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백산 천제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백산 천제단은 태백산 정상에 자연석을 쌓아 만든 3기의 제단으로, 《삼국사기》 등 여러 기록에서 신산으로 여겨져 제천 의식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장군단, 남쪽에는 이름 없는 제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개천절에 하늘에 제사를 지내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까지 천제가 이어져 왔으며, 현재는 강원특별자치도민체전의 성화 채화 장소로도 사용된다. 천제단은 고대 민속 신앙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제례 의식은 개의, 참령, 전폐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선교장
    선교장은 강릉에 위치한 조선시대 전통 가옥으로, 이내번이 처음 지은 후 10대에 걸쳐 증축되었으며, 300년간 보존된 아름다운 전통 가옥으로 활래정, 안채주옥, 열화당 등으로 구성되어 문화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태백시의 문화유산 - 철암역
    철암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철도역으로, 쇠돌바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무궁화호, 누리로, 백두대간협곡열차, 동해산타열차 등이 정차하는 곳이다.
  • 태백시의 문화유산 - 구문소
    황지천이 막골층 암벽을 침식하여 형성된 구문소는 구하도 지형과 감입 곡류 하천의 특징을 보이는 동굴이다.
  • 제단 - 환구단
    환구단은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기 위해 남별궁 터에 세운 원형 제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어 현재는 황궁우와 일부 유물만 남아 사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 제단 - 천단
    천단은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명청시대 제례 건축물로,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풍년을 기원하던 곳이며, 천원지방 사상에 따라 설계된 건축물과 상징적 배치가 특징적이고, 현재는 시민들의 공원으로 활용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태백산 천제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태백산 천제단
태백산 천제단
유형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번호228
지정일1991년 10월 23일
시대시대미상
소유자태백시
주소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산로 4834-31, 과 혈동 산87-2 (소도동)
수량1기
꼬리표태백산
문화재청 ID18,02280000,32

2. 천제단의 구조와 구성

태백산 정상에 자연석을 쌓아 만든 3기의 제단이다.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기록에서 태백산이 신산(神山)으로 섬겨져 제천의식의 장소가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데, 천제단 역시 이런 제를 올리기 위해 만든 제단이다.

천제단은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 약 300m 떨어진 곳에 장군단과 남쪽 아래에 있는 이름 없는 제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북에서 남으로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천왕단은 장군단과 이름 없는 제단의 중심이다.

조상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제단으로, 만들어진 노래나 유래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를 비롯한 옛 책에 “신라에서는 태백산을 삼산오악 중의 하나인 북악으로 하고 제사를 받들었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태백산을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섬겼음을 알 수 있다. 태백산 정상부에 위치한 천제단은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에 장군단, 남쪽에는 그보다 규모가 작은 하단(下壇)의 3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을 쌓아 신역(神域)을 이루고 있다. 이 3기(基)로 이루어진 천제단은 고대 민속 신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홀기(笏記: 의식에 대한 여러 절차를 적은 글)에 의하면 제의 절차는 개의(開儀)·참령(參靈)·전폐(奠幣)·진찬(進餐)·주유(奏由)·주악(奏樂)·원도(願禱)·사령(辭靈)·폐의(閉儀)의 순서로 진행된다. 진설은 천수(天水)·천래(天來)·천과(天果)·천탕(天湯)·천채(天菜)·사지(絲贄)·곡지(穀贄)·화지(貨贄)·천반(天飯)을 올린다.

이 주변의 계곡 일대에는 치성을 드리는 기도처로 사용된 크고 작은 적석탑과 석단(石檀)들이 있으며, 함부로 짐승을 잡거나 나무를 꺾는 일을 금하고 있다.

2. 1. 천왕단

천왕단은 높이 2m 남짓한 자연석을 쌓아 올려 만든 원형 제단으로, 남쪽에는 계단이 조성되어 있다. 제단 위에는 4각 자연석 제단과 대종교에서 단군을 모시기 위해 성역화하는 과정에서 세운 것으로 알려진 "한배검" 비석이 있다. 천왕단은 둘레 27.5m, 높이 24m, 좌우 폭 7.36m, 앞뒤 폭 8.26m의 타원형이며, 자연석으로 쌓은 계단은 아홉 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9단탑이라고도 불린다.

매년 개천절에는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중앙에 태극기와 칠성기를 꽂고 주변에 13천기(天旗)와 28숙기(宿旗)를 세우며, 9종류의 제물을 갖춘다.

2. 2. 장군단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단에서 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곳에 있다. 남쪽에 계단이 있는 석단 형태로, 내부에 제단이 있고 그 위에 자연석을 비석처럼 세워 놓았다.[1]

2. 3. 하단 (이름 없는 제단)

천왕단 남쪽 아래 숲 속에 있는 제단은 특별히 부르는 이름이 없으며 소박한 느낌을 주는 단아한 제단이다. 제단을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부족국가시대부터 이곳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것을 보면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1]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까지 이곳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냈고 그 의식은 아직도 이어져 매년 개천절에 하늘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국가의 태평과 안녕, 번영을 기원하는 장소로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매년 개최되는 강원특별자치도민체전의 성화 채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1]

3. 천제단의 역사

태백산 천제단은 오랜 역사를 지닌 제천 의식 장소이다. 삼국사기 등 옛 기록에 따르면 태백산은 신성한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천제단은 이곳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들어졌다.

천제단에서 이루어지는 제의 절차는 홀기(笏記)에 기록되어 있는데, 개의(開儀)·참령(參靈)·전폐(奠幣)·진찬(進餐)·주유(奏由)·주악(奏樂)·원도(願禱)·사령(辭靈)·폐의(閉儀) 순서로 진행된다. 진설에는 천수(天水)·천래(天來)·천과(天果)·천탕(天湯)·천채(天菜)·사지(絲贄)·곡지(穀贄)·화지(貨贄)·천반(天飯)을 올린다.

3. 1. 고대

태백산 정상에 자연석을 쌓아 만든 3기의 제단이다. 태백산은 《삼국사기》를 비롯한 여러 기록에서 신산(神山)으로 섬겨져 제천의식의 장소가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데, 천제단 역시 이런 제를 올리기 위해 만든 제단이다.[1]

천제단은 태백산 정상에 있는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 약 300m 떨어진 곳에 장군단과 남쪽 아래에 있는 이름 없는 제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북에서 남으로 일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1]

천왕단은 2m 남짓한 높이로 자연석을 쌓아 남쪽으로 계단을 조성한 원형 제단이다. 그 위에 4각 자연석 제단과 대종교에서 단군을 모신 장소로 성역화하는 과정에서 세운 것으로 알려진 “한배검”이라고 쓴 비석이 있다. 장군단은 남쪽에 계단이 있는 석단으로 내부에 제단이 있으며 그 위에 자연석을 비석처럼 세워 놓았다.[1]

천왕단 남쪽 아래의 숲 속에 위치한 제단은 특별히 지칭하는 이름이 없고 소박한 인상을 풍기는 단아한 제단이다. 제단을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부족국가시대부터 이곳에서 천제를 지냈다고 전해지는 것을 보면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까지 이곳에서 천제를 지내고 그 의식이 아직도 이어져 매년 개천절에 하늘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국가의 태평과 안녕, 번영을 기원하는 장소로 이어지고 있으며, 또한 매년 개최되는 강원특별자치도민체전의 성화 채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1]

조상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설치한 제단으로 만들어진 노래나 유래 등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를 비롯한 옛 책에 “신라에서는 태백산을 삼산오악 중의 하나인 북악으로 하고 제사를 받들었다”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태백산을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섬겨졌음을 알 수 있다. 태백산 정상부에 위치한 천제단은 천왕단을 중심으로 북쪽에 장군단, 남쪽에는 그보다 규모가 작은 하단(下壇)의 3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돌을 쌓아 신역(神域)을 이루고 있다. 이 3기(基)로 이루어진 천제단은 고대 민속 신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1]

3. 2. 고려와 조선 시대

고려 시대에는 국가에서 외산제고사(外山祭告使)를 임명하여 태백산제를 지냈으나, 조선 시대에는 태백산을 국가의 사전(祀典)에 편제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실패하여 세조 이후 지방 향리와 민간에서 제의를 주관하였다.[2] 조선 성종 대에는 백성들이 태백산 제사에 너무 몰두한다는 지적이 있어서 관에서 태백신사를 헐고 태백산제를 폐지하는 조치를 취하였다.[2] 유교 국가인 조선 시대가 되면서 제천 의례를 준비하는 신사가 부수어지고 불에 타는 등 수난과 고초를 겪었다.[1]

3. 3. 일제강점기

무속으로 전락하여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였던 제단은 대일항쟁기를 거치며 돌무더기만 쌓여 있었다.[1] 조선 후기부터 구국의 성지로 부각되기 시작한 천제단에서는 일제 강점기부터 구국을 위한 의례가 행하여지면서 제의가 천제(天祭)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3]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에서 천제 의례를 행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대종교 교인들이 제천하였다.[2]

3. 4. 광복 이후

대일항쟁기무속신앙으로 전락하여 간신히 명맥을 유지하던 천제단은 돌무더기만 쌓여 있었다.[1] 그러나 조선 후기부터 구국의 성지로 부각되기 시작한 천제단에서는 일제 강점기부터 구국을 위한 의례가 행하여지면서 제의가 천제(天祭)의 형식을 갖추게 되었다.[3]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동학을 비롯한 신종교에서 천제 의례를 행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대종교 교인들이 제천하였다.[2]

4. 제례 의식

태백산 천제단에서는 부족국가 시대부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이 이어져 왔다. 신라는 태백산을 삼산오악(三山五嶽) 중 하나인 북악(北嶽)으로 여겨 제사를 지냈으며, 이러한 전통은 고려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까지 이어졌다.

현재도 매년 개천절에 태백산 천제단에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며 국가의 태평과 안녕, 번영을 기원하고 있다. 또한, 이곳은 매년 개최되는 강원특별자치도민체전의 성화 채화 장소로도 이용된다.

4. 1. 제례 절차

제의 절차는 홀기(笏記, 의식 절차를 적은 글)에 따라 진행된다. 절차는 개의(開儀), 참령(參靈), 전폐(奠幣), 진찬(進餐), 주유(奏由), 주악(奏樂), 원도(願禱), 사령(辭靈), 폐의(閉儀) 순서로 진행된다. 진설은 천수(天水), 천래(天來), 천과(天果), 천탕(天湯), 천채(天菜), 사지(絲贄), 곡지(穀贄), 화지(貨贄), 천반(天飯)을 올린다.

4. 2. 제물

천제단에서는 천수(天水), 천래(天來), 천과(天果), 천탕(天湯), 천채(天菜), 사지(絲贄), 곡지(穀贄), 화지(貨贄), 천반(天飯)을 제물로 올린다. 매년 개천절에는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중앙에 태극기와 칠성기를 꽂고 주변에는 13천기(天旗)와 28숙기(宿旗)를 세운다.

참조

[1] 뉴스 하늘의 기운이 이 땅 곳곳에 펼쳐지리 - 태백산 천제단 http://www.ikoreansp[...] K스피릿 2014-07-25
[2] 저널 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마고’의 원형 https://kukhak.ube.a[...]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3] 저널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http://www.dongasia.[...]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