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무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무게는 칭기즈 칸의 막내 동생으로, 몽골 제국에서 '불의 왕자'라는 뜻의 '옷치긴' 칭호로 불렸다. 그는 몽골 제국의 건국과 확장에 기여했으며, 칭기즈 칸 사후에는 몽골 본토의 통치와 동방 지역 경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칭기즈 칸 사후 쿠릴타이에서 우구데이를 대칸으로 추대하고, 금나라 공격에서 좌익군을 이끌었으며, 몽골 동방 지역의 유목지를 다스렸다. 그는 칭기즈 칸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자손들은 원나라 건국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의 정치인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몽골 제국의 정치인 - 퇴레게네 카툰
    오고타이 칸의 아내인 퇴레게네 카툰은 오고타이 칸 사후 섭정을 맡아 제국을 다스리며 아들 귀위크를 칸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권력 투쟁과 내부 갈등을 심화시켜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168년 출생 - 이규보
    이규보는 고려 후기 문신이자 문장가, 시인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으며,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동명왕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고려 시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최씨 무인 정권 시대에 정치 활동을 했으며, '신의론'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시적 세계를 구축했다.
  • 1168년 출생 - 남송 영종
    남송 영종은 남송의 제4대 황제로,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한탁주의 금나라 공격 실패와 사미원의 득세로 국정이 혼란스러웠으며, 아들들의 요절로 사미원이 옹립한 이종이 뒤를 이었다.
  • 몽골 제국 사람 - 샤이반
    칭기즈 칸의 손자 샤이반은 서방 원정에서 공을 세워 우랄 산맥에서 시르다리야 강에 이르는 영토를 분봉받아 샤이반 울루스를 형성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킵차크 칸국 붕괴 후 시비르 칸국, 우즈베크 칸국 등 여러 후계 국가를 다스리며 중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 제국 사람 - 라시드웃딘
    라시드웃딘은 페르시아 유대인 가문 출신으로 일 칸국의 재상으로 활동하며 《자미 알타와리흐》를 저술했고, 몽골 제국사와 세계사, 의학서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집사》는 세계 주요 종족들의 역사를 담은 최초의 세계사로 평가받는다.
테무게
기본 정보
몽골 제국
몽골 제국
칭호오치긴 (Otchigin, 斡赤斤)
출생1168년
사망1246년
가족 관계칭기즈 칸의 동생
이름
몽골어Temüge
몽골어 (키릴 문자)Тэмүгэ
몽골어 (몽골 문자)ᠲᠡᠮᠦᠭᠡ
한국어 (로마자 표기)Temuge
중국어帖木格 (Tiě mù gé)
역할
역할칭기즈 칸의 동생
지위몽골 제국의 왕족

2. 이름

『원조비사』, 『원사』, 《고려사》 등 한자 사료에는 첩목격 알척적근(帖木格斡惕赤斤)[16], 철목가 알적근 국왕(鉄木哥斡赤斤国王), 첩목격 알적근(帖木格斡赤斤), 특목가 와진(忒木哥窩眞), 알진 나안(斡陳那顔), 와적흔(訛赤忻) 등으로 되어 있다. 다른 문헌에는 철목가 알적근(鐵木哥斡赤斤), 오제금(乌济锦) 등으로도 표기된다.

라시드웃딘의 『집사』 등 페르시아어 표기는 تموكه اوتچكين|Tamūka Ūtchikīnfa 로 기록되어 있다. 『집사』에 나오는 اوتچی نويان|Ūtchī Nūyānfa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고 하며, 주바이니의 『세계정복자의 역사』에도 اوتكين نويان|Ūtkīn Nūyānfa으로 기록되어 있다.

옷치긴이란 「아궁이의 불씨를 지키는 자」라는 의미[17]로 테무게가 그의 어머니 호엘룬의 가산을 상속받은 막내아들이었다는 데에서 기인한다. 『원조비사』, 『원사』 등의 한어 자료에서는 첩목격아홀적근(『원조비사』 권1・60단), '''철목가아홀적근''', 첩목격아홀적근, 특목가와진, 아진나안 등으로 표기된다. 『집사』 등의 페르시아어 표기에서는 تموكه اوتچكين|Tamūka Ūtchikīnfa으로 쓰여진다. 『집사』에 따르면 اوتچی نويان|Ūtchī Nūyānfa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세계정복자사』에서도 اوتكين نويان|Ūtkīn Nūyānfa로 기록되어 있다. '''오치긴'''은 "화로의 관리인"이라는 의미이며[2], 테무게가 어머니 호엘룬의 가산을 상속하는 막내였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3. 생애

테무게는 칭기스 칸보다 6살 어렸다고 『몽골비사』에 기록되어 있다. 생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나이만 토벌에 공을 세웠고, 1219년부터 시작된 몽골 제국의 서정에서는 어머니 호엘룬과 함께 몽골 본토를 지켰다.[14] 1227년 제5차 서하 원정에서는 칭기스 칸의 본대와 별도로 움직여 신도부를 공략했다.[3]

1227년 칭기스 칸 사후, 테무게는 조카 차카타이와 함께 오고타이를 새 몽골 지도자로 추대했다. 1230년부터 시작된 제2차 금나라 정벌에서 테무게는 좌익군을 이끌고 중도에서 황하로 남하했다. 테무게의 군대는 황하를 건너 전투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4] 금나라 백성들이 공포에 휩싸여 개봉과 그 주변으로 도망쳐, 금나라에 식량 위기와 사회 불안을 야기했다.[5][6]

1241년 오고타이가 사망하자, 테무게는 카안 자리를 요구하며 군대를 이끌고 오고타이 황후들의 오르도(궁정)로 향했다. 그러나 황후 도레게네에게 저지당하고, 구육이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제위를 포기했다. 이후 테무게는 왕족들을 이끌고 쿠릴타이와 구육의 즉위식에 참석했다. 일각에서는 오고타이와 차가타이의 급사에 테무게가 관여했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8]

구육 즉위 후, 테무게는 툴루이 가문의 몽케와 조치 가문의 오르다에게 제위 찬탈 시도에 대한 심문을 받았다. 테무게 부하 장교들의 처형으로 재판이 마무리되었고, 판결 직후 테무게도 사망했다.[9]

3. 1. 초기 생애

테무게는 예수게이호엘룬의 넷째 아들이다. 동복 형 테무진(후일의 칭기즈 칸)과 주치 카사르, 카치운과 이복 형 벡테르, 벨구테이가 있었다. 테무게는 1168년생 혹은 1166년생으로 자세한 생애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원조비사』에 따르면 칭기즈 칸과는 여섯 살 차이가 났다고 한다.

나이만과의 전쟁에서 공을 세우고 1217년부터 시작된 몽골의 서방 원정에서 어머니 호엘룬을 모시며 몽골 본토를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원조비사》). 이는 그의 세력을 더욱 확대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대칸을 대신해 몽골과 요동, 고려 관련 업무를 맡게 된 테무게 옷치긴은 자신의 권세를 이용해 흥안령 동쪽으로 세력 확장을 도모하였다. 칭기즈 칸은 다른 동생 카사르, 카치운의 일족보다 그를 대우하였다. 그에게는 요동 주변과 만주 서부 지역이 울루스로 배정되었다.

''몽골 비밀사''에 따르면 "테무진이 9세였을 때 테무게는 3세였다." 막내아들로서 그는 "오치긴(otchigin)"이라는 이름의 접두사를 받았다("otgon" 또는 "otgon"의 축소형으로 "주니어"를 의미하며, 오래된 튀르크어로는 Ot(불) Tegin(칸 가문의 주니어 멤버)을 의미한다). 그는 가족 내에서 항상 "가족과 집의 수호자"였으며, 따라서 테무게-오치긴 또는 간단히 오치긴으로 불린다.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에 어머니와 형제들에게 다소 응석받이였으며, 사치에 기울었지만 "용감하고, 강력하며, 전투에 민첩했다"는 것은 심지어 가족의 적들에게도 인정받았다. 무당 코코추(테브-텡그리)가 몽골에 대한 권력을 자신의 가족에게 끌어들이기 시작했을 때, 칭기스 칸은 테무게에게 조작된 레슬링 경기에서 코코추를 죽이도록 지시했다.

3. 2. 칭기즈 칸 시대

1227년 제5차 서하 공격에서 형 칭기즈 칸이 이끄는 본대와는 다른 별동 부대를 이끌고 서하의 신도부(信都府)를 쳤다. 같은 해 칭기즈 칸이 죽자 오고타이와 툴루이 중 누구를 차기 대칸으로 할지 논란이 일어났다. 1229년에 열린 40일간의 쿠릴타이에서 테무게는 조카 차가타이와 함께 우구데이를 새로운 몽골의 대칸으로 추대하였다.[18]

1230년부터 전개된 제2차 금나라 공격에서는 좌익군(左翼軍)을 이끌고 금나라의 수도 중도에서 황하 방면으로 남하하였다. 그는 황하를 건너서도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으나,[20] 공포에 질린 금나라 백성들이 개봉과 그 주변으로 도망쳐 오면서 급작스러운 인구 유입으로 금나라에 식량 위기와 사회 불안을 야기했다.[21][22]

테무게는 막내아들이라 몽골 전통에 따라 어머니와 함께 칭기즈 칸으로부터 대관식에서 가장 많은 토지와 백성을 할당받았다. 그는 형제들 중 가장 호전적이지 않은 인물로 보이며, 칭기즈 칸에게 게으르고 무능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테무게는 뛰어난 정치인이자 유능한 통치자였으며, 형들이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동안 어머니 호엘룬과 함께 몽골의 핵심 지역을 통치했다. 그는 지적인 면모를 보였는데, 처음에는 정복된 서하와 금나라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이후 몽골 제국에 포함된 다른 문화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1]

나이만 토벌에서 전공을 세웠고, 1219년부터 시작된 몽골 제국의 서정에서는 어머니 호엘룬과 함께 몽골 본토의 부재를 맡았다.[14]

3. 3. 칭기즈 칸 사후

1241년 말, 우구데이 칸이 죽자 테무게는 대칸의 유궁을 지킨다는 명목으로 군대를 이끌고 우구데이의 황후들이 거처하는 오르두(행궁)로 향했다. 그러나 우구데이의 황후 퇴레게네 카툰은 "우리는 당신의 의붓딸이며 당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무장한 많은 군대를 이끌고 온 것은 무슨 까닭인가? 왜 모든 백성과 군대를 불안하게 만드는가?"[24]라며 항의했고, 테무게는 거절당했다. 앞서 서방 원정을 나갔던 우구데이의 아들 구유크가 도착했다는 보고를 듣고 대칸의 자리를 포기, 퇴레게네 카툰에게 우구데이에 대한 조의를 전하고 철군하였다. 이러한 옷치긴의 거병은 앞서 우구데이가 옷치긴에 대해 시행했던 중앙집권정책에 수반한 강한 견제책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이었다.[25] 그 뒤 테무게는 몽골 왕후(王侯)들을 인솔하고 새로운 대칸을 추대하는 쿠릴타이나 구유크의 대칸 즉위식에도 참석하였는데, 우구데이에 이어 차가다이까지 갑자기 사망한 것에 테무게 옷치긴의 배후 관여를 의심하는 의견도 존재하고 있다.[26]

1246년 테무게는 다시 쿠릴타이 없이 대칸 자리를 탈취하려 시도했다. 구유크가 대칸으로 즉위한 뒤, 앞서 그를 제치고 대칸의 지위를 찬탈하려 했다는 것에 대해 툴루이 가문의 몽케와 주치 가문의 오르다(주치의 큰아들)에게 심문을 받았고, 그의 휘하 장교들을 전원 처형하는 것으로 재판을 매듭지었다. 구유크는 테무게에게 부여된 옷치킨(화로의 수호자라는 지위)를 바투 칸의 형 오르다와, 몽케에게 나누어서 수여하려 시도하였다. 이 판결 직후에 테무게 옷치긴 자신도 사망하였다.

4. 가족 관계

테무게 옷치긴의 맏아들 지브겐의 아들 타가차르는 쿠빌라이 칸에게 중용되어 원 왕조 설립에도 공헌하였다. 테무게 옷치긴의 자손은 칭기즈 칸의 다른 동모동생 카사르, 카치운의 집안과 함께 동방 3왕가를 이루었다. 그러나 타가차르의 손자 나얀은 카이두의 난에 연좌되어 쿠빌라이에게 처형되었다.

테무게 옷치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테무게 옷치긴'''
  • * '''지브겐 대왕'''
  • ** '''타가차르 국왕'''

아줄 대왕
* '''나얀 대왕'''
** '''요왕 토크토아'''
*** 요왕 야나시리
'''요왕 아자슈리'''
수왕 나이마다이

4. 1. 후손

테무게의 아들 타리추(脱里出)는 수왕(寿王)에 봉해졌다가, 수왕 직위는 다른 아들 지부겐의 아들이나 손자인 나이만타이에게 이어졌다. 다른 증손 토크토아는 요왕에 봉해졌다. 토크토아의 후손들은 원나라 멸망 후에도 주원장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연명해나갔다. 토크토아의 후손들은 1470년대까지도 요왕으로 요동 주변 지역을 다스렸다.[1]

귀위크는 테무게에게 부여된 옷치킨(화로의 수호자라는 지위)을 바투 칸의 형 오르다와, 툴루이 가문의 몽케에게 나누어서 수여하려 했다. 그러나 몽골 귀족들이 전통을 이유로 반대하여 실패했다.[1]

장남 지브겐의 아들 타가차르는 쿠빌라이의 유력한 중신이 되어 원나라 건국에도 공헌했다. 자손은 동방 삼왕가(칭기즈 칸의 동생 조치 카사르, 카치운, 테무게 옷치긴의 가계)의 한 축을 이루었다. 그러나 타가차르의 손자 나얀이 카이두의 반란에 연루되어 쿠빌라이의 친정으로 처형되었다. 북원 시대 초기에 테무게 옷치긴의 후손 요왕 아자슈리가 명나라에 투항한 것으로 옷치긴 울루스는 태녕위라는 이름을 받아 명나라의 기미위소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15세기 중반에는 옷치긴 가문의 당주로 보이는 요왕 우네 테무르라는 인물이 활동했지만, 이 우네 테무르 이후 옷치긴 가문은 단절되었다.[1]

테무게 옷치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1]

이름한자비고
지브겐 대왕只不干大王
타가차르 국왕塔察児国王지브겐의 아들
아줄 대왕阿朮魯大王타가차르의 아들
나얀 대왕乃顔大王타가차르의 손자
요왕 토크토아遼王脫脫
요왕 야나시리遼王牙納失里토크토아의 아들
요왕 아자슈리遼王阿札失里
수왕 나이마다이壽王乃蠻台


5. 평가

테무게는 칭기즈 칸에게 특별히 사랑받았으며, 형제들 중 가장 호전적이지 않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뛰어난 정치인이자 유능한 통치자였으며, 형들이 군사 작전에 참여하는 동안 어머니 호엘룬과 함께 몽골의 핵심 지역을 통치했다.[1]

칭기즈 칸이 즉위한 뒤에는 다섯 천인대(밍간)을 받았고, 어머니 호엘룬에게서 세 천인대를 상속받아 모두 여덟 천인대를 소유하게 되었다.[27] 이는 다른 몽골 왕후들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것이었다.[28] 몽골 동방의 좌익부인 만주에 접한 지역에 유목지를 받아 다른 동모형제 주치 카사르, 카치운의 자손 등 동방의 왕후들을 통솔해 몽골 제국 좌익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칭기즈 칸 사후 조카 오고타이의 옹립에 협력하였으며, 오고타이 칸, 서방 지역을 통할했던 조카 차가다이와 함께 몽골 제국의 신체제를 구축하였다.[15]

테무게는 지적인 면모를 보였는데, 처음에는 정복된 서하와 금나라 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이후 몽골 제국에 포함된 다른 문화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1]

1241년 조카 오고타이 칸이 사망한 후, 테무게는 왕위를 찬탈하려 했지만, 토레게네 카툰에 의해 저지당했다. 1246년 쿠릴타이에서 구유크 칸이 대칸으로 선출된 후, 테무게는 처형되었다.

테무게 옷치긴은 용감한 성격으로, 오르도를 다스리는 것을 좋아했으며[10] 화려한 것을 좋아하는 성격으로, 영지에 궁전과 정원을 많이 지었다고 전해진다.[14]

6. 초기 옷치긴 울루스의 다섯 천인대장(밍간)

부족이름
메르키트쿠추
베스트코코추
자지라트주스크
출신 부족 불명코르코순
오로나울불명


참조

[1] 문서
[2] 문서
[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4]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5] 간행물 モンゴル帝国とティムール帝国
[6]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7]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8] 서적 モンゴル帝国と長いその後
[9]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10] 간행물 テムゲ・オッチギン
[11] 간행물 モンゴル帝国とティムール帝国
[12]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3] 서적 モンゴル帝国の興亡(上)軍事拡大の時代
[14] 서적 モンゴル秘史 1 チンギス・カン物語
[15] 서적 モンゴル帝国と長いその後
[16] 문서 원조비사
[17] 문서
[18] 문서 원사 중화서국 교점교감본
[19] 문서 원고려기사 1219-09-11
[20] 서적 몽골 제국의 흥망(상) 군사확대의 시대 고단샤(講談社) 1996-05
[21] 간행물 몽골 제국과 티무르 제국 山川出版社 2000-10
[22] 서적 몽골 제국의 흥망(상) 군사확대의 시대
[23] 문서 원사
[24] 서적 The Sucessors of Genghis Kha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1
[25] 간행물 구육과 그의 시대 일조각 1998
[26] 서적 モンゴル帝国と長いその後 講談社 2008-02
[27] 문서
[28] 간행물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