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사》는 14세기 일 칸국 시대에 라시드 앗 딘 하마다니가 저술한 방대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몽골 제국의 역사를 정당화하고, 유라시아 전역의 역사와 문화를 포괄하며, 몽골 제국 시대의 회화 양식을 보여주는 삽화를 포함하고 있다. 《집사》는 몽골 제국의 왕실 자료와 페르시아, 유럽, 중국 등 다양한 지역의 자료를 바탕으로 몽골, 튀르크 부족의 역사, 유라시아 민족의 역사, 지리 등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몽골 제국 각지에 배포되었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으며, 몽골 제국 연구의 필수 사료로 평가받는다. 2002년부터 한국어로 번역되어 현재까지 총 5권이 출판되었다.
《집사》의 저자 라시드 앗 딘 하마다니(رشیدالدین فضلالله همدانی|Rashīd al-Dīn Faḍlullāh Hamadānīfa, 1247~1318)는 이란 하마단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약사의 아들이었던 그는 의학을 공부하여 일 칸국의 군주 아바카 칸(치세 1265~1281)의 궁정에 들어갔으며, 30세 무렵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그는 빠르게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1297년 재상(Vizier)이 되었고, 1304년에는 군주 가잔 칸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세 명의 칸을 섬기며 1316년까지 재상직을 유지했으나, 두 번째로 모셨던 울제이투 칸을 독살했다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318년 7월 13일 처형되었다.
《집사》는 일 칸국의 제7대 군주 가잔 칸의 명령으로 편찬이 시작되었다.[47] 처음에는 몽골인과 그 조상들의 역사를 다루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타리키 가자니》(Taʾrīkh-ī Ghazānī)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는 후에 《집사》(Jāmiʿ al-tawārīkh)의 일부가 되었다.
《집사》의 편찬을 위해 라시드 앗 딘은 다양한 지역의 문서와 증언을 폭넓게 수집했다. 이는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전역의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문화를 융합하고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주요 참고 자료는 다음과 같다.
《집사》의 현존하는 여러 사본에는 다양한 양식의 삽화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몽골 제국 시대 회화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54] 이 삽화들은 일 칸국의 수도였던 타브리즈의 랍어 라시디(Rab'-e Rashidi) 구역에 세워진 편찬소 등에서 제작되었다.[45][54] 라시드 앗 딘의 지시에 따라 매년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판본이 제작되었기에 삽화 양식은 어느 정도 표준화되었는데, 등장인물에게 몽골식 용모와 의상을 부여하여 주요 인물 간의 구별이 어려워지기도 했다.[14][15]
2. 저자
라시드 앗 딘은 몽골의 침략으로 파괴된 이란의 사회경제 체제를 재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예술과 건축 분야의 주요 후원자였다. 그는 타브리즈 인근에 세운 학술 복합 단지인 랍어 라시디(Rab'-e Rashidi)를 확장하여 이집트, 시리아, 중국 등지에서 온 학자들과 학생들을 유치하였고, 이곳에서 자신의 저작들을 출판하기도 했다.[44][5] 그는 《집사》 외에도 많은 저술 활동을 했으나, 현재는 《집사》를 제외하면 일부 신학 저술과 진위가 의심되는 서신들만 전해진다. 그의 막대한 재산은 당시 이란에서 가장 많은 수입을 올리는 저술가였음을 시사한다.[5]
《집사》는 현대적 관점에서도 국가 차원의 대규모 문화 프로젝트로 평가받는다.[47] 라시드 앗 딘이 최종 편집자였음은 분명해 보이지만, 여러 학자가 참여한 집단 작업의 결과물로 여겨진다. 라시드 앗 딘의 지도 아래 다국적 학자들이 편찬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편찬에 참여했던 아불 카심 알 카샤니(Abu’l Qasim al-Kashani) 등 일부 인물들은 자신들이 세계사 부분을 저술했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카샤니는 라시드 앗 딘이 자신의 공적을 부당하게 가로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47] 라시드 앗 딘 스스로도 공무로 바빠 "하루 중 저술에 몰두할 수 있었던 시간은 새벽기도가 끝난 뒤부터 동이 틀 때까지뿐이었다"[47]고 할 정도로, 실제 집필 과정에는 많은 조수와 학자들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라시드 앗 딘은 이들이 작성한 초고를 검토하고 수정하여 최종본을 완성하는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47] 또한 《집사》의 모든 내용이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칭기스 칸 사후 시기에 대한 부분은 주베이니(Juvayni)의 저술을 상당 부분 인용하고 있다. 그의 저술은 공식적인 역사 기록으로서 사실적인 어조와 아첨 없는 솔직함이 특징으로 평가받지만,[41] 일 칸국의 역사처럼 자신이 직접 관여한 사건에 대해서는 그의 정치적 입장이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3. 편찬 배경 및 과정
당시 이란을 지배하던 몽골인들은 점차 정주 문화에 동화되면서 칭기즈 칸 이래 조상들이 이룩한 업적과 몽골 제국의 건설 과정을 잊어가고 있었다.[47] 가잔 칸은 이러한 정체성의 혼란과 기강 해이가 국가 운영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고 판단했다. 그는 "현재 아무도 그러한 일들을 알지도 탐구하지도 않고, 세월이 흘러 아미르의 자손인 젊은이와 새로운 세대들은 조상의 이름과 계보 그리고 지나간 속에도 있었던 정황과 그러한 정황이 일어나게 된 연유에 대해 소홀하고 무지한 상태"라고 개탄하며,[47] 역사서 편찬을 통해 몽골 지배층의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정체성을 재확립하고자 했다. 이는 당시 가잔 칸이 추진하던 세제 개혁, 행정 개혁 등 광범위한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일종의 '의식 개혁'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47] 즉, 《집사》 편찬은 단순히 과거사를 기록하는 것을 넘어, 몽골 제국의 통치 정당성을 확보하고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46]
편찬 작업을 위해 재상 라시드 앗 딘은 수도 타브리즈에 '랍어 라시디'(Rab'-e Rashidi) 대학 구역 내에 편찬소를 설치했다. 이곳에는 모스크, 병원, 도서관, 교실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집트, 시리아, 중국 등지에서 온 학자들과 300명 이상의 인력이 동원되어 자료 수집, 번역, 편집, 삽화 제작 등 방대한 작업을 수행했다.[45][44]
1304년 가잔 칸이 사망하고 그의 동생 울제이투 칸이 왕위를 계승하면서 편찬 사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울제이투 칸은 라시드 앗 딘에게 기존의 몽골사를 넘어 당대 알려진 세계 전체의 역사를 포함하도록 편찬 범위를 확장할 것을 지시했다. 확장된 《집사》는 1306년부터 1311년 사이에 완성되어 울제이투 칸에게 헌정되었다.[47]
라시드 앗 딘이 최종 편집자이자 총 책임자였음은 분명하지만, 방대한 분량과 다양한 내용을 고려할 때 여러 학자들의 공동 작업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47] 라시드 앗 딘 스스로도 공무로 바빠 저술에 전념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언급한 바 있어,[47] 실제 집필 과정에는 많은 조력자들이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편찬 과정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작업에 참여했던 학자 중 한 명인 아불 카심 알 카사니(Abu’l Qasim al-Kashani)는 자신이 실질적인 저자이며 라시드 앗 딘이 자신의 공적을 가로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7] 이러한 주장의 진위는 불분명하지만, 당시 상황을 고려할 때 완전히 근거 없는 이야기로 치부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47]
4. 자료 및 구성
《집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은 다시 세부 주제별로 나뉜다.
# 제1권: 타리키 가자니 (''Taʾrīkh-ī Ghazānī'') 《집사》의 가장 방대한 부분으로, 원래 가잔 칸의 명으로 편찬이 시작된 『가잔의 축복받은 역사』(Tārīkh-i Mubārak-i Ghāzānī)가 개편되어 제1권 "몽골사"가 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2권 올제이투 칸의 명으로 추가 편찬된 세계사 부분이다.
# 제3권: 슈 아비 파니가나흐 (''Shu'ab-i panjganah'') 아랍인, 유대인, 몽골인, 프랑크인, 중국인의 다섯 계보를 다룬다. 이 문서는 이스탄불의 톱카프 궁전 도서관에 두 개의 필사본(ms 2937)으로 존재하지만, 마이크로필름으로만 출판되었다.
# 제4권: 슈와르 알 아콰림 (''Suwar al-aqalim'') 지리 안내서에 해당하는 '제역도지'(諸域圖志)였으나, 현존하는 사본은 없다.
5. 삽화
삽화들은 페르시아 미니어처 예술 전통의 일부로, 주로 잉크와 수채화 물감을 사용했으며 때로는 은을 첨가하여 제작되었다. 내용은 역사적, 종교적 사건, 궁정 장면, 다양한 국적과 민족의 권위자들을 묘사한다.[13] 세속적인 맥락에서 인간 형상을 묘사하는 예술은 이슬람 세계에서 지속적인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9세기 초 압바스 왕조 시대에 번성했다.[53]
'''스타일과 영향'''
《집사》의 삽화는 여러 문화권의 영향을 보여준다. 특히 중국 회화 기법의 영향이 두드러지는데, 어두운 윤곽선과 투명한 수채 기법 사용, 원나라 시대 화풍을 따른 풍경 표현 등이 그 예이다.[11] 이는 이후 페르시아 회화의 특징이 되는 불투명한 수채화 양식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인물의 길쭉한 표현이나 제스처 등에서는 후기 비잔틴 미술의 영향도 나타난다.[16] 일부 학자들은 비잔틴 삽화가 아담이나 족장 등 비(非)몽골 세계사 부분을 묘사할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7]
'''주요 사본과 삽화'''
이처럼 《집사》의 삽화들은 몽골 제국의 광대한 영토와 활발했던 문화 교류 속에서 탄생한 예술적 성과를 보여주며, 당시의 역사와 사회,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시각 자료를 제공한다.
6. 《집사》의 의의와 영향
《집사》는 일 칸국 시대의 가장 중요한 역사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로[45] 단순한 기록물을 넘어, 몽골 제국의 이란 지배를 정당화하고[46] 당시 사회·정치적 개혁과 맞물려 편찬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편찬의 시작은 가잔 칸의 의뢰였다. 그는 페르시아 지역에 정착하며 이슬람 등 현지 문화를 받아들인 몽골인들이 자신들의 유목민적 뿌리와 칭기즈 칸 이래의 역사를 잊어가는 것을 우려했다.[47] 가잔 칸은 이러한 역사의식의 부재와 정체성 상실이 몽골 지배층의 결속을 약화시키고 국정 문란을 초래하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47] 따라서 그는 재상 라시드 앗딘에게 몽골 제국사 편찬을 지시함으로써, 다른 제도 개혁의 바탕이 될 '의식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다.[47] 이는 당시 라시드 앗딘이 추진하던 조세 제도 정비, '바라트' 폐지, '이크타' 지급, 지방관 통제 강화, 도량형 통일, 태양력 도입 등 광범위한 개혁 정책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몽골의 역사와 계보를 다루는 『가잔의 축복받은 역사』(Tārīkh-i Mubārak-i Ghāzānī|타리히 모바라키 가자니fa)로 시작되었다.
1304년 가잔 칸이 사망한 후, 그의 뒤를 이은 울제이투 칸은 라시드 앗딘에게 편찬 범위를 넓혀 당시 알려진 세계 전체의 역사를 다루도록 요청했다.[45] 이에 따라 《집사》는 몽골사를 넘어 유라시아 대륙의 다양한 민족과 국가들의 역사를 아우르는 방대한 세계사 서술로 확장되었으며, 1310년 혹은 1311년에 완성되었다.
《집사》는 완성 직후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아 몽골 제국 내 여러 왕가에 보내졌으며, 아랍어로도 번역되어 맘루크 왕조를 비롯한 이슬람 세계에 널리 퍼졌다.[19] 라시드 앗딘은 자신의 와크프 시설을 통해 매년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사본을 제작하여 각지에 배포하도록 지시했는데,[19] 이는 《집사》가 당대 지식과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비록 라시드 앗딘 사후 편찬소가 파괴되는 등 부침을 겪었으나, 그의 아들 기야스 알딘(Ghiyath al-Din|기야스 알딘fa) 등에 의해 사본이 보존되고 편찬 작업이 이어졌다. 이후 티무르 왕조, 오스만 제국, 사파비 왕조, 무굴 제국 등 후대 왕조에서도 중요한 역사서로 인정받아 지속적으로 필사되고 연구되었다.
근대 역사학 연구에서도 《집사》는 13세기 이후 중앙 유라시아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사료로 평가받는다. 알라딘 아타 말릭 주베이니의 《세계 정복자 역사》와 함께 이 시기 연구의 양대 축을 이루며, 19세기부터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연구되었다. 특히 중국 청나라의 학자 훙쥔은 러시아어 번역본을 통해 《원사》를 연구하고 오류를 바로잡은 《원사역문증보》를 저술했으며, 커샤오민의 《신원사》 편찬에도 영향을 미쳤다. 《집사》에는 쿠빌라이 칸과 테무르 칸 시기 대원조에 대한 《원사》에는 기록되지 않은 독자적인 정보가 풍부하여, 현재까지도 몽골 제국 및 원나라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집사》는 여러 단계에 걸쳐 증보되었고 다양한 언어(페르시아어, 아랍어, 튀르크어 등)로 기록되었으며, 수많은 사본들이 유라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어 원본을 복원하고 정확히 교정하는 작업은 여전히 진행 중인 과제이다.
7. 한국어 번역
《집사》는 2002년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김호동 교수가 《부족지 - 라시드 앗 딘의 집사1》를 처음 번역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어 번역 작업이 이루어졌다. 2016년에는 《부족지》가 재간되었다. 이후 김호동 교수는 《칭기스칸기》, 《칸의 후예들》, 《일 칸국의 역사》, 《이슬람의 제왕》 순으로 번역을 이어갔으며, 2023년까지 사계절출판사에서 총 5권으로 완역되었다. 2024년에는 이 번역본들의 축약본인 《몽골제국 연대기》가 같은 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참조
[1]
문서
Inal
[2]
백과사전
JĀMEʿ AL-TAWĀRIḴ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2012-02-02
[3]
문서
Carey
[4]
문서
Compendium of Chronicles
[5]
웹사이트
Ilkhanid Structures Discovered in Tabriz
http://www.chnpress.[...]
CHN
2012-01-23
[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Lorenz Books
[7]
문서
Blair and Bloom
[8]
문서
Blair
[9]
문서
Blair
[10]
웹사이트
Fitzwilliam Museum
http://www.fitzmuseu[...]
Cambridge
[11]
학술지
Illustrating History: Rashid al-Din and his Compendium of Chronicles
http://dx.doi.org/10[...]
2017-02-13
[12]
백과사전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dx.doi.org/10[...]
2009-01-01
[13]
학술지
Images of the Peoples of the World Encountered by the Mongols in the Jamiʿ al-tawarikh
http://dx.doi.org/10[...]
2019-01-02
[14]
웹사이트
JĀMEʿ al-TAWĀRIḴ ii. Illustrations
https://iranicaonlin[...]
2010-05-25
[15]
웹사이트
Folios from the Jami' al-tavarikh (Compendium of Chronicles).
http://www.metmuseum[...]
2003-10
[16]
서적
The arts of Islam : treasures from the Khalili Collection
http://worldcat.org/[...]
The Overlook Press
2010
[17]
학술지
Byzantize Sources for the Jāmi' al-Tāwarīkh of Ra shīd Al-Dīn
1985
[18]
학술지
The Topkapı Manuscript of the Jāmiʿ al-Tawārikh (Hazine 1654) from Rashidiya to the Ottoman Court: A Preliminary Analysis
https://www.tandfonl[...]
2018-05-04
[19]
문서
Carey
[20]
문서
Canby
[21]
웹사이트
Folios from the Jami' al-tavarikh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2-01-15
[22]
웹사이트
Medieval Catapult Illustrated in the Jami' al-Tawarikh
https://reach.ieee.o[...]
[23]
문서
Blair and Bloom
[24]
문서
Min Yong Cho
[25]
웹사이트
The World History of Rashid al-Din, 1314. A Masterpiece of Islamic Painting
http://libraryblogs.[...]
2014-07-14
[26]
서적
The Art of Peace: Eight collections, one vision
Penguin Random House
[27]
문서
Blair
[28]
서적
A compendium of chronicles: Rashid al-Din's illustrated history of the world
Nour Foundation in association with Azimuth Editions and [[Oxford University Press]]
[29]
문서
Blair
[30]
문서
Blair and Bloom
[31]
문서
金山 2022
[32]
문서
金山 2022
[33]
문서
ラシードッディーン『集史』第 1 巻「モンゴル史」の諸写本に見られる脱落
[34]
학술지
『集史』第2巻「世界史」校訂の諸問題 : モハンマド・ロウシャンの校訂本に対する批判的検討を中心に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35]
문서
ラシードゥッディーン『中国史』近刊刊本二種
[36]
논문
『集史』第2巻「世界史」校訂の諸問題
[37]
문서
『集史』パリ写本について
[38]
문서
『集史』テヘラン写本(イラン国民議会図書館写本2294番)について
[39]
이미지
File:DiezAlbumsBirth.jpg
[40]
문서
Inal. p. 163.
[41]
백과사전
JĀMEʿ AL-TAWĀRIḴ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2012-02-02
[42]
문서
Carey. p. 158
[43]
문서
"Compendium of Chronicles", p. 9
[44]
웹인용
Ilkhanid Structures Discovered in Tabriz
http://www.chnpress.[...]
CHN
2012-01-23
[45]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Lorenz Books
[46]
문서
Blair and Bloom, 3
[47]
서적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도서출판 사계절, 2010년
https://books.google[...]
도서출판 사계절
[48]
문서
Blair. pp. 31–32.
[49]
문서
Blair. p. 36
[50]
웹사이트
Fitzwilliam Museum
http://www.fitzmuseu[...]
Cambridge
2017-06-27
[51]
문서
라시드 앗 딘의 집사에 포함된 중국사의 서문에서는 "제왕들의 이름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는 역사서가 하나 있는데, 현재 이 역사서는 키타이인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고 정확하여 신빙성이 있다"는 내용이 보인다. 세 명의 불교 승려가 집필하였다는 이 책은 당시 북중국에서 일 칸의 궁정으로 온 두 명의 학자에 의해 번역되어 《집사》 중국사 부분의 집필에 활용된 것이다. 라시드 앗 딘은 이 세 명의 승려와 두 명의 학자의 이름을 기록하였지만, 원래 이름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페르시아어로 번역된 중국의 역사서도 무엇인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김호동은 현존하는 '중국사'의 내용을 볼 때 1341년에 완성되어 1347년에 간행된 석념상(釋念常)의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와 매우 흡사하기는 하지만 '중국사'가 《불조역대통재》보다 수십 년 먼저 편찬되었기 때문에 그것을 인용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따라서 중국사의 원자료는 석념상이 활용했던 다른 사서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도서출판 사계절, 2010).
[52]
문서
원명은 '키타이 제왕의 역사' 혹은 '키타이와 마친의 제왕의 역사'이다.
[53]
서적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Vol. I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54]
문서
Bloom & Blair, Grove Enlycl., Vol. II p. 214
[55]
웹인용
Khalili Collection, MSS. 727, folio 66a
http://warfare.upher[...]
1305–14
[56]
문서
Blair. p. 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