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라스푸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라스푸틴은 1869년 러시아 제국의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종교적 신념을 통해 러시아 황실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그는 떠돌이 생활을 거쳐 1900년대 초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나타나 알렉세이 황태자의 혈우병을 치료하는 능력을 인정받아 황실의 신임을 얻었다. 라스푸틴은 알렉산드라 황후의 신뢰를 바탕으로 궁정에서 상당한 권력을 얻었으나, 종교적 이단 혐의, 부적절한 정치 개입, 황후와의 불륜설 등으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결국 1916년 귀족들에 의해 암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라스푸틴은 기묘한 행적과 최후로 인해 대중문화에서 신비로운 인물로 묘사되며 다양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러시아 - 브루실로프 공세
    브루실로프 공세는 1916년 러시아가 주도한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공세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공격하여 초기에는 성공했으나 독일군의 증원과 보급 부족으로 실패했으며, 러시아 혁명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16년 살인 사건 - 레오폴트 클레멘스 필리프 아우구스트 마리아
    레오폴트 클레멘스 필리프 아우구스트 마리아는 벨기에의 루이즈 공주와 작센코부르크고타의 필리프 공자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기병대 대위로 복무하다가 평민 여성과의 비극적인 사랑으로 인해 연인에게 살해당했다.
그리고리 라스푸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그리고리 라스푸틴
1910년대 경의 라스푸틴 초상화
본명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
로마자 표기Geurigori Yepimobicheu Raseuputin
출생일1869년 1월 21일 (구 1869년 1월 9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토볼스크 주 포크롭스코예
사망일1916년 12월 30일 (향년 47세) (구 1916년 12월 17일)
사망 장소러시아 제국 페트로그라드
국적러시아 제국
배우자1887년 프라스코비아 표도로브나 두브로비나와 결혼
자녀마리아 포함 3명
매장 장소차르스코예 셀로 (이후 발굴 및 화장)
종교러시아 정교회
직업기독교 신비주의자
교회 정보
소속 교회러시아 정교회
기타 정보
존경(정보 없음)
일본어 정보
후리가나グリゴリー・エフィモヴィチ・ラスプーチン (Geurigori Efimobichi Raseupūchin)
직업농민, 자칭 기도승
한국어 정보 (공직)
직책러시아 제국 궁정 추밀원 동방국가외교특사비서관
임기 시작1913년 1월 22일
임기 종료1916년 12월 28일
군주니콜라이 2세
정당무소속
경력파계 성직자 출신
배우자프라스코비아 표도로프나 두브로비나
자녀드미트리 라스푸틴 (1897-1937), 마리야 라스푸틴 (1898-1977), 바르바라 라스푸틴 (1900-1925)

2. 생애

1897년, 라스푸틴은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어 순례를 떠났다. 이후 몇 년 동안 ''스트란니크''(거룩한 방랑자 또는 순례자)로 지내며, 몇 달 또는 몇 년씩 고향 포크로프스코예를 떠나 전국을 방황하며 다양한 성지를 방문했다.[33] 1900년에는 동방 정교회 수도 생활의 중심지인 아토스 산까지 갔을 가능성도 있다.

1903년 제정 러시아 수도인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나타난 라스푸틴은 혈우병을 앓던 황태자를 기도 요법으로 병세를 완화시켜 신망을 얻고 귀족 대접을 받게 되었다.[256]

마카리, 테오판 주교와 라스푸틴, 1909년


라스푸틴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 신학원 검사인 수도원장 테오판 등 교회 지도자들에게 소개되었고, 테오판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집에 머물도록 했다. 테오판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라스푸틴의 가장 중요한 친구 중 한 명이 되었고, 현지 귀족들이 종교 토론을 위해 모이는 살롱에 그를 데려갔다.

심령주의 및 신지학 등 대안 종교 운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많은 이들이 오컬트와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해 강한 호기심을 보였다. 라스푸틴의 생각과 "이상한 태도"는 도시 엘리트들 사이에서 강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1905년까지 라스푸틴은 차르 니콜라이 2세의 사촌과 결혼한 몬테네그로 공국의 밀리차와 아나스타샤 등 귀족들과 친분을 맺었고, 그들은 라스푸틴을 차르와 그의 가족에게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5년 11월 1일, 라스푸틴은 페테르호프 궁전에서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다. 차르는 일기에 자신과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가 "토볼스크 지방 출신의 하나님의 사람인 그리고리"를 알게 되었다고 기록했다.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가 자녀들, 라스푸틴, 유모 마리아 이바노바 비시냐코바와 함께, 1908년


알렉산드라 황후는 극심한 신경쇠약으로 라스푸틴 없이는 하루도 견디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라스푸틴은 이를 이용하여 니콜라이 2세를 사실상 허수아비로 만들며 폭정을 일삼았다.[257] 니콜라이 2세의 여동생인 올가 알렉산드로브나는 라스푸틴을 제거해야 러시아가 평화로워진다고 주장하며 그를 몰아내려 했으나, 황후의 지지를 받는 그를 쉽게 건드릴 수 없었다.

라스푸틴과 추종자들, 1914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에 직접 참전한 1915년부터 러시아는 사실상 라스푸틴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그의 폭정은 이전에도 유례가 없을 정도였다.[257]

제1차 세계 대전봉건제의 해체, 그리고 정부 관료주의의 간섭은 러시아 경제를 급격히 쇠퇴시켰다. 많은 사람들은 알렉산드라 황후와 라스푸틴을 비난했다. 두마의 극우 정치인 블라디미르 푸리시케비치는 1916년 11월, 황제의 각료들이 "라스푸틴과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러시아의 악마적 천재이자 차리나…가 러시아 왕위에 머무르며 나라와 국민에게 이질적인 존재가 된 독일인"의 손에 굳게 잡힌 실을 가진 꼭두각시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라스푸틴과 황실 부부의 풍자화, 1916


펠릭스 유수포프, 1914년, 차르의 조카인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로마노바 공주의 남편


라스푸틴이 살해된 상트페테르부르크 모이카 강변에 있는 유수포프 궁전의 지하실


라스푸틴의 시신이 말라야 네브카 강으로 던져진 나무로 된 볼쇼이 페트로프스키 다리


머리에 총상을 입고 땅에 쓰러진 라스푸틴의 시체


펠릭스 유수포프,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푸리슈케비치가 이끄는 귀족들은 라스푸틴이 알렉산드라에게 미치는 영향이 러시아 제국을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1916년 12월에 라스푸틴을 죽일 계획을 꾸몄다. 이들은 라스푸틴을 유수포프의 모이카 궁전으로 유인했다.[258]

라스푸틴은 1916년 이른 아침 유수포프 공작의 집에서 살해당했다. 그는 세 발의 총상을 입었고, 그중 한 발은 머리에 근거리에서 맞은 것이었다. 이 외에는 그의 죽음에 대해 확실한 것이 거의 없으며, 그의 죽음의 정황은 상당한 추측의 대상이 되어 왔다.

유수포프의 설명에 따르면, 라스푸틴은 자정 직후 그의 궁전에 초대되어 지하실로 안내되었다. 유수포프는 청산가리를 넣은 차와 케이크를 제공했다. 라스푸틴은 처음에는 케이크를 거부했지만 먹기 시작했고, 유수포프가 놀랍게도 독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라스푸틴은 (역시 독이 든) 마데이라 와인을 요청했고 세 잔을 마셨지만, 여전히 고통을 보이지 않았다. 오전 2시 30분경 유수포프는 위층으로 가서 동료 공모자들을 기다렸다. 그는 파블로비치로부터 권총을 가져와 지하실로 돌아가 라스푸틴에게 방에 있는 십자가를 가리키며 "십자가를 보고 기도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한 다음 가슴에 한 발을 쐈다. 그 후 공모자들은 라스푸틴의 아파트로 차를 몰고 갔고, 수호틴은 라스푸틴이 그날 밤 집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이도록 라스푸틴의 코트와 모자를 착용했다. 유수포프는 궁전으로 돌아와 라스푸틴이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하실로 다시 내려갔다. 갑자기 라스푸틴이 일어나 유수포프를 공격했고, 유수포프는 간신히 벗어나 위층으로 도망갔다. 라스푸틴은 유수포프를 따라 궁전 안뜰로 갔고, 그곳에서 푸리슈케비치의 총에 맞았다. 그는 눈 속에 쓰러졌다. 공모자들은 그의 시신을 천으로 감싸 페트로프스키 다리로 운반하여 리틀 네브카 강에 던졌다.

근거 없는 주장으로,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했다고 이전에 주장되었던 타티아나 대공녀가 라스푸틴 살해 현장에 있었으며, "자신을 강간하려 했던 라스푸틴에게 복수하기 위해 셰발리에 가드의 중위로 위장했다"고 한다. 러시아 주재 프랑스 대사인 모리스 팔레올로그는 타티아나가 라스푸틴의 거세를 목격했다고 하는데, 그는 그 소문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0]

라스푸틴의 죽음에 대한 현대적 분석에서, 토론토 대학교의 캐롤린 해리스 박사는 사건 100주년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실제 상황은 유수포프의 설명보다 덜 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스푸틴의 딸은 아버지가 단 음식을 싫어했고, 독이 든 케이크를 먹지 않았을 것이라고 기록했다. 관련 공식 외과 의사의 부검 기록에는 독살이나 익사의 기록이 없으며, 단지 머리에 근거리에서 발사된 단 한 발의 총알에 의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1]

2. 1. 초기 생애

그리고리 라스푸틴은 시베리아 토볼스크 현(현재의 튜멘주) 투라 강 인근 포크로프스코예 마을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노비흐(Grigory Yefimovich Novykh)'''였으나, 학창 시절 방탕한 생활로 인해 주변에서 '방탕한 사람'이라는 뜻의 '라스푸틴'으로 불리게 되었다.[256]

1912년 포크로프스코예


라스푸틴과 그의 자녀들


공식 기록에 따르면, 1869년 1월 9일에 태어나 다음 날 유아 세례를 받았다. 그는 1월 10일에 축일이 기념되는 니사의 성 그레고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라스푸틴의 부모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 아버지 예핌(1842년 – 1916년)은 포크로프스코예에서 태어나 1863년 라스푸틴의 어머니 안나 파르슈코바(c. 1840년 – 1906년)와 결혼한 농부이자 교회 장로였다. 예핌은 토볼스크튜멘 사이에서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정부 택배원으로도 일했다. 이 부부에게는 일곱 명의 자녀가 더 있었지만 모두 유아기 또는 어린 시절에 사망했고, 아홉 번째 자녀인 페오도시야가 있었을 수도 있다. 역사가 조셉 T. 푸르만(Joseph T. Fuhrmann)에 따르면, 라스푸틴은 페오도시야와 매우 가까웠고 그녀의 아이들의 대부였지만, 현재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그 이상을 알 수 없다.

역사가 더글러스 스미스에 따르면, 라스푸틴의 젊은 시절과 초기 성인기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암흑 시대"이다. 신뢰할 수 있는 자료와 정보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그가 유명해진 후 라스푸틴의 부모와 젊은 시절에 대한 이야기가 날조되기도 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라스푸틴이 대부분의 시베리아 농민들처럼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고, 초기 성인기까지 문맹으로 남았다는 데 동의한다. 지역 기록 보관소에 따르면 그는 다소 난폭한 청소년기를 보냈으며, 술, 소규모 절도, 지역 당국에 대한 불경 등의 행적이 있었을 수 있다. 그러나 말 도둑질, 신성 모독, 거짓 증언 등 그에게 씌워진 주요 범죄 혐의에 대한 증거는 없다.

1886년, 라스푸틴은 튜멘에서 동북동쪽으로 약 250km,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2,800km 떨어진 아발라크로 여행하여 프라스코비야 두브로비나라는 농부 소녀를 만났다. 몇 달간의 교제 끝에 1887년 2월에 결혼했다. 프라스코비야는 라스푸틴이 여행하고 유명해지는 동안 포크로프스코예에 머물렀고, 그가 죽을 때까지 헌신했다. 이 부부에게는 일곱 명의 자녀가 있었지만, 디미트리(1895년생), 마리아(1898년생), 바르바라(1900년생) 세 명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

라스푸틴은 학교에 다니지 않아 글을 읽고 쓸 수 없었다. 1897년 러시아 정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마찬가지로 글을 읽고 쓸 수 없었다.[27] 그는 불량한 행동을 하는 난폭한 젊은이로 성장했으며, 러시아 정교회 고의식파의 스코프치파 교리에 경도되어 지도자로서 두각을 나타내기도 했다. 딸 마리아 라스푸티나가 어린 시절의 라스푸틴에 대한 기록을 남겼지만, 신뢰성이 낮다고 여겨진다.[29]

2. 2. 종교적 회심과 순례

1897년, 라스푸틴은 종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되어 순례를 떠나기 위해 고향 포크로프스코예를 떠났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말 도둑질에 연루되어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였다는 설과, 성모 마리아나 베르호투리예의 성 시메온의 환상을 보았다는 설, 젊은 신학도 멜리티 자보롭스키에게 영감을 받았다는 설 등이 있다.[30] 어떤 이유에서든, 라스푸틴은 28세의 나이에 결혼 10년 차, 어린 아들과 뱃속의 아이를 둔 채 이전 삶을 버렸다. 이는 "어떤 종류의 정서적 또는 영적 위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1]

라스푸틴은 이전에도 아발라크의 성 지아멘스키 수도원과 토볼스크 대성당으로 짧은 순례를 한 적이 있었지만, 1897년 베르호투리예의 성 니콜라스 수도원을 방문하면서 큰 변화를 겪었다.[32] 그곳에서 ''스타레츠''(장로) 마카리를 만나 깊이 겸손해졌다. 라스푸틴은 베르호투리예에서 몇 달을 보내며 읽고 쓰는 법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후에 그는 베르호투리예의 일부 수도사들이 동성애에 연루되었고 수도원 생활이 너무 강압적이라고 비판했다.[33] 그는 꾀죄죄한 모습에, 이전과 다르게 행동하는 변화된 모습으로 포크로프스코예로 돌아왔다. 채식주의자가 되었고, 술을 끊었으며, 이전보다 훨씬 더 열렬히 기도하고 노래했다.[30]

그 후 몇 년 동안 라스푸틴은 ''스트란니크''(거룩한 방랑자 또는 순례자)로 지내며, 몇 달 또는 몇 년씩 포크로프스코예를 떠나 전국을 방황하며 다양한 성지를 방문했다.[33] 1900년에는 동방 정교회 수도 생활의 중심지인 아토스 산까지 갔을 가능성도 있다.

1900년대 초, 라스푸틴은 가족과 지역 농민들을 중심으로 작은 추종자 집단을 만들었고, 그가 포크로프스코예에 있을 때 일요일과 기타 성일에 함께 기도했다. 이들은 예핌의 지하실에 임시 예배당을 짓고 비밀 기도 모임을 가졌다. 그러나 이 모임은 마을 사제와 다른 마을 사람들의 의심과 적대심을 샀다. 여성 추종자들이 모임 전에 라스푸틴을 의식적으로 씻기고, 이상한 노래를 부른다는 소문이 돌았고, 심지어 라스푸틴이 자가 채찍질과 성적인 향연을 포함하는 열광적인 의식으로 소문난 종교 분파인 흘리스티에 가입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30][31] 그러나 반복적인 조사에도 라스푸틴이 흘리스티 분파의 일원이라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러한 소문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1892년, 라스푸틴은 밭일을 하던 중 성모 마리아의 계시를 받았다는 설과 함께, 갑작스럽게 아버지와 아내에게 "순례를 떠난다"고 말하고 마을을 떠났다.[30] 출분 후 베르호투리예의 수도원에서 수개월을 보내면서 마카리라는 수도승에게 강한 영향을 받아 금주와 육식을 삼가게 되었고, 마을로 돌아왔을 때는 열성적인 수도승이 되어 있었다.[31][32][33]

왼쪽부터 라스푸틴, 돌가뇨프, 비스트로프 (1906년)


1903년에 다시 마을을 떠나 수개월 동안 순례 여행을 떠나 키예프-페체르스크 대수도원을 순례했고, 카잔에서는 주교와 상류 계급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34][35][36] 라스푸틴은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독자적인 해석으로 성서를 이해하는 그의 열성적인 자세가 호감을 샀다.[37]

2. 3. 황실과의 만남

1903년 당시 제정 러시아 수도인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나타났고, 혈우병으로 고생한 황태자를 기도 요법으로 병세를 완화시켜 신망을 얻었으며, 귀족 대접을 받게 되었다.[256]

라스푸틴은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의 신학원 검사인 수도원장 테오판을 포함한 교회 지도자들에게 소개되었는데, 테오판은 라스푸틴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그의 집에 머물도록 했다. 테오판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라스푸틴의 가장 중요한 친구 중 한 명이 되었고, 현지 귀족들이 종교 토론을 위해 모이는 살롱에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심령주의 및 신지학과 같은 대안 종교 운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많은 귀족들은 오컬트와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해 강한 호기심을 보였다. 라스푸틴의 생각과 "이상한 태도"는 도시 엘리트들 사이에서 강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1905년까지 라스푸틴은 차르 니콜라이 2세의 사촌과 결혼한 몬테네그로 공국의 밀리차와 아나스타샤와 같은 귀족들과 친분을 맺었고, 그들은 라스푸틴을 차르와 그의 가족에게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라스푸틴은 1905년 11월 1일 페테르호프 궁전에서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다. 차르는 일기에 이 사건을 기록하면서 자신과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가 "토볼스크 지방 출신의 하나님의 사람인 그리고리"를 알게 되었다고 썼다.

라스푸틴은 사람들에게 병을 치료하고 신자를 늘려 '신의 사람'이라고 불렸고, 신비주의에 기울어진 밀리차 대공비와 아나스타시야 대공비 자매의 총애를 받게 되었으며[42], 1905년 11월 1일에 대공비 자매의 소개로 러시아 황제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를 알현했다.[43]

1906년 10월, 니콜라이 2세의 요청을 받아 폭탄 테러로 부상당한 표트르 스톨리핀의 딸을 치료했으며, 1907년 4월에는 예카테리나 궁전에 불려가 혈우병 환자였던 알렉세이 황태자를 치료했다. 의사들은 라스푸틴의 능력에 회의적이었지만, 그가 기도를 드리자 다음 날 알렉세이의 발작이 멈추고 증상이 호전되었다.[46][47]

1912년 10월 9일, 황실 가족은 비아워비에자 숲에서 사냥을 하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알렉세이의 병세가 악화되었다.[57] 황실 가족은 스파와(Spała)로 옮겨 치료를 받았고, 알렉산드라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라스푸틴에게 조언을 구했다.[58][59][60] 다음날 10일, 라스푸틴은 "어린아이는 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치료하는 것을 시의들이 허락하지 않겠지요."라고 적힌 편지를 보냈다.[61] 라스푸틴의 조언대로 알렉세이는 죽지 않았지만, 병세가 회복된 것은 1913년에 들어서였다.

2. 4. 황실에서의 영향력 확대

알렉산드라 황후는 극심한 신경쇠약으로 라스푸틴 없이는 하루도 견디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라스푸틴은 이를 이용하여 니콜라이 2세를 사실상 허수아비로 만들며 폭정을 일삼았다.[257] 니콜라이 2세의 여동생인 올가 알렉산드로브나는 라스푸틴을 제거해야 러시아가 평화로워진다고 주장하며 그를 몰아내려 했으나, 황후의 지지를 받는 라스푸틴을 쉽게 건드릴 수 없었다.

라스푸틴은 러시아 농민들에게 생계유지조차 어려울 만큼 가혹한 세금을 거둬들여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웠으며, 이에 항의하는 농민들에게는 총탄을 퍼붓기도 했다. 후세 사람들은 이를 피의 일요일이라 부른다. 1915년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에 직접 참전하면서 러시아는 완전히 라스푸틴의 천하가 되었고, 그의 폭정은 전무후무한 수준이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의 일반 농민들은 물론 황제파 귀족들마저 황제에게 등을 돌리게 되었다.

1900년대 초 시베리아에서 라스푸틴의 활동과 카리스마에 대한 소문이 퍼지기 시작했다. 1904년 또는 1905년 경, 그는 카잔 시로 가서 영적 위기와 불안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현명한 ''스타레츠''로서 명성을 얻었다. 여성 추종자들과의 성관계 소문에도 불구하고, 라스푸틴은 여러 지역 종교 지도자들의 호감을 얻었다. 이들 중에는 수도원장 안드레이와 주교 크리스탄노스가 있었는데, 이들은 라스푸틴에게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의 신학원 원장인 세르게이 주교에게 추천서를 써주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여행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라브라에 도착한 라스푸틴은 신학원 검사인 수도원장 테오판을 포함한 교회 지도자들에게 소개되었다. 테오판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사회에서 인맥이 좋았고 나중에 황실의 고해사로 일했다. 그는 라스푸틴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집에 머물도록 초대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라스푸틴의 가장 중요한 친구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현지 귀족들이 종교 토론을 위해 모이는 영향력 있는 ''살롱''에 라스푸틴을 데려갔고, 여기서 라스푸틴은 초기 추종자들을 얻었지만, 이들 중 다수는 나중에 그를 배신하게 된다.

심령주의 및 신지학과 같은 대안 종교 운동은 라스푸틴이 도착하기 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고, 많은 귀족들은 오컬트와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해 강한 호기심을 보였다. 라스푸틴의 생각과 "이상한 태도"는 도시 엘리트들 사이에서 강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라스푸틴은 이전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인기를 얻었던 니지에르 안텔름 필리프와 제라르 앙코스와 같은 자칭 "성직자"와 달리, 러시아인이었다는 사실도 매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푸어만에 따르면 라스푸틴은 첫 방문 때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몇 달만 머물렀고 1903년 가을에 포크롭스코예로 돌아갔다. 그러나 스미스는 라스푸틴이 처음 도착해서 1905년 사이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렀는지, 포크롭스코예로 돌아갔는지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1905년까지 라스푸틴은 니콜라이 2세의 사촌과 결혼한 몬테네그로 공국의 밀리차와 아나스타샤와 같은 귀족들과 친분을 맺었고, 그들은 라스푸틴을 차르와 그의 가족에게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05년 11월 1일, 라스푸틴은 페테르호프 궁전에서 니콜라이를 처음 만났다. 차르는 일기에 이 사건을 기록하면서 자신과 황후가 "토볼스크 지방 출신의 하나님의 사람인 그리고리"를 알게 되었다고 썼다. 라스푸틴은 첫 만남 직후 포크롭스코예로 돌아갔고 1906년 7월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오지 않았다. 돌아온 그는 니콜라이에게 성 베르호투리의 시메온의 성상을 차르에게 바치고 싶다는 전보를 보냈다. 그는 7월 18일에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를 만났고, 10월에는 그들의 자녀들을 처음 만났다.

라스푸틴이 황실 가족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주된 이유는 알렉산드라를 비롯한 사람들이 그가 여러 차례 알렉세이의 고통을 완화하고 출혈을 멈추게 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역사가 마르크 페로에 따르면, 차르 부인은 라스푸틴에게 "열정적인 애착"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가 아들의 고통을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해럴드 슈크먼은 라스푸틴이 "왕실 측근의 필수적인 구성원"이 되었다고 썼다. 언제 라스푸틴이 알렉세이의 혈우병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고, 언제 그가 처음 치료사 역할을 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는 1906년 10월 초에 이미 알렉세이의 상태를 알고 있었을 수 있으며, 1907년 봄에 알렉세이가 내부 출혈을 겪자 알렉산드라에 의해 차레비치(황태자)를 위해 기도하도록 소환되었다. 알렉세이는 다음 날 아침에 회복되었다. 알렉산드라의 친구 안나 비루보바는 그 직후 라스푸틴에게 기적적인 힘이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고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912년 여름, 알렉세이는 스파와의 황실 사냥터 근처에서 흔들리는 마차를 탄 후 허벅지와 사타구니에 출혈이 발생하여 큰 혈종을 유발했다. 심한 고통과 열로 의식을 잃은 차레비치는 죽음에 가까워 보였다. 절망에 빠진 알렉산드라는 비루보바에게 라스푸틴(시베리아에 있었음)에게 알렉세이를 위해 기도해 달라는 전보를 보내도록 요청했다. 라스푸틴은 즉시 답장을 보내 차르 부인에게 "신께서 당신의 눈물을 보시고 당신의 기도를 들으셨습니다. 슬퍼하지 마세요. 작은 아이는 죽지 않을 것입니다. 의사들이 그를 너무 괴롭히도록 내버려 두지 마세요."라고 말했다. 다음 날 아침, 알렉세이의 상태는 변함이 없었지만 알렉산드라는 이 메시지에 힘입어 그가 살아남을 것이라는 희망을 되찾았다. 그의 출혈은 다음 날 멈췄다. 알렉세이를 진료한 의사 중 한 명인 S. P. 표도로프 박사는 "회복은 의학적 관점에서 완전히 설명할 수 없는 것이었다"고 인정했다.[2] 나중에 표도로프 박사는 알렉산드라가 라스푸틴을 기적적인 사람으로 본 것에 대해 비난받을 수 없다고 인정했다. "라스푸틴이 와서 환자에게 다가가 그를 보고 침을 뱉었다. 출혈은 곧 멈췄다.... 그런 후에 황후가 어떻게 라스푸틴을 믿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3]

역사가 로버트 K. 매시는 알렉세이의 회복을 "라스푸틴 전설 전체에서 가장 불가사의한 사건 중 하나"라고 불렀다. 그의 회복 원인은 불분명하다. 매시는 라스푸틴이 의사들이 알렉세이를 방해하지 못하게 한 제안이 그가 휴식을 취하고 회복하도록 하여 그의 회복을 도왔거나, 그의 메시지가 어머니를 진정시키고 차레비치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알렉세이의 회복을 도왔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알렉산드라는 라스푸틴이 기적을 행했다고 믿었고, 그가 알렉세이의 생존에 필수적이라고 결론지었다. 페로와 같은 일부 작가와 역사가들은 라스푸틴이 최면술을 통해 다른 경우에 알렉세이의 출혈을 멈췄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역사가들(알렉세이의 프랑스어 가정교사인 피에르 질리아드를 포함)은 라스푸틴이 1950년대까지 항응고제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통증 완화에 널리 사용되던 아스피린의 투여를 금지함으로써 알렉세이의 출혈을 조절했다고 추측했다.[4]

2. 5. 제1차 세계 대전과 국정 개입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에 직접 참전한 1915년부터 러시아는 사실상 라스푸틴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그의 폭정은 이전에도 유례가 없을 정도였다.[257]

제1차 세계 대전봉건제의 해체, 그리고 정부 관료주의의 간섭은 러시아 경제를 급격히 쇠퇴시켰다. 많은 사람들은 알렉산드라 황후와 라스푸틴을 비난했다. 두마의 극우 정치인 블라디미르 푸리시케비치는 1916년 11월, 황제의 각료들이 "라스푸틴과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러시아의 악마적 천재이자 차리나…가 러시아 왕위에 머무르며 나라와 국민에게 이질적인 존재가 된 독일인"의 손에 굳게 잡힌 실을 가진 꼭두각시로 변했다고 주장했다.

파벨 밀류코프에 따르면, 라스푸틴이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것은 1914년 5월경부터였다.[111] 1913년 발칸 동맹제1차 발칸 전쟁에서 얻은 영토 분배 문제로 갈등을 빚어 제2차 발칸 전쟁을 일으켰다. 니콜라이 2세는 동맹국들의 분열을 막기 위해 중재에 나섰지만, 라스푸틴은 이에 반대했다. 이로 인해 라스푸틴은 범슬라브주의를 지지하는 니콜라이 대공, 표트르 대공과 그의 부인이자 자신의 지지자였던 밀리차, 아나스타시아 대공비 자매와 대립하게 되었다.[112][113]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라스푸틴은 독일 제국과의 전쟁에 반대하며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라면 어떤 노력도 아끼지 않겠습니다"라고 간청했다.[114] 그는 암살 미수 사건으로 입은 부상을 치료하기 위해 튜멘에 머무르면서 여러 차례 전보를 보내 "전쟁이 시작되면 로마노프 가문과 러시아의 군주제는 붕괴될 것이다"라며 국가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115] 그러나 라스푸틴의 간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니콜라이 2세는 7월 31일 러시아군 총동원령을 선포하며 독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전쟁 초기에는 "크리스마스까지는 끝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전쟁은 장기화되었고 동부 전선에서는 150만 명 이상의 러시아 병사가 전사했다. 러시아 국내에서는 식량 부족과 물가 폭등이 발생했지만, 사람들은 이를 "독일 스파이의 음모"로 여겨 반독 감정이 고조되었고, 1915년 5월 26일에는 외국인이 운영하는 상점이 습격당했다.[116] 또한, 독일 출신인 알렉산드라 황후를 비난하는 여론도 나타나기 시작했다.[117] 8월, 독일군이 바르샤바를 점령하고 러시아의 대철수가 이루어지면서 심각한 탄약 및 병기 부족 사태가 발생했고, 정계에서는 정쟁으로 인해 군사 장관 블라디미르 수호믈리노프가 실각하는 등 국내는 혼란에 빠졌다.

1915년 8월 19일, 알렉산드라 황후와 라스푸틴의 추문을 신문에 게재하려 했던 도즈코프스키와 블라디미르 올로프가 해임되었다.[53] 니콜라이 2세는 이후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금지했다.[118][119][120][121] 8월 23일, 니콜라이 2세는 사기 진작을 위해 직접 전선으로 떠났고, 내정은 알렉산드라와 그녀의 상담역인 라스푸틴이 맡게 되었다. 각료들은 이에 반대했지만, 수상 골레미킨은 해임을 암시하며 반대 의견을 묵살했다.[122][123] 둠마는 이에 대항하여 9월 3일 무기한 휴회를 선언했고, 골레미킨은 1916년 2월 2일 사임했다. 재개된 둠마에서는 "현재 러시아는 미친 운전사가 브레이크도 밟지 않고 좁은 산길을 달리는 것과 같다"고 발언하는 등,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에 대한 비판이 거세졌다.[124]

니콜라이 2세(1913년)


니콜라이 2세가 전선으로 떠난 후, 알렉산드라는 정무에 시달려 라스푸틴과 만나는 횟수가 줄었지만, 편지, 전화, 주 1회 열리는 알현을 통해 라스푸틴에게 자문을 구했다.[125] 이로 인해 알렉산드라에 대한 라스푸틴의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126] 1915년 후반, 두 사람은 전선에 있는 니콜라이 2세에게 조언을 했고,[127] 12월에는 라스푸틴이 알렉세이의 치료를 맡았다. 1916년 2월 2일, 라스푸틴의 지지자인 보리스 슈튀르머가 수상이 되었다. 이때 내무대신 알렉세이 흐보스토프와 베레츠키는 라스푸틴 암살을 계획하는 동시에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은 독일의 스파이"라는 소문을 퍼뜨렸다.[128][129][130][131][132] 3월 3일, 소문을 퍼뜨린 사실이 밝혀진 흐보스토프는 해임되고 재산이 몰수되었으며, 슈튀르머가 내무대신을 겸임하게 되었다.

파벨 밀류코프(1916년)


11월, 둠마가 개회되자 밀류코프는 알렉산드라, 라스푸틴, 슈튀르머를 "독일을 옹호하는 세력의 배신"이라고 비난했다. 밀류코프는 슈튀르머 내각의 정책을 독일에 대한 반역 행위라고 주장하며 연설에서 "이것은 어리석은 생각인가? 배신인가?"라고 반복했고, 의사당에서는 "어리석은 생각이다!" "배신이다!" "둘 다다!!"라는 찬성 함성이 터져 나왔다.[133][134] 이 탄핵 연설 내용은 국내와 전선에 배포되었다.[135] 블라디미르 푸리시케비치 역시 의회에서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을 비난하며 "황제의 대신들은 황후와 라스푸틴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라스푸틴이 살아있는 한, 러시아는 승리할 수 없다"고 연설했다.[136][137]

의원들뿐만 아니라 귀족들 사이에서도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대공에 따르면, 게오르기 르보프와 미하일 알렉세예프는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이 기밀 정보를 독점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알렉산드라를 리바디아 궁전이나 영국으로 추방할 것을 니콜라이 2세에게 건의했다고 한다.[138] 유수포프는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과 함께 라스푸틴 암살을 계획했고, 푸리시케비치와 접촉하여 동지로 끌어들였다.[139] 구치코프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코노발로프, 니콜라이 네크라소프, 미하일 테레시첸코 등과 함께 쿠데타를 계획했지만, 협력을 요청한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대공에게 "군대가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라는 이유로 거절당해 실패했다.[140][141] 알렉산드라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르보프와 구치코프를 시베리아로 추방할 것을 니콜라이 2세에게 요구했다.[142]

2. 6. 암살



드미트리 대공(1917년 이전)


펠릭스 유수포프,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대공, 푸리슈케비치가 이끄는 귀족들은 라스푸틴이 알렉산드라에게 미치는 영향이 러시아 제국을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1916년 12월에 라스푸틴을 죽일 계획을 꾸몄다. 이들은 라스푸틴을 유수포프의 모이카 궁전으로 유인했다.[258]

라스푸틴은 1916년 이른 아침 유수포프 공작의 집에서 살해당했다. 그는 세 발의 총상을 입었고, 그중 한 발은 머리에 근거리에서 맞은 것이었다. 이 외에는 그의 죽음에 대해 확실한 것이 거의 없으며, 그의 죽음의 정황은 상당한 추측의 대상이 되어 왔다.

유수포프의 설명에 따르면, 라스푸틴은 자정 직후 그의 궁전에 초대되어 지하실로 안내되었다. 유수포프는 청산가리를 넣은 차와 케이크를 제공했다. 라스푸틴은 처음에는 케이크를 거부했지만 먹기 시작했고, 유수포프가 놀랍게도 독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라스푸틴은 또한 (역시 독이 든) 마데이라 와인을 요청했고 세 잔을 마셨지만, 여전히 고통의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오전 2시 30분경 유수포프는 위층으로 가서 동료 공모자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파블로비치로부터 권총을 가져와 지하실로 돌아가 라스푸틴에게 방에 있는 십자가를 가리키며 "십자가를 보고 기도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한 다음 가슴에 한 발을 쐈다. 그 후 공모자들은 라스푸틴의 아파트로 차를 몰고 갔고, 수호틴은 라스푸틴이 그날 밤 집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이도록 라스푸틴의 코트와 모자를 착용했다. 유수포프는 궁전으로 돌아와 라스푸틴이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하실로 다시 내려갔다. 갑자기 라스푸틴이 일어나 유수포프를 공격했고, 유수포프는 간신히 벗어나 위층으로 도망갔다. 라스푸틴은 유수포프를 따라 궁전 안뜰로 갔고, 그곳에서 푸리슈케비치의 총에 맞았다. 그는 눈 속에 쓰러졌다. 공모자들은 그의 시신을 천으로 감싸 페트로프스키 다리로 운반하여 리틀 네브카 강에 던졌다.

근거 없는 주장으로,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했다고 이전에 주장되었던 타티아나 대공녀가 라스푸틴 살해 현장에 있었으며, "자신을 강간하려 했던 라스푸틴에게 복수하기 위해 셰발리에 가드의 중위로 위장했다"고 한다. 러시아 주재 프랑스 대사인 모리스 팔레올로그는 타티아나가 라스푸틴의 거세를 목격했다고 하는데, 그는 그 소문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20]

라스푸틴의 죽음에 대한 현대적 분석에서, 토론토 대학교의 캐롤린 해리스 박사는 사건 100주년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실제 상황은 유수포프의 설명보다 덜 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라스푸틴의 딸은 아버지가 단 음식을 싫어했고, 독이 든 케이크를 먹지 않았을 것이라고 기록했다. 관련 공식 외과 의사의 부검 기록에는 독살이나 익사의 기록이 없으며, 단지 머리에 근거리에서 발사된 단 한 발의 총알에 의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1]

야르 레스토랑


1916년 12월 17일, 라스푸틴은 유수포프 일파에 의해 암살되었다. 그러나 암살범이 러시아 유수의 대귀족이었던 유수포프와 황족 드미트리 대공이었기 때문에, 경찰은 만족스러운 수사를 할 수 없었고, 유수포프에게 거부당하여 암살 현장인 모이카 궁전에 들어가는 것조차 할 수 없었다.[161] 게다가, 소비에트 연방 성립 후에 수사 자료의 대부분이 파기되거나 소실되었기 때문에, 라스푸틴 암살의 자세한 내용은 불분명한 점이 많아, 다양한 일화가 남게 되었다.[162]

암살 결행 며칠 전, 유수포프는 모이카 궁전의 신축 축하 파티에 라스푸틴을 초대하고, 그 자리에서 미인으로 소문난 아내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를 소개하겠다고 제안했다(유수포프는 "아내는 암살과 무관했다"라고 말했다).[163]

12월 16일 밤, 유수포프는 스타니슬라프 데 라조베르트 박사와 함께 라스푸틴의 아파트를 방문했다. 다음날 17일 오전 1시, 유수포프는 개조한 모이카 궁전에 라스푸틴을 초대했다. 안내된 방은 방음 시설이 되어 있었고, 라스푸틴 암살을 위해 와인 저장고를 개조한 방이었다. 프리시케비치의 증언에 따르면, 창가에는 라스푸틴이 좋아하는 단맛을 포함한 4종류의 와인이 놓여 있었다고 한다. 2층 응접실에는 암살 멤버인 드미트리 대공, 프리시케비치, 라조베르트, 수호친 대위 외에 유수포프의 어머니 지나이다 유수포바의 친구가 있었다. 로마노프 가문과 친했던 미술상 Albert Stopford|앨버트 스토퍼드영어는, 동석한 친구는 표도르 알렉산드로비치 공과 니키타 알렉산드로비치 공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여러 여성들이 동석했지만, 유수포프는 여성의 이름을 평생 밝히지 않았다(Marianne Pistohlkors|마리안느 피스톨코르스영어와 Vera Karalli|베라 카랄리영어라는 설이 있다).[164]

유수포프의 회고록에 따르면, 그는 청산칼륨을 넣은 쁘띠 푸르와 홍차를 라스푸틴에게 준비했다고 한다. 그러나 라스푸틴은 독이 든 식사를 다 먹고도 얼마 동안 아무런 변화가 없어, 유수포프를 놀라게 했다.[165] 유수포프는 라스푸틴에게 디저트 와인을 마시게 하고 잠시 이야기를 나눴다(정치 혹은 신비주의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한다).[166][167] 몇 시간 후, 라스푸틴이 만취한 것을 확인한 유수포프는 응접실로 가서 드미트리 대공으로부터 리볼버를 받았다. 유수포프는 방으로 돌아와서, 뒤에서 라스푸틴을 향해 2발을 발사했다. 총알은 라스푸틴의 심장과 폐를 관통했고, 그는 바닥에 쓰러졌다.[168]

그러나, 죽은 줄 알았던 라스푸틴은 일어나 "눈을 부릅뜨고, 자신의 위기를 알았다"고 한다.[169] 놀란 유수포프는 계단을 달려 중정으로 도망쳤고, 소란을 듣고 달려온 프리시케비치가 라스푸틴을 향해 권총 4발을 발사했다. 4발 중 3발은 빗나갔지만, 1발은 오른쪽 신정맥에서 척추를 관통했고, 그는 눈 위에 쓰러졌다.[170][171] 그러나, 라스푸틴은 여전히 일어났기 때문에, 신경질적인 유수포프는 신발로 라스푸틴의 오른쪽 눈을 때렸고,[172] 그 후 라스푸틴은 이마에 권총을 맞았다.

같은 시각, 주변을 순찰하던 경찰 두 명이 총성과 모이카 궁전에서 나오는 차를 목격했다.[171] 유수포프 일행은 라스푸틴의 시신 처리에 대해 상의하고, Pochtamtsky Bridge|페트로프스키 다리영어에서 시신을 버리기로 결정했다. 프리시케비치는 경찰에게 "라스푸틴을 쏜 것은 나다"라고 자랑했지만,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황제를 위해 한 일이다"라고 변명했다.[173][174][175][176][177][178] 수호친은 라스푸틴의 생존을 위장하기 위해, 그의 코트, 장화, 장갑을 착용하고, 드미트리 대공과 라조베르트와 함께 프리시케비치의 차에 탔다.[179][180] 수호친 등은 라스푸틴의 옷을 프리시케비치의 집 벽난로에서 태우려 했지만, 그의 아내가 거부했기 때문에, 그대로 모이카 궁전으로 돌아갔다.[181][182] 모이카 궁전으로 돌아온 드미트리 대공은, 융단으로 시신을 묶어 차에 싣고, Krestovsky Island|크레스토프스키 섬영어으로 향해, 다리 위에서 얼어붙은 네바강에 구멍을 내어 시신을 버렸다.[183]

오즈왈드 레이너(1930년대)


이 무렵, 영국은 비전파인 라스푸틴을 위험시하여 그가 죽으면 러시아가 전선에서 이탈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212] 라스푸틴 암살 당시, 페트로그라드에는 영국 비밀 정보부 공작원인 Oswald Rayner|오즈왈드 레이너영어 중위와 스티븐 알리 대위가 체류하고 있었으며, 레이너와 유수포프는 옥스퍼드 대학교 시절의 친구였다.[213] 역사학자 앤드루 쿡은 "암살 당일, 레이너는 모이카 궁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러시아인들이 암살을 수행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는 없었다"라고 말했다.[214] 역사학자 마르가리타 네리파는 암살에 영국군의 군용 총기인 웹리 리볼버가 사용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역사학자 조셉 풀먼은 영국 측이 12월 17일 오전 5시 30분에는 라스푸틴의 사망을 파악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215] 관여설에 대해, 암살 당시 비밀 정보부 러시아 국장 Samuel Hoare, 1st Viscount Templewood|새뮤얼 호어영어는 "만약 우리가 라스푸틴 암살에 관여했다면, 그 증거가 발견되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말했다.[216]

3. 라스푸틴 암살 이후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 드미트리 파블로비치, 푸리쉬케비치 등 라스푸틴의 반대 세력은 라스푸틴의 전횡으로 인해 반란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그를 처치하기로 모의했다. 이들은 궐석재판을 통해 라스푸틴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그를 잔치에 초대하여 독살을 시도했다.[258]

라스푸틴은 독약(청산가리)을 먹고도 기타에 맞춰 2시간 반 동안 춤을 추는 기행을 보였다. 이는 청산가리가 오래되어 독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결국 유수포프는 라스푸틴을 총으로 쏘고 강철 지팡이로 머리를 때린 뒤, 양탄자에 싸서 얼어붙은 네바강에 유기했다. 라스푸틴의 몸에는 4발의 실탄이 박혀 있었고, 부검 결과 사인은 총상이었다. 익사 흔적이나 호흡 기관 내 물은 발견되지 않았다.[258] 라스푸틴이 총상과 구타에도 살아있었다거나, 네바 강 얼음 표면에 손톱자국이 발견되었다는 이야기는 소문에 불과하다.

라스푸틴은 처형 전 편지를 통해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예언을 남겼다. 그는 황족이나 귀족이 자신을 죽이면 황실과 차르 체제가 몰락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라스푸틴의 예언대로 몇 달 후, 블라디미르 레닌이 주도한 볼셰비키 혁명으로 제정 러시아는 붕괴되고 로마노프 왕조는 단절되었다.

귀족들은 라스푸틴이 알렉산드라 황후에게 미치는 영향이 러시아 제국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다. 1916년 12월, 유수포프의 모이카 궁전으로 라스푸틴을 유인하여 살해할 계획이 세워졌다.

1916년 이른 아침, 라스푸틴은 유수포프 공작의 집에서 살해당했다. 그는 머리에 근거리 총상을 포함해 세 발의 총상을 입었다. 그의 죽음에 대한 자세한 정황은 불확실하며, 유수포프의 회고록이 가장 널리 알려진 버전이다. 유수포프는 라스푸틴에게 청산가리를 넣은 차와 케이크를 제공했지만, 라스푸틴은 독에 영향을 받지 않는 듯했다. 이후 독이 든 마데이라 와인을 마셨음에도 별다른 고통을 보이지 않았다. 오전 2시 30분경, 유수포프는 동료 공모자들과 함께 라스푸틴을 총으로 쏘고, 페트로프스키 다리에서 리틀 네브카 강에 시신을 유기했다.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했다고 주장했던 타티아나 대공녀가 라스푸틴 살해 현장에 있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토론토 대학교의 캐롤린 해리스 박사는 라스푸틴의 딸의 증언과 공식 부검 기록을 바탕으로, 라스푸틴이 단 음식을 싫어했고 독살이나 익사로 사망하지 않았으며, 머리에 발사된 한 발의 총알로 사망했다고 분석했다.[21]

라스푸틴 암살을 보도하는 그리스 신문


12월 17일, 경찰은 라스푸틴의 행방을 수색했고, 알렉산드라 황후는 즉시 수사를 명령했다. 유수포프는 혈흔에 대해 거짓 증언을 했고, 결국 자택 연금되었다. 12월 19일, 라스푸틴의 시신과 코트가 발견되었고, 부검 결과 사인은 머리 총상으로 결론지어졌다.[189][190] 폐에서 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위에서는 알코올만 검출되어 독살설과 익사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191][192][193][194][195][196]

12월 21일, 라스푸틴의 장례식이 거행되었고, 황제 부부와 황녀 등이 참석했다. 니콜라이 2세는 유수포프와 드미트리 대공을 추방했지만, 법적 기소는 없을 것이라고 보증했다. 1916년 12월 27일, 러시아 정권은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고, 사람들은 문제의 원인이 라스푸틴이 아닌 니콜라이 2세에게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퇴위 선언서에 서명하는 니콜라이 2세


1917년 2월 혁명이 발발하고, 니콜라이 2세는 퇴위를 선언하며 로마노프 왕조 러시아 제국은 붕괴했다.

라스푸틴의 묘


러시아 임시 정부는 라스푸틴 암살에 대한 수사를 중단하고 암살범들을 사면했다. 라스푸틴의 묘는 파헤쳐져 비밀리에 옮겨졌고, 유해는 길가에서 소각되거나 상트페테르부르크 공과대학의 보일러실에서 소각되었다고 전해진다.[222][223][224][225][226][227]

4. 평가와 유산

라스푸틴은 복잡하고 모순된 인물로,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황실 가족의 신임을 얻어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동시에 많은 적을 만들었고, 그의 죽음과 러시아 혁명은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라스푸틴은 정식 성직자가 아니었음에도 기도승을 자처했고, 어떤 종파에도 속하지 않았다.[228][229] 호색가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이는 정적들에 의해 만들어진 측면도 있다.[232] 금전에는 무관심하여 돈을 받으면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곤 했다.[234][235] 그는 평화주의자로서 러시아가 참전하는 모든 전쟁에 반대했다.[241][242][243]

라스푸틴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유수포프 등 암살 가담자들의 회고록에 의존하는데, 이들의 증언은 일관성이 부족하고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된다.[206] 암살 당일 라스푸틴의 옷 색깔, 부상 부위, 사용된 무기 등 세부 사항에 대한 증언이 엇갈린다.[93][207][208]

현대 러시아에서는 일부에서 라스푸틴을 의인으로 평가하기도 하지만, 알렉시 2세는 이러한 움직임을 부정하며 그를 이반 뇌제, 스탈린과 같은 광인으로 규정했다.[249][250] 라스푸틴은 기이한 행적과 로마노프 왕조와의 관계로 인해 대중문화에서 신비롭거나 악당적인 인물로 자주 등장한다.[251]

4. 1. 부정적 평가

알렉산드라 황후가 라스푸틴에게 극도로 의존하게 되자, 라스푸틴은 이를 이용하여 니콜라이 2세를 허수아비로 만들며 폭정을 일삼았다.[257] 니콜라이 2세의 여동생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라스푸틴을 제거하려 했으나, 황후의 지지 때문에 쉽지 않았다.

라스푸틴은 농민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걷어 사리사욕을 채웠으며, 항의하는 농민들에게 총탄을 퍼붓기도 했다. 이는 피의 일요일이라 불린다. 1915년 니콜라이 2세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라스푸틴의 폭정은 더욱 심해졌고, 황제파 귀족들마저 등을 돌리게 되었다.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 등 반대 세력은 라스푸틴을 처치하기로 모의하고, 궐석재판으로 사형을 언도한 후 독살을 시도했다. 그러나 라스푸틴은 독약에도 죽지 않았고, 결국 총에 맞고 네바강에 던져져 사망했다.[258] 라스푸틴은 처형 전 예언이 담긴 편지를 남겼는데, 그의 예언대로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 제정 러시아는 붕괴되었다.

라스푸틴은 황실 가족의 신임을 얻어 궁정에서 큰 권력을 얻었지만, 적들로부터 이단, 강간, 부당한 정치적 영향력 행사 등의 혐의를 받았다. 동방 정교회 내부에서도 반발이 커졌고, 표트르 스톨리핀 총리와 오흐라나도 그를 견제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라스푸틴은 여성들과 난잡한 관계를 맺었다는 의혹을 받았으며,[18][19] 초기 지지자였던 흐요니아 베르라츠카야는 그를 강간 혐의로 고발하기도 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아파트에서 딸 마리아 (가장 오른쪽)와 함께 있는 라스푸틴, 1911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경제가 쇠퇴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알렉산드라와 라스푸틴을 비난했다. 블라디미르 푸리시케비치는 황제의 각료들이 라스푸틴과 황후의 꼭두각시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라스푸틴의 시신은 강 얼음 아래에서 발견되었는데, 부검 결과 총상으로 사망했으며 익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58]

라스푸틴은 궁중 귀족들, 특히 여성들에게서 열렬한 신앙을 얻었지만, 그의 거근과 초인적인 정력 때문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비밀 경찰 수사관은 그의 생활을 "추태의 극치를 달하는 음란한 생활"이라고 보고했다. 귀족들은 라스푸틴이 황제 부부에게 쉽게 알현할 수 있는 것을 질투했다.[62]

라스푸틴 (1910년)


폴리카르포프와 라스푸틴(오른쪽) 1916년


알렉산드르 프로토포포프(1916년)


블라디미르 푸리쉬케비치(1910년)


왼쪽부터 푸챠친 소장, 라스푸틴, 로만 대령(1907년)


라스푸틴은 기도승을 자칭했지만 정식 직함은 아니었고, 어떤 종파에도 속하지 않았다.[228][229] 호색가 이미지가 강하지만, 이는 정적들에 의한 창작이라는 주장도 있다.[232] 금전에는 무관심하여, 돈을 받아도 바로 나눠주는 경우가 많았다.[234][235]

생전에는 우파와 좌파 모두에게 혐오받았지만,[239][240] 실제로는 평화주의자였으며, 러시아가 참가하는 모든 전쟁에 반대했다.[241][242][243] 현대 러시아에서는 일부에서 의인으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알렉시 2세는 이를 부정했다.[249][250]

4. 2. 긍정적 평가

라스푸틴은 돈을 받아도 바로 신자나 다른 사람에게 나눠주는 등 금전에 무관심했으며, 길거리 탁발이나 극장, 레스토랑, 카페 등에서 아낌없이 큰돈을 지불하여 "금전에 집착하지 않는 무사한 남자"라는 평판을 얻었다.[234][235][236]

그는 평화주의자로서 러시아가 참가하는 모든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241][242][243]

현대 러시아에서는 러시아 정교회의 Nikolay Guryanov|니콜라이 그리야노프영어와 일반 국민에게 의인으로 취급받고 있다.[248]

4. 3. 대중문화



그의 기묘한 경력, 외모, 여성 관계, 최후에 더해 로마노프 왕조와의 관련성 등에서 어떤 의미에서는 신비로운 인물, 혹은 희대의 괴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렇기에 허구의 세계에서 국경을 가리지 않고 매우 인기 있는 인물이다.[251]

  • 야마다 후타로 『라스푸틴이 왔다』
  • 미나가와 히로코 『겨울의 여행자』
  • 이케다 리요코 『오르페우스의 창』
  • 패트릭 카만 『서티나인 크루즈 ⑤ 암흑의 포위망』
  • The Fall of the Romanoffs|한국어 번역|로마노프 왕조의 몰락영어(1917년)
  • 광인 라스푸틴 (1932년)
  • 광인 라스푸틴 (1954년)
  • Rasputin the Mad Monk|한국어 번역|미치광이 수도사 라스푸틴영어(1966년)
  • 니콜라이와 알렉산드라 (1971년)
  • Agony (1981 film)|한국어 번역|고통영어(1981년)
  • 라스푸틴(1996년)
  • 헬보이 (2004년)
  •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2021년)
  • 라스푸틴
  • 신들의 땅 ~로마노프 황가의 황혼~
  • 명탐정 코난: 세기말의 마술사(1999년)
  • 루팡 3세 러시아보다 사랑을 담아
  • 블러드 플러스
  • 드리프터즈 (성우: 다나카 마사히코)
  • 아나스타샤(1997년)
  • 월드 히어로즈
  • 섀도 하츠 II
  • 붕괴3rd
  • 페이트/그랜드 오더
  • 데빌 서머너 2: 쿠즈노하 라이도우 대 초력병단
  • 루팡 3세 신 모험
  • BLOOD+A
  • 종말의 발키리
  • 드리프터즈
  • 봄바람의 스네그라치카
  • 최후의 레스토랑
  • 고르고 13
  • 보니 M 『Rasputin_(song)|ja|괴승 라스푸틴 (곡)|label=괴승 라스푸틴영어』(1978년)
  • 우에사카 스미레/더 리썰 웨폰즈(※셀프 커버)『쾌주! 라스푸틴』(2020년/2022년)

5. 참고 문헌


  • Christopher, Peter; Kurth, Peter; Radzinsky, Edvard (1995). 《차르: 니콜라스와 알렉산드라의 잃어버린 세계(Tsar: The Lost World of Nicholas and Alexandra)》. Little Brand Co. ISBN 0-316-50787-3.
  • Cook, Andrew (2005). 《라스푸틴을 죽이다: 그리고리 라스푸틴의 삶과 죽음(To Kill Rasputin: The Life and Death of Grigori Rasputin)》. 템푸스(Tempus). ISBN 9780752434094.
  • Farquhar, Michael (2001). 《왕실 스캔들의 보고: 역사의 가장 사악하고, 기괴하고, 방탕한 왕, 여왕, 차르, 교황, 황제의 충격적인 실화(A Treasury of Royal Scandals: The Shocking True Stories of History's Wickedest, Weirdest, Most Wanton Kings, Queens, Tsars, Popes, and Emperors)》. Penguin Books. ISBN 978-0-14-028024-1.
  • Ferro, Marc (1995). 《니콜라스 2세: 마지막 차르(Nicholas II: Last of the Tsars)》.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19-509382-7. 번역: Pearce, Brian. 마르크 페로 저.
  • Figes, Orlando (1998). 《인민의 비극: 러시아 혁명, 1891–1924(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펭귄. ISBN 978-0140243642.
  • Fuhrmann, Joseph T. (2012). 《라스푸틴: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Rasputin: The Untold Story)》. Wiley. ISBN 978-1-118-23985-8.
  • Fuhrmann, Joseph T. (1990). 《라스푸틴: 삶(Rasputin: A Life)》. Praeger Frederick A. ISBN 978-0-275-93215-2.
  • Mager, Hugo (1998). 《엘리자베스: 러시아 대공녀(Elizabeth: Grand Duchess of Russia)》. Carroll and Graf Publishers, Inc. ISBN 0-7867-0678-3.
  • Massie, Robert K (1967). 《니콜라스와 알렉산드라(Nicholas and Alexandra)》. Dell Publishing Co. ISBN 0-394-58048-6. 로버트 K. 매시 저.
  • Massie, Robert K (2012). 《니콜라스와 알렉산드라: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Nicholas and Alexandra: The Fall of the Romanov Dynasty)》. 현대 도서관(Modern Library). Random House Publishing. ISBN 978-0-679-64561-0. (1967년 초판) 로버트 K. 매시 저.
  • Maylunas, Andrei; Mironenko, Sergei (1997). 《평생의 열정: 니콜라스와 알렉산드라: 그들 자신의 이야기(A Lifelong Passion: Nicholas and Alexandra: Their Own Story)》. Doubleday. ISBN 0-385-48673-1.
  • Miller, Karyn (2004년 9월 19일).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영국 스파이, 라스푸틴을 끝낸 총을 쐈다(British spy 'fired the shot that finished off Rasputin)”.
  • Moorehead, Alan (1958). 《러시아 혁명(The Russian Revolution)》. Harper & Brothers. ISBN 978-0881843316.
  • Norton-Taylor, Richard (2010년 9월 21일). “그레이엄 그린, 아서 램섬, 서머셋 몸 모두 영국을 위해 첩보 활동을 했다고 MI6가 인정하다(Graham Greene, Arthur Ransome and Somerset Maugham All Spied for Britain, Admits MI6)”. www.theguardian.com. 2016년 9월 26일 확인.
  • Radzinsky, Edvard (2010). 《라스푸틴 파일(The Rasputin Fi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ISBN 978-0-307-75466-0.
  • Rollins, Patrick J. (1982). 《러시아 및 소련 역사의 현대 백과사전(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oviet History)》의 “라스푸틴, 그리고리 예피모비치(Rasputin, Grigorii Efimovich)”.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30권.
  • Shishkin, Oleg (2004). 《라스푸틴: 범죄의 역사(Rasputin : Istorii͡a Prestuplenii͡a)》. 모스크바: Yauza.
  • Shukman, Harold (1994). 《블랙웰 러시아 혁명 백과사전(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the Russian Revolution)》의 “라스푸틴, 그리고리 예피모비치(Rasputin, Grigori Efimovich)”. Blackwell. ISBN 0631195254. Harold Shukman 저.
  • Szasz, Thomas Stephen (1993). 《광기의 사전: 은유적 질병, 도덕적 책임, 그리고 정신의학(A Lexicon of Lunacy: Metaphoric Malady, Moral Responsibility, and Psychiatry)》. Transaction Publishers. ISBN 978-1-56000-065-5. 토머스 스스 저.
  • Smith, Douglas (2016). 《라스푸틴: 믿음, 권력, 로마노프 왕조의 황혼(Rasputin: Faith, Power, and the Twilight of the Romanovs)》. Farrar, Straus and Giroux. ISBN 978-0-374-71123-8.
  • Smith, Douglas (2017). “그리고리 라스푸틴과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1914년 6월(Grigory Rasputin and the Outbreak of the First World War: June 1914)”. 《혁명은 불가피했는가?: 러시아 혁명의 전환점(Was Revolution Inevitable?: Turning Points of the Russian Revolution)》.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62쪽. ISBN 978-0190658939.
  • Smith, Michael (2011). 《여섯: 실제 제임스 본드 1909–1939(Six: The Real James Bonds 1909–1939)》. Biteback Publishing. ISBN 978-1-84954-264-7.
  • Wilson, Colin (1964). 《라스푸틴과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Rasputin and the Fall of the Romanovs)》. Farrar, Straus.

참조

[1] 웹사이트 Ra-Ra-Rasputin: The Definitive Historical Breakdown of Boney M's Classic Song https://www.historyh[...] 2022-03-17
[2] 서적 Born to Rule: Five Reigning Consorts, Granddaughters of Queen Victoria
[3] 서적 Born to Rule: Five Reigning Consorts, Granddaughters of Queen Victoria
[4] 뉴스 5 Myths and Truths about Rasputin https://time.com/460[...] Time-Life 2016-12-29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웹사이트 Grigori Rasputin https://www.britanni[...] 2023
[19] 웹사이트 The Murder of Rasputin, 100 Years Later https://www.smithson[...] 2016-12-27
[20] 서적
[21] 뉴스 Smithsonian Magazine 2016-12-27
[22] 서적 Women of the American Circus, 1880–1940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2
[23] 논문 “Russia's greatest love machine”: Disco, exoticism, subversion 2007
[24] 웹사이트 伝説のラスプーチンを追いかけて https://jp.rbth.com/[...] ロシアNOW 2014-05-13
[25] 서적 Kerensky
[26] 서적 Radzinsky (2000)
[27] 서적 Fuhrmann
[28] 문서 「神に近づく最善の方法は犯した罪を告白し、悔い改める事」
[29] 서적 Rasputin
[30] 서적 Nelipa
[31] 서적 Spiridovich
[32] 서적 Fuhrmann
[33] 서적 Moynahan
[34] 서적 Biografie van de Russische monnik 1863–1916
[35] 서적 Fuhrmann
[36] 서적 Moynahan
[37] 서적 The Blue Steppes https://archive.org/[...]
[38]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Rasputin http://www.orthodoxc[...] Orthodoxchristianbooks.com 2013-04-28
[39] 웹사이트 Chapter Five. Rasputin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 2014-07-15
[40] 서적 Iliodor https://archive.org/[...] 2014-07-15
[41] 서적 Rappaport
[42] 서적 Radzinsky
[43] 웹사이트 Nicolas' diary 1905 (in Russian) http://www.rus-sky.c[...] Rus-sky.com 2013-04-28
[44] 웹사이트 Grigory Rasputin – Russiapedia History and mythology Prominent Russians http://russiapedia.r[...] Russiapedia.rt.com 2012-09-02
[45] 서적 Moe
[46]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 an online book on Romanov Russia – Chapter VI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3-04-28
[47]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48] 웹사이트 Le Précepteur des Romanov http://www.litmir.ne[...]
[49] 서적 Nicolas II, La transition interrompue Fayard
[50] 서적 Aspirin: The Remarkable Story of a Wonder Drug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51] 서적 Helen Rappaport
[52] 서적 Moe
[53] 웹사이트 Alexanderpalace.org 2014-07-15
[54] 서적 Pares
[55] 서적 Fuhrmann
[56] 서적 Moe
[57] 서적 Helen Rappaport
[58] 서적 Helen Rappaport
[59] 서적 Vyrubova
[60] 서적 Moe
[61] 서적 Fuhrmann
[62] 웹사이트 Diaries of Nicholas II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www.alexander[...] 2014-12-27
[63] 서적 Nelipa
[64] 웹사이트 Петербургские квартиры Распутина http://www.petersbur[...] Petersburg-mystic-history.info 2014-07-15
[65] 웹사이트 Распутин Григорий Ефимович — Биография http://pomnipro.ru/m[...] 2014-12-27
[66] 서적 Nelipa
[67] 서적 Moe
[68] 웹사이트 Royal Russia News: The Murder of Grigorii Rasputin: A Book Review by Charlotte Zeepvat http://www.angelfire[...] 2014-12-27
[69] 서적 Moe
[70] 웹사이트 Grigori Efimovich Rasputin. My Ideas and Thoughts http://www.omolenko.[...] Omolenko.com 2014-07-15
[71] 서적 Moynahan
[72] 서적 Fuhrmann
[73] 서적 Out of My Past
[74] 서적 King
[75] 서적 Moynahan
[76] 서적 Spiridovich
[77] 서적 Fuhrmann
[78] 서적 Rasputin
[79] 웹사이트 Eyewitness Accounts – Alexis Almost Dies at Spala – 1912 http://www.alexander[...] 2014-07-15
[80] 서적 Moynahan
[81] 서적 Wilson
[82] 서적 The Mad Monk of Russia http://ia700303.us.a[...] The Century Co. 1918
[83] 서적 Moynahan
[84] 서적 Fuhrmann
[85] 서적 Moe
[86] 웹사이트 Rasputin and the Empress: Authors of the Russian Collapse http://www.foreignaf[...] 1927-01-06
[87] 서적 Pares
[88] 웹사이트 BORODINA G.YU. DOCUMENTS OF THE CASE KHIONIA GUSEVA ATTEMPT ON GRIGORIY RASPUTIN IN 1914 http://www.vestarchi[...] 2014-08-07
[89] 서적 Fuhrmann
[90] 뉴스 The Tsar Sends His Own Physician to Attend the Court Favorite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1914-07-15
[91] 서적 Radzinsky (2000)
[92] 서적 Mon père Grigory Raspoutine. Mémoires et notes http://www.lib.ru/ME[...] J. Povolozky & Cie 1923
[93] 서적 Rasputin
[94] 웹사이트 On this day: Russia in a click http://russiapedia.r[...]
[95] 서적 Nelipa
[96] 서적 Moe
[97] 서적 Grigory Rasputin: Rassledovanie 2011
[98] 서적 King
[99] 서적 Fontanka 16: The Tsars' Secret Polic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9
[100] 서적 Rasputin
[101] 서적 Nelipa
[102] 서적 Nelipa
[103] 웹사이트 Okhrana Surveillance Report on Rasputin – from the Soviet Krasnyi Arkiv http://www.alexander[...]
[104] 서적 Pares
[105] 서적 Radzinsky (2010) https://books.google[...]
[106] 서적 Figes
[107] 서적 The Blue Steppes https://archive.org/[...] 1925
[108] 서적 Nelipa
[109] 서적 Fuhrmann https://books.google[...]
[110] 서적 Moe
[111] 서적 Antrick
[112] 서적 Antrick
[113] 서적 Vyrubova
[114] 웹사이트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 Chapter Eight – Journeys to the Crimea and Rumania – Poncaire's Visit – War http://www.alexander[...] 2014-07-15
[115] 서적 The End of the Romanovs Little, Brown, and Company 1966
[116] 서적 Antrick
[117] 서적 Nelipa
[118] 웹사이트 1917 Interrogation of Count Freedericks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www.alexander[...] 2014-12-27
[119] 서적 Figes
[120] 서적 Moynahan
[121] 서적 Fuhrmann
[122] 서적 Fuhrmann
[123] 서적 Moe
[124] 서적 Figes
[125] 서적 Fuhrmann
[126] 서적 King
[127] 웹사이트 The tsarina’s letters exerting pressure on the tsar (1915–16) http://alphahistory.[...]
[128] 서적 Kerensky
[129] 서적 Nelipa
[130] 서적 Vyrubova
[131] 서적 Moe
[132]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 Chapter XXIII – Before the Storm http://www.alexander[...] 2014-12-27
[133] 웹사이트 http://www.pravoslav[...]
[134] 서적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1917: Document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1
[135] 서적 Pares
[136] 서적 Radzinsky (2000)
[137] 웹사이트 Grigori Rasputin: Belied Life – Belied Death http://whenthekidsta[...] 2014-07-15
[138] 서적 Kerensky
[139] 서적 Antrick
[140] 서적 The Russian moderates and the crisis of Tsarism 1914–1917 1964
[141] 웹사이트 Governments, Parliaments and Parties (Russian Empire) http://encyclopedia.[...] 2014-12-27
[142] 문서 Pares
[143] 웹사이트 Romanian Operations 1916 http://www.warchron.[...] 2014-07-15
[144] 문서 Moe
[145] 서적 Almanac of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46] 문서 Massie
[147] 문서 Moe
[148] 문서 Pares
[149] 문서 Radzinsky (2010)
[150] 문서 van der Meiden
[151] 문서 Buchanan
[152] 문서 Pares
[153] 문서 Nelipa
[154] 문서 Figes
[155] 서적 De dood van Raspoetin
[156] 문서 Spiridovich
[157] 문서 van der Meiden
[158] 문서 Nelipa
[159] 문서 Rasputin
[160] 문서 Nelipa
[161] 문서 Nelipa
[162] 문서 Nelipa
[163] 문서 Nelipa
[164] 서적 The Rasputin File Doubleday
[165] 문서 ラスプーチンが青酸カリによって死ななかった理由
[166] 웹사이트 Ch. V. "December 25, 1910 – January 8, 1917" http://www.gwpda.org[...]
[167] 웹사이트 The Russian diary of an Englishman, Petrograd, 1915–1917 https://archive.org/[...]
[168] 문서 Nelipa
[169] 문서 Nelipa
[170] 문서 Nelipa
[171] 문서 Nelipa
[172] 문서 Nelipa
[173] 문서 Almasov
[174] 웹사이트 The Moika basement – The night of December 29 http://www.alexander[...]
[175] 문서 Spiridovich
[176] 서적 Rasputin. Der allmächtige Bauer 1928
[177] 문서 Purishkevich
[178] 문서 Radzinsky 2000
[179] 웹사이트 O.A. Platonov Murder http://www.omolenko.[...] 2014-07-15
[180] 문서 Fuhrmann
[181] 웹사이트 Treugolnik http://www.encspb.ru[...]
[182] 웹사이트 Alexander Palace http://forum.alexand[...]
[183] 웹사이트 The Great Petrovsky Bridge (Saint Petersburg) http://wikimapia.org[...] 2014-07-15
[184]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 an online book on Romanov Russia – Chapter XIII http://www.alexander[...] 2014-12-27
[185] 문서 Hoare
[186] 문서 Nelipa
[187] 웹사이트 Rasputin's Murder http://forum.alexand[...] 2014-07-15
[188] 문서 Nelipa
[189] 문서 Nelipa
[190] 문서 Nelipa
[191] 문서 Fuhrmann
[192] 문서 Nelipa
[192] 서적 Prologue regicide 2001
[193] 문서 Spiridovich
[194] 문서 Moynahan
[195] 문서 Fuhrmann
[196] 문서 King
[197] 문서 Nelipa
[198] 웹사이트 Rasputin’s Penis: Hoax or Not? http://www.museumofh[...] 2021-01-24
[199] 문서 Rasputin
[200] 문서 Fuhrmann
[201] 웹사이트 The Russian diary of an Englishman, Petrograd, 1915–1917 https://archive.org/[...]
[201] 웹사이트 The Russian diary of an Englishman, Petrograd, 1915–1917 https://archive.org/[...]
[201] 문서 Almasov
[202] 문서 Pares
[203] 문서 Nelipa
[204] 문서 Almasov
[205] 문서 Nelipa
[206] 문서 Moe
[207] 뉴스 Reveals Scandals Of Old Russian Church https://news.google.[...] Ottawa Citizen 1930-11-28
[208] 문서 Nelipa
[209] 웹사이트 To Kill Rasputin: The Life and Death of Grigori Rasputin http://www.rulit.net[...]
[210] 웹사이트 Alexanderpalace http://forum.alexand[...] 1918-07-17
[211] 서적 Nelipa
[212] 서적 Shelley
[213] 웹사이트 Lost Splendor – Felix Yussupov – Chapter XXIV http://www.alexander[...] 2014-12-27
[214] 서적 Nelipa
[215] 서적 Fuhrmann
[216] 뉴스 Spy secrets revealed in history of MI6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0-09-21
[217] 서적 Figes
[218] 서적 A People's Tragedy 2006
[219] 웹사이트 Alexander Palace http://www.alexander[...]
[220] 서적 Nelipa
[221] 서적 Moynahan
[222] 서적 Spiridovich
[223] 서적 Figes
[224] 서적 Radzinsky (2000)
[225] 웹사이트 Rasputin G. E. (1869–1916) http://www.encspb.ru[...]
[226] 서적 Nelipa
[227] 서적 Moe
[228] 서적 Rasputin
[229] 서적 Fuhrmann
[230] 서적 Biografie van de Russische monnik 1863–1916 1988
[231] 웹사이트 On this day: Russia in a click http://russiapedia.r[...]
[232] 서적 Shelley
[233] 웹사이트 Rasputin: Between Virtue & Sin http://www.dailymoti[...] 2016-05-25
[234] 서적 Moe
[235] 웹사이트 Ch. X. "April 1 – June 2, 1915" http://www.gwpda.org[...] 1925
[236] 서적 Vyrubova
[237] 서적 King
[238] 서적 Shelley
[239] 서적 Nelipa
[240] 서적 Nelipa
[241] 웹사이트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 Chapter Thirteen – Tsar at the Duma – Galacia – Life at G.Q.H. – Growing Disaffection http://www.alexander[...] 2014-07-15
[242] 서적 Pares
[243] 서적 Nelipa
[244] 서적 Rasputin
[245] 서적 Rasputin
[246] 서적 van der Meiden
[247] 서적 Fuhrmann
[248] 웹사이트 Elder Nikolay Guryanov's testament for Russia http://www.3rm.info/[...]
[249] 뉴스 Orthodox Church Takes On Rasputin https://web.archive.[...] Moscow Times 2003-02-05
[250] 논문 Russia Igor Torbakov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s://www.gwu.edu/[...]
[251] 웹사이트 ロシアの怪僧ラスプーチンのドラマシリーズ制作へ https://eiga.com/new[...] 映画.com 2016-02-28
[252] 웹사이트 来日全外国人レスラー名鑑 ワイルド・アンガス http://www.showapuro[...] 昭和プロレス研究室 2022-04-09
[253] 뉴스 (최순실로 소환된 역사인물②)제정러시아 몰락 가져온 괴승 ’라스푸틴‘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16-10-29
[254] 뉴스 한국판 라스푸틴, 21세기 진령군… 나라 홀린 ‘흑역사’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6-11-05
[255] 뉴스 허수아비 자청한 결정장애 통치자들 http://www.sisain.co[...] 시사IN 2017-03-22
[256] 백과사전 두산백과 특약 https://terms.naver.[...]
[257] 문서 라스푸틴이 제멋대로 책정한 세율은 90% 이상이었다.
[258] 서적 스캔들 세계사 4 파피에 2017-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