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나라는 대륙에서 떨어져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정치적 불안정에 덜 취약한 경향을 보인다. 섬나라는 주권 국가 외에도 자치 지역이나 해외 영토를 포함하며, 대륙에 가깝고 국토 규모가 큰 일본, 영국, 인도네시아, 대륙에서 멀리 떨어져 국토 규모가 작은 아이슬란드, 태평양 여러 섬나라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탐라, 시칠리아 왕국, 하와이 왕국 등이 존재했으며, 많은 섬나라가 서구 문명의 진출로 식민지화되거나 반식민지화되면서 특성이 희미해졌다. 섬나라는 해상 교통로에 의존하며,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토지 감소, 물 부족, 해수면 상승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특히 투발루와 몰디브는 국토가 잠길 위기에 놓여 있다. 많은 섬나라가 관광업에 의존하며, 수입에 크게 의존하여 세계 경제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섬나라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섬나라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섬나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의 | 주로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
관련 용어 | 도서 국가, 열도 국가 |
특징 | |
지리적 특징 | 섬으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섬이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 |
문화적 특징 | 해양 문화가 발달 독특한 생태계 보유 |
경제적 특징 |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인 경우가 많음 규모가 작은 경제 |
정치적 특징 | 국가 권력이 여러 섬에 분산 소규모 국가가 많음 |
섬의 유형 | |
대륙도 | 대륙붕 위에 위치한 섬 (예: 영국) |
해양도 | 해저에서 솟아오른 섬 (예: 하와이) |
환초 | 산호초로 이루어진 섬 (예: 몰디브) |
섬나라 목록 (예시) | |
태평양 | 키리바시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 나우루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통가 투발루 바누아투 피지 사모아 |
대서양 |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영국 카보베르데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 바하마 바베이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앤티가 바부다 그레나다 도미니카 연방 |
인도양 | 몰디브 세이셸 코모로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스리랑카 |
지중해 | 키프로스 몰타 |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필리핀 동티모르 |
기타 지역 | 일본 뉴질랜드 |
관련 통계 | |
세계 인구 | 세계 총 인구의 약 10%가 섬나라에 거주함. |
2. 역사
(내용 없음)
역사적으로 섬나라는 대륙 국가들보다 정치적 불안정에 덜 취약한 경향이 있었다. 섬나라 중 민주주의 국가의 비율은 대륙 국가들보다 높다.[1]
3. 정치
3. 1. 섬나라의 유형
역사적으로 섬나라는 대륙 국가들보다 정치적 불안정에 덜 취약한 경향이 있었으며, 민주주의 국가의 비율도 대륙 국가들보다 높다.[1] 섬나라는 기본적으로 주권 국가이지만, 전 세계에는 공식적인 주권 국가로부터 반자치적으로 운영되는 여러 섬과 군도도 존재한다. 이러한 지역은 종종 속령이나 해외 영토로 불리며, 독립적인 섬나라와 유사한 성격을 가질 수 있다.
섬나라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몇 가지 기준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분류는 편의상의 구분이며 모든 경우에 정확히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특히 근대 이후 서구 문명의 확산 과정에서 많은 섬나라가 식민지화되거나 반식민지 상태에 놓이면서 고유한 특성이 약화되었다. 과거에는 국방을 위해 강력한 해군을 보유하거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항구를 건설하는 등의 특징이 있었으나, 현대에 들어 항공 기술의 발달, 경제 및 정보의 세계화, 식민지 독립 등으로 인해 섬나라 간의 동질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특성도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 과거에 존재했던 섬나라 ===
국가명 | 병합/합병 주체 | 병합/합병 연도 | 현재 상태 |
---|---|---|---|
탐라 | 조선 | 1402년 | 제주도 (대한민국)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1816년 | 이탈리아 공화국의 일부 |
하와이 왕국 | 미국 | 1898년 | 하와이주 (미국) |
잔지바르 | 탕가니카와 합병 | 1964년 | 탄자니아의 일부 |
류큐 왕국 | 일본 | 1879년 | 오키나와현 (일본) |
앵귈라 | 영국 | 1969년 | 영국의 해외 영토 (1년간의 독립 선언 후 복귀) |
4. 전쟁
섬나라는 역사적으로 다른 국가들 사이의 해상 정복과 경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4] 일반적으로 섬나라는 면적이 작고 해상 및 항공 교통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대륙 국가의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면이 있다.[5] 또한 용병이나 다른 외부 세력의 침략에도 노출되기 쉽다.[6] 하지만 동시에 고립된 지리적 위치는 섬나라를 공격하기 어려운 목표로 만들기도 한다.
근대 이전에는 대규모 군대를 많은 선박으로 수송해야만 섬나라를 공격할 수 있었다. 설령 공격을 받더라도 방어하는 측에 유리한 상륙작전을 치를 수 있었기 때문에, 아예 공격 시도조차 받지 않아 대외 전쟁 경험이 극히 적은 나라도 존재한다. 근대 이후에도 섬나라의 국방은 해상 방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항공기가 등장한 이후에도 공격 측과 동등한 수준의 군사력을 갖춘 섬나라를 침공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예를 들어, 영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본토 항공전에서 나치 독일 공군의 공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어 독일의 영국 본토 상륙 작전(바다사자 작전) 계획을 무산시켰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처럼 제공권을 완전히 상실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침공에 취약해질 수 있다.
섬 위에 국경선이 그어져 다른 나라와 영토를 공유하는 경우, 육로를 통한 침공 가능성이 생기므로 육군의 중요성도 커진다. 실제로 아이티는 역사적으로 도미니카 공화국을 침공한 사례가 있으며, 일본 역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소련군에게 북위 50도선을 돌파당해 사할린 남부를 사할린 전투 (1945년)으로 침공당했다. 또한 쿠바 섬에는 쿠바 정부와 적대 관계에 있는 미국군의 관타나모만 해군 기지가 존재하며, 이는 미국과 쿠바 양국 모두에게 국방 강화를 요구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반대로 섬나라가 침략을 당해 적군이 상륙한 경우, 후퇴하여 전열을 재정비할 후방 지역이 부족하여 항복하거나 전멸할 때까지 저항하는 극단적인 선택에 놓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본토 결전).
5. 천연 자원
섬나라는 주변이 해양이기 때문에 해양자원을 활용하기 용이하다. 많은 섬나라, 특히 개발도상 소규모 섬나라들은 주요 식량 공급원으로 어류에 크게 의존한다.[7] 해산물 생산이 활발하며, 어류·패류·갑각류 등의 채취를 통해 동물성 단백질을 얻기 쉬운 경우가 많다. 또한 해안에 항구가 발달하여 선박을 이용한 무역이 용이한 조건을 갖추고 교역 루트로 번영하는 지역도 많다.
반면, 국토가 좁은 섬나라에서는 하천이나 호소 형태로 빗물을 저장하기 어렵고, 해안가에서는 우물을 파도 염수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농경에 필요한 물을 충분히 얻기 어려운 지역도 적지 않다.
에너지 자원의 경우, 일부 국가들은 석유 가격 상승에 대비하여 풍력, 수력, 지열, 그리고 코프라유에서 추출한 바이오디젤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있다.[8]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섬나라의 중요한 자원인 국토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연안부의 평지가 수몰될 위험이 있으며, 특히 해발이 낮은 태평양 도서 국가들에서 국토 축소가 진행되고 있다. 투발루나 몰디브 등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국가의 존립과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23] 몰디브의 경우, 해수면이 1m만 상승해도 국토의 80%가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측된다.[23]
6. 지리
국제적으로 섬나라는 영토 전체가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를 의미한다.[20] 예를 들어, 오스트레일리아는 주변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라는 대륙에 속하므로 섬나라가 아닌 대륙 국가로 분류된다.
섬나라는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다른 대륙 국가들과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립성은 독자적인 문화가 발달하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해안이 발달하여 해산물 생산이 활발하고, 항구를 중심으로 선박을 이용한 무역이 이루어지기 용이한 조건을 갖춘 경우가 많다.
내륙국과 달리 육상 국경이 없어 국경 분쟁의 가능성은 낮지만, 배타적 경제 수역(EEZ) 등 해양 경계를 둘러싼 분쟁은 발생할 수 있다. 지리적 특성상 외부로부터의 침략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장점도 있다. 실제로 악천후 등으로 인해 침공 계획이 좌절되거나 포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섬나라는 이동과 교류에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육지와 멀리 떨어진 섬나라는 외부와의 교류를 주로 선박이나 항공기에 의존해야 하며, 이는 높은 운송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륙과 가까운 경우 해저 터널이나 대교를 건설하여 육로 교통을 확보할 수도 있지만, 이는 상대 국가와의 복잡한 협상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태풍이나 허리케인 등 기상 악화가 발생하면 선박이나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어 외부와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완전히 차단될 위험도 안고 있다.
섬나라의 면적은 매우 다양하다. 나우루처럼 면적이 21km2에 불과한 작은 나라부터, 인도네시아와 같이 1919440km2에 달하는 광활한 영토를 가진 나라도 있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대륙에 비해 기온의 연교차가 작은 해양성 기후를 띠는 경우가 많다. 단, 일본의 홋카이도는 대륙성 기후에 가깝다. 아한대나 한대에 위치한 섬나라 중에는 해류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한 기후를 유지하는 곳도 있다.
국토 면적이 작은 섬나라의 경우, 강수량이 적거나 하천, 호수 등이 발달하기 어려워 만성적인 물 부족 문제를 겪기도 한다. 해안가에서는 지하수를 개발해도 염분이 섞여 나와 농업 용수나 식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반면, 풍부한 해양자원 덕분에 어업이 발달하여 어류, 패류, 갑각류 등 동물성 단백질을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6. 1. 기후 변화
일부 섬나라는 다른 국가들보다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데, 이로 인해 토지 이용 감소, 물 부족, 그리고 때로는 재정착 문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해발이 낮은 저지대 섬나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서서히 침수될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이는 태평양의 도서 국가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9] 실제로 투발루나 몰디브 등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국가의 존립을 위협하는 사활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몰디브의 경우, 해수면이 1m 상승하면 국토의 80%가 바다에 잠길 것으로 예측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23]또한 기후 변화는 열대성 저기압, 허리케인, 산사태 및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와 강도를 높여 섬나라에 추가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10]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연안부의 평지가 수몰되고 국토가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국토 자체가 소멸할 수도 있다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7. 경제
많은 섬나라는 수입 의존도가 높으며 세계 경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11] 섬나라 경제는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세계 무역에서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높은 운송비에 취약하고 기반 시설이 환경 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일본, 대만, 영국 등 일부 국가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12][13][14]
해산물 생산이 활발하며 해안에는 항구가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육지와 멀리 떨어진 경우, 이동은 주로 선박이나 항공기에 의존한다. 이로 인해 인근 지역이나 국가로 이동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여객 및 물자 수송 역시 주로 선박이나 항공기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기상 악화 시 운항이 중단되면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사실상 불가능해질 수 있다.
대륙과 가까운 섬나라는 해저 터널이나 대교 건설을 통해 육지와 연결될 수 있지만, 이는 관련 국가와의 협상이 필요하며 때로는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대규모 소비 시장이나 주요 항로에 인접한 섬나라는 무역을 통해 발전하기 유리했다. 근대까지 선박 운항에는 잦은 보급이 필수적이었고, 많은 선원의 식량 공급이 필요했기 때문에 섬나라는 중요한 보급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기항지에는 선박이 운반해 온 물품을 거래하는 상업 시설이 발달하는 경향이 있었다.
7. 1. 관광 산업
많은 섬나라들의 주요 산업은 관광업이다.[15]8. 섬나라 목록
섬나라는 일반적으로 인구가 적은 작은 국가인 경우가 많지만,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과 같이 인구가 많은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16]
섬나라의 구성 방식은 다양하다. 영국, 트리니다드 토바고, 뉴질랜드, 쿠바, 바레인, 싱가포르, 스리랑카, 아이슬란드, 몰타, 타이완처럼 하나 또는 두 개의 주요 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가가 있는 반면, 일본, 인도네시아, 필리핀, 바하마, 세이셸, 몰디브와 같이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진 국가들도 있다. 일부 섬나라는 다른 국가와 섬을 공유하기도 하는데, 영국과 아일랜드,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파푸아뉴기니, 브루나이, 동티모르, 말레이시아와 섬을 공유하는 사례이다. 또한, 바레인, 싱가포르, 영국처럼 다리나 터널과 같은 고정 링크를 통해 대륙과 연결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바레인은 파흐드 국왕 다리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싱가포르는 조호르-싱가포르 간척지와 제2연결로를 통해 말레이시아와, 영국은 영불 해저터널을 통해 프랑스와 연결되어 있다.
지리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가장 큰 육지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섬나라라기보다는 대륙으로 간주된다. 과거 관광 등의 목적으로 섬나라로 간주되기도 했으나[17][18], 국제적으로는 영토가 모두 섬으로 구성된 나라를 섬나라로 정의한다.[20]
섬나라의 면적은 매우 다양하여, 인도네시아의 1919440km2와 같이 매우 넓은 경우도 있다. 주변이 바다로 둘러싸여 해양 자원을 활용하거나 해상 무역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경우가 많다. 기후적으로는 대륙성 기후의 특징이 나타나지 않아 기온의 연교차가 작다는 공통점이 있다.
8. 1. 아시아
8. 2. 아프리카
8. 3. 아메리카
- 그레나다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바하마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푸에르토리코
8. 4. 오세아니아
호주는 비록 그 영토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전체를 차지하는 대륙 국가로 분류되어 국제적인 정의상 섬나라에 해당하지 않는다.[20] 오세아니아 지역의 섬나라들은 면적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나우루의 면적은 21km2에 불과하다.
8. 5. 유럽
9. 수몰 위기의 섬나라 목록
일부 섬나라들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영향으로 현재 서서히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위기에 처해 있다.
9. 1. 아시아
9. 2. 오세아니아
9. 3. 아프리카
9. 4. 아메리카
9. 5. 유럽
10. 섬나라 근성
섬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특징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리켜 '''섬나라 근성'''(insularism영어)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배타적이며, 다양성이나 이질적인 문화를 쉽게 용납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자국의 민족, 자원, 사상 등에만 의존하려는 모습을 나타낸다. 간단히 말해, 외부 세계에 대해 폐쇄적이고 시야가 좁은 태도를 의미한다. '''섬나라 기질''', '''섬나라적인'''(insularity영어)이라고도 표현한다. 특히 정치·경제·문화가 세계화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문화적 폐쇄성을 비판하는 의미로 “섬나라”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계 경제가 세계화되는 추세 속에서 일본인의 영어 회화 능력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점이나 국가 간 자유 무역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등을 경제적으로 고립되려는 “섬나라 근성”이라고 비판하는 시각이 있다.
참조
[1]
서적
Small is Democrat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3-23
[2]
웹사이트
Which Are The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3]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2015-2019
https://data.worldba[...]
World Bank Open Data
2021-04-21
[4]
뉴스
The quest for identity. (island countries)
http://www.accessmyl[...]
UNESCO Courier
2009-02-01
[5]
서적
Measures of Effectiveness for the Information-age Navy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20-11-01
[6]
뉴스
Mercenary Holding Island Nation Seeks Deal
https://query.nytime[...]
2009-02-01
[7]
웹사이트
Many of the world's poorest people depend on fish
http://www.fao.org/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7-09-30
[8]
웹사이트
Pacific Islands countries switch to renewable energy source due to increasing fuel prices
http://news.xinhuane[...]
2009-02-01
[9]
웹사이트
Leader of disappearing island nation says climate change an issue of survival, not economics
http://www.iht.com/a[...]
2009-02-01
[10]
웹사이트
FAO: Climate change threatens food security of Pacific island countries
http://english.peopl[...]
2009-02-01
[11]
웹사이트
Hardship and Vulnerability in the Pacific Island Countries
https://www.worldban[...]
The World Bank Group
2023-11-15
[12]
웹사이트
WTO/FORSEC Trade Policy Course for Pacific island countries
http://www.wto.org/e[...]
2009-02-01
[13]
웹사이트
NZ calls for global solutions to problems faced by small island nations
http://news.xinhuane[...]
2009-02-01
[14]
웹사이트
U.N. ambassador gives keynote
http://www.thedp.com[...]
2017-09-05
[15]
뉴스
China enlists Pacific island countries as tourist destinations, XINHUA.
http://www.accessmyl[...]
2009-02-01
[16]
웹사이트
Wen pledges new aid to Pacific countrie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13-08-21
[17]
웹사이트
Australian Naval Defence
http://trove.nla.gov[...]
The Brisbane Courier
2009-01-31
[18]
웹사이트
China, Pacific island countries discuss cooperation at forum meeting
http://english.peopl[...]
2009-02-01
[19]
문서
島
[20]
웹사이트
Island country
:en:Island country
[21]
웹사이트
日本の島の数
https://www.gsi.go.j[...]
2024-01-05
[22]
웹사이트
島国一覧
:en:Island country
[23]
웹사이트
モルディブ政府が発表した「世界最大の浮島計画」。温暖化による海面上昇に新たな一手。
http://getnews.jp/ar[...]
ガジェット通信
[24]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の貿易
http://www.nara-wu.a[...]
奈良女子大学付属中等教育学校 研究発表学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