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범유행의 경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로나19 범유행의 경과는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 과정을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문서이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연표와 함께, 각 연도별 유행 상황, 대응, 사례 등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세계 각국과 대한민국을 포함한 국가별 유행 상황과 대응, 특히 2020년 초기 발생부터 2021년 이후의 연표, 대응, 사례 등을 월별로 정리하여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연표 - HIV/AIDS 연표
HIV/AIDS 연표는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HIV/AIDS 발병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하여 HIV 추정 최초 사망 사례 보고, 치료법 발전, PrEP 임플란트 연구 및 HIV 완치 판정 등을 포함, HIV/AIDS의 역사, 사회적 영향, 예방 및 치료 전략, 연구 동향 등을 보여준다. - 코로나19 범유행 - 돌파 감염
돌파 감염은 백신 접종 완료 후에도 특정 질병에 감염되는 현상으로, 백신 효능 미흡, 개인 면역 반응 차이, 바이러스 변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추가 접종 및 개인 위생 수칙 준수가 예방 및 대응 전략으로 제시된다. - 코로나19 범유행 -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기피 현상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기피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고 방역 노력을 저해하며, 코로나19 위험성 경시, 허위 정보, 가짜 백신 유통, 위조 접종 증명서, 의학적 주장 왜곡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각국의 대책 시행을 야기한다.
코로나19 범유행의 경과 | |
---|---|
지도 정보 | |
주요 사건 연대표 | |
질병 | 코로나19 |
원인 바이러스 | SARS-CoV-2 |
첫 발생 보고 | 2019년 12월 우한시 |
팬데믹 선언 | 2020년 3월 11일 |
WHO 비상사태 종료 | 2023년 5월 5일 |
미국 비상사태 종료 | 2023년 5월 11일 |
국가별 영향 | |
주요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이탈리아 이란 대한민국 스페인 독일 프랑스 미국 영국 |
주요 대응 | |
대응 | 검역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개발 및 접종 여행 제한 봉쇄 |
경제적 영향 | 경제 침체 실업률 증가 공급망 붕괴 |
백신 개발 | |
주요 백신 |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스푸트니크 V 시노팜 시노백 |
사회적 영향 | |
영향 | 원격 근무 증가 온라인 교육 확대 정신 건강 악화 사회적 불평등 심화 가짜 뉴스 확산 |
사망자 통계 | |
사망자 수 |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코로나19 범유행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사망자 수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각국의 대응 SARS-CoV-2 코로나19 백신 |
참고 | |
참고 | 세계보건기구 (WHO)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
2. 세계적 유행
다음은 코로나19 범유행의 연표이다.
- 2019년
- 2020년
- * 2020년 1월
- * 2020년 2월
- * 2020년 3월
- * 2020년 4월
- * 2020년 5월
- * 2020년 6월
- * 2020년 7월
- * 2020년 8월
- * 2020년 9월
- * 2020년 10월
- * 2020년 11월
- * 2020년 12월
- 2021년
- * 2021년 1월
- * 2021년 2월
- * 2021년 3월
- * 2021년 4월
- * 2021년 5월
- * 2021년 6월
- * 2021년 7월
- * 2021년 8월
- * 2021년 9월
- * 2021년 10월
- * 2021년 11월
- * 2021년 12월
- 2022년
- * 2022년 1월
- * 2022년 2월
- * 2022년 3월
- * 2022년 4월
- * 2022년 5월
- * 2022년 6월
- * 2022년 7월
- * 2022년 8월
- * 2022년 9월
- * 2022년 10월
- * 2022년 11월
- * 2022년 12월
- 2023년
; 대응
다음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대응이다.
- 2020년
- * 2020년 1월
- * 2020년 2월
- * 2020년 3월
- * 2020년 4월
- * 2020년 5월
- * 2020년 6월
- * 2020년 7월
- * 2020년 8월
- * 2020년 9월
- * 2020년 10월
- * 2020년 11월
- * 2020년 12월
- 2021년
- * 2021년 1월
- * 2021년 2월
- * 2021년 3월
- * 2021년 4월
- * 2021년 5월
- * 2021년 6월
- * 2021년 7월
- * 2021년 8월
- * 2021년 9월
- * 2021년 10월
- * 2021년 11월
- * 2021년 12월
- 2022년
- * 2022년 1월
- * 2022년 2월
- * 2022년 3월
- * 2022년 4월
- * 2022년 5월
- * 2022년 6월
- * 2022년 7월
- * 2022년 8월
- * 2022년 9월
- * 2022년 10월
다음은 다음은 코로나19 범유행 사례이다.
- 2020년 1월
- 2020년 2월
- 2020년 3월
- 2020년 4월
- 2020년 5월
- 2020년 6월
- 2020년 7월
- 2020년 8월
- 2020년 9월
- 2020년 10월
- 2020년 11월
- 2020년 12월
- 2021년 1월
- 2021년 2월
- 2021년 3월
- 2021년 4월
- 2021년 5월
- 2021년 6월
- 2021년 7월
- 2021년 8월
2. 1. 2019년
2019년 12월 1일, 우한시 의료진이 첫 감염자를 확인했다.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애초 화난수산시장 근로자에게 12월 12일 최초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지만, 우한시 진인탄 병원 의료진 등이 포함된 연구팀은 2020년 1월 24일 영국 의료 학술지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첫 감염자를 2019년 12월 1일 확인했다고 보고했다.[6]2019년 12월 30일,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가 "원인미상의 폐렴 치료에 관한 긴급공지"를 발표하였다.[7]
2019년 12월 31일, 27명의 원인미상 폐렴 발병 사실이 WHO에 보고된다. 대부분은 우한 수산물 시장의 상인들이다. 7명이 생명이 위중한 중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홍콩, 마카오, 타이완 정부는 입국자 검역조치를 강화했다.[8][9]
2. 2. 2020년
2020년 1월 10일, 우한 위생당국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사망자는 60대 남성이었다.[10] 1월 12일,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MRC 연구팀은 중국에서 발병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공식 발표보다 40배 정도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1월 12일 기준으로 총 1723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14]1월 13일, 한국 질병관리본부는 푸단 대학교를 통해 입수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병원체로 지목된 박쥐의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약 89% 유사하다고 발표했다.[11] WHO(세계보건기구)는 폐렴 발병이 화난 해산물 시장 한 곳에 국한돼 있으며,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들의 감염 사례가 나오지 않았다. 사람 간 전염에 대한 명확한 증거도 없다"고 설명했다.[12]
1월 15일, 가나가와현 거주 중국 국적의 30대 남성이 폐렴 증상을 호소해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서 바이러스 조사를 받은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이 남성은 치료 후 회복되어 15일 퇴원했다. 같은 날,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두 번째 사망자가 발생했다.
1월 17일,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대학그룹은 1월 12일까지 초기증상발현을 포함하여 1,723건의 감염사례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치를 발표했다.[13][14] 1월 18일에는 4천 건으로 추정치를 재계산했다.[15][16] 홍콩 대학 또한 이와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다.[17] 1월 19일,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62명으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18]
1월 20일, 중국 정부는 베이징시에서 2명, 선전에서 1명을 포함하여 거의 140건에 달하는 신규환자 감염사례가 있었다고 발표했다.[19] 같은 날, 대한민국에서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발생했다. 환자는 30대 중국 여성이었다. 중국의 우한 폐렴 환자 수는 100명을 넘겼다.[26] 중난산은 CC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의료진 14명이 환자 1명으로부터 감염됐다고 전했다.
1월 21일, 중국 정부는 우한 폐렴을 ‘을류(2급)’ 전염병으로 지정하고, 대응책은 ‘갑류’ 수준으로 올렸다. 홍콩대학 윈궉융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산이 이미 2003년 사스(SARS) 때처럼 전면적 확산 단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27][28]
1월 22일, 미국에서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 중국 후베이성의 감염자는 약 444명, 사망자는 17명으로 늘어났으며, 중국전역에서 감염자는 540명을 초과했다.[29] WHO(세계보건기구)는 긴급 위원회를 소집했으나, 비상사태 선포 여부 결정을 23일로 연기했다.[30]
1월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진자는 중국에서 628명, 총 641명이 감염되어 이 가운데 17명이 사망하였다. 중국 정부는 우한시 내의 모든 대중교통 운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31] 그러나 바이러스 전파를 조기에 차단하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는 지적을 받는다.[32]
1월 24일,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두 번째 우한폐렴 감염자가 확인됐다.[33][34] WHO(세계보건기구)는 이번 사태가 아직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지 않았다.[35] 중국에서 889명, 총 910명이 감염되어 이 가운데 26명이 사망하였다. 중국 보건당국은 우한 외에 후베이성 다른 7곳의 도시에 추가로 여행금지령을 내렸다.[36]
1월 25일, 대한민국 외교부는 후베이성 전역의 여행경보를 철수권고(적색경보)로 변경했고,[37] 미국 정부는 전세기를 동원해 우한 주재 미국 영사관 외교관들을 귀국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영사관을 일시 폐쇄했다.[38]
1월 26일, 대한민국에서 3번째 확진자가 나왔다.[39] 1월 27일, 대한민국에서 4번째 확진자가 나왔다.[40]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바이러스의 등급을 보통에서 높음으로 올렸다.[41]
1월 28일, 일본에서 우한 체류 이력이 없는 관광버스기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건이 발생하였다.[42] 전세계 확진자수가 6천명으로 늘어났다.[43]
1월 30일, 대한민국 경찰청은 격리 거부 시 즉시 체포해 강제 격리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대응 요령을 배포했다.[44] 대한민국에서 5번째, 6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다. 6번째 감염자는 대한민국 최초 2차감염 사례이다.[45] 티베트 자치구에서도 첫 감염자가 나와 감염자가 중국 전역으로 완전히 퍼졌다.
1월 31일, 대한민국에서 7번째, 8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다. 9, 10, 11번째 감염자는 2차, 3차 감염자로 파악된다.[46] 중국 확진자가 1만 명을 돌파하고,[43] 코로나19 사망자가 3백 명을 돌파했다.[43] 중국에서 하루 2000명이 발병했다.[43]
2월 4일, 홍콩에서 39세 남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치료 중 사망했다.[47] 중국 우한 의사 리원량이 2월 7일 새벽 2시 58분에 사망했다.[48]
2월 14일, 중국 정부가 임상 진단 환자까지 포함하면서 확진자가 폭증한다.
2월 18일, 대한민국의 대구에서 31번째 확진자가 나왔다. 60대 여성이며 여행이력이 없다.
2월 19일, 대한민국의 확진자가 15명이 더 나왔고, 그중 13명은 대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다. 확진자가 5명 더 나와 51번째 확진자까지 나오게 되었다.
2월 20일, 대한민국에서 하루사이에 확진자가 50명 가량이 늘었다. 또한, 첫 번째 사망자도 나오게 되었다.
2월 21일, 경기도 김포시에서 확진자 2명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이들은 모두 신천지 교회를 방문하였었다. 코로나19 감염환자를 병원으로 이송중에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2월 22일, 대한민국에서 100여명이 추가감염 되었다. 대구에서는 코로나19 병동이 부족해 환자를 자가격리 시키는 사례가 발생되었다.
2월 23일, 경기도 김포시에서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전일 16시 대비 확진환자 123명이 추가로 확인되었다.[49] 현재까지 556명이 확진 되었으며, 이 중 534명이 격리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16,038명은 검사 음성, 6,039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50]
2월 24일, 7, 8번째 사망자가 나왔다.
2월 25일, 대한민국 재난관리 본부가 대구, 경북 지역의 확산을 최대한 막겠다는 뜻을 밝혔다. 9, 10번째 사망자가 발생했다. 서울 영등포구 대림3동에 첫 확진자가 발생하였다[51]
2월 26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경기도 내 노인 및 장애인 시설 1,824곳을 코호트 격리하기로 하였다.[52] 재확진을 받고 입원한 25번은 바이러스 재활성화로 보인다고 한다.[53]
2월 27일, 제주도에서 도내 3번째 확진자가 발생하였다.[54]
2월 28일, 대구에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55][56][57]
2월 29일, 부산의 50번 환자가 완치되어 퇴원하였다. 부산 첫 완치자이다.[58] 경남에서 2번째 완치 사례가 나왔다.[59]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에서 1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60]
3월 5일,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하선한 뒤 귀국한 국민 등 7명이 격리해제되어 퇴소했다.[61]
3월 6일, 16시 기준 '''322명'''이 추가 확진되었으며 사망자도 '''6명''' 추가되었다.[62]
3월 7일, 0시 기준, '''101명'''이 추가 확진되었다. 사망자는 165명으로 3명 증가했으며 159명이 완치되어 총 5,567명이 완치되었다. 확진 격리자 수는 4,155명으로 전일 대비 61명 감소했다. '''421,547명'''이 검사를 받았고, '''16,585명'''이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검사 적체가 전일 대비 '''307건''' 감소했다.
2. 3. 2021년
2021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과 관련된 여러 하위 문서가 생성되었다. 월별 코로나19 범유행 연표는 다음과 같다.- 2021년 1월
- 2021년 2월
- 2021년 3월
- 2021년 4월
- 2021년 5월
- 2021년 6월
- 2021년 7월
- 2021년 8월
- 2021년 9월
- 2021년 10월
- 2021년 11월
- 2021년 12월
월별 코로나19 범유행 대응 문서는 다음과 같다.
- 2021년 1월
- 2021년 2월
- 2021년 3월
- 2021년 4월
- 2021년 5월
- 2021년 6월
- 2021년 7월
- 2021년 8월
- 2021년 9월
- 2021년 10월
- 2021년 11월
- 2021년 12월
월별 코로나19 범유행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21년 1월
- 2021년 2월
- 2021년 3월
- 2021년 4월
- 2021년 5월
- 2021년 6월
- 2021년 7월
- 2021년 8월
한편, 한국에서는 신입 초,중,고교생들이 등교하기 시작했으며, 초등학생 1, 2학년, 중학생 1학년, 고등학교 3학년만이 매일 등교했다.
2. 4. 2022년
2022년에는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코로나19 범유행의 경과와 대응에 대한 기록이 있다. 각 월별 문서에는 해당 월의 주요 사건, 확진자 및 사망자 수 변화, 각국의 대응 조치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2. 5. 2023년
2023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연표가 기록되어 있다.3. 국가별 유행
아래 나열된 일부 연표에는 대응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다음은 다음 국가의 코로나19 범유행 연표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코트디부아르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우루과이 등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 (2020), 온타리오주 (2021), 온타리오주 (2022), 퀘벡주, 서스캐처원주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미국에서는 미국 (2020), 미국 (2021), 캘리포니아주, 메릴랜드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텍사스주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우루과이에서는 우루과이 (2020), 우루과이 (2021)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했다. 각 국가별 상세한 경과는 다음과 같다.
- 방글라데시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란
- 일본
- 말레이시아
- 네팔
- 파키스탄
- 필리핀
- 러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터키
-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는 연도별로 세분화된 코로나19 범유행 연표를 가지고 있다. 인도의 경우 2020년 1월~5월, 2020년 6월~12월, 2021년으로 나뉘며, 케랄라의 별도 연표도 존재한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말레이시아는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으로 나뉜다. 필리핀은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러시아는 2020년 1월~6월, 2020년 7월~12월로 나뉜다. 싱가포르는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 벨라루스
- 크로아티아
- 아일랜드
- 이탈리아
- 몰타
- 루마니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스웨덴
- 영국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피지, 뉴질랜드 등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각각 2020년부터 2022년, 2023년까지의 범유행 연표를 가지고 있다.
3. 1.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는 이집트,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코트디부아르에서도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다.
3. 2.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우루과이 등 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 (2020), 온타리오주 (2021), 온타리오주 (2022), 퀘벡주, 서스캐처원주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미국에서는 미국 (2020), 미국 (2021), 캘리포니아주, 메릴랜드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텍사스주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우루과이에서는 우루과이 (2020), 우루과이 (2021)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였다.
3. 3. 아시아
아시아 지역의 여러 국가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했다. 각 국가별 상세한 경과는 다음과 같다.- 방글라데시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란
- 일본
- 말레이시아
- 네팔
- 파키스탄
- 필리핀
- 러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터키
-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러시아, 싱가포르는 연도별로 세분화된 코로나19 범유행 연표를 가지고 있다. 인도의 경우 2020년 1월~5월, 2020년 6월~12월, 2021년으로 나뉘며, 케랄라의 별도 연표도 존재한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말레이시아는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으로 나뉜다. 필리핀은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러시아는 2020년 1월~6월, 2020년 7월~12월로 나뉜다. 싱가포르는 2020년, 2021년, 2022년으로 구분된다.
3. 4. 유럽
- 벨라루스
- 크로아티아
- 아일랜드
- 이탈리아
- 몰타
- 루마니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스웨덴
- 영국
3. 5.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지역에서는 호주, 피지, 뉴질랜드 등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각각 2020년부터 2022년, 2023년까지의 범유행 연표를 가지고 있다.
4. 대한민국의 유행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1. 개요
4. 2. 2019년
2019년 12월 1일, 우한시 의료진이 첫 감염자를 확인했다. 우한시 진인탄 병원 의료진 등이 포함된 연구팀은 2020년 1월 24일 영국 의료 학술지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첫 감염자를 2019년 12월 1일 확인했다고 보고했다.[6]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애초 화난수산시장 근로자에게 12월 12일 최초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지만, 이는 의료진의 보고와는 차이가 있다.2019년 12월 30일,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가 "원인미상의 폐렴 치료에 관한 긴급공지"를 발표하였다.[7]
2019년 12월 31일, 27명의 원인미상 폐렴 발병 사실이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된다. 대부분은 우한 수산물 시장의 상인들이었으며, 7명이 생명이 위중한 중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홍콩, 마카오, 타이완 정부는 입국자 검역조치를 강화했다.[8][9]
4. 3. 2020년
2020년 1월 10일, 우한 위생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사망자는 60대 남성이었다.[10] 1월 12일, 광둥성 선전에서 중증 폐렴 환자가 처음 발생했지만, 선전시 당국은 환자가 외지에 가거나 유사 환자와 접촉한 적이 없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은 아니라고 밝혔다. 같은 날,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MRC 연구팀은 중국 내 감염 환자가 공식 발표보다 40배 정도 많을 것이라고 추정했다.[14]1월 13일, 한국 질병관리본부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병원체로 지목된 박쥐의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한 성질을 보였다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11] WHO(세계보건기구)는 폐렴 발병이 화난 해산물 시장 한 곳에 국한돼 있으며,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람 간 전염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WHO는 중국에 이어 태국에서도 '우한 폐렴'의 원인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밝혔다.[12]
1월 15일, 가나가와현 거주 중국 국적의 30대 남성이 폐렴 증상으로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에서 바이러스 조사를 받은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이 남성은 치료 후 회복되어 퇴원했다. 같은 날,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두 번째 사망자가 발생했다.
1월 17일,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대학그룹은 1월 12일까지 초기증상발현을 포함하여 1,723건의 감염사례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치를 발표했다.[13][14] 1월 18일에는 감염 사례가 4천 건에 달했을 것이라고 추정치를 재계산했다.[15][16] 홍콩 대학 또한 이와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다.[17]
1월 19일, 우한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62명으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18] 1월 20일, 중국 정부는 베이징시에서 2명, 선전에서 1명을 포함하여 거의 140건에 달하는 신규환자 감염사례가 있었다고 발표했다.[19] 같은 날, 대한민국에서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발생했다.[26] 중국 국가보건위원회의 중난산은 의료진 14명이 환자 1명으로부터 감염됐다고 전했다.
1월 21일, 중국 정부는 우한 폐렴을 사스와 메르스에 해당하는 ‘을류(2급)’ 전염병으로 지정하고, 대응책은 ‘갑류’ 수준으로 올렸다. 홍콩대학 윈궉융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산이 이미 2003년 사스(SARS) 때처럼 전면적 확산 단계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27][28]
1월 22일, 미국에서 최초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발생했다. 중국 후베이성의 감염자는 약 444명, 사망자는 17명으로 늘어났으며, 중국 전역에서 감염자는 540명을 초과했다.[29] WHO는 긴급 위원회를 소집했으나, 비상사태 선포 여부 결정을 하루 연기했다.[30]
1월 23일, 중국에서 628명, 총 641명이 감염되어 17명이 사망했다. 중국 정부는 우한시 내의 모든 대중교통 운행을 중단하고, 우한시에서 출발하는 교통편 운행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31] 그러나 이러한 조치는 바이러스 전파를 조기에 차단하기에는 이미 늦었다는 지적을 받는다.[32]
1월 24일, 한국과 일본에서 각각 두 번째 우한폐렴 감염자가 확인됐다.[33][34] WHO는 이번 사태가 아직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35] 중국 보건당국은 우한 외에 후베이성 다른 7곳의 도시에 추가로 여행금지령을 내렸다.[36]
1월 25일, 대한민국 외교부는 후베이성 전역의 여행경보를 철수권고(적색경보)로 변경했고,[37] 미국 정부는 전세기를 동원해 우한 주재 외교관들을 귀국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일시적으로 해당 영사관을 폐쇄했다.[38]
1월 26일, 대한민국에서 3번째 확진자가 나왔다.[39] 1월 27일, 대한민국에서 4번째 확진자가 나왔다.[40]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바이러스의 등급을 보통에서 높음으로 올렸다.[41]
1월 28일, 일본에서 우한 체류 이력이 없는 관광버스기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사건이 발생하였다.[42] 전세계 확진자수가 6천명으로 늘어났다.[43]
1월 30일, 대한민국 경찰청은 격리를 거부하는 의심환자를 즉시 체포해 강제로 의료 시설 등으로 보낼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대응 요령을 배포했다.[44] 대한민국에서 5번째, 6번째 감염자가 발생했으며, 6번째 감염자는 대한민국 최초 2차감염 사례이다.[45] 티베트 자치구에서도 첫 감염자가 나와 감염자가 중국 전역으로 퍼졌다.
1월 31일, 대한민국에서 7번째, 8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다. 9, 10, 11번째 감염자는 기존 확진 환자들의 2차, 3차 감염자로 파악된다.[46] 중국 확진자가 1만 명을 돌파하고,[43] 코로나19 사망자가 3백 명을 돌파했다.[43] 중국에서 하루 2000명이 발병했다.[43]
2월 4일, 홍콩에서 39세 남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47] 중국 우한 의사 리원량이 폐렴 상태 악화로 밤 9시에 심장박동이 멈췄으나, 간신히 목숨을 유지하다가 새벽 2시 58분에 사망했다.[48]
이후, 중국 정부가 임상 진단 환자까지 포함하면서 확진자가 폭증하고, 대한민국에서도 확진자가 계속 늘어났다. 2월 18일, 대구에서 31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는데, 이 환자는 여행 이력이 없으며 서울 강남, 대구 남구 일대 등을 방문한 이력이 있다. 이후 대구,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신천지 교회 관련 감염 사례도 다수 발생했다. 2월 21일에는 코로나19 감염환자를 병원으로 이송중에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2월 23일, 대한민국 재난관리 본부는 대구, 경북 지역의 확산을 최대한 막겠다는 뜻을 밝혔다. 같은 날, 서울 영등포구 대림3동에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51]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경기도 내 노인 및 장애인 시설 1,824곳을 코호트 격리하기로 하였다.[52] 2월 24일, 재확진을 받고 입원한 25번 환자는 재감염이 아닌 바이러스 재활성화로 보인다고 한다.[53]
2월 25일, 제주도에서 3번째 확진자가 발생했다.[54] 2월 26일, 대구에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55][56][57]
2월 27일, 부산과 경남에서 완치 사례가 나왔다.[58][59] 같은 날,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에서 1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60]
2월 28일,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서 하선한 뒤 귀국한 국민 등 7명이 격리해제되어 퇴소했다.[61] 3월 9일 0시 기준, '''101명'''이 추가 확진되었다. 사망자는 165명으로 3명 증가했으며 159명이 완치되어 총 5,567명이 완치되었다. 또한 확진 격리자 수는 4,155명으로 전일 대비 61명 감소했다. '''421,547명'''이 검사를 받았고, '''16,585명'''이 검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검사 적체가 전일 대비 '''307건''' 감소했다.[62]
4. 4. 2021년
신입 초·중·고교생들이 등교하기 시작했다. 초등학생 1, 2학년, 중학생 1학년, 고등학교 3학년만 매일 등교한다.4. 5. 2023년
5. 대응
5. 1. 국제 사회의 대응
5. 2. 대한민국의 대응
참조
[1]
웹사이트
Coronavirus
https://www.who.int/[...]
2020-01-27
[2]
뉴스
In Hunt for Covid-19 Origin, Patient Zero Points to Second Wuhan Market - The man with the first confirmed infection of the new coronavirus told the WHO team that his parents had shopped there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21-02-27
[3]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secon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 Emergency Committee regarding the outbreak of novel coronavirus (2019-nCoV)
https://www.who.int/[...]
2020-01-30
[4]
웹사이트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11 March 2020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3-11
[5]
웹사이트
WHO declares end to COVID global health emergency
https://www.reuters.[...]
2023-05-09
[6]
웹인용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infected with 2019 novel coronavirus in Wuhan, China
https://www.thelance[...]
Lancet
2020-01-28
[7]
웹인용
UNDIAGNOSED PNEUMONIA – CHINA (HUBEI): REQUEST FOR INFORMATION. Archive Number: 20191230.6864153
https://promedmail.o[...]
International Society for Infectious Diseases
2020-01-19
[8]
웹인용
Undiagnosed pneumonia - China (HU) (01): wildlife sales, market closed, RFI Archive Number: 20200102.6866757
https://promedmail.o[...]
International Society for Infectious Diseases
2020-01-13
[9]
저널
Pneumonia in China: lack of information raises concerns among Hong Kong health workers
https://www.bmj.com/[...]
2020-01-17
[10]
웹인용
China Reports First Death From New Virus
https://www.nytimes.[...]
NewYork Times
2020-01-28
[11]
웹인용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분석 ㆍ검사법 개발 착수
https://www.cdc.go.k[...]
질병관리본부
2020-01-28
[12]
웹인용
WHO statement on novel coronavirus in Thailand
https://www.who.int/[...]
세계보건기구
2020-01-28
[13]
뉴스
New Chinese virus 'will have infected hundreds'
https://www.bbc.com/[...]
2020-01-18
[14]
웹인용
Estimating the potential total number of novel Coronavirus cases in Wuhan City, China (report 1)
https://www.imperial[...]
2020-01-18
[15]
뉴스
Lisa Schnirring: WHO decision on nCoV emergency delayed as cases spike
http://www.cidrap.um[...]
CIDRAP News
2020-01-23
[16]
웹인용
Estimating the potential total number of novel Coronavirus cases in Wuhan City, China (Report 2
https://www.imperial[...]
2020-01-18
[17]
웹인용
HKUMed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Infectious Disease Epidemiology and Control releases real-time nowcast on the likely extent of the Wuhan coronavirus outbreak,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read with the forecast for chunyun
https://sph.hku.hk/e[...]
2020-01-23
[18]
웹인용
China's Wuhan reports 17 new pneumonia cases
https://www.globalti[...]
Global Times
2020-01-28
[19]
웹인용
China confirms sharp rise in cases of SARS-like virus across the country
https://www.france24[...]
2020-01-20
[20]
웹인용
2019 Novel Coronavirus (2019-nCoV)
https://www.cdc.gov/[...]
2020-01-21
[21]
뉴스
Coronavirus: China reports 17 new cases of Sars-like mystery virus
https://www.theguard[...]
2020-01-19
[22]
웹인용
China Reports New Cases of Wuhan Virus as Hectic Travel Period Nears
https://www.wsj.com/[...]
2020-01-19
[23]
웹인용
广东确诊1例新型冠状病毒感染的肺炎病例
https://news.sina.co[...]
2020-01-20
[24]
웹인용
South Korea confirms first case of new coronavirus in Chinese visitor
https://www.channeln[...]
2020-01-20
[25]
웹인용
Wuhan virus: China announces more confirmed cases, including in Shanghai and Guangdong
https://www.straitst[...]
2020-01-20
[26]
웹인용
Wuhan sees 136 new pneumonia cases, 2 reported in Beijing, 1 in Guangdong
https://www.globalti[...]
Global Times
2020-01-28
[27]
뉴스
Wuhan coronavirus has entered transmission stage among families and hospitals, taking it a step closer to full-blown community epidemic, Hong Kong expert warns
https://www.scmp.com[...]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2020-01-23
[28]
웹인용
홍콩 학자 "우한 폐렴, 전면적 확산 가능성"..1459명 감염 추정도
https://news.v.daum.[...]
2020-01-23
[29]
뉴스
'우한 폐렴' 사망자 17명으로 급증…확진자 500명 넘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1-23
[30]
웹인용
WHO, '우한 폐렴' 비상사태 선포 여부 23일 결정(종합2보)
https://news.v.daum.[...]
2020-01-23
[31]
웹인용
'우한 코로나' 발병지 우한 긴급 봉쇄
https://news.naver.c[...]
2020-01-23
[32]
웹인용
'우한 봉쇄' 초강수에도 확진자 600명 넘어..해외에서도 6명(종합)
https://news.v.daum.[...]
2020-01-23
[33]
웹인용
일본서 두번째 '우한폐렴' 확진자 발생…40대 남성 여행객
http://www.newsis.co[...]
2020-01-24
[34]
웹인용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2020-01-24
[35]
웹인용
WHO "우한 폐렴, 국제적 비상사태 선포 단계 아냐"(종합2보)
https://news.naver.c[...]
2020-01-24
[36]
웹인용
"[우한 폐렴}후베이성 도시 8곳 봉쇄...WHO는 비상사태 선포 안해"
https://news.naver.c[...]
2020-01-24
[37]
웹인용
외교부, 중국 우한시 여행경보 3단계 '철수권고'로 상향조정
https://news.naver.c[...]
2020-01-25
[38]
웹인용
“美 우한서 자국민 철수시킨다…전세기 투입, 영사관은 폐쇄"
https://news.naver.c[...]
2020-01-25
[39]
웹인용
"'신종코로나' 3번째 환자 74명 접촉…성형외과·호텔·한강 방문(종합)"
https://news.naver.c[...]
2020-01-27
[40]
웹인용
국내 ‘우한폐렴’ 4번째 확진 환자 발생…우한시 방문 55세 한국인 남성
http://www.donga.com[...]
2020-01-27
[41]
웹인용
WHO, 신종코로나 글로벌 위험 수위 '보통→높음'으로 수정
https://www.yna.co.k[...]
2020-01-28
[42]
웹인용
우한서 온 여행객 태운 일본 버스 운전사 신종코로나 감염
https://www.yna.co.k[...]
2020-01-28
[43]
웹인용
Coronavirus Update (Live)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44]
웹인용
신종코로나 의심환자, 격리 거부시 체포돼 강제 격리된다
https://news.naver.c[...]
2020-01-30
[45]
웹인용
"[속보]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첫 ‘2차 감염자’ 발생"
http://www.ichannela[...]
2020-01-30
[46]
웹사이트
http://www.cdc.go.kr[...]
2020-01-31
[47]
웹인용
홍콩서 첫 신종코로나 사망자…39세 남성(상보)
http://news1.kr/arti[...]
2020-02-04
[48]
문서
리원량 문서 참조
[49]
웹사이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2월 23일 09시)
http://www.mohw.go.k[...]
[50]
웹사이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브리핑(2월 23일)
https://www.mdon.co.[...]
[51]
웹인용
영등포구 2번째 확진자…대림3동 50대 남성, 성동구서 직장
https://www.news1.kr[...]
2023-01-24
[52]
웹인용
경기도, '감염 취약' 노인·장애인 시설 1824곳 '코호트 격리'
https://v.daum.net/v[...]
2023-01-24
[53]
웹인용
“‘재확진’ 25번 환자 주치의 “재감염 아닌 재활성화로 보여”"
https://news.kmib.co[...]
2023-01-24
[54]
웹인용
"[속보] 제주지역 코로나19 확진자 추가 발생…대구 거주 여성"
https://www.fnnews.c[...]
2023-01-24
[55]
웹인용
코로나19 대구 사망자 4명 증가…국내 사망 26명으로 늘어
https://www.yna.co.k[...]
2023-01-24
[56]
웹인용
조인스프라임 종료 안내
https://www.joins.co[...]
2023-01-24
[57]
웹인용
코로나19 사망자 6명 늘어 총 28명…확진자 총 4천335명(종합3보)
https://www.yna.co.k[...]
2023-01-24
[58]
웹인용
부산 확진자 첫 퇴원…3일 현재 격리 치료 환자는 78명(종합)
https://www.yna.co.k[...]
2023-01-24
[59]
웹인용
경남서 코로나19 두번째 완치자 나와...4명 퇴원 검사 중
https://n.news.naver[...]
2023-01-24
[60]
웹인용
괴산 82세 여성 코로나19 확진…충북 12번째
https://www.news1.kr[...]
2023-01-24
[61]
웹인용
일본 크루즈선서 귀국한 국민 6명·일본인 1명 오늘 격리해제
https://www.yna.co.k[...]
2023-01-24
[62]
웹인용
코로나19 45일만에 사망 41명, 메르스 넘었다…총 확진 6천88명(종합)
https://n.news.naver[...]
2023-01-24
[63]
웹인용
실내 마스크 벗지만 '엔데믹'은 아직.."해외여행, 가더라도.."
http://www.jibs.co.k[...]
2023-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