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텔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텔멘어는 캄차카 반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축치캄차카어족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어휘의 3분의 1만이 동족어라는 연구 결과와 혼성어라는 주장이 있으며, 니브흐어나 와카시어족과의 연관성도 제기된다. 17세기 러시아의 영향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언어 부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텔멘어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변화가 있었다. 193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의 문화 - 에벤어
    에벤어는 동시베리아 에벤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키릴 문자로 표기되며, 모음 조화 규칙,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13개 격의 명사 굴절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캄차카 변경주의 문화 - 케레크어
    케레크어는 축치-캄차달어족에 속하는 사멸된 언어로, 코랴크어와 가장 가까우며 축치어와도 연관이 있고, 마이노-필긴, 카티르 두 방언이 존재하며 교착어의 특징을 보였다.
  • 축치캄차카어족 - 축치어
    축치어는 축치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다합성어, 교착어, SOV 어순의 특징을 보이고, 명사는 다양한 격을 가지며 동사는 다양한 인칭, 수, 어기, 태, 시제를 구분한다.
  • 축치캄차카어족 - 축치어파
    축치어파는 알류토르어, 축치어, 케레크어, 코랴크어를 포함하는 어족으로, 축치어는 축치 자치구, 코랴크어는 캄차카 지방의 코랴크 구, 케레크어는 축치 남부 해안, 알류토르어는 코랴키아에서 사용된다.
  • 캄차카반도 - 이텔멘족
    이텔멘족은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코사크 정복 이후 인구 감소와 문화적 동화 과정을 겪었으나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문화를 유지하며 문화 부흥 운동을 펼치고 있고, 유전적으로 특정 하플로그룹과 연관되어 있다.
  • 캄차카반도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캄차카반도 남동부 아바차 만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캄차카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서, 군사 및 어업 기지 역할과 캄차카 화산군 중심의 관광 산업이 발전한 곳이다.
이텔멘어
언어 정보
이름이텔멘어
다른 이름서부 캄차달어, 서부 이텔멘어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캄차카 반도
민족2,596명 이텔멘족 (2021년)
사용자 수808명 (2020년 인구 조사)
문자키릴 문자
어족축치캄차카어족
하위 어족캄차카어파
고유어 이름итэнмэн (Itənmən)
ISO 639-3itl
Glottologitel1242 (서부 이텔멘어)
생존 상태심각한 위기 (UNESCO 소멸 위기 언어 지도)
이텔멘어 및 기타 [[축치캄차카어족]] 언어의 접촉 이전 분포
이텔멘어 및 기타 축치캄차카어족 언어의 접촉 이전 분포
[[UNESCO]]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심각한 위기로 분류됨
UNESCO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의해 심각한 위기로 분류됨
기타
참고 자료'[https://rosstat.gov.ru/storage/mediabank/Tom5_tab7_VPN-2020.xlsx 톰 5. «민족 구성 및 언어 구사 능력». 표 7. 모국어별 가장 많은 민족의 인구]'

2. 분류

이텔멘어는 다른 축치캄차카어족 언어들과 달리 포합어가 아니며, 유형론적으로 교착어에 가깝다. 또한 주어와 목적어가 같은 형태를 취하는 중립형 정렬 체계를 가지고 있다.[4][5]

2. 1. 축치캄차카어족 가설

이텔멘어가 유전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첫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와 축치어족은 공통 조어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 이텔멘어의 뚜렷한 차이점은 다른 언어의 강한 영향으로 설명된다. 이텔멘어는 축치캄차카어족이 아닌 다른 언어를 흡수했다는 제안이 있다.[4] 두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는 다른 축치캄차카어족 언어와 관련이 없으며, 공통 요소는 언어 접촉으로 인한 것이라고 본다.[5]

이텔멘어의 기본 어휘와 축치어족을 처음 비교한 결과, 어휘의 3분의 1만이 동족어임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축치캄차카어족 비교 음운론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잠정적인 것이다. Arends et al. (1995)는 이텔멘어가 혼성어이며, 축치어족의 형태론과 별개의 언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6] 이 언어는 니브흐어 또는 와카시어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텔멘어는 축치캄차카어족 언어와 니브흐어/와카시어족의 혼성어이며, 캄차달어가 이텔멘어와 러시아어의 혼성어가 된 것과 같다. 그러나 Fortescue (2005)는 축치캄차카어족 조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했다. 캄차달어족을 참조하라.

2. 2. 고립어 가설

이텔멘어가 유전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첫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와 축치어족은 공통 조어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 이텔멘어의 뚜렷한 차이점은 다른 언어의 강한 영향으로 설명된다. 이텔멘어가 축치-캄차달어족이 아닌 다른 언어를 흡수했다는 제안도 있다.[4] 두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는 다른 축치-캄차달어족 언어와 관련이 없으며, 공통 요소는 언어 접촉으로 인한 것이라고 본다.[5]

이텔멘어의 기본 어휘와 축치어족을 처음 비교한 결과, 어휘의 3분의 1만이 동족어임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축치-캄차달어족 비교 음운론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잠정적인 것이다. Arends et al. (1995)는 이텔멘어가 혼성 언어이며, 축치어족의 형태론과 별개의 언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6] 이 언어는 니브흐어 또는 와카시어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텔멘어는 축치-캄차달어족 언어와 니브흐어/와카시어족의 혼성어이며, 캄차달어가 이텔멘어와 러시아어의 혼성어가 된 것과 같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Fortescue (2005)는 축치-캄차달어족 조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했다. 캄차달어족을 참조하라.

2. 3. 추가 연구

이텔멘어가 유전적으로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첫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와 축치어족은 공통 조어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 이텔멘어의 뚜렷한 차이점은 다른 언어의 강한 영향으로 설명된다. 이텔멘어가 축치캄차달어족이 아닌 다른 언어를 흡수했다는 제안이 있다.[4] 두 번째 이론에 따르면 이텔멘어는 다른 축치캄차달어족 언어와 관련이 없으며, 공통 요소는 언어 접촉으로 인한 것이라고 본다.[5]

이텔멘어의 기본 어휘와 축치어족을 처음 비교한 결과, 어휘의 3분의 1만이 동족어임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축치캄차달어족 비교 음운론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잠정적인 것이다. Arends et al. (1995)는 이텔멘어가 혼성 언어이며, 축치어족의 형태론과 별개의 언어에서 유래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6] 이 언어는 니브흐어 또는 와카시어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텔멘어는 축치캄차달어족 언어와 니브흐어/와카시어족의 혼성어이며, 캄차달어가 이텔멘어와 러시아어의 혼성어가 된 것과 같다. 그러나 Fortescue (2005)는 축치캄차달어족 조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했다. 캄차달어족을 참조하라.

3. 역사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가 캄차카반도를 병합하고 군사 기지를 건설하면서 이텔멘어는 변화를 겪었다. 러시아 모피 상인들이 정착하고, 코사크족과 이텔멘족 사이에 충돌이 잦았다. 이텔멘족은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되고 러시아 이름을 사용해야 했다. 러시아 정착민과의 통혼으로 캄차달이라는 혼성어가 발전했다.[7]

소련 시대에는 이텔멘 공동체가 강제 이주되고, 아이들은 러시아어 기숙 학교에 보내졌다. 1930년대 말까지 러시아어가 교육 매개체가 되면서 이텔멘어는 더욱 위축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텔멘어가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1930년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이 설계되었고, 1932년에는 27개 문자로 구성된 이텔멘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 교과서가 쓰였지만 곧 폐기되었다. 1986년에는 32개 문자로 구성된 키릴 문자 기반 알파벳이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다.

3. 1. 캄차카 반도 원주민의 언어

캄차카어족은 원래 캄차카 반도 전역과 북부 쿠릴 열도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697년 캄차카 반도를 병합하고 이 지역에 군사 기지를 건설한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는 이텔멘족이 약 20,000명이라고 추산했다. 이텔멘어와 문화를 처음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탐험가 스테판 크라셰닌니코프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을 확인했지만, 모든 이텔멘족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아틀라소프 시대부터 러시아 모피 상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코사크족과 러시아 지배에 반대하는 이텔멘족 사이에 잦은 충돌이 있었다. 많은 이텔멘족이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되었고, 19세기 초까지 모든 이텔멘족은 러시아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 러시아 정착민과의 결혼으로 캄차달이라고 알려진 혼성어가 발전했으며, 그 흔적은 현재 캄차카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 방언에 남아 있다.

소련 시대에 이텔멘 공동체가 강제로 이주당하고, 아이들이 러시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기숙 학교로 보내지면서 동화 과정이 강화되었다.[7] 1930년대 말까지 러시아어는 모든 학교의 교육 수단이었고, 아이들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텔멘어가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1930년에는 시베리아 북부의 모든 토착 언어를 위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이 설계되었고, 1932년에는 27개의 문자로 구성된 이텔멘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 이 알파벳으로 몇몇 교과서가 쓰였지만, 곧 사라졌다. 더 최근에는 1986년에 설계된 32개의 문자로 구성된 키릴 문자 기반 알파벳이 사용되고 있다.

3. 2. 러시아의 영향과 언어 쇠퇴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 시대부터 러시아 모피 상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코사크족과 러시아 지배에 반대하는 이텔멘족 사이에 빈번한 충돌이 있었다. 많은 이텔멘족이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되었고, 19세기 초까지 모든 이텔멘족은 러시아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7] 러시아 정착민과의 통혼은 캄차달이라고 알려진 혼성어를 발전시켰고, 그 흔적은 현재 캄차카에서 사용되는 러시아 방언에 남아 있다.

소련 시대 동안 이텔멘 공동체가 강제로 이동하고, 아이들이 러시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기숙 학교로 보내지면서 동화 과정이 강화되었다.[7] 1930년대 말까지 러시아어는 모든 학교의 교육 매개체였고, 아이들은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텔멘어가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었다. 1930년에는 시베리아 북부의 모든 토착 언어를 위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이 설계되었고, 1932년에는 27개의 문자로 구성된 이텔멘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 이 알파벳으로 몇몇 교과서가 쓰였지만, 곧 폐기되었다. 더 최근에는 1986년에 설계된 32개의 문자로 구성된 키릴 문자 기반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3. 3. 소련 시대와 언어 소멸 위기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 시대부터 러시아 모피 상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코사크족과 러시아 지배에 반대하는 이텔멘족 사이에 빈번한 충돌이 있었다. 많은 이텔멘족이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되었고, 19세기 초까지 모든 이텔멘족은 러시아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요받았다. 러시아 정착민과의 통혼은 캄차달이라고 알려진 혼성어를 발전시켰고, 그 흔적은 현재 캄차카에서 사용되는 러시아 방언에 남아 있다.[7]

소련 시대 동안 이텔멘 공동체가 강제로 이동하고, 아이들이 러시아어를 사용해야 하는 기숙 학교로 보내지면서 동화 과정이 강화되었다. 1930년대 말까지 러시아어는 모든 학교의 교육 매개체였고, 아이들은 러시아어를 주요 언어로 사용하며 성장했다.[7]

그러나 이 시기에 이텔멘어가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었다. 1930년에는 시베리아 북부의 모든 토착 언어를 위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이 설계되었고, 1932년에는 27개의 문자로 구성된 이텔멘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1930년대에 이 알파벳으로 몇몇 교과서가 쓰였지만, 곧 폐기되었다. 더 최근에는 1986년에 설계된 32개의 문자로 구성된 키릴 문자 기반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4. 현황

이텔멘어는 현재 소멸 위기 언어이며, 대부분의 화자는 60세 이상이고 흩어져 있는 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교육 자료가 개발되고 있다.

에벤어와 함께 이텔멘어로 발행되는 신문으로, ''Абориген Камчатки''(캄차카 원주민)가 있다.

현대 이텔멘어는 어휘, 음운 및 문법적으로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받았다.

4. 1. 소멸 위기와 언어 부활 노력

이텔멘어는 현재 소멸 위기 언어로, 대부분 화자는 60세 이상이며 흩어져 있는 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교육 자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 부활 운동에 참여하는 언어학자 중 한 명은 조나단 보발릭이다.

에벤어와 함께 이텔멘어로 발행되는 신문으로는 ''Абориген Камчатки''(캄차카 원주민)가 있다.

현대 이텔멘어는 어휘, 음운, 문법적으로 러시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4. 2. 언론 매체

에벤어와 함께 이텔멘어로 발행되는 신문으로 ''Абориген Камчатки''(캄차카 원주민)가 있다.[1]

4. 3. 러시아어의 영향

현대 이텔멘어는 어휘, 음운, 문법적으로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받았다.[1] 러시아어 차용어는 이미 17세기에 이텔멘어에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들 중 일부는 이텔멘어 단어를 대체하면서 형용사와 부사가 우세하며 심지어 러시아어 형태론을 보존하기도 한다.[1] 예를 들어 ''vostr-oy''(날카로운), ''krasn-oy''(빨간), ''sinny-oy''(파란), ''svez-oy''(신선한) 등이 있다.[1] 차용된 동사는 이텔멘어 형태론의 요구에 따라 적응한다.[1] 이텔멘어 ''stara'lkas''(러시아어 ''starat'sya'')는 '시도하다', 이텔멘어 ''otkaza'lkas''(러시아어 ''otkazyvat'sya'')는 '부인하다', 이텔멘어 ''napraves''는 '음식을 요리하다'를 의미한다.[1] 오늘날 이텔멘어에서 러시아어 차용어를 이야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데, 왜냐하면 모든 이텔멘족이 모국어보다 러시아어를 훨씬 더 잘 구사하기 때문이다.[1]

5. 음운

이텔멘어는 다른 추코트카-캄차달어에 비해 더 큰 음운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환경에서 복잡한 자음군을 허용한다. 또한 이텔멘어는 친족 언어인 추크치어와 코랴크어와는 다른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

볼로딘(1997)은 이텔멘어의 자음 목록과 모음 목록을 제시했다. 이텔멘어는 파열음에서는 구별되지 않지만 마찰음에서 유성음성(VOT) 구분이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8]

위에 표시된 자음 외에도 일부 자료에서는 성문 파열음 뿐만 아니라 , , 를 포함한 성문화 비음 및 설측음 음소도 포함한다. 's'와 'z'는 치경 마찰음이 아닌 설단 후치경 마찰음일 수 있다. 별개의 순음화 자음 음소도 있을 수 있다.

다섯 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와 . 슈와 ()도 나타나지만 음소적 지위는 불분명하다.

5. 1. 자음

볼로딘(1997)은 다음 자음 목록을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키릴 문자 형태와 국제 음성 기호(IPA) 형태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텔멘어는 파열음에서는 구별되지 않지만 마찰음에서 유성음성(VOT) 구분이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8]



위에 표시된 자음 외에도 일부 자료에서는 성문 파열음 뿐만 아니라 , , 를 포함한 성문화 비음 및 설측음 음소도 포함한다. 's'와 'z'는 치경 마찰음이 아닌 설단 후치경 마찰음일 수 있다. 별개의 순음화 자음 음소도 있을 수 있다.

5. 2. 모음

다섯 개의 모음 음소가 있다: 와 이다. 슈와 ()도 나타나지만 음소적 지위는 불분명하다.

6. 문자

이텔멘어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문학적 변종이 없다. 이텔멘 신화는 크라셰닌니코프에 의해 러시아어로 쓰여졌다. 1932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도입되었으나, 1930년대 말 키릴 문자로 전환된 후 폐지되었다. 1984년 다시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현대 이텔멘 알파벳이 만들어졌다.[9][10]

6. 1. 1930년대 라틴 문자 표기

1932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도입되어 알파벳 책과 산술 교과서가 출판되었다.[9] 민족학자 엘리자베스 포피레브나 오를로바가 저술하고 이텔멘 학생 그룹이 공동 제작한 1932년 알파벳 책을 통한 교육은 몇 년 동안 지속되었지만, 1930년대 말에 "북부" 언어의 알파벳이 키릴 문자로 전환된 후, 이텔멘어 표기법은 폐지되었다.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이텔멘 알파벳'''[9]
А аB bC cD dE eF fG gH h
I iЬ ьJ jK kL lŁ łM mN n
Ŋ ŋO oP pQ qR rS sT tU u
W wX xZ z


6. 2. 1980년대 이후 키릴 문자 표기

현대 이텔멘 알파벳은 1984년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1988년 러시아 교육부에서 확정되었다.[10] 1988년에 두 번째 이텔멘 알파벳 책이 만들어졌다. 이텔멘-러시아어/러시아어-이텔멘어 사전과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도 출판되었다. 1993년에는 이텔멘 알파벳 책이 재출판되었다. 이텔멘어는 초등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쳐졌지만, 교사는 학생처럼 그 언어를 구사하지 못했다. 2002년에는 루카 복음의 이텔멘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이 모든 작품은 남부 방언으로 출판되었다.

현대 이텔멘 알파벳[10]
Ӑ ӑ
케ʼӃ ӄӃʼ ӄʼ
Ԓ ԓӇ ӈ
О̆ о̆페ʼ테ʼ
Ў ўӼ ӽ체ʼ
Ъ ъЫ ыЬ ьӘ ә



교재에는 순음화 기호(˚)와 성문 파열음 기호(ʼ)도 사용된다. 교재에서 출판된 기호인 Ă ă, Ŏ ŏ, Ў ў는 별도의 문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또한 대부분의 출판물은 ''프로스베시체니예'' 출판사에서 발명한 "Ԓ ԓ" 및 "Ӽ ӽ" 디자인 대신 원래의 "Ԯ ԯ"(또는 "Ӆ ӆ") 및 "Ҳ ҳ"를 사용한다.

이텔멘어로 작품을 정기적으로 출판하는 신문 ''캄차카 원주민''은 Ă ă, Ŏ ŏ, Ў ў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심화 기호(˚)를 사용한다.

7. 문법

이텔멘어는 교착어이며, 명사와 동사에 어미가 붙고, 대부분의 어미는 접미사이다.[11] 다른 추크치캄차달어족 언어와 달리 포합어(복합 통합어)가 아니고 능격 언어도 아니며, 유형론적으로 교착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같은 어형을 취하는 중립형 어라인먼트를 이루고 있다.

러시아어 차용어는 이미 17세기에 이텔멘어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러시아어 차용어 중 일부는 이텔멘어 단어를 대체하면서 형용사와 부사가 우세하며 심지어 러시아어 형태론을 보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vostr-oy' (날카로운-NOM.MASC.SG), 'krasn-oy' (빨간-NOM.MASC.SG), 'sinny-oy' (파란-NOM.MASC.SG), 'svez-oy' (신선한-NOM.MASC.SG) 등이 있다. 차용된 동사는 이텔멘어 형태론의 요구에 따라 적응한다. 이텔멘어 'stara'lkas' (러시아어 'starat'sya')는 '시도하다', 이텔멘어 'otkaza'lkas' (러시아어 'otkazyvat'sya')는 '부인하다', 이텔멘어 'napraves'는 '음식을 요리하다'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텔멘어에서 러시아어 차용어를 이야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모든 이텔멘족이 모국어보다 러시아어를 훨씬 더 잘 구사하기 때문이다.

7. 1. 교착어적 특징

이텔멘어는 교착어이며, 명사와 동사에 어미가 붙고, 대부분의 어미는 접미사이다.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며, 수사와 지시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11] 다른 추크치캄차달어족 언어는 포합어(복합 통합어) 이고 능격 언어이지만, 이텔멘어는 포합을 하지 않고 유형론적으로는 교착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같은 어형을 취하는 중립형 어라인먼트를 이루고 있다.

7. 2. 어순

이텔멘어는 교착어이며, 명사와 동사에 어미가 붙고, 대부분의 어미는 접미사이다.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며, 수사와 지시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11]

7. 3. 중립 정렬

이텔멘어는 다른 추코트카캄차카어족 언어와 달리 포합어가 아니며, 유형론적으로 교착어에 가깝다.[1] 또한 주어와 목적어가 모두 같은 어형을 취하는 중립형 정렬을 보인다.[2]

7. 4. 외부 영향

이텔멘어의 어떤 요소가 원형이고 어떤 요소가 다른 언어와의 접촉으로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답변이 있을 수 있다. 이텔멘어는 맨 처음에는 어형 첨가어였으며, 단어 구조는 (m) + R + (m) (여기서 R은 어근이고 (m)은 여러 단어 변화 형태소 중 하나)였고, 명사적이었으며, 복합어는 금지되었다는 가설이 있다. 이러한 모든 요소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굴절 및 활용 체계에서 보고된 자료의 기원과 코랴크어 간의 차이는 추코트카-캄차달어족 언어 연합 조건 하에서 수렴적 발달의 결과이다. 통합은 단어 구조(어근 형태소는 하나 이하)에 어긋나므로 이텔멘어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추코트카-캄차달어족 그룹의 모든 언어에 내재된 어근의 중복은 접촉의 영향과 별개로 이텔멘어에서 발전할 수 있었다.

러시아어 차용어는 이미 17세기에 이텔멘어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러시아어 차용어 중 일부는 이텔멘어 단어를 대체하면서 형용사와 부사가 우세하며 심지어 러시아어 형태론을 보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vostr-oy' 날카로운-NOM.MASC.SG, 'krasn-oy' 빨간-NOM.MASC.SG, 'sinny-oy' 파란-NOM.MASC.SG, 'svez-oy' 신선한-NOM.MASC.SG 등이 있다. 차용된 동사는 이텔멘어 형태론의 요구에 따라 적응한다. 이텔멘어 'stara'lkas' (러시아어 'starat'sya')는 '시도하다', 이텔멘어 'otkaza'lkas' (러시아어 'otkazyvat'sya')는 '부인하다', 이텔멘어 'napraves'는 '음식을 요리하다'를 의미한다. 오늘날 이텔멘어에서 러시아어 차용어를 이야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모든 이텔멘족이 모국어보다 러시아어를 훨씬 더 잘 구사하기 때문이다.

참조

[1] 엑셀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7.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 서적 Comparative Chukotko–Kamchatkan Dictionary Mouton de Gruyter
[3] 웹사이트 Our Itelmen Language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Land {{!}} Cultural Survival https://www.cultural[...] 2021-12-07
[4] 문서
[5] 문서
[6] 서적 Pidgins and Creoles: An Introduction
[7] 서적 From Sounds to Structures: Beyond the Veil of Maya De Gruyter
[8] 문서
[9] 서적 Languages and writing of peoples of the North
[10] 서적 Itenmen'in Krvel'kh'atas 2
[11] 웹사이트 WALS Online - Language Itelmen http://wals.info/lan[...]
[12] 웹사이트 http://www.gks.ru/f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