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축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축치어는 축치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1931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공식 알파벳이 처음 만들어졌고, 1937년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축치어는 다합성어, 교착어, 직접-역어의 특징을 보이며, SOV 어순을 따른다. 명사는 2개의 수와 약 13개의 격을 가지며, 동사는 3개의 인칭, 2개의 수, 3개의 어기, 2개의 태, 6개의 시제를 구분한다. 어휘는 반복되는 단어와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축치족은 순록 사육과 무역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남성과 여성의 발음 차이가 특징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치 문화 - 막탁
    막탁은 다양한 언어로 불리며 양고기, 쇠고기, 말고기 등을 주재료로 채소와 향신료를 넣어 끓인 전통 음식으로, 현대에는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 축치 문화 - 아쿠탁
    아쿠탁은 알래스카 원주민의 전통 음식이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 축치캄차카어족 - 이텔멘어
    캄차카 반도에서 사용되던 이텔멘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축치어족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계통 이론이 존재하고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었고, 문자 표기법 개발과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다.
  • 축치캄차카어족 - 축치어파
    축치어파는 알류토르어, 축치어, 케레크어, 코랴크어를 포함하는 어족으로, 축치어는 축치 자치구, 코랴크어는 캄차카 지방의 코랴크 구, 케레크어는 축치 남부 해안, 알류토르어는 코랴키아에서 사용된다.
  • 포합어 -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래스카와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족의 언어로,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뉘며, SOV 어순을 따르고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포합어 - 나바호어
    나바호어는 아타바스칸어족에 속하며 미국 남서부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성조와 복잡한 동사 활용, SOV 어순을 특징으로 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암호 통신에 사용되기도 했다.
축치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축치어
고유 이름
기타 이름Chukot
チュクチ語 (chyukchigo)
축치어 (chukchieo)
ISO 639-3ckt
Glotto 코드chuk1273
Glottolog 이름Chukchi
화자 수8,526명 (2020년 인구 조사), 민족 인구의 52.6%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추코트카 자치구
민족축치족
언어 분류고시베리아 제어
축치-캄차카어족
축치어군
문자키릴 문자
테네빌 문자 (역사적으로 사용)
언어 생존 상태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서 "확실히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방언
주요 방언서부 방언
동부 방언
기타 방언에누르미노 방언
페둘린 방언
카트린 방언
마르코보 방언
서부 방언 특징/ɣ/ 발음이 없음
동부 방언 특징/ɣ/ 발음 존재
더 많은 아시아 에스키모어 차용어 포함
음운
모음 수6개
자음 수22개
음소 배열복잡한 자음군 허용
문법
문장 구조주어-목적어-동사 (SOV) 구조를 따름
특징포합어 특징을 보임
사회언어학적 정보
언어 사용 현황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며, 젊은 세대는 러시아어 사용이 증가함.
언어 보존 노력추코트카 자치구에서 교육 및 문화 분야에서 언어 보존 노력 진행 중.
지도 정보
축치어 (주황색) 및 기타 축치-캄차카어족 언어의 접촉 이전 분포
축치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 의해 "확실히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2. 역사

축치어의 역사는 축치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2. 1. 문자 체계의 발전

1920년대 이전에는 축치족 고유 문자가 없었으나, 축치 유목민 출신 테네빌이 개인적으로 문자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러나 테네빌의 문자는 그의 가족 외에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1] 1931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공식 알파벳이 만들어졌으나, 1937년에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1] 축치어는 러시아어에 비해 자음이 많아 러시아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3개의 글자(К'к', Н'н', Лл)가 추가되었다.[1]

초기 키릴 문자 기반 축치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аБбВвГгДдЕеЁёЖжЗзИиЙйКкК'к'ЛлМмНнН'н'ОоПпРрСсТтУуФфХхЦцЧчШшЩщЪъЫыЬьЭэЮюЯяʼ



이후 옛날 정서법에서 사용되던 к', н', л은 각각 ӄ, ӈ, ԓ로 대체되었다.[1]

3. 사용 현황

많은 축치족은 가정 내에서, 그리고 전통적인 유목 경제 활동(순록 사육)을 할 때 주로 이 언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는 라디오 및 TV 방송 번역과 일부 상업 활동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러시아어는 코랴크족과 야쿠트족과 같은 비축치족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공용어 역할을 하는 것 외에도, 사업 및 행정 관련 의사소통 수단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축치 어린이들이 모국어로서 축치어를 배우는 빈도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거의 모든 축치족은 러시아어를 구사하지만, 러시아어 구사 능력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초등학교에서는 축치어가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되지만, 중등 교육에서는 러시아어로 수업이 진행되며 축치어는 별도의 과목으로 가르쳐진다.

축치족 작가인 유리 리트케우(1930–2008)는 축치어가 아닌 러시아어로 출판된 작품이 많았지만, 러시아와 서유럽에서 어느 정도 명성을 얻었다. 축치족 시인 안토니나 키미트발은 모국어로 글을 썼다.

3. 1. 남녀 간의 언어 차이

축치족 남성과 여성은 특정 단어의 발음에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남성은 "r" 또는 "rk"로 발음하는 것을 여성은 "ts" 또는 "tsts"로 발음한다.[14]

4. 음운론

축치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자음 체계는 양순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을 포함한다. 모음 체계는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모음 높이에 기반한다.

4. 1. 자음

축치어 자음 음소
비음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 [ɸ, x, ɻ̊, j̊]는 무성 파열음 뒤에서 /β, ɣ, ɻ, j/의 이음으로 들린다.[9]
  • /ɻ/는 모음 사이에서 대부분 치경 전동음 [r]로 들린다.[10]
  • /s/는 자유 변이로 음성학적으로 [s~t͡ʃ]이며 남성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t͡ʃ/는 /q/ 앞에서 [s]가 되며 여성 방언에서만 나타난다.
  • /s/, /t͡ʃ/ 및 /ɻ/은 남성 방언과 여성 방언 간에 다른 분포를 보인다.[11]


축치어에는 유성 파열음이 없으며, 이는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12]

4. 2. 모음

축치어에는 /i/, /u/, /e₁/, /e₂/, /o/, /a/, /ə/의 7개 모음이 있다. /e₁/와 /e₂/는 발음은 같지만 음운론적으로 다르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이누이트 에스키모어의 두 종류의 /i/를 비교해 보면, 이는 두 모음 /i/와 /ə/의 병합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두 모음은 유픽 에스키모어에서는 여전히 분리되어 있다.

축치어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주로 모음 높이에 기반한 모음 조화 체계이다. /i, u, e₁/는 각각 /e₂, o, a/와 번갈아 나타난다. 두 번째 그룹(/e₂, o, a/)은 "지배 모음"으로 알려져 있고, 첫 번째 그룹(/i, u, e₁/)은 "열세 모음"으로 알려져 있다. 즉, 단어의 어느 곳에든 "지배 모음"이 있으면, 단어의 모든 "열세 모음"은 해당 "지배 모음"으로 바뀐다. 슈와 모음 /ə/는 번갈아 나타나지 않지만, 지배 그룹에 속한 것처럼 조화를 촉발할 수 있다.

4. 3. 모음 조화

이 언어는 주로 모음 높이에 기반한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 는 각각 와 번갈아 나타난다. 두 번째 그룹(/e₂, o, a/)은 "지배 모음"으로 알려져 있고, 첫 번째 그룹(/i, u, e₁/)은 "열세 모음"으로 알려져 있다. 즉, 단어의 어느 곳에든 "지배 모음"이 있으면, 단어의 모든 "열세" 모음은 해당 "지배" 모음으로 바뀐다. 슈와 모음 는 번갈아 나타나지는 않지만, 지배 그룹에 속한 것처럼 조화를 유발할 수 있다.[9]

4. 4. 음절 구조

초성 및 종성 자음군은 허용되지 않으며, 슈와 삽입 현상이 만연하다.[9]

4. 5. 강세

강세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이는 경향, 어근 내에 머무르는 경향, 슈와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15]

5. 문자

축치어는 독자적으로 문자를 만들어낸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며, 그중에서도 최북단에 위치한다.[13] 원래 문자가 없었으나 1920년대에 축치 유목민 출신 테네빌이 개인적으로 문자를 만들어 쓰기도 했다. 그러나 그의 가족 외에는 쓰이지 않았고, 1931년 로마자에 기반한 알파벳이 만들어졌으나 1937년 키릴 문자로 바뀌었다. 다만 추크치어는 러시아어에 비해 자음이 많아 러시아어에선 안 쓰이는 3개의 글자가 추가로 쓰인다.

1996년의 추크치어 5학년 교과서 표지. ''Ԯыгъоравэтԯьэн йиԯыйиԯ''는 '추크치어'를 뜻한다.


축치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축치어 자음 음소
비음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이 언어에는 유성 파열음이 없으며, 이는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12] 모음은 , , , , , , 그리고 이다. 와 는 동일하게 발음되지만 음운론에서는 다르게 작용한다.

축치어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주로 모음 높이에 기반한 모음 조화 체계이다. 는 각각 와 번갈아 나타난다. 두 번째 그룹은 "지배 모음", 첫 번째 그룹은 "열세 모음"으로 알려져 있다. 즉, 단어의 어느 곳에든 "지배" 모음이 있으면, 단어의 모든 "열세" 모음이 해당 "지배" 모음으로 바뀐다. 슈와 모음 는 번갈아 나타나지 않지만, 지배 그룹에 속한 것처럼 조화를 촉발할 수 있다.

초성 및 종성 자음군은 허용되지 않으며, 슈와 삽입이 만연하다. 강세는 다음 경향을 보인다. 1.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놓인다. 2. 어근 내에 머무른다. 3. 슈와를 피한다.

5. 1. 테네빌 문자

1900년대 초, 축치족 목동 테네빌이 그림 문자 겸 표어 문자를 발명했다.[13] 테네빌의 문자는 그의 독창적인 발명품이었으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13]

5. 2. 공식 문자

1931년 이전에는 축치어의 공식적인 철자법이 없었다. 1900년대 초, 블라디미르 보고라즈는 축치족 목동 테네빌이 만든 그림 문자 표본을 발견했다. 테네빌의 문자 체계는 그의 독창적인 발명품이었다.[13]

1931년 블라디미르 보고라즈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첫 공식 축치어 알파벳을 고안했다.

А аĀ āB bC cD dЕ еĒ ēƏ ə
Ə̄ ə̄F fG gH hI iĪ īJ jK k
L lM mN nŊ ŋO oŌ ōP pQ q
R rS sT tU uŪ ūV vW wZ z
Ь ь



1937년, 이 알파벳은 키릴 문자로 치환되었다. 처음에는 ''Кʼ кʼ''와 ''Нʼ нʼ''이라는 이중 자음이 추가된 러시아어 알파벳이었다. 1950년대에는 이 추가 문자들이 ''Ӄ ӄ''와 ''Ӈ ӈ''로 대체되었다. 1980년대 말에, ''Л л''을 대체하는 ''Ԯ ԯ''(''Ԓ ԓ'') 문자가 도입되었다. 현재 추크치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
З зИ иЙ йК кӃ ӄЛ лԒ ԓМ м
Н нӇ ӈО оП пР рС сТ тУ у
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ʼ


5. 3. 로마자 표기

축치어의 로마자 표기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축치어를 표기하는 방법이다. ISO 9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 사용된다.

6. 문법

축치어는 다합성어, 교착어, 직접-역어이며 능격-절대격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매우 광범위한 단어 통합을 보인다. 특히, 이 통합은 생산적이며 다른 언어적 과정과 자주 상호 작용한다.[15] 축치어는 명사가 수식어를 통합하는 경우와 같이 부가어를 자유롭게 통합할 수 있다.[15] 그러나 부가어를 특이하게 사용하는 것 외에는, 축치어는 전형적인 언어 유형과 유사하게 행동한다. 축치어 문장의 기본 위치 구성은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단일 위치 동사를 포함한다.[16]

축치어는 언어로서 범주화하기 어렵다는 것이 자주 입증된다. 이것은 주로 전형적인 언어적 및 통사적 패턴을 항상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외로 인해 축치어는 두 개 이상의 언어 유형에 속할 수 있다.[15]

축치어는 주기적 시제를 가지고 있다. 명사 nәki-|밤ckt를 통합하여 야간 동사 형태를 만들 수 있다.[18]

6. 1. 명사

축치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2개 와 13개의 격을 가진다. 13개의 격은 절대격, 능격/도구격, 동격, 위치격, 향격, 탈격, 지향격, 내격, 통과격, 하격, 동반격, 연합격, 박탈격이다.[17] 명사는 생물성에 따라 세 가지 활용으로 나뉜다. 첫 번째 활용은 비인간 명사로, 절대격에서만 복수 표시가 있다. 두 번째 활용은 인명과 주로 나이가 많은 친척을 나타내는 특정 단어를 포함하며, 모든 형태에서 의무적으로 복수 표시를 한다. 세 번째 활용은 두 번째 활용에 속하지 않는 다른 인간 명사로, 복수 표시는 선택적이다. 이러한 명사 격은 명사의 수와 문장에서의 목적 및 기능을 나타낸다.[15]

6. 2. 동사

축치어의 동사는 3개의 인칭, 2개의 수, 3개의 어기(서법, 명령법, 조건법), 2개의 태(능동태, 반수동태) 및 6개의 시제(현재 I (진행형), 현재 II (상태형), 과거 I (부정 과거), 과거 II (완료), 미래 I (완료 미래), 미래 II (미완료 미래))를 구분한다. 과거 II는 영어 및 기타 서유럽 언어에서 완료에서 "have"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소유를 의미하는 구문(문자 그대로 "함께 있다")으로 형성된다.[15]

주어와 직접 목적어는 모두 동사 연쇄에서 상호 참조되며, 인칭 일치는 자동사와 타동사에서 매우 다르다. 인칭 일치는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으로 표현된다. 언어의 교착어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인칭, 수, 시제 등의 각 개별 조합은 항상 간단하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된다.[15] 유한 동사 외에도 부정사, 수동태 (목적), 수많은 게런드 형태, 현재 및 과거 분사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보조 동사와 함께 사용하여 더 많은 분석적 구성을 생성한다.

6. 3. 어순

어순은 다소 자유롭지만, SOV가 기본이다. 소유격은 피소유격보다 앞에 오고, 전치사가 아닌 후치사가 사용된다.[15]

7. 어휘

축치어에는 단수 형태에서 많은 단어가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Э’ръэр''(빙산)와 ''Утуут''(나무)가 있다.[19] 러시아어의 영향도 상당한데, 특히 격식 어휘와 현대 개념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축치어 ''Чайпат''은 러시아어 ''Чай''(차)에서 유래했다. 축치어와 에스키모어족 언어 간 어휘 차용 관계나 연관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7. 1. 수사

축치어의 수 체계는 원래 이십진법이었으나, 러시아의 영향으로 100 이상의 숫자에는 십진법이 도입되었다. 기본적인 숫자의 이름은 인체(손가락, 손 등) 또는 산술 연산(6 = "1 + 5" 등)을 가리키는 단어에서 유래했다.[1]

숫자이름음역
1ЫннэнYnnèn
2ӇирэӄŇirèḳ
3ӇыроӄŇyroḳ
4ӇыраӄŇyraḳ
5МэтԓыӈэнMètḷyňen
6Ыннанмытԓыӈэн (1 + 5)Ynnanmytḷyňèn
7Ӈэръамытԓыӈэн (2 + 5)Ňèrʺamytḷyňèn
8Амӈырооткэн (ӈыръомытԓыӈэн) (3 + 5)Amňyrootkèn (ňyr'omytḷyňèn)
9Ӄонъачгынкэн (ӈыръамытԓыӈэн) (4 + 5)Ḳonʺačgynkèn (ňyr'omytḷyňèn)
10МынгыткэнMyngytkèn
11Мынгыткэн ыннэн пароԓ (10, 1 추가)Myngytkèn ynnèn paroḷ
12Мынгыткэн ӈиръэ пароԓ (10, 2 추가)Myngytkèn ňirʺè paroḷ
13Мынгыткэн ӈыръо пароԓ (10, 3 추가)Myngytkèn ňyrʺa paroḷ
14Мынгыткэн ӈыръа пароԓ (10, 4 추가)Myngytkèn ňyrʺa paroḷ
15КыԓгынкэнKyḷgynkèn
16Кыԓгынкэн ыннэн пароԓ (15, 1 추가)Kyḷgynkèn ynnèn paroḷ
17Кыԓгынкэн ӈиръэ пароԓ (15, 2 추가)Kyḷgynkèn ňirʺè paroḷ
18Кыԓгынкэн ӈыръо пароԓ (15, 3 추가)Kyḷgynkèn ňyrʺo paroḷ
19Кыԓгынкэн ӈыръа пароԓ (15, 4 추가)Kyḷgynkèn ňyrʺa paroḷ
20ӃԓиккинḲḷikkin
21Ӄԓиккин ыннэн пароԓ (20, 1 추가)Ḳḷikkin ynnèn paroḷ
30Ӄԓиккин мынгыткэн пароԓ (20, 10 추가)Ḳḷikkin myngytkèn paroḷ
40Ӈирэӄӄԓиккин (20 × 2)Ňirèḳḳḷikkin
50Ӈирэӄӄԓиккин мынгыткэн пароԓ (40, 10 추가)Ňirèḳḳḷikkin myngytkèn paroḷ
60Ӈыроӄӄԓеккэн (3 × 20)Ňyroḳḳḷekkèn
70Ӈыроӄӄԓеккэн мынгыткэн пароԓ (60, 10 추가)Ňyreḳḳḷekkèn myngytkèn paroḷ
80Ӈыраӄӄԓеккэн (4 × 20)Ňyraḳḳḷekkèn
90Ӈыраӄӄԓеккэн мынгыткэн пароԓ (80, 10 추가)Ňyraḳḳḷekkèn myngytkèn paroḷ
100МытԓыӈӄԓеккэнMytḷyňḳḷekkèn
111Мытԓыӈӄԓеккэн ыннэн пароԓMytḷyňḳḷekkèn ynnèn paroḷ
131Мытԓыӈӄԓеккэн мынгыт ыннэн пароԓMytḷyňḳḳekkèn myngyt ynnèn paroḷ
200Мынгытӄԓеккэн (10 × 20)Myngytḳḷekkèn
300Кыԓгынӄԓеккэн (15 × 20)Kyḷgynḳḷekkèn
400Ӄԓиӄӄԓиккин (20 × 20)Ḳḷiḳḳḷikkin
500Мытԓыӈча мытԓыӈӄԓеккэн пароԓ (400, 100 추가)Mytḷyňča mytḷyňḳḷekkèn paroḷ
600Ыннанмытԓынча мытԓыӈӄԓеккэн пароԓ (400, 200 추가)Ynnanmytḷynča mytḷyňḳḷekkèn paroḷ
700Ӄԓиӄӄԓиккин кыԓгынӄԓеккэн пароԓ (400, 300 추가)Ḳḷiḳḳḷikkin kyḷgynḳḷekkèn paroḷ
800Ӈирэче ӄԓиӄӄԓиккин (2 × 400)Ňirèče ḳḷiḳḳḷikkin
900Ӈирэче ӄԓиӄӄԓиккин мынгытӄԓеккэн пароԓ (2 × 400, 100 추가)Ňirèče ḳḷiḳḳḷikkin mytḷyňḳḳekkèn paroḷ



보통 숫자는 접미사 -ӄeв(가까운 모음 뒤) 또는 -ӄaв(열린 모음 뒤)로 형성된다.[1]

8. 외부 영향

축치어에 대한 외부적 영향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특히, 축치어와 에스키모어 사이의 접촉 정도는 여전히 연구 과제로 남아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기록 증거가 부족하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러시아어의 영향은 증가하고 있으며, 어휘 차용과 표면적인 구문론에 대한 압력으로 나타난다. 후자는 주로 문어체 (번역된 텍스트)에서 나타나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9. 축치족

축치족은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전쟁을 중요하게 여겼다.[6] 축치족은 전사들과 그들이 구현하는 투지를 칭송한다. 이러한 갈등에 대한 강조는 17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 두 집단 간의 영광스러운 전투를 이야기하는 축치족과 러시아인 간의 상호 작용에서 볼 수 있다.[6] 축치족은 또한 인근 부족, 특히 코랴크족으로 알려진 동료 시베리아 민족으로 구성된 탄닛족과 전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난 세기 동안 축치족은 훨씬 더 적은 갈등에 참여했으며 무역에 더 집중했다. 오늘날 축치족 경제는 특히 러시아와의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7]

러시아와의 무역 외에도 축치족은 순록을 사육하고 다른 부족과 물물 교환을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6] 또한 순록을 사육하지 않고 해안을 따라 살면서 태평양 연안을 따라 사는 부족과 더 많이 교역하는 축치족 집단도 있다. 어떤 축치족은 심지어 두 부서 사이를 오가며 둘 다와 교역하기로 선택한다. 이 사람들은 더 많은 무역을 통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카브랄릿 또는 "레인저"라고 불려왔다.

특히, 축치족 남성과 여성은 같은 단어에 대해 다른 발음을 사용한다. 남성은 같은 단어에서 "r" 또는 "rk"라고 말하는 반면, 여성은 "ts" 또는 "tsts"라고 말한다.[8]

10. 축치족 출신 유명인


  • 유리 리트헤우(1930–2008): 축치족 출신 작가로, 러시아어 작품을 통해 러시아와 서유럽에서 명성을 얻었다.
  • 안토니나 키미트발: 축치족 출신 시인으로, 모국어로 작품 활동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2020 (in Russian) https://web.archive.[...]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3-02-23
[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en.wal.unesc[...] 2023-04-13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4] 웹사이트 ckt {{!}} ISO 639-3 https://iso639-3.sil[...] 2022-11-11
[5] 웹사이트 Chukotka Autonomous Okrug — Native language http://xn--80atapud1[...] 2016-12-30
[6] 논문 The Chukchi of Northeastern Asia 1901
[7] 서적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Tallinn: NGO Red Book
[8] 서적 Материалы по изучению чукотского языка и фольклора СПб.
[9] 웹사이트 chapter2_9 http://privatewww.es[...] 2013-10-30
[10] 문서 Skorik (1961)
[11] 문서 Dunn (1999)
[12] 웹사이트 Chukchi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2020-08-02
[13] 서적 State and Society: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ocial hierarchy and political centralization Routledge 1995
[14] 웹사이트 ISO 9:1995: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9-07-10
[15] 논문 Incorporation in Chukchi 1995
[16] 논문 Four Languages From The Lower End Of The Typology Of Locative Predication. 2007
[17] 학위논문 A Grammar of Chukchi http://hdl.handle.n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9
[18] 논문 Periodic tense markers in the world's languages and their sources. https://shs.hal.scie[...]
[19] 웹사이트 Ландшафт http://charles.weins[...] 2022-05-10
[20] 서적 Chukchee: essay of a comparative study of Chukchee group of languages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21] 서적 Chukchee: essay of a comparative study of Chukchee group of languages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