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바 혁명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바 혁명군은 1962년 7·26 운동의 확대 개편으로 창설되었으며, 체 게바라가 창설을 주도했다. 냉전 시기에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등지에 군대를 파병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유격전을 지원했다. 1989년 숙청 사건 이후 군사력이 축소되었고, 냉전 종식 후 소련의 지원 중단으로 인해 전력은 더욱 약화되었다. 현재는 육해공군과 준군사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군은 3만 8천 명, 해군은 3천 명, 공군은 8천 명 규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군사 - 쿠바 혁명공군 및 반항공군
    쿠바 혁명공군 및 반항공군은 1917년 쿠바 육군 항공대에서 시작하여 1959년 쿠바 혁명 후 소련의 지원으로 재편성되었으며, 현재 쿠바 영공 방어를 담당하는 다양한 장비를 운용한다.
  • 1960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0년 설립 - 라디오 오키나와
    라디오 오키나와는 1960년 개국한 오키나와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주파수와 출력을 변경하며 방송망을 확장하여 현재는 오키나와 전역에 다수의 FM 중계국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 비중이 높고 radiko 프리미엄을 통해 오키나와 밖에서도 청취 가능하다.
쿠바 혁명군
기본 정보
쿠바 혁명군 휘장
쿠바 혁명군 휘장
명칭쿠바 혁명군
창설일1868년
현재 형태1960년
본부아바나, 쿠바
웹사이트
지휘부
최고 사령관미겔 디아스카넬
최고 사령관 직책제1서기
최고 책임자[[파일:Flag of the President of Cuba.svg|border|23px]] 대통령 미겔 디아스카넬
최고 책임자 직책최고 사령관
국방부 장관[[파일:FAR emblem.svg|25px]] 알바로 로페스 미에라 대장
국방부 장관 직책혁명군부 장관
총사령관[[파일:FAR emblem.svg|25px]] 알바로 로페스 미에라 대장
총사령관 직책총참모장
병력
징병 대상 연령17-28세 (의무 복무)
징병제남녀 모두 2년 의무 복무
가용 인력3,134,622명
가용 여성 인력3,022,063명
복무 적합 인력1,929,370명
복무 적합 여성 인력1,888,498명
현역 군인50,000명 (2022년 추정)
예비군40,000명
재정
국방비GDP의 4.2% (2020년 추정)
산업
국내 공급 업체Union de Industrias Militares
해외 공급 업체









조직
군 종류혁명군
혁명 공군 및 방공군
혁명 해군
영토 방위 민병대
청년 노동군
국방 및 생산 여단
역사
주요 전쟁 및 전투에스캄브라이 반란
피그스만 침공
모래 전쟁
기니비사우 독립 전쟁
소모전
1972년 예멘 전쟁
욤 키푸르 전쟁
앙골라 내전
오가덴 전쟁
미국 그레나다 침공
관련 항목
군 계급쿠바 군 계급
군사 역사쿠바 군사 역사
관련 조직(영토 방위 민병대)
(청년 노동군)
(국방 및 생산 여단)
(쿠바 민방위)
(국가 예비군 연구소)
(혁명군부 장관)

2. 역사

쿠바 혁명군은 1868년 10년 전쟁 당시 쿠바 혁명가들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다.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에 연합국으로 참전하여 주로 미국에 설탕을 공급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카리브해 전투에 참여했으며, 미국의 지원을 받는 연합국의 일원이었다.

호세 마르티 묘소의 경비병, 산티아고데쿠바


오토바이를 탄 쿠바 혁명군대 병사들


쿠바 혁명군은 국내 분쟁 외에도 여러 해외 분쟁에 참전했다. 1961년 피그스만 침공에 맞서 싸웠고, 1959년부터 1965년까지 반군과 전투를 벌였다. 또한, 1963년에는 알제리에, 1973년에는 시리아에, 1978년에는 에티오피아에, 1975년부터 1988년까지 앙골라에 장기간 파병되었으며, 1980년에는 니카라과에 파병되었다. 1960년대에는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에서, 1980년대에는 엘살바도르에서 활동했으며, 아프리카 여러 국가에도 파병되었다. 특히 앙골라 내전에서는 1975년부터 대규모로 개입하여 아고스티뉴 네투 정권의 존속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8년 쿠이토 쿠아나발레 전투에서는 앙골라군과 함께 남아프리카군의 침공을 저지했다. 이후 뉴욕 협정을 통해 나미비아의 독립을 조건으로 쿠바군과 남아프리카군은 앙골라에서 철수했다. 이러한 앙골라 파병 활동은 카를로타 작전이라고 불린다.

1989년 쿠바 정부는 군대와 내무부의 대대적인 숙청을 실시하여 아르날도 오초아 중장과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 내무부 대령 등을 부정부패와 마약 밀매 혐의로 기소했다. 이 사건은 "카우사 1(Causa 1)"로 알려져 있으며, 오초아와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사형 집행 후, 혁명군은 급격히 감축되었고, 내무부는 라울 카스트로의 비공식적인 통제하에 놓였으며, 많은 육군 장교들이 내무부로 이동했다.

1998년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에 따르면 쿠바의 준군사 조직은 사기와 훈련이 크게 저하되었지만 여전히 "적의 침공을 어렵게 만들" 잠재력을 유지하고 있었다.[21] 쿠바는 "인민전" 전략을 채택하여 방어 능력을 강조했다.[12]

냉전 종식 후 소련의 지원 중단으로 쿠바 군사력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혁명군은 정규군 3만 9천 명 규모이다.[2] 2021년 4월, 알바로 로페스 미에라가 혁명군 장관에 취임했다.[13]

2. 1. 쿠바 혁명과 혁명군 재편

1962년 7·26 운동이 확대 개편되어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과 쿠바 혁명군으로 나뉘었다. 쿠바 혁명군은 체 게바라에 의해 창설되었다. 피델 카스트로의 지휘 아래 7월 26일 운동이 풀헨시오 바티스타의 정부를 전복한 쿠바 혁명 이후, 쿠바 반군은 현재의 쿠바 군대로 재편되었다.[41] 1960년대에 쿠바 혁명군은 포코 이론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내걸고 라틴아메리카마르크스-레닌주의 게릴라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989년 쿠바 정부는 국방부와 내무부의 반대파 인사들을 숙청했다. 이 기간 대표적으로 앙골라 파견군 사령관이었던 아르날도 오초아와 내무성 대좌였던 안토니오 가디아가 처형되었다. 이후 쿠바 혁명군은 많이 축소됐다. 현재 내무성은 전적으로 현재 국가평의회 의장인 라울 카스트로가 실질적으로 통치 중이다.[41]

냉전 종식 후, 쿠바 혁명군은 소련의 원조를 받을 수 없어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정규군 규모는 49,000명으로 감소했고, 1998년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민병대의 군기는 많이 약해졌고, 시설 악화로 쿠바군 대다수는 안 좋은 군 복무 환경에 처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은 2005년까지 계속되었다.[41]

2. 2. 냉전 시기

1962년 7·26 운동이 확대 개편되어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과 쿠바 혁명군으로 나뉘면서 체 게바라에 의해 쿠바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1960년대 쿠바 혁명군은 포코 이론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내걸고 라틴아메리카마르크스-레닌주의 게릴라 운동을 지원했다.

1989년 쿠바 정부는 국방부와 내무부 반대파 인사들을 숙청하면서 앙골라 파견군 사령관 아르날도 오초아와 내무성 대좌 안토니오 가디아가 처형되었고, 이후 쿠바 혁명군은 축소되었다. 현재 내무성은 라울 카스트로가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

냉전 종식 후 쿠바 혁명군은 소련의 원조 중단으로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정규군 규모는 49,000명으로 감소했고, 1998년 미국 국방정보국(DIA)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민병대의 군기가 약화되고 시설 악화로 쿠바군 대다수가 안 좋은 군 복무 환경에 처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은 2005년까지 계속되었다.[41]

쿠바 혁명군 병사들


냉전 기간 동안 소련의 군사 및 재정 지원으로 1966년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쿠바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최고의 군사력을 갖추고 해외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특히 1980년대 대부분 동안 소련의 쿠바 군사 물자 지원량은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보다 많았다.

1989년 정부는 군대와 내무부를 대대적으로 숙청하여 아르날도 오초아 중장,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 내무부 대령, 파트리시오 데 라 과르디아 내무부 준장을 부정부패와 마약 밀매 혐의로 기소했다. 이는 "카우사 1(Causa 1)"(사건 1)로 알려져 있으며, 오초아와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혁명군은 감축되었고, 내무부는 라울 카스트로의 비공식적인 통제하에 놓였으며, 많은 육군 장교들이 내무부로 이동했다.

1998년 미국 국방정보국 보고서는 쿠바 준군사 조직(영토 민병대, 청년 노동군, 해군 민병대)의 사기와 훈련 저하에도 불구하고 "적의 침공을 어렵게 만들" 잠재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21] 쿠바는 "인민전" 전략을 채택하여 방어 능력을 강조했다.[12]

쿠바 군사력은 냉전 종식 후 소련 지원 중단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정규군은 3만 9천 명 규모이다.[2] 2021년 4월, 알바로 로페스 미에라가 혁명군 장관에 취임했다.[13]

1966년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소련의 지원으로 쿠바 혁명군은 해외 군사 작전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군사력을 증강했다. 1994년 당시 현역 병력은 23만 5천 명으로 추정되었다. 쿠바 혁명군은 국내 분쟁 외에도 여러 해외 분쟁에 참전했으며, 장교들은 게릴라 지원을 위한 군사 행동에 참여했다.

2. 2. 1. 아프리카 개입

쿠바 군의 첫 실전 경험은 1961년 피그스 만 침공 대응이었다. 1961년에서 1963년까지는 알제리 독립전쟁에서 알제리 인민해방군 측의 지원군으로 파견되었으며, 1973년에는 중동 전쟁에서 시리아 측의 지원군으로, 1978년 에티오피아, 1975년부터 1988년까지 앙골라 해방인민운동을 지원했다. 또한 1970년대 ~ 1980년대 니카라과 사회주의 혁명에서 니카라과 혁명군을 돕기 위해 니카라과에도 파견되었다.[36]

1960년대에는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등으로 파견되었으며, 1980년대에는 엘살바도르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다른 아프리카 국가로는 1960년대에는 콩고 민주 공화국 및 콩고 공화국, 기니 등에 파견되어 콩고 혁명, 카보베르데 독립당의 전투 조직 훈련 등을 지도했다.[36]

특히 앙골라 내전1975년부터 대규모로 개입하였고 독립 이전부터 지원하던 MPLA의 아고스티뉴 네투 정권의 존속을 군사적, 경제적 원조를 통해 가능하게 했다. 이후에도 인종 차별 정책을 내거는 남아공의 극우 인종 차별주의 민족주의자들에게 대항한다는 명목으로 넬슨 만델라의 ANC를 지원했으며, 남아프리카 방위군(South African Defence Force, SADF)을 상대로 약 13년간에 걸쳐 계속 싸웠다.[37] 1988년에 발생한 쿠이토 쿠아나발레 전투에서는 앙골라군과 함께 남아프리카군의 침공을 저지했고, 이로 인해 교착 상태에 빠진 앙골라, 쿠바, 남아프리카는 뉴욕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유엔 앙골라 검증단의 감시하에 남아프리카가 점령하고 있던 나미비아의 독립을 조건으로 쿠바군과 남아프리카군은 앙골라에서 철수했다.[37][38] 이러한 일련의 앙골라 파병 활동은 카를로타 작전(Operación Carlota)이라고 불리며, 스페인 식민지주의에 반란을 일으킨 흑인 여성 노예의 이름을 따왔다.

2. 3. 1989년 숙청 사건

1989년, 쿠바 정부는 국방부와 내무부의 반대파 인사들을 숙청했다. 이 기간 대표적으로 앙골라 파견군 사령관이었던 아르날도 오초아와 내무성 대좌였던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가 처형되었다.[41] 이 판결은 쿠바에서 "카우사 1(Causa 1)"(사건 1)로 알려져 있으며, 오초아와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사형 집행 후, 쿠바 혁명군은 급격히 감축되었고, 내무성은 혁명군 사령관 라울 카스트로(피델 카스트로의 형제)의 비공식적인 통제하에 놓였으며, 많은 수의 장교들이 내무부로 이동했다.

2. 4. 냉전 이후

1989년, 쿠바 정부는 국방부와 내무부의 반대파 인사들을 숙청했다. 이 기간 대표적으로 앙골라 파견군 사령관이었던 아르날도 오초아와 내무성 대좌였던 안토니오 데 라 과르디아가 처형되었다.[41] 이후 쿠바 혁명군은 많이 축소됐다. 현재 내무성은 현재 국가평의회 의장인 라울 카스트로가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다.

냉전이 끝난 후, 쿠바 혁명군은 소련의 원조를 받을 수 없었고, 그 때문에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정규군 규모는 49,000명으로 감소했고, 1998년 DIA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민병대의 군기는 많이 약해졌고, 시설 악화로 쿠바군 대다수는 안 좋은 군 복무 환경에 처했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은 2005년까지 계속되었다.[41]

3. 조직

쿠바 혁명군은 혁명군성(MFAR) 산하에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여러 준군사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분병력 규모주요 장비비고
육군약 38,000명대부분 구소련제 장비카리브해 최대 규모이나 부품 및 연료 부족[19]
해군약 3,000명고속정 13척 중심소규모 해병대와 해안 포병 부대 보유[42]
공군약 8,000명구 소련제 항공기 약 200대 (약 20%만 가동 가능)지대공 미사일 체제 방공대 보유[43]



주요 준군사조직은 다음과 같다:


  • 청년노동군(Ejercito Juvenil del Trabajo, EJT): 국가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생산 활동, 군사 훈련 담당.
  • 지방민병대(Milicias de Tropas Territoriales, MTT): 조국 방위를 위한 자원 민병 조직. 100만 명 이상(여성 약 50%).
  • 생산방위여단 (Brigadas de Producción y Defensa, BPD): 전시에 생산 활동 담당.

3. 1. 육군

쿠바 육군은 약 38,000명으로, 거의 같은 수의 예비군을 보유하고 있다. 16개 보병 여단과 예비역 14개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비는 대부분 구소련제이며, 쿠바 혁명무력은 카리브해에서 가장 큰 규모이지만 부품과 연료 부족으로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9] 국경 경비 여단도 있으며, 쿠바는 섬나라이지만 국내에 미국이 임대하고 있는 관타나모 미군 기지가 있어 육상 경비뿐만 아니라 주변 수역 경비도 필요하다.

1984년 ''제인스 밀리터리 리뷰''에 따르면 서부, 중부, 동부 3개 주요 지휘부가 있었다.[20] 총 병력은 13만 명이며, 각 지휘부에는 기갑사단 1개, 기계화사단 1개, 보병사단 3개로 구성된 군단 1개가 있었다. 동부 사령부에는 6개 사단으로 구성된 군단 2개가 있었고, 유스섬에는 보병사단 1개를 주둔시킨 독립 군 지역이 있었다.

1998년 상반기 미 국방정보국(DIA) 평가에 따르면, 훈련 감소로 육군 기갑 및 포병 부대 준비태세가 낮고, 대대급 이상 작전 수행이 어려웠으며, 장비는 대부분 저장되어 즉시 사용이 불가능했다.[21] 쿠바 특수부대는 훈련을 계속했지만 규모가 줄었고, 장비 부품 및 연료 부족으로 작전 능력이 영향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지역 강대국에 상당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22]

3. 2. 해군

쿠바 혁명군 해군은 약 3,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쿠바 해군은 영해를 동서로 양분하여 방위 경비 체제에 돌입하고 있다. 장비로는 고속정 13척을 중심으로, 소규모 해병대와 해안 포병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42]

하바나에 있는 헬리콥터 항공모함 순찰함 ''Rio Damuji n° 390'' (2011년 7월)


1988년 쿠바 해군은 1만 2천 명의 인원, 잠수함 3척, 첨단 유도탄 호위함 2척, 정찰함 1척, 그리고 다수의 순찰정과 기뢰 제거함을 보유하고 있었다.[26] 그러나 소련제 함정 대부분은 퇴역하거나 인공 암초를 조성하기 위해 침몰되었다. 2007년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는 쿠바 해군의 인원을 3,000명(해병대 550명 이상 포함)으로 평가했으며, 오사-II급 미사일 고속정 6척과 파우크급 코르벳 1척을 운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쿠바 해군에는 ''그란마 상륙''이라는 소규모 해병대 대대도 있으며, 한때 550명의 병력을 보유했지만 현재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구형 소련제 잠수함이 퇴역한 후, 쿠바는 북한의 소형 잠수함 운용 경험에 도움을 요청했다. 북한 탈북자들은 1990년대 중후반 비밀 잠수함 기지에서 쿠바인들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수년 후 하바나 항구에서 작고 검은색의 국산 잠수함 사진 한 장이 공개되었다. 이 잠수함은 '돌핀(Delfin)'으로 불리며 어뢰 2개를 장착할 것으로 추정된다. 단 1척만 운용 중이며, 설계는 북한과 소련 설계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창적인 것으로 보인다.[27][28]

쿠바 해군은 한때 스페인 소유였던 대형 어선 ''Rio Damuji''를 개조했다. ''BP-390''은 현재 C-201W 미사일 2기, 57mm 함포 2문, 25mm 함포 2문, 14.5mm 기관총 1정을 장착하고 있다. 이 함정은 코니급 호위함보다 크며 헬리콥터 항공모함 순찰함으로 운용된다. 두 번째 함정(''BP-391'')도 개조되어 2016년 취역했다.[29]

쿠바 해군은 현재 쿠바에서 생산한 낡은 스틱스(Styx) 소련 미사일의 복제품인 반데라(Bandera)와 레물가다스(Remulgadas) 대함 미사일 시스템, 그리고 국산 프론테라(Frontera) 자주식 해안 방어 다연장 로켓 발사기를 운용한다. 해군의 주요 위협은 마약 밀수와 불법 이민이다. 쿠바의 지리적 위치와 제한적인 해군력으로 인해 밀수업자들이 쿠바 영해와 영공을 이용할 수 있었다.[30]

쿠바 해군의 항공대는 대잠전용 헬리콥터 운용대이며, Mil Mi-14 헤이즈(Haze) 헬리콥터 2대를 보유하고 있다.[23]

3. 3. 공군 및 방공군

쿠바 혁명 공군 및 방공군(DAAFAR)은 1980년대 소련의 지원을 받아 해외, 특히 아프리카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 쿠바는 앙골라에티오피아와 같은 분쟁 지역에 전투기와 수송기를 배치했다.

1970년대 쿠바의 MiG-21MF


1990년 쿠바 공군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잘 장비된 공군이었다. 현대적인 쿠바 공군은 총 약 230대의 고정익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정확한 수치는 없지만, 서방 분석가들은 이들 항공기 중 최소 130대(운용 가능한 항공기는 25대에 불과함[23])가 섬에 있는 13개의 군용 비행장에 배치되어 여전히 운용 중일 것으로 추산한다.

1996년 DAAFAR는 플로리다에 기지를 둔 세스나 항공기 2대를 격추했다. 이 항공기들은 쿠바 영공에 전단을 투하하려 한다는 잘못된 의심을 받았다. 공군은 이 항공기 조종사들에게 격추 외 다른 선택지를 주지 않은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한 대의 항공기는 탈출했다.[24]

1998년, 위에서 언급한 DIA 보고서에 따르면 공군은 "24대 미만의 운용 가능한 미코얀-구레비치(MiG) 전투기, 숙련도 유지를 위한 조종사 훈련 부족, 감소하는 전투기 출격 횟수, 공격하는 공군에 대응하기 위한 지대공 미사일 및 대공포 부족"을 겪고 있었다.[25]

2007년 국제전략문제연구소는 쿠바 공군의 병력을 8,000명, 전투 가능 항공기 41대, 188대의 비축 항공기로 평가했다. DAAFAR는 MiG-29 1대와 MiG-23 몇 대를 추가로 확보하여 현재 운용 중인 전투기가 58대로 늘어났다. 이는 MiG-29 6대, MiG-23 40대, MiG-21 12대로 구성되어 있다. IISS는 또한 DAAFAR가 12대의 운용 중인 수송기와 L-39C 8대를 포함한 훈련기, 그리고 주로 Mil Mi-8, Mil Mi-17, Mil Mi-24 Hind 헬리콥터를 보유하고 있다고 추산했다. 라울 카스트로는 2010년 모든 MiG-29 조종사가 완전한 훈련을 받도록 명령했으며, 현재 연간 200~250시간의 비행 훈련과 실제 공중전 훈련 및 훈련을 받고 있다. 최대 20대의 MiG-23도 이러한 훈련을 받지만, 나머지 16대의 MiG-23은 실제 비행보다 시뮬레이터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MiG-21 부대는 이러한 훈련 훈련에 제한된 시간을 할애하고 시뮬레이터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며 공군의 상업 브랜드인 아에로가비오타에서 비행하며 기술을 유지한다.

공군은 총원 8,000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군과 마찬가지로 관구를 동서로 이분하여 방위 경비에 임하고 있다. 장비는 소련제 항공기를 중심으로 약 200기를 보유하고 있으나, 그중 2할 정도만 가동 가능하여 상황이 열악하다.[43] 또한, 공군은 지대공 미사일을 이용한 방공 임무도 수행하고 있다.

3. 4. 준군사조직

영토군 민병대는 쿠바 무장군(MINFAR)의 지휘를 받는 민간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다.[31] 이들은 혁명을 수호하려는 국민의 의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예비군으로 가벼운 무기를 소지하며, 필요할 때만 무기를 받는다.[32]

청년노동군(스페인어: Ejercito Juvenil del Trabajo – EJT)은 법적으로 쿠바 국방성(MINFAR)의 직접 통제를 받는 준군사 조직이다. 1973년 8월 3일, 센테니얼 청년부대(CJC)와 상설 보병사단(DIP)을 통합하여 공식적으로 만들어졌다. 쿠바의 의무 복무 법에 따라 모든 남성 시민은 청년노동군에서 3년간 복무해야 한다. 청년노동군이 만들어지면서 육군은 군사 문제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청년노동군은 설립 후 20년 동안 예비군으로 활동했고, 1993년부터는 국영 농장 관리 책임을 맡게 되었다.[33]

쿠바 공화국의 국경수비대(Tropas Guardafronteras, TGF)는 국가의 국경과 영해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는 부대이며, 내무성(MININT)의 지휘를 받는다. 이 부대는 1970년 9월 23일에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34] 1970년대 후반, 여러 협정이 체결되어 국경 보호에 대한 여러 변화가 있었다. 여기에는 1976년 쿠바와 멕시코 간 쿠바-멕시코 해양 국경 지역 배타적경제수역 획정 협정과 1977년 쿠바와 아이티 간 해양 국경 협정이 포함된다. 국경수비대는 사실상 국경경비대이자 해안경비대의 역할을 하며, 모든 신임 장교는 그란마 해군사관학교에서 임관한다.

  • '''청년노동군'''(Ejercito Juvenil del Trabajo|청년노동군es, ''EJT'')은 1973년 8월 1일에 창설된 민병 조직으로, 혁명군의 일부이다. 주요 임무는 국가와 사회 발전을 위한 생산 활동, 환경 보호와 천연자원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조치 실행, 군사 훈련 참가, 교육 및 애국 조직을 통한 군사, 노동, 문화, 스포츠에 기여하는 것이다.

  • '''Milicias de Tropas Territoriales|지방민병대|en|Territorial Troops Militiaes'''(''MTT'')는 1980년 5월 1일에 창설된 조국 방위를 위한 자원제 민병 조직으로, 혁명군의 일부이다. 조직 계층은 지방민병대 사단, 연대, 대대, 독립 중대로 구성되며, 그 수는 100만 명 이상으로 약 절반이 여성이다. 남성의 경우 정규군 예비역이 아닌 고령자가 대부분이다. 대원은 각자 사는 지역 내에서 비상시에 인프라 수비 및 민간 방위 임무를 맡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정규군 인원 보충 역할도 한다. 1980년대 초반에는 유사시를 대비한 터널 및 지하 쉘터 건설 공사에도 참여했다. 장비는 소화기뿐만 아니라 야포와 고사포로 무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민병의 거주지 근처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 '''생산방위여단'''(Brigadas de Producción y Defensa, ''BPD'')은 전시에 생산 활동에 종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전국 약 2,000곳에 걸쳐 생산 센터와 연구소를 조직한다.

4. 군사 교육 기관


  • 막시모 고메스 사령관 아카데미 - 엘 모로 아카데미의 후신으로, 현재 쿠바 혁명군의 사령관 양성 대학이다.
  • 쿠바 국방대학교
  •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군사학교 시스템 - 1962년 설립, 여러 도시에 20개의 캠퍼스를 보유한 공식 군사 고등학교이다.
  • 호세 마세오 군사대학 - 지상군의 장교 후보생 학교이다.
  • 안토니오 마세오 군사대학
  • 그란마 해군사관학교
  • 호세 마르티 군사 기술 연구소 - 현재 기술 서비스 및 공군의 장교 후보생 학교이다.
  • 쿠바 군의학교
  • 아리데스 산체스 군사 사법학교
  • 카밀로 시엔푸에고스 군사학교 - 각 지역 군에 1개씩 설립되어 있다.
  • 마요르헤네랄 호세 마세오 이 그라할레스 실습학교 - 산티아고데쿠바 소재
  • 루가르테니엔테헤네랄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실습학교 - 하바나 시 소재
  • 호세 마르티 군사연구소
  • 헤네라리시모 막시모 고메스 바에스 공군사관학교
  • 그란마 해군사관학교
  • 바라구아 특수부대학교
  • 코만단테 아리데스 에스테베스 대첩보전학교


소비에트 연방이 존재했을 당시에는 많은 군인들이 다른 동구권 국가에서 훈련을 받았다. 전체를 포괄하는 인민전쟁 개념에 기초하여 각 주에는 방위준비주학교가 설치되었고, 최소한 1년에 한 번은 주요 군의 지도자들은 생산방위여단이나 지방 민병대 당국자들 아래에서 교육을 받았다.

5. 장비

쿠바 혁명군의 장비는 대부분 구소련제이며, 카리브 해에서 가장 큰 규모이지만 부품과 연료 부족으로 운용 능력에 문제가 있다.[42] 육군은 구소련제 장비를 중심으로 하며, 16개 보병 여단과 14개의 예비역 여단이 있다. 국경 경비 여단은 쿠바 국내 관타나모 미군 기지와 주변 수역 경비를 위해 경비정을 보유하고 있다. 해군은 고속정 13척을 중심으로 소규모 해병대와 해안 포병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42] 공군은 구 소련제 항공기 약 200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약 20%만 정상 가동 가능하다. 공군은 지대공 미사일 체제로 방공대도 갖추고 있다.[43]

참조

[1] 웹사이트 Álvaro López Miera sustituye a Leopoldo Cintra Frías en el Ministerio de las FAR cubanas https://www.14ymedio[...] 2021-04-15
[2] 간행물 The Military Balance 2015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3] 웹사이트 Cub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03-30
[4] 웹사이트 The Cuban military and transition dynamics https://web.archive.[...] 2009-08-27
[5] 웹사이트 Does the Cuban Military Really Control Sixty Percent of the Economy? https://www.huffingt[...] 2017-06-28
[6] 웹사이트 Challenges to a Post-Castro Cuba https://web.archive.[...] 2009-08-27
[7] 논문 Can Cuba Change? http://www.journalof[...] 2009-01-01
[8] 웹사이트 The Outlook for Cuba and What International Actors Should Avoid https://web.archive.[...] 2009-08-27
[9] 잡지 Cuba: Havana's Military Machine https://www.theatlan[...] 1988-08-01
[10] 웹사이트 Afghanistan : a country study https://search.world[...] 2024-06-07
[11] 웹사이트 Afghanistan : a country study, by Donald M. Seekins et al. https://onlinebooks.[...] 2024-06-07
[12] 웹사이트 Cuba and China strengthen military cooperation http://www.armyrecog[...] 2012-09-16
[13] 뉴스 Designan al general Álvaro López Miera como nuevo Ministro de las fuerzas armadas de Cuba https://wtop.com/new[...] 2021
[14] 서적 Directory of Personalities of the Cuban Government, Official Organizations, and Mass Organizations https://books.google[...]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10-11
[15] 서적 Directory of officials of the Republic of Cuba https://ufdc.ufl.edu[...] Central Intelligence Agency, Directorate of Intelligence 2021-10-11
[16] 웹사이트 Partido Comunista de Cuba https://web.archive.[...] 2010-09-25
[17] 웹사이트 Designan al general Álvaro López Miera como nuevo ministro de las Fuerzas Armadas de Cuba https://web.archive.[...] 2021-04-22
[18] 웹사이트 Nuevo Buró Político, Secretariado y miembros del Comité Central del Partido Comunista de Cuba https://web.archive.[...] 2021-04-19
[19] 웹사이트 THE CUBAN MILITARY ESTABLISHMENT (Sanitized) | CIA FOIA (foia.cia.gov) https://www.cia.gov/[...]
[20] 간행물 The Cuban Revolutionary Armed Forces Jane's Publishing Company 1985
[21] 잡지 DIA expresses concern over Cuban intelligence activity 1998-05-13
[22] 웹사이트 Cuba https://www.cia.gov/[...] CIA 2016-04-24
[23] 웹사이트 Cuban Armed Forces Review: Air Force https://web.archive.[...]
[24] 간행물 Resolution on the Cuban Government's Shootdown of Brothers to the Rescue http://www.icao.in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1996-06-27
[25] 잡지 1998-05-13
[26] 웹사이트 Cuba: Havana's Military Machine https://www.theatlan[...] 1988-08-01
[27] 웹사이트 Delfin http://www.hisutton.[...] 2016-10-10
[28] 웹사이트 New Photo Reveals Cuban Navy's Secret Submarine https://web.archive.[...] 2020-03-02
[29] 웹사이트 Un baluarte sobre el mar http://www.granma.cu[...] 2017-08-28
[30] 웹사이트 Global Security on Cuban Navy http://www.globalsec[...]
[31] 웹사이트 About this Collection - Country Studies - Digital Collections - Library of Congress http://lcweb2.loc.go[...]
[32] 웹사이트 Territorial Militia Troops http://www.globalsec[...]
[33] 웹사이트 Youth Labor Army [Ejercito Juvenil del Trabajo] https://www.globalse[...]
[34] 웹사이트 Guardianes de nuestras costas http://www.juventudr[...]
[35] 간행물 Military Balance 2007
[36] 서적 アンゴラとキューバ 平凡社 1989-06
[37] 서적 アンゴラとキューバ 平凡社 1989-06
[38] 서적 南アフリカの歴史【最新版】 明石書店 2009-11
[39] 서적 Military Balance 2007
[40] 웹사이트 중국과 쿠바의 군사 협력에 관한 기사문 http://www.armyrecog[...]
[41] 서적 DIA expresses concern over Cuban intelligence activity
[42] 웹인용 쿠바 해군에 대한 정보 http://www.harpoonda[...] 2013-03-07
[43] 서적 Współczesne Gąsiennicowe Wozy Bojow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