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재는 무술, 사업, 자선 단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직함으로, 외국 단체의 수장을 번역하는 데에도 쓰인다. 한국에서는 한국은행 총재, 한국야구위원회 총재 등 정부기관에서 사용되며, 종교 단체, 정당의 수장 직함으로도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유신 초기 내각총리대신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자유민주당 대표의 직책으로도 쓰인다. 또한, 일본의 다양한 조직에서 총재 직함을 사용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호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칭호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총재
총재 정보
정의총재(總裁)는 주로 정당, 기업, 은행, 협회, 종교 단체 등에서 그 단체를 대표하고 통괄하는 최고 책임자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영어로는 President, Governor, Chairman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어원총재라는 단어는 '모두를 거느리고 재단한다'는 뜻으로, 조직 전체를 책임지고 운영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직위총재는 일반적으로 조직 내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으며, 조직의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고 정책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당에서의 총재
역할정당에서는 당을 대표하고 당의 정책을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당의 중요한 결정에 참여하고, 선거를 지휘하며, 당원들을 이끄는 리더십을 발휘한다.
예시예를 들어, 자유민주당의 총재는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이 되는 경우가 많다.
기업에서의 총재
역할기업에서는 회장, 사장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며, 기업의 경영 전반을 책임지는 역할을 한다.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고, 조직을 관리하며, 대외적인 활동을 수행한다.
은행에서의 총재
역할은행에서는 은행의 최고 책임자를 의미하며, 은행의 경영 전반을 책임진다. 금리 정책, 대출 정책 등을 결정하고, 은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은행의 총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기타 단체에서의 총재
역할협회, 종교 단체 등에서도 총재는 해당 단체를 대표하고 통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을 관리하고, 회원을 이끌며, 대외적인 활동을 한다.
총재의 다른 의미
의미총재는 넓은 의미로 '거느릴 총(總)' 자와 '재단할 재(裁)' 자를 사용하여, '모든 것을 거느리고 재단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 책임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2. 한국에서의 총재

총재는 스포츠(특히 무술), 사업, 자선 단체 등에서 사용되는 직함이다. 또한 외국 단체 수장을 번역할 때도 이 용어가 사용된다.

이 칭호를 얻은 가장 유명한 인물은 극진공수도를 창시하고 서구권에 가라테를 전파한 최영의 총재이다. 최영의는 무술계와 일본 역사에 기여한 공로로 "총재"라 불릴 만하다.[3]

2. 1. 정부기관

정부기관에서의 총재 직함은 다음과 같다.

  • 인사원 총재
  • 상훈국 총재 (폐지)
  • 기획원 총재 (폐지)
  • 정보국 총재 (폐지)
  • 종질료 총재 (폐지)
  • 제실제도조사국・제실제도심의회 총재 (폐지)
  • 법무청 법무총재 (폐지)


또한, 전쟁 전부터 종전 직후에는 '본부'나 '청'의 장을 총재로 하는 사례 (경제안정본부, 특별조달청 등)도 있었으며, '본부'가 내각총리대신 직할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총리가, 각 성(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 성의 대신이 총재가 되었다. 이후 방위시설청이 된 특별조달청(정부공단)의 경우, 당초부터 국가행정조직이 아니라 GHQ의 지시로 정부 부국에 편입된 후에도 공사화에 이르지 않고, 방위성으로의 통합으로 폐지되었다.

2. 2. 종교

2. 3. 정당

대한민국에서는 정당의 수장을 '''총재''' 또는 대표로 혼용해 쓰고 있었으나 권위주의적이란 지적에 점차 대표로 쓰는 것이 정착되고 있다. 한편, 의장이라는 표현을 쓴 정당도 있었으나 열린우리당 이후로 이 표현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의 역대 정당 참고[1]

다음은 정당의 당수 명칭으로서의 총재이다. 전전(戦前)의 일본 정당의 당수 명칭은 총재가 많았다.[1]

정당명총재 직책
헌정회총재
정우본당총재
입헌정우회총재
입헌민정당총재
대정익찬회총재
일본자유당총재
일본진보당총재
민주당총재
개진당총재
민주자유당총재
자유당총재
일본민주당총재
자유민주당총재 (전신이 위의 모든 당이기 때문에)
오키나와 자유민주당총재 (본토 복귀 후에는 자유민주당 오키나와현 지부 연합회 (약칭 "자민당 오키나와현 연") 및 그 "회장"이 되었다.)
행복실현당총재 (결당 당초부터 당 대표로서 당수 직이 있었지만, 오카와 류호의 선거 출마 선언에 의해 상위에 총재직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한때 "명예 총재"가 되었고, 2012년 12월 27일부터 대표권이 없는 총재직이 되었다.)
입헌양정회총재 (당초 "총재"였지만, 현재는 회장이 되었다.)
대일본애국당총재 (아카오 빈이 사망한 후, "당수"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익찬정치회총재 (공사결사 대정익찬회의 산하에 있던 일국 일당적 정치 단체로, 익찬회와 마찬가지로, 톱은 총재였다.)
일본 국민 정치 연합총재


3. 외국에서의 총재

이 직함은 스포츠, 특히 무술, 사업 및 자선 단체에서도 사용된다. 이 용어는 다양한 외국 단체의 수장을 번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극진공수도라는 가라테 스타일을 창시하고 서구 세계에 가라테를 전파한 최영의(오야마 마스다츠) 총재가 유명하다.

최영의(오야마 마스다츠)는 특히 무술 세계와 일본 전반의 역사에 기여한 공로로 "소사이(総裁)"라고 불릴 만한 뛰어난 인물이다.

3. 1.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기관


  • 세계은행 총재
  • 국제 형사 경찰 기구(ICPO) 총재
  • 국제적십자사 총재
  • 국제통화기금 총재
  • 인도 국민 회의와 인도 인민당의 당수는 총재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 중국 국민당에서는 장제스와 후한민이 "총재"였다. 6대 당수 장징궈 시대부터는 "주석"이 되었다. 장제스는 그 공적에 의해 사후에도 "영구 총재"로 임명되었다.

3. 2. 종교

3. 3. 정당

중화권에서는 정당의 당수를 '주석'이라 부르지만 일반적으로 '''총재'''라 통용된다. 중국국민당의 경우, 장제스와 후한민이 "총재"였으며, 6대 당수 장징궈 시대부터는 "주석"이 되었다. 장제스는 그 공적에 의해 사후에도 "영구 총재"로 임명되었다.

일본에서는 전전(戦前)의 정당 당수 명칭으로 총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정당명총재 명칭
헌정회헌정회 총재
정우본당정우본당 총재
입헌정우회입헌정우회 총재
입헌민정당입헌민정당 총재
대정익찬회대정익찬회 총재
일본자유당일본자유당 총재
일본진보당일본진보당 총재
민주당민주당 총재
개진당개진당 총재
민주자유당민주자유당 총재
자유당자유당 총재
일본민주당일본민주당 총재
자유민주당 총재자유민주당 총재 (전신이 위의 모든 당이기 때문에)
오키나와 자유민주당오키나와 자유민주당 총재 (본토 복귀 후에는 자유민주당 오키나와현 지부 연합회 (약칭 "자민당 오키나와현 연") 및 그 "회장"이 되었다.)
행복실현당행복실현당 총재 (결당 당초부터 당 대표로서 당수 직이 있었지만, 오카와 류호의 선거 출마 선언에 의해 상위에 총재직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한때 "명예 총재"가 되었고, 2012년 12월 27일부터 대표권이 없는 총재직이 되었다.)
입헌양정회입헌양정회 총재 (당초 "총재"였지만, 현재는 회장이 되었다.)
대일본애국당대일본애국당 총재 (아카오 빈이 사망한 후, "당수"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익찬정치회익찬정치회 총재 (공사결사 대정익찬회의 산하에 있던 일국 일당적 정치 단체로, 익찬회와 마찬가지로, 톱은 총재였다.)
일본 국민 정치 연합일본 국민 정치 연합 총재



인도의 인도 국민 회의와 인도 인민당의 당수는 총재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다.

4. 일본

일본 제국에서 1868년 1월 1일부터 1868년 6월 11일까지 내각총리대신의 칭호는 소사이(総裁, 총재)였다.[1] 그 이전에는 내각이 없었고, 명목상 통치자인 천황에게는 ''관백''이, 실질적인 통치자인 쇼군에게는 ''로주''와 ''다이로''가 있었다. 당시 총재는 아리스가와노미야 타루히토 친왕(1835–1895)이었다. 그 다음 총리직은 1871년에 ''다이진''(Daijin)으로 축약된 ''우다이진''(U Daijin), 즉 "오른쪽 대신"으로 칭해졌다.

막말 분큐 2년 (1862년) 칙명에 의해 막정 개혁 (분큐의 개혁)이 실시되었다. 정2품 보좌역인 쇼군 후견직에 도쿠가와 요시노부 (당시 성은 "히토츠바시"), 다이로에 상당하는 정사총재직에 마쓰다이라 게이에이, 교토 쇼시다이 위에 위치하여 교토 치안 유지를 담당하는 교토 수호직에 마쓰다이라 가타모리를 각각 임명했다. 이 "정사총재"가 글자가 직위에 사용된 첫 번째 예로 보인다.

게이오 2년 (1866년)에는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의해 막정 개혁(게이오의 개혁)이 이루어져 로주는 각 성(省) 대신과 같이 전임제가 되었으며, 육군 총재, 해군 총재, 국내 사무 총재, 외국 사무 총재, 회계 총재가 설치되었다. 메이지 원년 (1868년) 가쓰 가이슈가 제2대 육군 총재에 취임하여 에도 성무혈 개성을 주도했다.

게이오 3년 12월 9일(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이 발표되어 메이지 유신 정체 개혁이 시작되었다. 섭정관백을 중심으로 하는 섭관 정치와 정의대장군을 중심으로 하는 막부 정치를 폐지하고 "총재", "의정", "참여"의 "삼직"을 설치하고 여러 가지 일을 신무 창업의 옛날로 복귀시키는 것 등을 선언하며 천황 중심의 신정부 수립을 목표로 했다. "총재"는 삼직 최고 관직으로서 "만기를 통괄하고, 일체의 사무를 재결한다"라고 정해져 정무를 통괄했으며, 아리스가와노미야 타루히토 친왕이 취임했다. 월급은 1000냥으로 정해졌다(메이지 원년 3월 제정. 의정은 800냥, 참여는 500냥).

삼직은 고쇼 회의(삼직 회의)를 개최하여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관 납지 (내대신 사임과 영지 일부 반납) 등을 결정했다. 그 후, 총재인 타루히토 친왕이 곧 보신 전쟁에서 동정 대총독으로 관동에 출정해 버렸기 때문에 실제로는 정무 중심이 되지는 못했다. 이듬해 메이지 원년 1월 17일, 삼직 아래에 신기・내국・외국・해륙군・회계・형법・제도의 7과를 두고 삼직 칠과로 했으며, 같은 해 2월 3일에는 과를 국으로 하여 총재국을 설치하고 삼직 팔국으로 했다. 이때 총재국에 부총재를 두고 산조 사네토미와 이와쿠라 토모미를 이에 임명하여 실제 정무를 맡게 되었다. 부총재 월급은 총재에 준하여 1000냥으로 정해졌다.

메이지 원년 윤4월 21일(1868년 6월 11일) 오개조의 서약에 기초한 정치 기본 조직을 정한 정체서를 발표했다. 태정관을 중심으로 한 정치 체제를 채택하여, 지금까지의 총재를 비롯한 삼직은 시작된 지 반년도 채 안 되어 폐지되었다.

소사이(Sosai)는 또한 임페리얼 군대에 의해 패배한 현재 홋카이도 섬의 단명한 반란 세력인 에조 공화국의 선출된 대통령(1869년 1월 27일 – 1869년 6월 27일)인 에노모토 다케아키 제독(1836–1908)의 칭호이기도 했다. 막부 자체는 아니지만, 메이지 원년 12월 (1869년 1월) 에조치(하코다테)에서 일부 구 막신이 정부 (소위 에조 공화국)를 조직하기 위해 선거 (공선 입찰)를 실시했고, 그 결과, 최다 득표를 얻은 에노모토 다케아키가 "총재"가 되었다.

소사이(Sosai), 즉 자유민주당 총재는 자유민주당 대표 직책이다.

참조

[1] 서적 単行書・太政官沿革志六 国立公文書館
[2] 웹사이트 宮内庁 皇室 ご略歴 https://www.kunaicho[...]
[3] 웹사이트 立教大学プレスリリース http://www.rikkyo.ne[...]
[4] 웹사이트 第3代総長 山岡 萬之助|日本大学の歴史 https://www.nihon-u.[...]
[5] 웹사이트 第4代総長 呉 文炳|日本大学の歴史 https://www.nihon-u.[...]
[6] 간행물 週刊金曜日 株式会社金曜日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