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어철학은 언어의 본질, 의미, 지시, 언어와 사고의 관계 등을 탐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이다.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철학자들이 언어에 대한 탐구를 이어왔다. 주요 주제로는 의미, 진리, 언어와 세계의 관계, 언어 행위 등이 있으며, 20세기 초 분석철학의 부상과 함께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 잡았다. 한국에서는 오모리 소우조에 의해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 소개되면서 분석철학 연구가 시작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철학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미론 (논리학) - 번역
번역은 출발어 텍스트를 목표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직역과 의역 등의 방식을 통해 완역 또는 축약역으로 나뉘며, 기계 번역과 인간 번역의 차이, 그리고 문화와 사상의 교류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의미론 (논리학) - 의미 (철학)
의미(철학)는 단어, 기호, 아이디어 등의 의미를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이며, 진리, 정합성, 구성주의, 합의, 실용주의 등의 이론을 통해 의미를 설명하고, 20세기 분석철학에서는 언어 사용과 발화 행위, 대화의 협력 원리 등을 통해 의미를 탐구한다. - 언어철학 - 기호학
기호학은 기호와 의미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언어학, 철학, 문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광고, 마케팅 등 실용적인 분야에도 응용된다. - 언어철학 - 밈
밈은 리처드 도킨스가 제시한 문화적 정보의 복제 단위로, 언어, 유행어 등과 같이 뇌에서 뇌로 전달되며 다윈주의적 진화를 거치는 개념이다. - 철학에 관한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철학에 관한 - 플라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를 설립하여 철학, 수학 등을 가르치고 이데아론, 영혼론 등을 주요 사상으로 삼아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다.
언어철학 | |
---|---|
언어 철학 | |
학문 분야 | 철학 |
연구 분야 | 의미론 화용론 언어와 사고 언어와 현실 |
주요 개념 | 의미 지시 진리 언어적 행위 이름 기술 번역 구성 언어 습득 언어 변화 |
개요 | |
정의 | 언어의 본질, 의미, 사용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분야 |
주요 관심사 | 언어의 의미, 언어와 사고의 관계, 언어와 세계의 관계, 의사소통의 본질 등 |
주요 질문 | 언어는 어떻게 의미를 갖는가?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어떻게 형성하는가? 언어는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의사소통은 어떻게 가능한가? |
주요 연구 주제 | |
의미론 | 단어와 문장의 의미를 다루는 분야 지시, 진리, 의미의 구성 원리 등 연구 분석철학의 핵심 분야 |
화용론 | 언어의 실제 사용 맥락을 다루는 분야 발화의 의미, 함축, 화행 등을 연구 언어 사용의 사회적, 문화적 측면 고려 |
언어와 사고 |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탐구하는 분야 언어가 사고를 형성하는지, 아니면 사고가 언어를 형성하는지 논쟁 언어 상대성 가설과 같은 주제 연구 |
언어와 현실 | 언어가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구성하는지 연구 언어가 사회적 현실을 만드는 방식 탐구 사회 구성주의와 같은 관점 연구 |
역사 | |
고대 철학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에 대한 사색 의미, 정의, 논리 등 기본적인 개념 논의 |
중세 철학 | 스콜라 철학에서 언어 분석의 중요성 부각 보편자와 개별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쟁 |
근대 철학 | 로크, 라이프니츠, 흄 등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철학자들의 언어 연구 언어와 인식의 관계에 대한 관심 증가 |
20세기 철학 | 분석철학의 발전과 함께 언어 철학이 핵심 분야로 등장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등 주요 철학자들의 언어 이론 제시 논리 실증주의와 일상언어 철학의 영향 |
현대 철학 | 다양한 언어 철학적 접근 등장 인지과학, 심리학과 같은 인접 학문과의 교류 활발 언어, 마음, 사회의 관계를 연구 |
주요 학자 | |
주요 인물 |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존 오스틴 윌러드 밴 오먼 콰인 솔 크립키 도널드 데이비슨 힐러리 퍼트넘 존 설 폴 그리이스 |
언어철학의 주요 질문들 | |
의미의 본질 | 언어는 어떻게 의미를 갖게 되는가? 단어와 문장의 의미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의미는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 |
지시와 참조 | 언어는 어떻게 대상과 연결되는가? 이름, 기술, 지시사의 작동 방식은 무엇인가? 고유명사와 일반명사의 차이는 무엇인가? |
진리 | 언어는 어떻게 진리를 표현하는가? 진리란 무엇인가? 진리는 언어와 독립적인가? |
언어적 행위 | 언어는 어떻게 행위를 수행하는가? 약속, 명령, 질문 등은 어떻게 가능한가? 언어적 행위의 조건과 효과는 무엇인가? |
언어와 사고 | 언어는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가? 언어가 사고를 형성하는가, 아니면 사고가 언어를 형성하는가? 언어와 사고의 관계는 어떠한가? |
언어와 현실 | 언어는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언어가 현실을 구성하는가? 언어와 문화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
같이 보기 | |
관련 분야 | 논리학 의미론 화용론 인지과학 언어학 심리학 사회학 |
2. 역사
언어철학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의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 등으로부터 시작되어[3] 중세,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중세에는 스콜라학자들이 그리스어 문헌을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언어철학적 문제에 직면했고,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마르틴 오브 다시아와 토마스 오브 에르푸르트 (모디스타 학파 참조) 등이 활동한 추측 문법 전통이 있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는 요하네스 고로피우스 베카누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존 윌킨스 등이 한자와 이집트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아 철학적 언어 개념에 관심을 가졌고, 이는 보편적인 음악 언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과도 연결되었다.[12] 19세기 초, 쇠렌 키르케고르는 철학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2]
20세기 초,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등에 의해 언어철학은 분석철학의 중심 주제로 부상했다.[106]
2. 1. 고대
서구에서 언어에 대한 탐구는 기원전 5세기에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 등과 함께 시작되었다.[3]플라톤은 대화편 ''크라튀로스''에서 사물의 이름이 관습에 의해 결정되는지, 아니면 본성에 의해 결정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고찰했다. 그는 관습주의를 비판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어떤 것이든 관습적으로 어떤 이름으로든 명명될 수 있다는 이상한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관습주의는 이름의 올바른 또는 잘못된 적용을 설명할 수 없었다. 그는 이름에는 자연적인 정확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그는 복합어와 구절에는 다양한 정도의 정확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또한 원시적인 이름에는 자연적인 정확성이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각 음소가 기본적인 사상이나 감정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플라톤에게 'l'이라는 글자와 그 소리는 부드러움이라는 개념을 나타냈다. 그러나 ''크라튀로스''의 결론 부분에서 그는 사회적 관습도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으며, 음소가 개별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생각에는 결함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4] 플라톤은 종종 극단적 실재론의 지지자로 여겨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학, 범주, 그리고 의미 창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모든 것을 종과 속의 범주로 분류했다. 그는 술어의 의미는 다양한 개별적인 사물들 사이의 유사성을 추상화함으로써 확립된다고 생각했다. 이 이론은 나중에 ''유명론''으로 불리게 되었다.[5]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유사성이 실제적인 공통된 형태에 의해 구성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는 더 자주 절충적 실재론의 지지자로 여겨진다.
스토아학파는 문법 분석에 중요한 공헌을 했는데, 다섯 가지 품사, 즉 명사, 동사, 보통명사(이름 또는 형용어), 접속사 및 관사를 구분했다. 그들은 또한 언어의 각 기호와 관련되지만 기호 자체와 그것이 가리키는 사물과는 구별되는 ''렉톤''에 대한 정교한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렉톤''은 모든 용어의 의미 또는 뜻이었다. 문장의 완전한 ''렉톤''은 현재 우리가 명제라고 부르는 것이다.[6] 명제만이 진리 보유자—즉 참 또는 거짓으로 간주될 수 있는—로 간주되었고, 문장은 단순히 그것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 서로 다른 ''렉톤''은 명제 외에도 명령, 질문, 감탄사와 같은 것들을 표현할 수도 있었다.[7]
2. 2. 중세
중세 철학자들은 언어의 미묘함과 사용 방식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특히 스콜라학자들은 그리스어 문헌을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언어철학적 문제에 직면했다. 피터 아벨라르는 현대의 지시 이론을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8] 윌리엄 오컴은 그의 저서 ''논리학 개요''에서 정신 언어를 체계화하려는 중요한 시도를 했다.[9]오컴과 존 둔스 스코투스 같은 스콜라 학자들은 논리학을 '언어 과학'(scientia sermocinalis)으로 보았다. 이들은 현대 언어철학에서 다루는 여러 문제들을 이미 예견했으며, 모호함과 애매모호함의 현상을 분석하고, '그리고', '또는', '아니', '만약', '모든'과 같은 '공유어휘적' 단어와 '자유어휘적' 단어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했다.[10]
스콜라 학자들은 'suppositio'(소위)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특정 맥락에서 단어가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나타낸다. suppositio는 '적절한' 것과 '부적절한' 것으로 나뉘며, 적절한 suppositio는 다시 일반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형식적인 것과 언어적 실체 자체를 가리키는 물질적인 것으로 나뉜다. 이러한 분류는 현대의 사용-언급 구분과 언어-메타언어 구분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11]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는 마르틴 오브 다시아와 토마스 오브 에르푸르트 (모디스타 학파 참조)와 같은 학자들이 활동한 추측 문법(speculative grammar) 전통이 있었다.
2. 3. 근대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는 철학적 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요하네스 고로피우스 베카누스,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존 윌킨스와 같은 언어학자들은 한자와 이집트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아 혼란스러운 언어를 극복할 철학적 언어 개념에 매료되었다. 이는 보편적인 음악 언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과도 연결되었다.[12]18세기 중반부터 유럽 학계는 장 프랑수아 퐁과 헨리 토마스 콜브룩이 연구한 인도의 언어 전통, 특히 바야카라나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초, 덴마크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는 언어가 철학에서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학이 인식에서 언어의 역할을 충분히 주목하지 못했으며, 미래의 철학은 언어에 대한 의식적인 초점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2]
2. 4. 현대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등에 의해 20세기 초 언어철학은 분석철학의 중심 주제로 부상했다.[106] 프레게는 의미와 지시에서 샛별과 개밥바라기가 동일한 금성을 가리키지만 언어적 기능이 다른 점을 들어 지시 대상을 "Bedeutung"(의미), 의미의 차이를 "Sinn"(의미)으로 구분했다. 또한, 언어의 기본 단위를 명제로 보고, 명제보다 작은 단위의 의미는 명제라는 문맥 속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문맥 원리를 제창했다.[106] 러셀은 “확정기술(definite description)”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현재의 프랑스 국왕은 대머리이다”라는 명제는 현재 프랑스 국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참도 거짓도 아니지만, “X가 프랑스 국왕이고, X가 대머리이다. 그러한 X가 존재하고, 단 한 명만 존재한다”라는 여러 명제의 연언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107]초기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에서 언어와 세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림 이론을 제시했다.[109] 그는 일상 언어가 복잡하므로, 철학적 문제 해결을 위해 간편한 모델을 창출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모델은 언어가 원자 명제와 그 진리 함수로 구성된다는 원자론에 기반한다. 원자 명제는 이름과 이름의 결합이며, 세계에서는 원자적 명제에 사태, 이름에 사물이 대응한다고 보았다.
논리실증주의는 빈 학파와 베를린 학파 그룹을 중심으로, 검증 가능한 명제만이 의미 있다는 주장을 펼치며 형이상학을 비판했다.[110] 이들은 완전한 인공 언어 창안에 매진하여 이상 언어 철학을 열었다.[111] 알프레드 아예르는 《언어, 진리, 논리》에서 이러한 주장을 영국에 전파했다.[113] 칼 포퍼는 일반 법칙은 완전히 검증될 수 없다는 점에서 검증 가능성 대신 반증 가능성을 과학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에서 언어 게임 개념을 도입하고, 언어의 의미가 삶의 기능에서 도출된다고 보았다.[115] 그는 철학적 문제가 언어의 일상적 사용에서 벗어난 결과라고 비판하며, 일상 언어의 사용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언어 이론이 논리를 포함하여 어디에서든 개정 가능하다는 이론의 전체론을 제시했다. 그는 단어가 무엇을 지시하는가는 일의적으로 정해질 수 없다는 지시의 불가측성, 올바른 이론은 일의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이론의 결정 불완전성, 복수의 번역이 존재할 수 있다는 번역의 불확정성 등을 주장했다.
일상언어학파는 존 L. 오스틴을 중심으로 일상 언어의 다양한 사용 유형에 주목했다. 오스틴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행위를 하는 언어행위 개념을 제시했고,[122] 이는 존 설에 의해 더욱 형식적으로 분류되었다.[123] 길버트 라일은 철학적 행동주의를 전개하고 범주 오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124]
솔 크립키는 강직 지시어 이론과 지시의 인과론을 제시하여, 버트런드 러셀의 기술이론과 후기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기술속설을 비판했다.[125]
3. 주요 주제 및 하위 분야
언어철학은 의미, 지시, 구성, 마음과 언어,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진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의미''': 언어철학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주제로, "의미"의 본질을 탐구한다. 동의어, 의미의 기원, 의미 파악, 구성의 본질 등이 주요 논의 대상이다.
이론 | 설명 |
---|---|
관념론적 의미 이론 | 의미는 기호에 의해 유발되는 정신적 표상이라고 주장한다. |
진리 조건 이론 | 의미를 표현이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는 조건으로 간주한다. |
용법 이론 | 후기 비트겐슈타인과 관련이 있으며, "용법으로서의 의미"와 언어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관점을 제시한다. |
추론주의적 의미 이론 | 표현의 의미가 다른 표현과의 추론적 관계에서 파생된다고 본다. |
직접적 지시 이론 | 단어나 표현의 의미가 세상에서 그것이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
의미 외재론 | 의미가 순전히 심리적인 현상이 아니며, 환경의 특징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
검증주의적 의미 이론 | 문장의 의미가 그것의 검증 또는 반증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
실용주의적 의미 이론 | 문장의 의미가 그것의 적용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 |
심리적 의미 이론 | 발화의 의미를 결정하는 데 있어 화자의 의도에 초점을 맞춘다. |
- '''지시 이론''': 언어가 세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학자 | 이론 |
---|---|
프레게(Gottlob Frege) | 매개 지시 이론을 주장하며, 문장을 포함한 모든 표현의 의미 내용을 의미와 지시 대상 두 가지 구성 요소로 나누었다. |
러셀(Bertrand Russell) | 직접적으로 지시적인 표현은 "논리적으로 적절한 명칭"(예: 나, 지금, 여기 등 지시어)뿐이라고 주장했다. |
크립케(Saul Kripke) | 기술주의를 비판하고, 이름은 강직 지시어라고 주장했다. |
- '''구성''': 문장의 의미가 그 구성 요소(단어, 형태소)의 의미와 구조(통사론, 논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구성 원칙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 * 구문 트리: 문장의 ''문법''을 고려하여 문장의 단어를 사용한다.
- * 의미 트리: 단어의 ''의미'' 역할과 그 의미가 결합하여 의미적 사실의 기원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 '''마음과 언어''': 심리언어학과 연관된 분야로, 언어 습득, 언어와 사고의 관계 등을 다룬다.
- * 언어 학습에 대한 세 가지 관점: 행동주의적 관점, 가설 검증 관점, 생득론적 관점.
- * 언어와 관련된 뇌 구조에 대한 개념: 연결주의 모델, 생득론적 모델, 계산주의 모델, 창발주의 모델, 환원주의 모델.
- * 언어와 사고의 관계: 사피어-워프 가설, 제리 포도어의 사고의 언어 가설 등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4. 현대의 쟁점
형식 논리와 자연어의 관계, 보편자 문제, 번역과 해석의 문제, 모호성의 문제 등이 현대 언어철학의 주요 쟁점으로 남아 있다.
5. 한국의 언어철학
한국에서는 오모리 소우조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도입한 것을 계기로 분석철학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131][132][133] 오모리는 도쿄대학(東京大学)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청색서(Blue Book)'를 교재로 사용하며 분석철학을 소개했다. 오모리 소우조는 분석철학과 다소 다른 독자적인 철학을 전개했지만,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언어철학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31][132][133]
오모리 소우조의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연구 분야 및 저서 |
---|---|
黒崎宏(쿠로사키 히로시) | 비트겐슈타인 소개, 과학철학, 심리철학, 불교(仏教) 해석. 『비트겐슈타인의 생애와 철학』, 『비트겐슈타인 소사전』, 『과학의 유혹에 저항하여』, 『비트겐슈타인으로부터 도겐(道元)에게--사설 『정법안장(正法眼蔵)』』 등. |
石黒ひで(이시구로 히데) | 라이프니츠의 철학 (논리와 언어 중심). 『라이프니츠의 철학--논리와 언어를 중심으로』 |
奥雅博(오쿠 마사히로) | 중기 비트겐슈타인 연구. 『비트겐슈타인의 꿈』 |
丹治信春(탄지 노부하루) | 후기 비트겐슈타인과 콰인 비교, 언어의 추이율 연구. 『언어와 인식의 다이내미즘』 |
飯田隆(이이다 타카시) | 분석철학사 연구 (프레게부터 크립키까지). 『언어철학대전』 전4권 |
野家啓一(노야 케이이치) | 분석철학과 현상학(現象学)의 연결 시도. 『언어행위의 현상학』, 『무근거로부터의 출발』 |
野矢茂樹(노야 시게키) | 타자(他我) 문제,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론 및 관점론(アスペクト論), 『논리철학논고』 해석. 『마음과 타자』, 『철학 항해일지』, 『『논리철학논고』를 읽는다』 등 |
그 외에도 末木剛博(스에키 타케히로),[131] 黒田亘(쿠로다 와타루),[132] 野本和幸(노모토 카즈유키)[133]등이 언어철학 연구에 기여했다.
神崎繁(칸자키 시게루)는 분석철학 방법론을 서양 고전학에 도입했고, 清水哲郎(시미즈 테츠로)는 성서와 오컴을 분석철학적으로 해석했다(예: 『바울의 언어철학』에서 바울(パウロ)은 예수 그리스도(イエス・キリスト)가 신을 믿는 신앙을 구제 근거로 하며, 신도들의 신 혹은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은 언급되지 않았다고 주장). 門脇俊介(카도와키 슌스케)는 후설, 하이데거를 연구하면서 분석철학적 지식을 도입하는 등,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넘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순수 철학뿐만 아니라 법철학(法哲学), 사회학(社会学), 종교철학(宗教哲学),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철학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Philosophy of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8-11-14
[2]
웹사이트
Philosophy of Language
https://www.iep.utm.[...]
2019-09-22
[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ratyl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On Aristotle's categories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Semio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7]
서적
Stoic Logi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웹사이트
Peter Abelard
http://plato.stanfor[...]
[9]
논문
Is there Synonymy in Occam's Mental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Storia della Filosofia del Linguaggio
Garzanti Editori
[11]
서적
Cambridge History of Later Mediev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Søren Kierkegaard
Walter de Gruyter
[13]
서적
Bergson, Complexity and Creative Emergence
Springer
[14]
서적
Advanced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Springer
[15]
웹사이트
Conceptual Role Semantics
http://www.nyu.edu/g[...]
[16]
웹사이트
The Semantical Conception of Truth
http://www.ditext.co[...]
[17]
서적
Inquiries into Truth and Interpre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Macmillan Publishing Co
[19]
서적
Making it Explicit
Harvard University Press
[20]
논문
Individualism and the Mental
[21]
논문
The Meaning of 'Meaning'
http://internalism.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2]
서적
Naming and Necessity
Basil Blackwell
[23]
논문
Olismi Irriducibilmente Indipendenti?
Quodlibet
[24]
서적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Harvard University Press
[25]
논문
Meaning
[26]
논문
On Sense and Reference
Editori Laterza
[27]
웹사이트
Philosophy of Language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www.rci.rutge[...]
[28]
서적
I: The Meaning of the First Person Term
Oxford University Press
[29]
논문
On Denoting
http://cscs.umich.ed[...]
[30]
서적
I Principi della Matematica
Newton Compton editori
[31]
서적
New horizons in the study of language and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Of Minds and Language: A Dialogue with Noam Chomsky in the Basque Country
Oxford University Press
[33]
논문
Are Holism and Compositionality Compatible?
Quodlibet
[34]
서적
Syntax: An Introduction, Volume 1
John Benjamins Publishing
[35]
서적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language
https://archive.org/[...]
Broadview Press
[36]
서적
The Modularity of Mind: An Essay in Faculty Psychology
The MIT Press
[37]
서적
L'Istinto del Linguaggio
Arnaldo Mondadori Editori
[38]
서적
Engine of Reason, Seat of the Soul: A Philosophical Journey Into the Brain
The MIT Press
[39]
논문
All at Sea in Semantic Space: Churchland on Meaning Similarity
[40]
서적
Gödel, Escher, Bach: An Eternal Golden Braid
Random House
[41]
논문
What is the Sapir-Whorf Hypothesis?
[42]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Philosophy
https://archive.org/[...]
Blackwell
[43]
서적
The Language of Thought
Harvard University Press
[44]
논문
Olismo, Razionalità e Interpretazione
Quodlibet
[45]
서적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6]
서적
Philosophic Classics: Thales to Ockham
Prentice Hall, Inc
[47]
웹사이트
csjarchive.cogsci.rpi.edu/Proceedings/2009/papers/559/paper559.pdf
http://csjarchive.co[...]
2011-12-23
[48]
웹사이트
Lost in Translation. New cognitive research suggests that language profoundly influences the way people see the world; a different sense of blame in Japanese and Spanish by Lera Boroditsky
https://www.wsj.com/[...]
Online.wsj.com
2011-12-10
[49]
웹사이트
How Does Our Language Shape The Way We Think?
http://www.edge.org/[...]
Edge.org
2011-12-10
[50]
논문
Language is not Just for Talking: Redundant Labels Facilitate Learning of Novel Categories
http://sapir.psych.w[...]
2023-02-15
[5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mywebspace.w[...]
2013-07-24
[52]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The words behind thought by David Robson
https://www.newscien[...]
Newscientist.com
2011-12-10
[53]
서적
Introduction to Sociology: A Canadian Focus
Prentice Hall
[54]
서적
Western linguistics: An historical introduction
Wiley-Blackwell
[5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57]
논문
On the project of a universal language in the framework of the XVII century philosophy
[58]
서적
General and Rational Grammar : The Port-Royal Grammar
https://archive.org/[...]
Mouton
[59]
thesis
Linguistic Relativism: Variants and Misconceptions
https://staff.fnwi.u[...]
University of Amsterdam
[60]
서적
Handbook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61]
논문
Edmund Husserl's Grammar: 100 Years On
[62]
논문
Formal Semantics: Origins, Issues, Early Impact
BIYCLC
[63]
논문
Memes shape brains shape memes
https://www.academia[...]
2020-12-22
[64]
논문
Language as shaped by the brain
https://discovery.uc[...]
2020-12-22
[65]
백과사전
Nominalism, Realism, Conceptualism
[66]
논문
Richard Montague (1930–1971)
http://people.umass.[...]
Elsevier
[67]
서적
Philosophy of Language: A Contemporary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68]
서적
How to Do Things With Words: The William James Lectures delivered at Harvard University in 1955
Clarendon Press
[69]
논문
On Referring
[70]
서적
Relevance : communication and cognition
Blackwell Publishers
[71]
서적
Thoughts and utterances : the pragmatics of explicit communication
Blackwell Pub
2002
[72]
서적
Presumptive meanings : the theory of 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MIT Press
2000
[73]
논문
Logic and Conversation
2000
[74]
학술지
Game Theory in Philosophy
http://link.springer[...]
2005-09-00
[75]
서적
Word and Object
MIT Press
1960
[76]
웹사이트
Vagueness
http://plato.stanfor[...]
2006-00-00
[77]
서적
ギリシヤ哲学者列伝
岩波文庫
[78]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79]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0]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1]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2]
서적
初期中世の哲学 480-1150
勁草書房
1992-05-30
[83]
서적
初期中世の哲学 480-1150
勁草書房
1992-05-30
[84]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5]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6]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7]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88]
서적
初期中世の哲学 480-1150
勁草書房
1992-05-30
[89]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0]
일반
[91]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2]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3]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4]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5]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6]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7]
서적
オッカムのウィリアムの言語哲学
[98]
서적
中世の言語哲学
講談社選書メチエ
2011-12-10
[99]
일반
[100]
일반
[101]
서적
ライプニッツ著作集
工作社
[102]
일반
[103]
일반
[104]
일반
[105]
일반
[106]
서적
フレーゲ著作集 1〜6
勁草書房
[107]
서적
現代分析哲学基本論文集(1)
勁草書房
[108]
서적
倫理学原理
三和書房
[109]
서적
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全集第一巻
大修館書店
[110]
일반
[111]
서적
世界の論理的構築("Logische Aufbau der Welt")
2020-11
[112]
일반
2010-02
[113]
서적
岩波書店
[114]
일반
[115]
서적
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全集
[116]
일반
[117]
서적
勁草書房
[118]
일반
[119]
서적
行為と出来事 ("Essays On Actions and Events")
勁草書房
[120]
서적
勁草書房
[121]
일반
[122]
서적
大修館書店
[123]
서적
勁草書房
[124]
서적
みすず書房
[125]
서적
産業図書
[126]
서적
みすず書房
[127]
서적
Pathma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28]
서적
Being and Time
Blackwell
1996
[129]
서적
Truth and Method
Crossroad
1989
[130]
서적
Manuale di Semiotica
Editori Laterza
2000
[131]
서적
ウィトゲンシュタイン『論理哲学論考』の研究I,II
公論社
[132]
서적
経験と言語
東京大学出版会
[133]
서적
フレーゲの言語哲学
勁草書房
[134]
간행물
英米哲学入門
放送大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