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 태어나 바르 동맹에 참여하여 러시아의 지배에 저항한 군인이다. 이후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조지 워싱턴을 도왔고, "미국 기병의 아버지"로 불린다.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활약하여 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푸와스키 기병대 군단을 창설했다. 사바나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사망했지만, 그의 용맹함과 희생은 미국과 폴란드 독립의 상징이 되었다. 그는 미국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으며, 미국과 폴란드에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9년 사망 - 제임스 쿡
    제임스 쿡은 18세기 영국의 탐험가이자 해군 장교로서, 세 차례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해안을 탐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지리적 발견에 기여했으며 남극권에 진입하고 하와이 제도를 기록했으나, 하와이에서 원주민과의 충돌로 사망했다.
  • 1779년 사망 - 장 시메옹 샤르댕
    장 시메옹 샤르댕은 18세기 프랑스의 화가로, 정물화와 풍속화를 주로 그렸으며, 소박한 일상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장군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1년 계엄령을 선포하여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총리, 당 제1서기, 폴란드 최초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1989년 원탁회의를 통해 폴란드의 민주화를 이끌었으나 계엄령 선포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장군 -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
    얀 헨리크 동브로프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 시기 폴란드 독립을 위해 폴란드 군단을 조직하여 헌신했으며, 폴란드 국가에 언급되고 프랑스 파리 개선문에도 이름이 새겨져 있다.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본명카지미에시 미하우 브와디스와프 빅토르 푸와스키 (Kazimierz Michał Władysław Wiktor Pułaski)
로마자 표기Kajimieji Pulleuseuki
출생1745년 3월 6일
출생지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바르샤바
사망1779년 10월 11일 (34세)
사망지미국 조지아주 선더볼트
매장지조지아주 서배너 몬터레이 광장
서명
신분
작위슐라흐타 (폴란드 귀족)
군사 정보
소속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미국
군 종류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군
대륙군
복무 기간1762년 – 1779년
최종 계급준장
부대푸와스키 군단
참전 전투바르 동맹 전쟁
오제호보 전투
미국 독립 전쟁
브랜디와인 전투
저먼타운 전투
체스트넛 넥 전투
리틀 에그 하버 사건
서배너 공성전

2. 어린 시절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1745년 3월 6일 폴란드 바르샤바에 있는 푸와스키 가문의 영지에서 태어났다.[5][6] 카지미에는 마리안나 지엘린스카와 요제프 푸와스키의 둘째 아들이었는데, 요제프 푸와스키는 왕관 재판소의 ''변호사''이자 바르카의 스타로스트였다. 그는 프란치셰크 크사베리 푸와스키Franciszek Ksawery Pułaskipl와 안토니 푸와스키Antoni Pułaskipl의 형이었다. 그의 가족은 Ślepowron 문장을 사용했다.[7]

푸와스키 가문은 가톨릭이었다.[8] 어린 시절,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바르샤바에 있는 테아티노회가 운영하는 엘리트 대학에 다녔지만 학업을 마치지는 못했다.[7]

1762년 푸와스키는 폴란드 국왕의 봉신이자, 당시 국왕 아우구스트 3세의 아들 중 한 명이었던 쿠를란트 공작 카를의 시중을 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이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푸와스키는 바르샤바로 돌아와 1764년 새로운 폴란드 군주 스타니스와프 2세의 신하가 되었다.

3. 군사 경력

1762년, 푸와스키는 시종으로 군 경력을 시작하여 쿠를란트 공작 카를 크리스티안 요제프 폰 작센과 폴란드 국왕의 봉신으로 활동했다. 미타우에 있는 공작 궁정에서 6개월을 보냈는데, 그 기간 동안 궁정은 그 지역을 점령한 러시아군에 의해 궁전에 억류되었다. 이후 바르샤바로 돌아와 아버지로부터 포돌례의 제줄린체 마을을 물려받았고, 그때부터 푸와스키는 제줄린체 촌장의 칭호를 사용했다.[7]

1764년 새로운 폴란드 군주인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의 선거에 가족과 함께 참여했다. 1767년 12월, 푸와스키와 그의 아버지는 스타니스와프 2세를 러시아의 꼭두각시로 여기고 러시아의 헤게모니를 제한하려 했던 바르 연맹에 가담했다. 폴란드에 주둔한 러시아군은 연맹에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푸와스키는 부대를 모집하여 1768년 2월 29일 연맹의 행동을 서명하여 스스로 운동의 공식적인 지지자임을 선언했다.[7]

1768년 3월 6일, ''푸우코우니크''(대령) 계급을 받았고 ''chorągiew'' 기병대를 지휘했다. 3월과 4월에 폴란드 군대 사이에서 선동하여 일부 병력이 연맹에 합류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4월 20일 포호렐레 근처에서 첫 전투를 벌였다. 4월 23일 스타로코스티안티니우 근처에서도 승리했다. 4월 28일 카차노프카에서 벌어진 교전은 패배로 끝났다. 5월 초, 흐멜니크를 주둔했지만, 연합군 지원군이 패배하면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7]

베르디치우의 수도원으로 퇴각하여 6월 16일까지 왕당파의 포위 공격으로부터 2주 이상을 방어했다. 결국, 그는 항복할 수밖에 없었고 러시아에 포로로 잡혔다. 6월 28일, 연맹과 다시 무기를 들지 않겠다는 약속과 적대 행위를 끝내도록 연맹에 로비를 하겠다는 약속을 교환하여 석방되었다. 그러나 푸와스키는 그 약속이 구속력이 없다고 여겼고 7월 말 연맹의 캠프에 도착하자 그 사실을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처음부터 그 약속에 동의한 것은 연맹 내에서의 그의 권위와 인기를 약화시켰고, 그의 아버지조차 그를 군법회의에 회부해야 하는지 고려했다. 몇 차례의 격렬한 논쟁이 벌어진 후, 푸와스키는 9월 초에야 현역으로 복귀했다.[10]

1769년, 푸와스키의 부대는 다시 수적으로 우세한 병력에 의해 오코피 시비에테이 트루이치의 옛 요새에서 포위되었으나, 완강한 방어 후 러시아 포위를 돌파할 수 있었다. 4월 7일, 크라쿠프 보이보데의 ''regimentarz''가 되었다.[10] 5월과 6월에 프셰미실 근처에서 작전을 수행했지만, 도시를 점령하는 데 실패했다. 동료 연맹원들에게 비판을 받은 푸와스키는 6월 3일 약 600명의 병력과 함께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떠났다.[10] 그곳에서 러시아에 대항하는 더 큰 반란을 일으키려 시도했으나,[11] 결정적인 군사적 성공은 없었다. 하지만 4,000명의 군대를 모아 연맹의 집결지로 되돌려 보낼 수 있었다. 이 원정으로 바르 연맹에서 가장 효과적인 군사 지도자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후 부대를 이끌고 자모슈치로 이동했고, 9월 15일 오레호바 전투에서 거의 목숨을 잃을 뻔한 후, 브워다바 전투에서 패배하여 그의 군대는 거의 완전히 흩어졌다. 남은 해를 포드카르파체 지역에서 부대를 재건하는 데 보냈다.[11]

1770년 2월, 노비 타르크 근처로 이동했고, 3월에는 요제프 비에진스키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즈비에 주둔하며 남부 소 폴란드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5월 13일 그의 부대는 데본진 전투에서 패배했다. 6월 9~10일경 프레쇼프에서 다른 연맹 지도자들과의 회담에서 요제프 2세 신성 로마 황제를 만났다. 7월 3~4일, 푸와스키의 캠프는 요한 폰 드레비츠에게 점령되었고 그는 오스트리아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8월 초 프랑스 사절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를 만났다. 란츠코로나를 점령하라는 명령을 무시하고 8월 31일 밤 크라쿠프에 대한 미하우 발레프스키와의 습격에 협력했다.[11][12]

그 후 체스토호바로 떠났다. 9월 10일, 발레프스키와 함께 계략을 사용하여 야스나 구라 수도원을 장악했다. 9월 18일 프란치슈카 z 크라신스키를 만났는데, 그녀는 크라신스키 가문 출신의 귀족이자 쿠를란트 공작 카를의 아내였다. 그는 그녀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녀는 그의 후원자가 되었다. 9월 22~24일경, 발레프스키가 야스나 구라의 사령관이 되었는데, 이는 푸와스키를 무시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스나 구라 안팎에 주둔한 연맹군의 ''사실상'' 사령관으로 계속 활동했다.[12]

1770년 9월 10일부터 1771년 1월 14일까지 푸와스키, 발레프스키, 요제프 자렘바는 야스나 구라 수도원 포위 공격 동안 폴란드 군대를 지휘했다. 그들은 드레비츠에 대항하여 일련의 교전에서 성공적으로 방어했으며, 가장 큰 교전은 11월 11일에 있었고, 12월 31일부터 1월 14일까지 포위 공격이 이어졌다. 야스나 구라의 방어는 연맹과 해외에서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12] 드레비츠를 조롱하는 인기 있는 연맹 노래에는 푸와스키와 야스나 구라에 대한 가사가 포함되어 있었다.[13] 푸와스키는 드레비츠를 추격하려 했지만, 그와 자렘바 사이의 증가하는 불화로 인해 이는 현실적인 선택이 될 수 없었다.[12]

1771년 2월, 루블린 근처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2월 25일 타르로우에서 승리했고, 2월 28일 밤과 3월 1일, 그의 군대는 크라시니크를 포위했다. 그해 3월 연맹의 전쟁 평의회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 당시 연맹의 군사 고문이 된 뒤무리에가 그를 "자발적이고 야심보다는 자부심이 강하며, 쿠를란트 공작의 친구이고 포토츠키 가문의 적이며, 용감하고 정직하다"라고 묘사했으며, 다른 지휘관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이는 명령을 따르고 규율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를 그 당시 만난 옌제이 키토비치는 그를 키가 작고 마른 체형이며, 빠르게 걸으며 말하고, 여자나 술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무엇보다 러시아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을 즐겼고, 전투에서 그의 안전을 잊을 정도로 대담하여 전장에서의 많은 실패를 초래했다.[12]

1771년 5월, 자모슈치로 진격하여, 알렉산드르 수보로프에 대항하는 뒤무리에와의 작전을 조율하는 것을 거부했다. 푸와스키의 지원이 없었기 때문에, 연맹은 란츠코로나 전투에서 패배했다. 푸와스키의 군대는 마이다니 전투에서 승리했고, 잠시 자모슈치를 포위했지만, 수보로프에 의해 구원받았다. 그는 후퇴하여 큰 손실을 입었고, 체스토호바로 향했다. 7월 27일, 프란치슈카 z 크라신스카의 압력으로 그는 그전까지 습관적으로 무시했던 연맹의 명령을 엄격히 준수하겠다고 선언했다.[16]

10월에 그의 전쟁 평의회 내 역할이 확대되었고, 같은 달 포니아토프스키 왕을 납치하려는 계획에 연루되었다.[16] 푸와스키는 처음에는 이 계획에 반대했지만 나중에 왕에게 해를 가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지지했다.[14] 이 시도는 실패하여 연맹의 국제적인 평판을 약화시켰다. 푸와스키가 납치 시도에 연루된 사실이 알려지자, 오스트리아는 그를 자국 영토에서 추방했다.[16][15] 다음 겨울과 봄을 체스토호바에서 보냈으며, 그동안 그의 추종자 몇 명이 패배하거나, 체포되거나, 사망했다.[16]

1772년 5월 31일, 푸와스키는 연맹의 다른 지도자들과 점점 더 멀어져 가면서, 야스나 구라 수도원을 떠나 프로이센의 실레지아로 갔다.[16] 한편, 바르 연맹은 패배했고, 대부분의 전투는 여름 무렵에 끝났다.[15] 전반적으로, 푸와스키는 가장 유명하고 뛰어난 연맹 지도자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11][12] 동시에, 그는 종종 독립적으로 행동하여, 연맹 지휘부의 명령을 거부했고, 뒤무리에를 포함한 그의 비방자들 사이에서 "통제 불능"이라는 평판을 얻었다.[12][16] 폴란드 제1차 분할은 1772년에 일어났다.

프로이센을 떠난 푸와스키는 프랑스에서 피난처를 찾았고, 그곳에서 프랑스군에 합류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773년, 폴란드 내 그의 반대자들은 그를 국왕 살해 시도 혐의로 고발했고, 6월 7일 세임 법원에서 절차가 시작되었다.[16][17] 분할 세임은 승자들이 제1차 분할을 승인하기 위해 소집한 것이었다.

포니아토프스키 자신은 푸와스키에게 폴란드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라고 경고했고, 그렇지 않으면 죽음을 각오해야 했다.[16] 7월에 ''부재 중 재판''으로 선언된 법원 판결은 푸와스키에게서 "모든 존엄성과 명예"를 박탈하고, 그의 재산을 몰수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러시아-터키 전쟁 동안 오스만 제국에서 연맹군을 재건하려 했지만, 그가 어떤 진전을 이루기 전에 터키가 패배했고, 그는 바다를 통해 간신히 프랑스 마르세유로 탈출했다. 빚에 시달리고 그를 고용할 군대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775년을 프랑스에서 보냈고, 때때로 빚 때문에 투옥되었고, 그의 동맹국들이 그를 석방할 충분한 자금을 모을 때까지였다. 그 무렵, 그의 친구 클로드-카를로만 드 룰리에르의 노력으로, 라파예트 후작와 벤자민 프랭클린에 의해 1777년 봄에 만나 미국 독립 전쟁에서 복무하도록 모집되었다.[17]

3. 1. 바르 동맹

1762년 폴란드 국왕의 봉신이자, 당시 국왕 아우구스트 3세의 아들 중 한 명이었던 쿠를란트 공작 카를의 시중을 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타우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러시아군이 이 지역을 점령했고, 공작가는 궁궐에서 쫓겨났다. 푸와스키는 바르샤바로 돌아와 1764년 새로운 폴란드 군주 스타니스와프 2세의 신하가 되었다.

바르 동맹 동안 쳉스토호바에서


숙련된 군대 지휘관이자 명문가의 아들로서, 1768년 2월 29일, 푸와스키는 아버지와 함께 바르 동맹군의 창설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동맹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왕국에서 러시아의 지배를 배제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폴란드 주둔 러시아군이 진압에 나섰다.[7] 우오미아 출신 귀족으로서, 푸와스키는 동맹군의 뛰어난 지휘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 해, 푸와스키는 베르디셰프 수도원에서 포위되었고, 압도적인 수의 적을 상대로 2주 동안 버텼다. 러시아 포로가 된 푸와스키는 다시는 동맹군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맹세한 뒤 석방되었다.

그러나 푸와스키는 그러한 강요된 맹세에 강제력이 없다고 여겨, 4년 동안 러시아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1769년, 푸와스키는 오코피 요새(현재 우크라이나, 테르노필주)에서 또다시 대규모 부대에 포위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용감하게 반격한 뒤 러시아의 포위를 뚫고 부대와 함께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쳐 리투아니아로 돌아왔다. 푸와스키는 많은 귀족을 동맹에 참여시키고, 러시아에 대한 저항을 선동했다.[10]

1770년 9월 10일부터 1771년 1월 9일까지, 푸와스키는 야스나 구라 수도원 포위전에서 폴란드 군대를 지휘하여 방어에 성공했다. 1771년 11월, 푸와스키는 포로로 잡힌 폴란드 국왕 탈환 계획의 주요 멤버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실패했고, 동맹도 얼마 지나지 않아 해산되었다. 푸와스키는 민중의 적으로 간주되었고, 국왕 살해를 꾀한 혐의로 부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푸와스키는 나라를 떠났지만, 유럽에서 그를 받아주는 나라는 없었다. 터키에 잠시 머무른 후, 푸와스키는 프랑스에 불법 입국했고, 그곳에서 라파예트의 권유로 미국행을 결정했다.[16][15]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가 바르에서 연맹 지지자들을 모으는 모습. 코르넬리 슈레겔의 그림


바르 연맹 분쟁 지역을 보여주는 지도
1768년부터 1772년까지 폴란드에서 일어난 바르 연맹 분쟁 지도, 흰색 지역은 연맹이 통제했다


1770년 야스나 구라에 있는 푸와스키를 묘사한 율리우스 코사크의 그림
1770년 야스나 구라 수도원의 벽에 있는 푸와스키, 화가 율리우스 코사크의 작품

3. 2. 미국 독립 전쟁

1776년 벤자민 프랭클린은 푸와스키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조지 워싱턴 장군에게 그를 대륙군 기병대 지원병으로 추천했다.[18][19] 푸와스키는 1777년 7월 23일 보스턴 근처 매블헤드에 도착하여 워싱턴에게 "자유가 옹호되는 이곳에 와서 그것을 위해 봉사하고, 그것을 위해 살거나 죽기 위해 왔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2][20]

8월 20일, 푸와스키는 필라델피아 외곽에서 워싱턴을 만나 기병대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기마 묘기를 선보였다.[18][20] 이후 몇 달 동안 임명을 기다리며 워싱턴과 미국 의회 사이를 오갔다.[20] 1777년 9월 15일, 의회는 푸와스키를 대륙군 기병대 준장으로 임명했다.

푸와스키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2년간 복무하며 "미국 기병대의 아버지"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기병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그는 대륙군의 기병 연대("푸와스키 부대")를 창설하고, 브랜디와인 전투, 저먼타운 전투, 사바나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3. 2. 1. 북부 전선

1777년 9월 11일,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영국군이 대륙군을 전장에서 몰아내면서 조지 워싱턴은 자신의 오른쪽 측면이 무너질 뻔한 위기를 맞았다. 푸와스키는 영국군을 반격하여 대륙군에게 철수할 시간을 벌어 주겠다고 자원했다. 워싱턴은 약 30명의 용병을 푸와스키에게 맡겼고, 푸와스키는 이들을 이끌고 영국군을 저지하여 대륙군이 후퇴할 시간을 벌었으며, 워싱턴의 생명을 구했다. 이 공로로 미국 의회는 푸와스키를 "말의 사령관"이라는 칭호와 함께 준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이후 저먼타운 전투에도 참전했다.[18]

1883 painting by Juliusz Kossak depicting Pulaski on horse back
푸와스키 기마상, 율리우시 코사크 그림, 1883


필라델피아 서쪽에서 순찰을 돌던 푸와스키는 영국군이 대륙군 진지로 이동하는 것을 발견하고 워싱턴에게 보고했다. 워싱턴은 전투를 준비했지만, 대규모 폭풍으로 인해 교전이 중단되었다.[24][25] 10월 4일, 푸와스키는 저먼타운 전투에 참여했다. 그는 1777년 겨울 대부분을 밸리 포지에서 보냈다. 푸와스키는 겨울에도 군사 작전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참모진은 이를 거부했다. 그는 트렌턴, 뉴저지에 주둔한 기병대 재편에 주력했다.[20]

트렌턴에 있는 동안 푸와스키는 앤서니 웨인 장군으로부터 도움을 요청받았다. 웨인은 남부 뉴저지로 식량 조달 원정을 떠났다가 영국군과 마주칠 위험에 처했다. 푸와스키와 기병 50명은 남쪽으로 벌링턴, 뉴저지로 가서 2월 28일 영국 초병과 교전했다. 이 소규모 교전 후, 영국 사령관 토머스 스털링 중령은 더 큰 병력과 마주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델라웨어 강을 건너 펜실베이니아의 쿠퍼스 페리(현재 글로스터 시티, 뉴저지)로 철수할 준비를 했다. 푸와스키와 웨인은 2월 29일 스털링의 진지를 공격했다. 이 교전에서 푸와스키의 말이 총에 맞아 쓰러지고 기병 몇 명이 부상을 입었다.[26]

푸와스키 휘하의 미국 장교들은 영어를 거의 하지 못했고, 그의 훈련 방식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미국인과 푸와스키 및 그의 폴란드 출신 장교들 사이에 마찰이 발생했다.[21][27] 급여 지연 문제도 있었고,[20] 푸와스키의 오만한 성격은 불만의 원인이 되었다. 창기병 부대 창설 제안이 거부된 것도 불만이었다.[20] 웨인의 칭찬에도 불구하고, 푸와스키는 1778년 3월에 장군 지휘를 사임하고 밸리 포지로 돌아갔다.[20][21]

푸와스키는 요크타운, 버지니아로 가서 호레이쇼 게이츠 장군을 만나 새로운 부대 창설을 제안했다. 의회는 그를 "기병대 사령관"이라는 특별 직함과 함께 준장으로 임명하고, 68명의 창기병과 200명의 경보병으로 구성된 푸와스키 기병대 군단을 창설하도록 승인했다.[18][20] 군단은 볼티모어에서 주로 모집되었고,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우는 군단의 기를 봉헌하는 시를 썼다. 1778년 8월까지 약 330명의 미국인과 외국인이 있었다. 찰스 리 소장은 군단의 훈련 수준이 높다고 언급했다.[20]

"미국 기병대의 아버지" 푸와스키는 부하들에게 많은 것을 요구했고, 기병 전술로 훈련시켰다. 그는 의회에서 자금이 부족할 때 자신의 개인 자금을 사용했다. 그러나 군단의 재정 및 지역 주민에 대한 징발과 관련된 논란이 발생했다.[20] 그의 감사관과의 문제는 그가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푸와스키는 충분한 자금을 받지 못하고 방해를 받았으며 자신의 돈을 써야 했다고 불평했다. 그는 사후에야 이 혐의에서 벗어났다.

가을에 푸와스키는 리틀 에그 하버로 명령을 받았고, 10월 15일에 벌어진 리틀 에그 하버 사건에서 군단은 큰 피해를 입었다.[20][28] 다음 겨울 동안 푸와스키는 미니싱크, 뉴욕에 주둔했다. 이로쿼이족에 대한 설리번 원정에 참여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그는 이 지휘에 불만을 품고 유럽으로 돌아갈 의향이 있었지만, 대신 남부 전선으로 재배치해 달라고 요청했다.[20] 1779년 2월 2일, 워싱턴은 그에게 사우스캐롤라이나로 가라고 명령했다.

3. 2. 2. 남부 전선

1779년 워싱턴은 벤저민 링컨 장군을 지원하기 위해 푸와스키를 찰스턴으로 보냈다. 링컨 장군은 영국군에게 점령당한 조지아주 서배너를 회복하려 했다. 그러나 푸와스키의 무모함은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그를 곤경에 빠뜨렸다. 5월 11일, 그는 찰스턴 외곽에서 오거스틴 프레보스트 준장이 이끄는 영국군 습격대에 돌격하여 큰 대가를 치렀다. 몇 달 후 서배나 포위전 마지막 날, 푸와스키는 브랜디와인 전투에서처럼 영국군 진지에 돌격하며 도망치는 프랑스군을 결집시키려 했으나, 포도탄에 맞아 며칠 후 사망했다. 그는 완전한 군례를 갖춰 알려지지 않은 곳에 매장되었고, 그의 군단은 대륙육군에 통합되었다.[29]

1779년 5월 8일, 푸와스키는 찰스턴에 도착하여 도시가 위기에 처했음을 알게 되었다.[29] 남부군 사령관 벤자민 링컨 장군은 1778년 말 영국군에 점령된 사바나를 탈환하기 위해 군대 대부분을 오거스타로 이끌었다.[30] 영국군 사령관 오거스틴 프레보스트 준장은 링컨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바나에서 사바나 강을 건너 습격대를 보냈다.[31]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는 영국군의 진격에 밀려났고, 프레보스트의 부대는 찰스턴까지 쫓아왔다. 푸와스키는 군 지휘관들이 도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을 때 도착했다.[32]

5월 11일 영국군이 진격하자 푸와스키의 군단은 영국군 선봉 부대와 교전했고, 이 전투에서 심하게 손실을 입었다. 소규모 교전 전에 60명 정도에 불과했던 군단 보병은 거의 전멸했고, 푸와스키는 도시의 대포가 있는 안전한 곳으로 후퇴해야 했다.[33] 일부 역사가들은 이 전투가 찰스턴 항복 협상이 진행 중이었음에도 프레보스트가 다음 날 사바나로 철수하기로 결정한 이유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링컨의 대규모 부대가 찰스턴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소식과 프레보스트의 병력이 원래 의도보다 더 멀리 진출했다는 소식이 철수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한 초기 역사가는 이 교전 동안 푸와스키의 행동을 "잘못 판단하고, 잘못 지휘했으며, 수치스럽고 재앙적"이라고 비판했다.[34] 이 사건은 전략적으로 미미했고 푸와스키 부대의 명성을 높이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35]

푸와스키는 기병 돌격을 지휘하다가 포도탄에 치명상을 입었다


푸와스키는 찰스턴에 주둔하는 동안 자주 말라리아를 앓았지만 계속 현역으로 복무했다. 9월 초, 링컨은 프랑스 지원을 받아 사바나를 탈환하려는 시도를 준비했다. 푸와스키는 래클런 매킨토시 장군과 합류하기 위해 오거스타로 파견되었다.[21] 그들의 연합 부대는 링컨 군대의 선봉 부대로 활동할 예정이었다.[36] 푸와스키는 오기치 강 근처의 영국 전초 기지를 점령했다.[37] 그의 부대는 이후 샤를 에르크토르, 콩트 데스테앵 제독 휘하의 연합 프랑스 부대의 선봉 부대로 활동했다. 그는 사바나 포위전 동안 큰 공을 세웠으며, 10월 9일 공격에서 프랑스와 미국 기병 전체를 지휘했다.[21]

1779년 10월 9일, 푸와스키는 사바나 전투에서 영국군의 방어가 취약한 곳을 찾아 기병 공격을 감행하던 중, 포도탄에 맞아 허벅지 부위를 관통당했다. 존 C. 쿠퍼 대령 등 몇몇 동료에게 들려 전장을 이탈해, 사략선으로 사용되던 무역용 브리간틴 선 "와스프"에 옮겨졌다. 이틀 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푸와스키는 사망했다.

4. 죽음과 매장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사바나 전투에서 기병 돌격 중 포도탄에 맞아 브리그 사략선 ''와스프''에서 이틀 후 사망했다.[19] 미국 애국자 지지자들은 그의 죽음을 영웅적인 것으로 여겼고, 이는 미국에서 그의 명성을 높였다.[41]

푸와스키의 매장 시기와 장소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다양하다. 그의 부관을 포함한 일부 증인들은 푸와스키가 해상 매장된 후 10월 21일에 찰스턴에서 상징적인 장례를 치렀다고 증언했다.[42] 반면, ''와스프''의 사무엘 불핀치 선장을 포함한 다른 증인들은 푸와스키가 사바나 근처 썬더볼트 타운의 그리니치 농장으로 옮겨져 그곳에서 사망하여 묻혔다고 주장했다.[43]

1825년 미국 대규모 순방 중 라파예트는 조지아주 사바나의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기념비의 초석을 직접 놓았다.[19][45] 1853년, 그리니치 농장에서 발견된 유해는 푸와스키의 것으로 추정되어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기념비에 재안치되었다. 1996년에 발굴된 유해는 법의학 연구를 통해 조사되었으나, 8년간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46] 그러나 골격은 푸와스키의 나이와 직업과 일치했으며, 머리 이마의 상처는 푸와스키가 전투에서 입은 부상 기록과 일치했다.[47] 2005년, 유해는 군사 예우를 갖춘 공개 행사에서 재안치되었다.

스미소니언 협회의 지원을 받은 2019년 연구에서는 그의 종손녀의 미토콘드리아 DNA와 알려진 부상, 신체적 특징을 통해 해당 골격이 푸와스키의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48] 이 골격은 여러 여성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푸와스키가 여성이거나 간성이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49][50][51] 스미소니언 연구 기반 다큐멘터리는 푸와스키의 간성 상태가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47][52] 그러나 푸와스키가 간성이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며,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53][54]

5. 영예와 유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동료 폴란드 지원군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처럼 저명한 사상가는 아니었고, 동시대 사람들에게 크게 미움을 받았다. 하지만 전쟁 후,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그는 전장에서의 용맹과 희생으로 미국과 폴란드 독립의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2009년 미국 상원은 그에게 미국 명예시민을 수여하였는데, 이는 여태까지 8명만이 받은 영예이다. 군사 역사에서 그는 "미국 기병대의 아버지"로 오늘날까지 알려져 있다.

미국 의회의 결의에 의하여 10월 11일은 "푸와스키의 날"로 정해졌고, 시카고를 비롯한 폴란드계 주민들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는 푸와스키의 날 축제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일리노이주3월의 첫 번째 월요일을 푸와스키의 날로 정하였다.

푸와스키 미국 기념 우표 이미지
미국 우표로 일반 푸와스키 장군을 묘사. 1931년 발행, 2센트


미국은 오랫동안 푸와스키의 미국 독립 전쟁에 대한 기여를 기념해 왔다. 1779년 10월 29일 미국 의회는 그를 위한 기념비를 헌정해야 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지만, 그에 대한 첫 번째 기념비인 사바나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기념비는 1854년에야 세워졌다. 1910년 5월 11일, 미국 대통령 윌리엄 태프트는 의회가 후원한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장군 동상을 공개했다.

1929년, 의회는 매년 10월 11일을 "푸와스키 장군 기념일"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뉴욕시 5번가에서 매년 대규모 퍼레이드가 열렸다.[19] 이와 별도로, 일리노이주와 다른 일부 지역에서는 매년 3월 첫 번째 월요일에 카지미에시 푸와스키의 날이 기념된다. 1931년에는 폴란드계 미국인 조각가 조셉 키셀레프스키가 조각한 푸와스키의 3미터 높이 청동상이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푸와스키 공원에 세워졌다.[56] 의회는 2009년에 푸와스키에게 미국 명예 시민권을 수여하는 공동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11월 6일에 서명하여 푸와스키는 7번째 명예 시민이 되었다.[57]

폴란드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박물관의 푸와스키 동상 사진
폴란드 바르카의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박물관에 있는 푸와스키 동상


폴란드에서는 1793년 푸와스키의 친척인 안토니 푸와스키가 1773년 그의 형제에 대한 형벌을 취소했다. 그는 아담 미츠키에비치, 율리우시 스워바츠키 및 유제프 이그나치 크라셰프스키를 포함한 수많은 폴란드 작가의 문학 작품에서 언급되었다. 아돌프 노바친스키는 1917년에 희곡 "푸와스키 뷰 아메리카" (미국 내 푸와스키)를 썼다. 푸와스키를 기념하는 박물관인 바르카의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박물관은 1967년에 개관했다.

폴란드와 미국 전역에서 사람들은 푸와스키의 탄생과 사망 기념일을 기념해 왔으며, 그의 그림과 조각상과 같은 수많은 예술 작품이 존재한다. 1879년, 그의 사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앙리 쉘러는 "푸와스키 행진곡"을 작곡했다. 20년 전 에두아르드 소보르스키는 푸와스키의 마지막 날에 대한 오페라 "모헤가"를 작곡했다. 푸와스키 기념 메달과 우표가 발행되었다. 미국 내 여러 도시, 마을, 타운십 및 카운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수많은 거리, 공원 및 구조물도 마찬가지다.

그의 동상은 사바나의 몬테레이 광장에 서 있지만, 이 도시의 푸와스키 광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8]

뉴욕시의 푸와스키 다리는 브루클린과 퀸스를 연결하며, 뉴저지 북부의 푸와스키 스카이웨이는 저지 시티와 뉴어크를 연결하고, 푸와스키 고속도로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시를 통과한다. 미시간은 1935년에 미국 고속도로 112번 (현재 미국 12번 국도)을 푸와스키 기념 고속도로로 지정했다.[59]

또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여러 교육, 학술 및 폴란드계 미국인 기관이 있다. 20세기 미국 해군 탄도 미사일 잠수함인 USS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세기에 미국 관세청 서비스 커터 USRC 푸와스키[60]측면 바퀴 증기 포함 USS 푸와스키도 마찬가지였다. 폴란드 프리깃 ORP ''제네랄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또한 푸와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포트 푸와스키는 사바나와 타비 섬 사이의 조지아주에 있으며, 미국 남북 전쟁 동안 활동했으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푸와스키를 기념하는 동상이 자유 광장의 동쪽 끝에 서 있다. 로저 윌리엄스 공원에 푸와스키의 기마상이 있고,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뉴햄프셔주 맨체스터의 푸와스키 공원 중앙에도 기마상이 있다. 오른쪽 손에 칼을 들고 전진 돌격을 지시하는 푸와스키를 묘사한 그래빌 W. 카터의 동상은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에 세워졌다.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파테르손 공원에는 푸와스키 기념비가 있다. 또한 뉴욕주 버팔로의 메인과 S. 디비전 스트리트 교차로 근처에도 동상이 있다. 시드니 와우가 조각한 푸와스키의 동상은 필라델피아, 페어마운트 공원의 필라델피아 미술관 뒤쪽 경사면에 있다.

마운트 푸와스키, 일리노이주, 푸와스키, 뉴욕, 푸와스키, 위스콘신 마을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푸와스키, 테네시시도 마찬가지다. 푸와스키 고등학교와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고등학교는 둘 다 위스콘신에 있으며, 코네티컷주 뉴브리튼의 푸와스키 중학교도 마찬가지다. 버지니아주 푸와스키 카운티, 아칸소주 푸와스키 카운티, 조지아주 푸와스키 카운티, 미주리주 푸와스키 카운티, 켄터키주 푸와스키 카운티, 인디애나주 푸와스키 카운티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31년에 푸와스키에 대한 모노그래프를 쓴 폴란드 역사학자 브와디스와프 코놉친스키는 그를 타데우시 코시치우슈코, 스타니스와프 졸키에프스키, 스테판 차르니에츠키,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와 같은 다른 폴란드 군사 영웅들과 함께 묶어 가장 뛰어난 폴란드인 중 한 명이라고 언급했다.

포트 푸와스키, 조지아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기념비


푸와스키의 이름을 딴 도시, 군, 마을은 다음과 같다.

종류이름위치
도시플러스키테네시주
플러스키 군아칸소주
플러스키 군조지아주
플러스키 군일리노이주
플러스키 군인디애나주
플러스키 군켄터키주
플러스키 군미주리주
플러스키 군버지니아주
마을플러스키위스콘신주
플러스키뉴욕주



플러스키의 이름을 딴 시설은 다음과 같다.


  • 플러스키 다리: 인디애나주 캉카키 강에 가설된 주간 고속도로 I-65의 다리
  • 플러스키 스카이웨이: 뉴저지주
  • 플러스키 다리: 뉴욕시
  • 플러스키 하이웨이: 델라웨어주뉴캐슬에서 메릴랜드주볼티모어로 이어지는 고속도로
  • 카지미어 푸와스키 초등학교: 매사추세츠주 베드포드 및 코네티컷주메리덴
  • 플러스키 공원: 코네티컷주 월링퍼드
  • 플러스키 하우스: 조지아주 사바나 예술 디자인 대학 내의 기숙사
  • 플러스키 광장: 사바나의 역사 지구에 있는 24개의 광장 중 하나.
  • 플러스키 거리 및 공원: 미시간주 햄트램크 시
  • 플러스키 거리 및 공원: 사우스캐롤라이나주컬럼비아


기타:

  • 폴란드의 라돔에는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공과 대학"이 있다.
  • 미국 해군잠수함 "카지미어 푸와스키 (''USS Casimir Pulaski, SSBN-633'')"는 플러스키를 기려 명명되었다. 19세기의 미국 해안 경비대용 커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미국에서 매각된 폴란드 해군의 프리깃 1 척은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로 명명되었다.
  • 매사추세츠주노샘프턴에는 시청과 역사적인 음악 예술 극장 사이의 메인 스트리트에 "푸와스키 공원"이 있다.

6. 대중문화


  • 미시간주 출신의 작곡가 수프얀 스테반스는 자신의 앨범 ''일리노이''에 "카지미에시 푸와스키 데이"라는 곡을 발표했다. 이 곡은 친구의 골종양 투병에 대한 기억과 휴일에 대한 이야기를 엮어낸다.[62]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II''의 다운로드 콘텐츠에서 플레이어는 풀라스키의 군단이라는 출하 버튼을 클릭하여 12개의 ''울란'' 기병대를 소환할 수 있다.[63]
  • 다이애나 개벌던의 아홉 번째 아웃랜더 소설인 ''벌들에게 내가 갔다고 말해 줘''(2021)에서 풀라스키의 죽음과 매장은 두 관점 등장인물의 가족 재회 배경과 설정으로 사용되었다. 그녀의 역사적 관찰과 영감은 작가의 노트에 담겨 있다.[64]
  • 미국싱어송라이터 수프얀 스티븐스(Sufjan Stevens)의 앨범 "일리노이"에 수록된 노래 제목에 "카지미어 푸와스키의 날"이 있다. 그 안에서는 가수의 청년기 연인이 카지미어 푸와스키의 날에 암으로 죽는다.
  • 1985년 미국 영화 "이어 오브 드래곤"에서는 "카지미에시 푸와스키"라는 이름의 무역선이 후반에 등장한다.

참조

[1] 문서 Pastusiak, 1977
[2] 간행물 Pulaski and the Siege of Savannah https://archive.org/[...] Georgi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1976
[3] 서적 Przegląd historyczny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 Naukowe
[4] 웹사이트 Casimir Pulaski https://www.mountver[...]
[5] 문서 Makarewicz, 1998
[6] 문서 Poles in America Foundation, 2012
[7] 문서 Szczygielski, 1986
[8] 문서 Griffin, 1907
[9] 문서 Denslow, 2004
[10] 문서 Szczygielski 1986
[11] 문서 Szczygielski 1986
[12] 문서 Szczygielski, 1986
[13] 문서 Maciejewski, 1976
[14] 문서 Storozynski, 2010
[15] 문서 Stone, 2001
[16] 문서 Szczygielski, 1986
[17] 문서 Szczygielski, 1986
[18] 문서 Storozynski, 2010
[19] 문서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문서 Szczygielski, 1986
[21] 문서 Appletons Cyclopaedia of American Biography: Pickering-Sumter, 1898
[22] 문서 Kazimierz Pulaski Granted U.S. Citizenship Posthumously, 2009
[23] 문서 111th Congress Public Law 94
[24] 문서 Sokol, 1992
[25] 문서 McGuire, 2006
[26] 문서 Griffin, 1907
[27] 문서 Kajencki, 2005
[28] 문서 Stryker, 1894
[29] 문서 Wilson, 2005
[30] 문서 Wilson, 2005
[31] 문서 Wilson, 2005
[32] 문서 Russell, 2000
[33] 문서 Wilson, 2005
[34] 문서 Griffin, 1907
[35] 문서 Russell, 2000
[36] 문서 Colcock, 1883
[37] 문서 Kajencki, 2005
[38] 문서 Kajencki, 2005
[39] 문서 WASP, 2011
[40] 문서 Pinkowski, 1997
[41] 문서 Storozynski, 2010
[42] 문서 American Council for Polish Culture
[43] 웹사이트 General Pulaski's body http://www.poles.org[...] Poles in America Foundation, Inc 2014-04-26
[44] 문서 Polish American Journal, 1996
[45] 문서 Szymański, 1979
[46] 간행물 Whose Bones Are Those?: The Casimir Pulaski Burial Controversy 2016
[47] 문서 The Pulaski Mystery, 2008
[48] 뉴스 Polish general who fought with Washington may have been a wom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4-06
[49] 웹사이트 The Female Pelvis of Casimir Pulaski: Misidentified Skeleton or Intersex War Hero? https://aaa.confex.c[...]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6-11-18
[50] 뉴스 A tale of two Pulaskis: Savannah to celebrate historic general's birthday https://www.savannah[...] 2019-04-05
[51] 웹사이트 Revolutionary War hero Casimir Pulaski might have been a woman or intersex https://www.nbcnews.[...] 2019-04-06
[52] 웹사이트 'It's a woman. It's not Pulaski.': New documentary argues Revolutionary War hero was intersex https://www.chicagot[...] 2020-05-28
[53] 문서 Changing Perspectives https://digitalcommo[...] Georgia Southern University 2020
[54] 문서 Anthropology Professor Investigates Remains of General Pulaski https://digitalcommo[...] Georgia Southern University 2019
[55] 서적 The Spectrum of Sex: The Science of Male, Female, and Intersex https://books.goog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20
[56] 웹사이트 Sculpture https://www.kiselews[...] 2023-04-09
[57] 문서 Seattle Times, Nov 10, 2009
[58] 웹사이트 City of Savannah's monuments page http://www.savannahg[...] 2007-06-16
[59] 서적 A Drive Down Memory Lane: The Named State and Federal Highways of Michigan Priscilla Press
[60] 문서 USRC Pulaski, 1825-1833, 78′ Marion Class Schooner
[61] 웹사이트 History: USAG Rheinland-Pfalz https://home.army.mi[...] 2022-02-10
[62] 웹사이트 Weeping At The Wheel: Crushingly Sad Song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9-03-04
[63] Youtube Age of Empires III: Definitive Edition - United States Civilization Overview https://www.youtube.[...]
[64] 서적 Go Tell the Bees That I Am Gone Delacorte Press; Penguin Random House 2021-11
[65] 간행물 Whose Bones Are Those?: The Casimir Pulaski Burial Controversy http://search.ebscoh[...] 2018-02-14
[66] 뉴스 Polish general who fought with Washington may have been a wom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4-07
[67] 웹사이트 The Female Pelvis of Casimir Pulaski: Misidentified Skeleton or Intersex War Hero? https://aaa.confex.c[...]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019-06-12
[68] 웹사이트 A tale of two Pulaskis: Savannah to celebrate historic general’s birthday https://www.savannah[...] Savannah Morning News 2019-06-12
[69] 웹사이트 Pondering Pulaski https://www.connects[...] 2018-12-11
[70] 웹사이트 DNA from Pulaski monument inconclusive - News - Wilmington Star News - Wilmington, NC https://web.archive.[...] 2019-06-12
[71] 웹사이트 Buried Secrets https://today.emich.[...] 2018-12-11
[72] 웹사이트 Revolutionary War hero Casimir Pulaski might have been a woman or intersex https://www.nbcnews.[...] 2019-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