebess.hu/[...] Parallax Press
[82] 서적 The Heart of Understanding: Commentaries on the Prajnaparamita Heart Sutra https://terebess.hu/[...] Parallax Press
[83] 웹사이트 Con sư tử vàng của thầy Pháp Tạng https://langmai.org/[...]
[84] 서적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5] 서적 Mahāyāna Buddhism : the doctrinal foundations http://worldcat.org/[...] Routledge 2009
[86] 서적 The Sun My Heart Parallax Press
[87] 웹사이트 New Heart Sutra translation by Thich Nhat Hanh https://plumvillage.[...] Plum Village Web Site 2014-09-13
[88] 뉴스 Buddhist monk who brought mindfulness to West dies in Vietnam https://www.france24[...] Agence France-Presse 2022-01-22
[89] 뉴스 From MLK to Silicon Valley, how the world fell for 'father of mindfulness' https://www.theguard[...] 2022-01-22
[90] 학술지 Exploring the Promise of Mindfulness as Medicine 2015-10
[91] 뉴스 Buddhist monk Thich Nhat Hanh, teacher of mindfulness and nonviolence, dies at age 95 https://www.ncronlin[...] 2021-01-22
[92] 서적 Socially Engaged Buddhism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93] 웹사이트 Our Beloved Teacher in Hospital http://plumvillage.o[...] 2014-11-12
[94]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Hospitalized for Severe Brain Hemorrhage https://tricycle.org[...]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2014-11-13
[95] 웹사이트 An Update on Thay's Health: 14th July 2015 http://plumvillage.o[...] Plum Village Monastery 2015-07-14
[96] 웹사이트 An Update on Thay's Health: 8th January 2016 http://plumvillage.o[...]
[97] 웹사이트 On his 92nd birthday, a Thich Nhat Hanh post-stroke update https://www.lionsroa[...] Lion's Roar 2018-10-10
[98] 웹사이트 Thich Nhat Hanh's health 'remarkably stable', despite report in TIME https://www.lionsroa[...] Lion's Roar 2019-01-25
[99] 웹사이트 Thousands Mourn Passing Of Father Of Mindfulness https://theaseanpost[...] 2016-12-29
[100] 뉴스 Thich Nhat Hanh: 'Father of mindfulness' Buddhist monk dies aged 95 https://www.bbc.com/[...] 2022-01-22
[101] 웹사이트 Condolences in Response to the Death of Venerable Thich Nhat Hanh https://www.dalailam[...] Office of the 14th Dalai Lama 2022-01-22
[102] 웹사이트 On the Passing of Zen Master Thích Nhất Hạnh https://www.state.go[...] US State Department 2022-01-23
[103] 웹사이트 Moon Offers Condolences over Death of Buddhist Monk Thich Nhat Hanh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2-01-23
[104] 웹사이트 Funeral held in Vietnam for influential monk Thich Nhat Hanh https://apnews.com/a[...] 2022-01-29
[105] 서적 At Home in the World: Stories & Essential Teachings from a Monk's Life Parallax Press 2016-11
[106] 웹사이트 Facts on the Nobel Peace Prize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2-08-13
[107] 웹사이트 The Peace Abbey – Courage of Conscience Recipients List http://www.peaceabbe[...]
[108]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to receive Catholic "Peace on Earth" award http://www.lionsroar[...] Lion's Roar
[109] 뉴스 Pacem in Terris Peace and Freedom Award recipient announced https://davenportdio[...] Diocese of Davenport 2015-10-23
[110] 웹사이트 EdUHK to Confer Honorary Doctorates on Distinguished Individuals | Press Releases | The Educ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EdUHK) https://www.eduhk.hk[...] 2020-12-24
[111] 웹사이트 The Education University of Hong Kong https://www.facebook[...] 2017-10-18
[112] 웹사이트 First line up http://dbiff.com/ind[...] Dawn Breaker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DBIFF) 2009-12-05
[113] 웹사이트 Alejandro G. Inarritu on Mindfulness Documentary 'Walk with Me' (EXCLUSIVE) https://variety.com/[...] 2017-03-09
[114] 뉴스 Review: 'Walk with Me,' an Invitation from Thich Nhat Hanh https://www.nytimes.[...] 2017-08-17
[115] 웹사이트 One: The Movie https://www.imdb.com[...] 2007-04-20
[116] 간행물 3 Heroes, 5 Powers 2013-05
[117] 뉴스 「ティク・ナット・ハン氏」 https://www.chugaini[...] 中外日報 2022-01-26
[118] 서적 サンガジャパン Vol.17 サンガ 2014-05
[119] 서적 ティク・ナット・ハンの抱擁 現文メディア 2008
[120] 웹사이트 Thich Nhat Hanh https://www.ne.jp/as[...] BODHI PRESS 1996
[121] 웹사이트 仏教を現代に蘇生させる人 ーティク・ナット・ハン師の印象ー http://www.soto-zen.[...] SOTO禅インターナショナル会報 1995-07-15
[122] 서적 Being Peace Parallax Press 1987
[123] 서적 The Miracle of Mindfulness: A Manual on Meditation 1987
[124] 서적 Peace Is Every Step: The Path of Mindfulness in Everyday Life Bantam 1992
[125] 서적 Living Buddha, Living Christ Riverhead Trade
[126] 서적 Zen Keys: A Guide to Zen Practice Three Leaves 1974/1994
[127] 서적 Savor: Mindful Eating Mindful Life 2010
[128] 뉴스 '마음챙김' 속 평화 바랐던 틱낫한…남북한 형제애 강조 https://www.yna.co.k[...] 2022-01-27
[129] 뉴스 세계적 불교 지도자·평화운동가 틱낫한 스님 열반…향년 95세(종합2보) https://www.yna.co.k[...] 2022-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