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테브 수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테브 수도원은 아르메니아 남동부 스위닉 지역에 위치한 역사적인 수도원이다. 9세기 스위닉 주교좌가 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하여 14세기에는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나, 몽골과 티무르의 침략, 지진 등으로 쇠퇴와 부활을 반복했다. 14세기에는 타테브 대학교가 설립되어 아르메니아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나, 1434년 샤 루크의 침략으로 폐쇄되었다.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2008년 타테브 부흥 재단 설립 이후 케이블카 건설 등 관광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니크주 - 타테브 케이블카
    타테브 케이블카는 타테브 부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어 세계에서 가장 긴 무정차 왕복 케이블카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었으며, 타테브 수도원 복원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타테브 수도원
개요
타테브 수도원 단지와 요새
타테브 수도원 단지와 요새
위치타테브, 슈니크 주, 아르메니아
좌표39.379367, 46.250031
종교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건축
건축 양식아르메니아 건축
착공8세기
일반 정보
유형수도원
역사
설립 시기9세기

2. 어원

전승에 따르면, 타테브 수도원(Tatev Monastery)은 이 지역에서 전파 활동을 펼치다 순교한 성 유다의 제자 에우스타테우스(Eustateus)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그의 이름은 타테브(Tatev)로 변화되었다.[6]

민간어원설(Folk etymology)에는 주교회당 건축과 관련된 전설이 있다. 건축가가 돔의 마지막 구조물을 완성하는 도중 심연으로 추락하면서 "타 테브(Ta Tev)" 즉, "날개를 달라"고 외쳤다는 것이다. 민간 전설에 따르면 그는 무사히 떨어졌다고 한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한 제자가 자신의 디자인으로 십자가를 설치하려고 몰래 첨탑 꼭대기에 올라갔는데, 내려오는 도중 스승에게 발각되었다. 놀란 제자는 발을 헛디뎌 심연으로 떨어지면서 신에게 날개를 달라고 기도했는데, 아르메니아어로 "타 테브(Ta Tev)"이다.[7]

3. 역사



1881년 수도원 그림


1920년경 수도원


타테브 수도원은 아르메니아 남동부, 고대 아르메니아 스위닉 지역에 있으며, 고리스시에서 가깝고 예레반에서 280km 떨어져 있다. 타테브 고원은 기독교 이전 시대부터 사용되어 이교 사원이 있던 곳으로, 4세기 아르메니아가 기독교화된 이후 소박한 교회로 대체되었다.[7]

타테브 수도원은 9세기 스위닉 주교좌가 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4세기에는 대학 설립과 함께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티무르와 샤 루크의 침략으로 피해를 입었다. 17세기와 18세기에 복원되었지만, 1796년 페르시아군의 침입과 1836년 차르 러시아의 정책으로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1921년 아르메니아 산악 공화국의 독립 선포가 타테브에서 이루어졌으나, 1931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후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는 재건되었지만, 종탑은 여전히 파괴된 상태로 남아있다.

3. 1. 초기 발전 (9세기 ~ 13세기)

타테브 수도원의 발전은 9세기 스위닉 주교좌가 된 이후 시작되었다. 역사가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은 그의 저서 『스위닉 주 역사』에서 스위닉의 필립 왕자의 재정적 지원을 통해 848년 기존 교회 근처에 새로운 교회를 건설했다고 기술하고 있다.[6] 경제적, 정치적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노후화된 건물은 더 이상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호브한네스(요한) 주교는 스위닉의 아쇼트 왕자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아 새로운 수도원을 건설하였다.[6]

11세기 초, 타테브에는 약 1,000명의 수도승과 다수의 장인들이 있었다. 1044년, 인근 에미레이트의 무장 세력이 성 그레고리우스 교회와 주변 건물들을 파괴했지만, 이후 곧 재건되었다. 1087년, 성모 마리아 교회가 단지 북쪽에 세워졌다. 이 수도원은 12세기 셀주크 침략과 1136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1170년, 셀주크 투르크는 수도원을 약탈하고 약 1만 권의 사본을 불태웠다. 13세기 말 스테파노스 주교의 노력으로 수도원은 재건되었다.[9]

몽골 지배 시대에는 세금 면제를 받았다. 오르벨리안 가문의 지원으로 경제적 힘을 되찾았다. 1286년 오르벨리안 가문이 수도원을 장악하고,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이 대주교로 임명되어 주변 여러 교구를 통합함으로써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3. 2. 전성기 (14세기 ~ 15세기)

14세기와 15세기에 타테브 수도원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1286년 오르벨리안 가문이 수도원을 장악하고,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이 대주교로 임명되면서 주변 교구를 통합하여 영향력이 커졌다.[9] 14세기에는 대학이 설립되면서 타테브는 아르메니아 문화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9]

그러나 티무르의 스위닉 원정(1381~1387)으로 타테브는 약탈당하고 불탔으며, 많은 영토를 잃었다.[9] 1434년에는 샤 루크의 침략으로 추가적인 피해를 입었다.[9]

3. 3. 시련과 복원 (16세기 ~ 20세기)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타테브 수도원은 여러 시련과 복원 과정을 겪었다.

티무르의 스위닉 원정(1381~1387) 동안 타테브는 약탈당하고 불탔으며, 상당 부분의 영토를 빼앗겼다.[9] 1434년 샤 루크의 침략으로 수도원은 추가적인 타격을 입었다.[9]

17세기와 18세기에 수도원은 부활하여 건물들이 복원되고 새로운 건물들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1796년 아가 마흐메트 칸이 이끄는 페르시아군의 침입으로 다시 약탈당했다.[9] 1836년, 차르 러시아는 폴로게니아를 부과하여 타테브의 대주교 권한을 종식시켰고, 스위닉는 예레반 교구의 일부가 되었다.[10]

1921년 4월 26일, 타테브에서 열린 제2차 전잔게주리안 회의는 아르메니아 산악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이 국가에는 타테브 협곡, 시시안 및 그네데바즈 지역이 포함되었다. 고리스가 인정받지 못한 국가의 수도가 되었고, 가레긴 ㄴ즈데가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1931년 지진으로 수도원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의 돔과 종탑이 파괴되었다. 후에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는 재건되었지만, 종탑은 오늘날까지 파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

3. 4. 현대 (20세기 후반 ~ 현재)

1931년 지진으로 수도원은 심각한 피해를 입어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의 돔과 종탑이 파괴되었다. 후에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는 재건되었지만, 종탑은 오늘날까지 파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9]

1921년 4월 26일, 타테브에서 열린 제2차 전잔게주리안 회의에서 아르메니아 산악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했다. 이 국가에는 타테브 협곡, 시시안, 그네데바즈 지역이 포함되었다. 고리스가 인정받지 못한 국가의 수도가 되었고, 가레긴 ㄴ즈데가 최고 사령관이었다.

2016년 수도원과 주변 전경


석양 무렵의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성 그레고리우스 빛밝힘자 교회


성모 마리아 교회

4. 주요 건물

타테브 수도원은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성 그레고리우스 교회, 성모 마리아 교회 등 세 개의 교회와 도서관, 식당, 종탑, 묘소, 그리고 기타 행정 및 보조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다.[9]


  •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895년에서 906년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1043년에 교회 남쪽 벽에 아치형 현관이 추가되었다.
  • 성 그레고리우스 교회: 1295년에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Stepanos Orbelian) 주교의 주도로 재건되었다. 1787년에는 타테브의 그레고리우스(Gregory of Tatev)의 묘소가 교회 서쪽 벽에 인접하여 건립되었다.
  • 성모 마리아 교회: 1087년에 북쪽 방어 시설을 따라 추가되었다.
  • 가바잔(지팡이): 10세기에 건립된 수직 진자로, 수많은 침략과 지진에도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다.[9]


14세기에는 수도원 남쪽, 서쪽, 북쪽에 주거, 행정 및 기타 목적을 위한 건물과 함께 방어 시설이 건설되었다. 18세기에는 주교 관저, 수도사들의 방, 창고, 식당, 부엌, 제빵소 및 와이너리가 추가되었다. 주요 방어 시설을 따라 아치형 천장으로 덮인 직사각형 강의실 16개가 건설되었다.[9]

수도원 북동쪽, 방어 시설 외부에는 올리브 압착기가 있다. 이 제유소는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며, 중세 이 지역의 올리브 압착기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9] 타테브 수도원의 학교 건물은 후기 중세 시대에 사용된 수도원 교육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9]

4. 1.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906년 완공)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Սուրբ Պողոս-Պետրոս եկեղեցի|수르브 포고스-페트로스 예케게치hy)는 성 베드로와 성 바울에게 봉헌된 교회로, 사도 교회 또는 대성당으로도 불린다. 이 교회는 이전 교회의 자리에 세워졌고 이름도 계승했을 가능성이 높다.[6] 교회 서쪽 벽에는 호브한네스 주교가 설치한 헌정 십자가 돌이 보존되어 있어, 교회 건축과 관련된 중요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한다.[6]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평면도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는 타테브 수도원 단지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다. 895년에서 906년 사이에 호브한네스 주교의 주도와 통치자 아쇼트 왕자, 그의 아내 수샨 공주, 그리고 그리골 수판, 자기크 왕자의 재정적 지원으로 건설되었다.[9]

이 교회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직사각형 바실리카 양식이다. 동쪽의 후진(apse)에는 제단이 있으며,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저장고가 있다.[9] 중앙 은 동쪽의 두 기둥에 의해 지탱되며, 서쪽에는 부속 건물이 버팀벽(abutment) 역할을 한다. 지붕은 큰 기와로 덮인 2단 경사 지붕이다. 내외부 벽은 다듬은 돌로 덮여 있다. 벽과 돔에는 좁은 창문이 있어 내부(nave)에 빛이 들어온다.[6] 동쪽 외관에는 후원자 아쇼트 왕자와 수샨 공주의 탁상 부조(bas-relief) 초상화가 새겨진 벽감(Niche (architecture))이 있으며, 각각 보호하는 뱀으로 둘러싸여 있다.[9]

930년 하코브 드비네츠 주교의 주도로 교회 벽에 프레스코화가 장식되었다. 콘스탄티노플에서 초청된 프랑스 예술가들이 현지 아르메니아 화가들과 함께 작업했다.[10] 주요 인물의 얼굴은 동양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비문은 아르메니아어로 되어 있다.[11] 동쪽 후진에는 제자와 성인들과 함께 옥좌에 앉은 그리스도가 장식되어 있다. 서쪽 벽에는 최후의 심판, 북쪽 벽에는 예수의 탄생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9] 오늘날에는 그 장식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1043년에 교회 남쪽 벽에 인접하여 아치형 현관이 추가되었다.[9]

4. 2. 성 그레고리 교회 (1295년 재건)

성 그레고리 교회는 성 바울과 베드로 대성당 남쪽 벽에 인접해 있다. 836년에서 848년 사이에 시우니크의 필리페 왕자의 명령과 재정적 지원으로 처음 건설되었다.[6] 11세기에 셀주크 왕조(Seljuq dynasty)의 침략 직후 개축되었지만, 1138년 지진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1295년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Stepanos Orbelian) 주교의 주도로 재건축될 때까지 100년 이상 그 상태로 남아 있었다.[11][9]

성 그레고리 교회는 구조가 단순하다. 돔이 없고, 북쪽과 남쪽 벽에는 경사진 지붕 기와를 지탱하는 아치를 받치는 세 개의 기둥이 있다. 입구는 정교한 기하학적 조각으로 장식되어 있다.[7]

4. 3. 성모 마리아 교회 (1087년 건립)

성모 마리아 교회(St. Astvatsatsin Church)는 수도원 단지 북쪽 방어 시설을 따라 위치해 있다. 1087년 입구 근처 덮개가 있는 능묘의 2층으로 건축되었다.[9] 1931년 지진으로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20세기 후반에 복원되었다.[6]

4. 4. 가바잔 (흔들리는 기둥, 906년 건립)

가바잔(흔들리는 기둥)은 906년에 건립된 독특한 구조물로, 성 삼위일체를 기리는 기념물이다. 타테브 수도원 대성당 남쪽에 위치하며, 높이 약 8미터의 기둥 위에 하치카르 형태의 십자가가 얹혀 있다.[7] 기둥은 10세기에 건설되었고, 십자가는 18세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형태는 더 이전의 것을 바탕으로 한 것일 수 있다.[12] 총 높이는 9미터이다.[13]

타테브의 흔들리는 기둥


가바잔은 무너지지 않고 흔들리는 놀라운 능력으로 유명하며, 수세기 동안 온전하게 남아 있는 복합 단지 내 유일하게 견뎌낸 구조물이다.[13] 기둥의 주요 목적은 경미한 지진을 감지하여 지진 발생 가능성에 대한 조기 경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둥은 움직인 후 수직 위치로 돌아온다.[7]

가바잔의 흔들리는 움직임은 기둥 바닥의 관절식 구조 덕분이다. 이 설계 덕분에 기념물은 지구 표면에 대해 항상 90°의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균형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가바잔은 회복력과 건축 기술의 상징이 되어 전 세계의 방문객들이 그 독특한 건축과 역사적 중요성에 경탄하도록 이끌고 있다.[14]

1839년의 흔들리는 기둥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Stepanos Orbelian)의 기록에 따르면,[15] 기둥은 904년-906년에 건설되었다.[16] 16세기에 시우닉 출신의 아라켈 대주교가 기둥 꼭대기에 있던 옛 핫치카르(아르메니아 십자가석) 대신 새로운 핫치카르를 설치했는데, 이것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육안으로 보아도 나중에 추가된 핫치카르는 모양과 크기 면에서 기둥의 전체적인 모습과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타테브 수도원 기둥


기둥의 기능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지만(성직자들의 영적 힘 확인, 지진 경고, 적군 기병 알림 등), 대부분 근거가 부족하다. 선사 시대부터 비슷한 기념물들은 숭배의 의미를 지녔으며, 타테브 수도원의 기둥 또한 초기에는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고 기독교 이전 시대에 세워졌다고 생각된다. 기둥의 윗부분은 개조되었고, 하차카르가 세워졌으며, 기독교 구조물로 바뀌면서 원래 의미는 잊혀졌다. 8세기의 파괴적인 지진으로 기둥 윗부분이 무너져 부서졌고, 그 결과 기둥 꼭대기가 개조되어 기독교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타테브 수도원


타테브 수도원

4. 5. 기타 시설

타테브 수도원은 성 바울과 베드로 교회, 성 그레고리우스 교회, 성모 마리아 교회, 도서관, 식당, 종탑, 묘소, 그리고 기타 행정 및 보조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다.[9]

건물 외에도 수도원은 가바잔(지팡이)으로 알려진 수직 진자를 갖추고 있다. 이 기둥은 바울과 베드로 교회 완공 후 10세기에 건립되었으며, 수많은 침략과 지진에도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다.[9]

14세기에는 수도원 남쪽, 서쪽, 북쪽에 주거, 행정 및 기타 목적을 위한 건물과 함께 방어 시설이 건설되었다. 18세기에는 주교 관저, 수도사들의 방, 창고, 식당, 부엌, 제빵소 및 와이너리를 수용하기 위한 증축이 이루어졌다. 주요 방어 시설을 따라 아치형 천장으로 덮인 직사각형 강의실 16개가 건설되었다.[9]

수도원 북동쪽, 방어 시설 외부에는 올리브 압착기가 있다. 두 개의 돔형 저장실과 아치형 천장이 있는 압착실을 포함하여 네 개의 생산실이 있다. 이 제유소는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며, 중세에 이 지역에 건설된 올리브 압착기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9]

타테브 수도원의 학교 건물은 후기 중세 시대에 사용된 수도원 교육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9]

5. 타테브 대학교

1390년부터 1434년까지 운영된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의 주요 과학 및 문화 중심지였다. 글라드조르 대학교(University of Gladzor)가 쇠퇴하면서 호반 보로트네츠(Հովհան Որոտնեցի)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에 의해 발전되었다.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 교회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미니크 수도회의 아르메니아 지부인 프라트레스 유니토레스(Fratres Unitores)는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대아르메니아를 라틴화하려고 시도했다.[27] 타테브 대학교 학자들은 유니토레스의 개종 활동에 맞서 싸웠다.[25]

1375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Armenian Kingdom of Cilicia) 붕괴 후, 그리골 타테바츠를 비롯한 타테브 학자들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최고 족장 좌석을 엣치미아진으로 복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리골 타테바츠 사후, 타테브 대학교는 쇠퇴하기 시작하여 1434년 샤 루크의 침략 이후 기능을 정지했다.[11][24]

5. 1. 설립과 발전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Ստեփաննոս Օրբելիան)의 "스위닉 주 역사"에 따르면, 타테브 수도원은 수천 권의 귀중한 사본, 수도원 문서, 공식 문서 및 계약서를 보관하여 아르메니아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4] 수도원에는 1390년부터 1434년까지 대학교가 운영되었는데, 스위닉뿐 아니라 아르메니아의 다른 지역을 위해서도 교육과 훈련을 담당했다.

1340년대 초, 글라드조르 대학교(University of Gladzor)가 쇠퇴한 후, 호반 보로트네츠(Հովհան Որոտնեցի)는 바이오츠 조르를 떠나 오르벨리안 왕족의 후원을 받아 타테브의 교육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그는 글라드조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계획을 수정하고 학생과 강사의 입학 및 분류를 체계화했다. 이로써 타테브는 짧은 시간 안에 명실상부한 대학교로 변모하여[24] 대아르메니아와 킬리키아의 여러 지역에서 학생들을 유치했다.

보로트네츠는 대학교를 세 개의 학과로 조직했다.

학과주요 내용
아르메니아어와 외국어 성경 연구인문학, 사회 과학, 철학, 웅변술, 문법, 문학, 역사
성서 예술 연구서예, 책의 예술적 디자인, 미니어처와 벽화 그림
음악 연구고대 음악과 음악학

[11]

1388년 보로트네츠가 사망한 후,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가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대학교의 수준을 전례 없는 높이로 끌어올렸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타테브는 가장 역동적이고 창의적인 시기를 경험했다. 강의 주제에는 아르메니아 문학, 구약과 신약의 해석과 분석, 성부들의 저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포르피리오스의 저술 및 분석이 포함되었다.[24]

타테브 대학교는 당시 주요 과학 및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끊임없는 정치적 혼란과 파괴, 침략군의 박해를 피해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대학교의 성과는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25][26]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에서 프라트레스 유니토레스(Fratres Unitores)의 영향력과 싸우는 데 앞장섰다. 유니토레스는 도미니크 수도회의 아르메니아 지부였으며, 요한 22세가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아시아로 확대하고 대아르메니아를 라틴화하려는 노력의 결과였다.[27] 타테브 대학교의 학자들은 유니토레스의 개종 활동에 맞서 싸우고 아르메니아 교회와 아르메니아 국민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려고 노력했다.[25]

1375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Armenian Kingdom of Cilicia)이 붕괴된 후,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를 비롯한 타테브의 학자들은 시스(Sis)에서 그레고리우스 빛의 전달자(Gregory the Illuminator)의 원래 교구인 엣치미아진으로 아르메니아 교회의 최고 족장 좌석을 본국으로 송환하도록 당국을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6] 이 노력은 1441년 엣치미아진 전국 회의의 결정에 따라 성공하여 그 세기 아르메니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가 되었다.[24][25]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 사망 후 대학교의 위상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지도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경제적 상황과 당시의 안보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타테브는 그 명성을 잃었고, 결국 1434년 샤 루크의 침략 이후 기능을 정지했다.[11][24]

5. 2. 교육 과정

글라드조르 대학교가 쇠퇴한 후, 호반 보로트네츠(Հովհան Որոտնեցի)는 오르벨리안 왕족의 후원을 받아 타테브 수도원의 교육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그는 글라드조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계획을 수정하고 학생과 강사의 입학 및 분류를 체계화했다. 이로써 타테브는 단기간에 명성있는 대학교로 발전했다.[24]

보로트네츠는 대학교를 세 개의 학과로 조직했다.

  • 아르메니아어와 외국어 성경 연구
  • 성서 예술 연구
  • 음악 연구


첫 번째 학과는 인문학과 사회 과학, 철학, 웅변술, 문법, 문학, 역사를 포함했다. 두 번째 학과는 서예, 책의 예술적 디자인, 미니어처와 벽화 그림에 중점을 두었다. 세 번째 학과는 고대 음악과 음악학을 포함했다.[11]

1388년 보로트네츠가 사망한 후,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가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대학교의 수준을 더욱 높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타테브는 아르메니아 문학, 구약과 신약의 해석과 분석, 성부들의 저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포르피리오스의 저술 및 분석을 강의 주제로 다루었다.[24]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에서 프라트레스 유니토레스(Fratres Unitores)의 영향력과 싸우는 데 앞장섰다. 유니토레스는 도미니크 수도회의 아르메니아 지부였으며,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아시아로 확대하고 대아르메니아를 라틴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27] 타테브 대학교의 학자들은 유니토레스의 개종 활동에 맞서 싸우고 아르메니아 교회와 아르메니아 국민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려고 노력했다.[25]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 사망 후 대학교의 위상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정치적, 경제적 상황과 당시의 안보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타테브는 그 명성을 잃었고, 결국 1434년 샤 루크의 침략 이후 기능을 정지했다.[11][24]

5. 3. 주요 학자

타테브 수도원은 아르메니아 문화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반에 타테브 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문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24]

  • 호반 보로트네츠(Հովհան Որոտնեցի) (1315-1388): 글라드조르 대학교(University of Gladzor)가 쇠퇴한 후, 오르벨리안 왕조(Orbelian Dynasty)의 후원을 받아 타테브에서 교육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글라드조르 대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계획을 수정하고 학생과 강사의 입학 및 분류를 체계화하여 타테브를 단기간에 명성 높은 대학교로 만들었다.[24] 그는 대학교를 인문학과 사회 과학, 철학, 웅변술, 문법, 문학, 역사를 포함하는 아르메니아어와 외국어 성경 연구, 서예, 책의 예술적 디자인, 미니어처와 벽화 그림에 중점을 둔 성서 예술 연구, 그리고 고대 음악과 음악학을 포함하는 음악 연구의 세 학과로 조직했다.[11]

  •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 (1346-1409/1410): 호반 보로트네츠의 제자로, 그의 사후 수도원장이 되어 타테브 대학교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타테브는 아르메니아 문학, 구약과 신약의 해석과 분석, 성부들의 저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포르피리오스의 저술 및 분석 등 다양한 주제를 강의하며 전성기를 맞았다.[24] 또한 아르메니아 교회의 최고 족장 좌석을 엣치미아진으로 복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6]

  • 토브마 메초베츠(Tovma Metsobetsi), 호반네스 헤르모네츠(Hovhannes Hermonetsi): 그리골 타테바츠와 함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최고 족장 좌석을 엣치미아진으로 복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학자들이다.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에서 도미니크 수도회의 아르메니아 지부인 프라트레스 유니토레스(Fratres Unitores)의 영향력과 싸우는 데 앞장섰다. 유니토레스는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아시아로 확대하고 대아르메니아를 라틴화하려는 노력을 추진했다.[27] 타테브 대학교의 학자들은 유니토레스의 개종 활동에 맞서 싸우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와 아르메니아 국민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려고 노력했다.[25]

5. 4. 쇠퇴

글라드조르 대학교(University of Gladzor)가 쇠퇴한 후, 호반 보로트네츠(Հովհան Որոտնեցի)는 오르벨리안 왕족의 후원을 받아 타테브의 교육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그는 글라드조르 대학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계획을 수정하고 학생과 강사의 입학 및 분류를 체계화하여 타테브를 명실상부한 대학교로 변모시켰다.[24] 대아르메니아와 킬리키아의 여러 지역에서 학생들이 타테브 대학교로 몰려들었다.

보로트네츠는 대학교를 세 개의 학과로 조직했다. 첫 번째는 인문, 사회 과학, 철학, 웅변술, 문법, 문학, 역사를 포함한 아르메니아어와 외국어 성경 연구였고, 두 번째는 서예, 책의 예술적 디자인, 미니어처와 벽화 그림에 중점을 두었으며, 세 번째는 고대 음악과 음악학을 다루었다.[11]

1388년 보로트네츠가 사망한 후, 그리골 타테바츠(Grigor Tatevatsi)가 수도원장이 되어 대학교를 더욱 발전시켰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타테브는 아르메니아 문학, 성경 해석,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철학자들의 저술 분석 등을 강의하며 전성기를 누렸다.[24] 타테브 대학교는 당시 주요 과학 및 문화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25][26]

타테브 대학교는 아르메니아에서 프라트레스 유니토레스(Fratres Unitores)의 영향력에 맞서 싸우는 데 앞장섰다. 유니토레스는 도미니크 수도회의 아르메니아 지부로, 로마 교황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였다.[27] 타테브 대학교 학자들은 유니토레스의 개종 활동에 맞서 아르메니아 교회와 아르메니아 국민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을 줄이고자 노력했다.[25]

1375년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Armenian Kingdom of Cilicia) 붕괴 후, 그리골 타테바츠를 비롯한 타테브 학자들은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최고 족장 좌석을 엣치미아진으로 본국 송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6] 이 노력은 1441년 엣치미아진 전국 회의에서 성공을 거두었다.[24][25]

그리골 타테바츠 사망 후, 타테브 대학교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정치적, 경제적, 안보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타테브는 명성을 잃었고, 1434년 샤 루크의 침략 이후 기능을 정지했다.[11][24]

6. 수도원의 봉건 제도

타테브 수도원 소유 마을인 쿠트, 신하르, 할리드조르 간의 경계 협정. 1400년 11월 13일자 필사본


타테브 수도원은 봉건적 조직이었다.[21] 건립 직후 광대한 토지와 많은 마을을 소유하며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수도원 중심지가 되었다. 설립에 대한 가장 초기 언급은 스테파노스 오르벨리안의 "스유니크 지방사"에 나와 있는데, 오르벨리안은 스유니크의 필리페 왕자의 아들인 아쇼트 왕자가 수도원의 경계를 설정한 협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6]

토지 이전 직후, 추라베르드(현재 스바란츠), 타말렉, 아벨라다슈트 등의 마을 농민들은 수도원의 권위를 거부하고 수도원에 대한 장기간의 투쟁을 시작했다. 두 차례에 걸쳐 항의는 공개적인 봉기로 변질되었고,[21] 일부 중단을 거치면서 990년 스유니크의 바삭 왕이 추라베르드를 파괴하고 주민들을 해산시킬 때까지 계속되었다. 역사가들은 이러한 봉기를 농민 봉기와 거의 동시에 아르메니아 역사(9~11세기)에 나타났고 비슷한 시기에 진압된 톤드라키안 이단과 관련짓고 있다.[22]

타테브 주교구는 47개의 마을을 소유하고 677개의 다른 마을에서 십일조를 받았다.[23] 940~950년 하콥 주교가 에치미아진의 모교회로부터 분리 독립을 시도할 정도로 경제적 권력을 얻었다. 그의 분리 독립 꿈은 카톨리코스 아나니아 모카트시가 그를 파문하면서 좌절되었다. 주변 지역들은 타테브의 약화된 입지를 이용하여 그들의 지배력을 거부하고 자체 교구를 설립했다.[11] 958년 바한 주교(후일 카톨리코스 바한 스유네트시)는 주교의 권리와 재산의 일부를 회복했다.[9] 1006년 호브한네스 5세 주교는 교구의 대주교 특권을 재확립하는 데 성공했다.[10]

7. 현대의 타테브

1995년, 타테브 수도원과 타테비 아나파트, 그리고 그 인근 보로탄 계곡 지역이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28]

7. 1. 타테브 부흥 재단

타테브 부흥 재단(Tatev Revival foundation)은 2008년 영향력 있는 투자자이자 기업가인 루벤 바르다니안(Ruben Vardanyan)에 의해 설립되었다. 타테브 부흥 재단의 주요 목표는 타테브 수도원의 복원과 주변 인프라 구축이며, 문화적, 역사적, 영적 중요성을 존중하면서 지역 사회의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다. 2010년 10월, 세계에서 가장 긴 왕복식 케이블카(5,750m)인 "타테브의 날개"가 개통되면서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지역 관광 활성화 노력의 일환이었다.[7] 이 케이블카는 할리드조르(Halidzor) 마을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하며,[7] 도펠마이어/가라벤타 그룹(Doppelmayr/Garaventa group)의 스위스 기술 센터에서 시행되었고, 비용은 2500만달러였다.[29] 타테브의 날개 케이블카는 운영 기간 동안 약 95만 명의 관광객이 이용했다. 프로그램 시작 후 고리스(Goris) 마을에는 50개가 넘는 호텔과 게스트하우스가 문을 열었고, 인근 마을에는 약 50개의 B&B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카판(Kapan)에 기반을 둔 아크 생태 NGO(Ark Ecological NGO)는 현재 카판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하는 하이킹 트레일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유니크(Syunik) 지역의 생태 관광을 장려하고 있다.[30]

7. 2. 타테브의 날개

2008년에 설립된 타테브 부흥 재단(Tatev Revival foundation)은 영향력 있는 투자자이자 기업가인 루벤 바르다니안(Ruben Vardanyan)에 의해 설립되었다. 타테브 부흥 재단의 주요 목표는 타테브 수도원의 복원이다. 이 목표에는 수도원 주변 인프라 구축, 문화적, 역사적, 영적 중요성을 존중하면서 지역 사회의 발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포함된다. 프로젝트의 공식 시작은 2010년 10월 세계에서 가장 긴 왕복식 케이블카(5750m)의 개통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지역 관광 활성화 노력의 일환이었다. "타테브의 날개(Wings of Tatev)"라는 이름의 이 케이블카는 할리드조르 마을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한다.[7] 이 프로젝트는 도펠마이어/가라벤타 그룹(Doppelmayr/Garaventa group)의 스위스 기술 센터에서 시행되었으며, 비용은 2500만달러였다.[29] 타테브의 날개 케이블카는 운영 기간 동안 약 95만 명의 관광객이 이용했다. 고리스 마을에는 프로그램 시작 후 50개가 넘는 호텔과 게스트하우스가 문을 열었다. 인근 마을에는 지역 주민들에 의해 약 50개의 B&B가 설립되었다. 카판에 기반을 둔 아크 생태 NGO(Ark Ecological NGO)는 현재 카판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하는 하이킹 트레일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유니크 지역의 생태 관광을 장려하고 있다.[30]

7. 3. 복원 사업

2008년에 설립된 타테브 부흥 재단은 영향력 있는 투자자이자 기업가인 루벤 바르다니안이 설립했다. 타테브 부흥 재단의 주요 목표는 타테브 수도원 복원이다. 이 목표에는 수도원 주변 인프라 구축이 포함되며, 문화적, 역사적, 영적 중요성을 존중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의 발전을 추진한다. 프로젝트의 공식 시작은 2010년 10월 세계에서 가장 긴 왕복식 케이블카(5750m)의 개통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지역 관광 활성화 노력의 일환이다. "타테브의 날개"라는 이름의 이 케이블카는 할리드조르 마을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한다.[7] 이 프로젝트는 도펠마이어/가라벤타 그룹의 스위스 기술 센터에서 시행되었으며, 비용은 2500만달러였다.[29] 타테브의 날개 케이블카는 운영 기간 동안 약 95만 명의 관광객이 이용했다. 고리스 마을에는 프로그램 시작 후 50개가 넘는 호텔과 게스트하우스가 문을 열었다. 인근 마을에는 약 50개의 B&B가 지역 주민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카판에 기반을 둔 아크 생태 NGO는 현재 카판과 타테브 수도원을 연결하는 하이킹 트레일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유니크 지역의 생태 관광을 장려하고 있다.[30]

2010년 타테브 부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름 짜는 공장이 최초로 복원된 건축물 중 하나였으며, 현재는 완전히 가동되고 있다.

2016년 여름부터 방문객들은 복원된 북쪽 입구를 통해 타테브 수도원 단지에 들어가고 있다. 2017년에는 입구 근처에 수도원 복원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대가 설치되었고, 인접 지역도 정비되었다. 2015년 말에는 샘 재건축 공사가 시작되었다. 샘의 원래 위치와 건설 방식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6년 여름, 샘은 북쪽 입구 근처의 역사적 위치로 복원되었다.

성모 마리아 교회의 원래 모습으로의 재건은 타테브 수도원 단지 복원의 첫 단계에 포함되었다. 공사는 2016년 8월에 시작되어 2018년 10월에 완료되었다.

참조

[1] 서적 Armenia with Nagorno Karabagh Bradt Travel Guides
[2] 웹사이트 Tatev Revival http://www.idea.am/t[...] 2020-03-27
[3] 뉴스 World's longest cable car line opens in Armenia https://web.archive.[...] 2013-05-31
[4] 뉴스 Armenia Launches World's Longest Aerial Tramway http://www.azatutyun[...]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13-05-31
[5] 웹사이트 Longest non-stop double track cable car http://www.guinnessw[...] Guinness World Records 2010-10-16
[6] 웹사이트 Lusamut.net http://www.lusamut.n[...]
[7] 웹사이트 Tatev Village in the Annals of History http://tatevvillage.[...]
[8] 뉴스 Beauty In Despair: The Harsh Life Of Georgia's First Photographer https://www.rferl.or[...] 2024-07-27
[9] 웹사이트 Find Armenia http://www.findarmen[...]
[10] 서적 Հայ Լուսաւորութեան Կեդրոններ (Centres of Illumination in Armenia) Horizon Publishing
[11] 서적 Սովետական Հայկական Հանրագիտարան
[12] 논문 Similarities between the Early Christian Armenian Monuments and Irish High Crosses in the Light of New Discoveries
[13] 웹사이트 Gavazan https://www.flickr.c[...]
[14] 웹사이트 Հայկական Հանրագիտարան https://encyclopedia[...]
[15] 서적 History of Sissakan province. 1910
[16] 서적 Tatev's moving column 1962
[17] 서적 Տաթևի ճոճվող սյունը և նրա կառուցվածքը, Վարձք, N 12 2016
[18] 서적 'Marduk (god)', Ancient Mesopotamian Gods and Goddesses Oracc and the UK Higher Education Academy 2016
[19] 서적 Հայոց Աստվածը (անտիպ)
[20] 서적 ՏԱԹԵՒԻ ՃՈՃՎՈՂ ՍՅԱՆ ԳԱՂՏՆԻՔԸ (տեսակետ-վարկածի հակիրճ շարադրանք)
[21] 웹사이트 Tatev Foundation http://www.tatev.org[...]
[22] 웹사이트 Armenian Heritage http://www.armenianm[...]
[23] 서적 Հայաստան Երկիր Ուխտավայր Donigian Publishing
[24] 서적 Հայոց Հին Գրականութեան Պատմութիւն (History of Ancient Armenian Literature) Armenian Catholicossate of Cilicia
[25] 서적 Պատմութիւն Հայ Հին Գրականութեան St. Lazar
[26]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7] 서적 Armenian Gospel Iconography – The Tradition of the Glajor Gospel Dumbarton Oaks
[28]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onvention http://whc.unesco.or[...]
[29] 웹사이트 Տաթևի վերածնունդ ծրագիր https://web.archive.[...] 2010-03-11
[30] 웹사이트 ARK Armenia NGO to Build Hiking Trails and Eco-camps in Southern Armenia http://repatarmenia.[...] 2016-03-25
[31] 서적 Armenia with Nagorno Karabagh https://archive.org/[...] Bradt Travel Guides
[32] 뉴스 World's longest cable car line opens in Armenia https://web.archive.[...] 2013-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