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레비에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레비에하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오래된 탑을 의미하는 스페인어에서 유래되었다. 1800년대 초 소금 산업의 발달로 성장했으며, 1931년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 지중해 관광 산업의 발전으로 20세기 중반부터 국제적인 관광 도시로 성장했으며, 특히 영국, 아일랜드, 독일, 스칸디나비아 출신 거주자가 많다. 열대 스텝 기후를 보이며, 주요 관광 명소로는 해양 및 소금 박물관, 염전, 해변 등이 있다. 스포츠로는 핸드볼, 축구, 사이클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리칸테도의 지리 - 블랑카 해안
블랑카 해안은 스페인 알리칸테 지방의 해안 지역으로,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왔으며, 석회암 절벽과 좋은 기후 덕분에 등반 명소로 유명하고, 스페인과 발렌시아 지역 의회에 대표를 파견한다. - 알리칸테도의 자치체 - 베니도름
베니도름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휴양 도시로, 1325년 설립되었으며, 참치 어업과 관광 산업의 발전을 통해 유럽의 대표적인 국제 관광 도시로 성장하여 아름다운 해변, 고층 건물, 다양한 문화 행사, 테마파크, 활기찬 밤 문화로 유명한 다문화 도시이다. - 알리칸테도의 자치체 - 엘체
엘체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이오니아인들이 건설한 일리키를 기원으로 하며, 이베리아 시대 유물과 무어인의 지배, 레콩키스타를 거쳐 아라곤 왕국에 편입되었고, 1871년 도시 지위를 얻어 신발 산업과 농업, 관광을 중심으로 발전하며, 엘체 야자수 숲과 엘체 미스터리극과 같은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스페인의 해수욕장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 스페인의 해수욕장 - 베니도름
베니도름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휴양 도시로, 1325년 설립되었으며, 참치 어업과 관광 산업의 발전을 통해 유럽의 대표적인 국제 관광 도시로 성장하여 아름다운 해변, 고층 건물, 다양한 문화 행사, 테마파크, 활기찬 밤 문화로 유명한 다문화 도시이다.
| 토레비에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Torrevieja |
| 유형 | 지방 자치체 |
| 별칭 | (없음) # 문서에 별칭 정보가 없습니다. |
| 모토 | (없음) # 문서에 모토 정보가 없습니다. |
| 지리 | |
| 면적 | 71.44 km² |
| 해발 고도 | 7 m |
| 최소 해발 고도 | (정보 없음) |
| 최대 해발 고도 | (정보 없음) |
| 행정 구역 | |
| 국가 | 스페인 |
| 자치 지방 | 발렌시아 지방 |
| 지방 | 알리칸테 지방 |
| 군 | 베가바하델세구라 |
| 사법 구역 | 토레비에하 |
| 역사 | |
| 설립 | 19세기 |
| 인구 통계 | |
| 인구 (2018년) | 82,600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정치 및 행정 | |
| 시장 | 호세 마누엘 돌론 가르시아 (2015년) |
| 소속 정당 | LV |
| 기타 정보 | |
| 공용어 | 스페인어 |
| 우편 번호 | 03181 a 03188 |
| 지역 번호 | 965 및 966 |
| 시간대 | CET |
| UTC 오프셋 | +1 |
| 여름 시간 (DST) | CEST |
| UTC 오프셋 (DST) | +2 |
| 웹사이트 | 토레비에하 공식 웹사이트 |
| 인구 통계 | 토레비에하 사람 • torrevejense (es) |
| 수호 성인 | 에미디우스 |
2. 역사
1800년대 초까지 토레비에하는 도시 이름의 유래가 된 고대 망루 근처의 작은 마을이었다. '토레 비에하(torre vieja)'는 스페인어로 '오래된 탑'을 의미한다. 18세기까지 토레비에하에는 염호인 살리나스 호가 있었고, 스페인 왕가가 소유했다. 1802년까지 토레비에하에는 감시탑이 있었지만, 그 외에는 염전에서 일하는 사람이나 어부의 집이 있을 뿐이었다.
이 도시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해수 담수화 플랜트가 있다. 이 플랜트를 건설한 회사인 아코니아는 북유럽 전역의 고객에게 물을 공급한다고 주장한다.[2] 오늘날에도 토레비에하에서 염전 산업은 중요한 산업이며 주요 고용주이다. 이 도시에는 [https://torrevieja.com/en/museum-of-the-sea-and-salt 해양 및 소금 박물관]이 있다.
2. 1. 염전 개발과 도시 성장 (19세기)
1803년,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4세는 소금 광산 생산 및 사무실을 토레 라 마타에서 토레비에하 마을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여 새로운 건물과 주택 건설을 허가하였다.[2] 1829년, 지진으로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지만, 소금 사구는 곧 회복되어 사업이 재개되었다.[2]19세기에는 소금이 주로 스웨덴과 네덜란드 상선 및 화물선에 의해 도시에서 운송되었다.[2] 당시 스페인 내 다른 지역으로의 소금 수출은 제한적이었으며, 주로 갈리시아 (스페인)와 발렌시아로 수출되었다.[2]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스페인에서 판매되는 소금의 4분의 1이 토레비에하 석호에서 직접 수확되었고, 나머지는 해외 시장으로 수출되었다.[2] 19세기 중반 이후, 정제된 소금은 기본적으로 스웨덴 및 네덜란드 선박으로 운송되었으며, 해외 시장의 중요성은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 토레비에하에서 채취한 소금의 1/4은 스페인 국내에서 판매되었고 나머지는 수출되었다.[2]
1931년,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는 특별 허가를 통해 토레비에하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다.[2] 이 기간 동안 지역에서 재배된 아마, 삼, 면에 대한 시장도 성장했다.[2] 19세기의 토레비에하 항구는 베가 바야 지방에서 생산되는 물품의 출하 항구였다.[2]
2. 2. 도시 지위 획득과 근대화 (20세기 초)
1829년, 지진으로 인구가 타격을 입었고, 이후 점차 복구되었다. 소금 생산과 무역이 결정적이 되어, 1931년 알폰소 13세에 의해 '도시'로 승격되었다.[1] 19세기의 수공업 생산은 일반 소비를 위한 린넨 생산, 마 및 면으로 제한되었다.[1] 정박지가 소금 적재의 장애가 되었지만, 1954년 이후 항구가 건설되었다.[1]19세기 중반 이후, 정제된 소금은 기본적으로 스웨덴 선박과 네덜란드 선박에 의해 운송되었다.[1] 소금의 해외 시장의 중요성은 20세기 중반까지였다.[1] 토레비에하에서 채취한 소금은 1/4이 스페인 국내에서 판매되었고, 나머지는 수출되었다.[1]
2. 3. 관광 산업 발전과 국제화 (20세기 중반 ~ 현재)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토레비에하의 지역 경제는 지중해 관광 산업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여 스페인 외 지역과 해외 관광객을 유치했다. 영국인, 아일랜드인, 독일인, 스칸디나비아 출신 시민들이 토레비에하에 연중 거주하고 있으며, 에어비앤비와 같은 회사를 이용하거나 타임셰어 부동산을 이용하는 장기 휴가자들도 많다. 또한, 이 도시에는 별장을 소유한 스페인인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3]2004년, 토레비에하는 스페인 전체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영국인 거주자 수를 기록했다. 요크셔 출신의 영국인들이 많아 일부에서는 토레비에하를 '코스타 델 요크셔'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하며,[3] 많은 도시의 레스토랑에서 거대한 요크셔 푸딩에 담긴 파에야를 맛볼 수 있다.[4]
최근 토레비에하의 지역 경제는 관광업으로 매우 성장하고 있다. 영국인,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 사람들, 독일인은 이곳에서 일 년 내내 사는 강력한 집단이며, 스페인인 관광객은 토레비에하에 휴가용 주택을 소유하고 있다. 2004년 이후, 토레비에하는 스페인에서 가장 많은 영국인이 거주하는 자치구이며, 현재 거주 영국인 인구는 약 12,000명이다.
3. 기후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에 따르면 열대 스텝 (BSh) 기후이며,[5] 건조하고 온화한 겨울과 덥고 매우 건조한 여름이 특징이다. 10월이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스텝 기후(BSh)에 속한다.[14] 월별 평균 기온은 겨울철 12°C에서 여름철 25°C 사이이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 평균 해수 온도 (℃) | 15°C | 14°C | 15°C | 16°C | 18°C | 21°C | 23°C | 25°C | 24°C | 21°C | 18°C | 16°C | - |
4. 인구
1991년 토레비에하의 주민은 25,000명이었지만, 20년 후에는 거의 100,000명에 육박했다. 이러한 인구 확장의 주역은 1988년부터 2011년까지 시장을 역임한 페드로 앙헬 에르난데스 마테오였다. 그는 성장을 장려하기 위해 1989년에 자연 공원으로 지정된 두 개의 석호를 제외한 모든 토지를 건축에 적합하도록 재구획하였다.
2005년 스페인 국립 통계청(INE)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토레비에하의 인구는 84,838명이었고, ''아준타멘트'' (구의회)는 95,531명이었다. 2008년 1월까지 이 수치는 103,154명으로 증가했으며, 그중 발렌시아 또는 스페인 출신은 47,870명에 불과했다. 스페인 출신 주민 중 7,000명 이상이 마드리드 출신이었으며, 토레비에하가 la playa de Madrid|마드리드의 해변es으로 알려진 데는 다 이유가 있다. 그러나 2011년 인구 조사에서 인구는 90,097명으로 감소했고, 2019년 초 최신 추정치는 83,337명이다.
| 연도 | 인구 |
|---|---|
| 1897 | 7,833 |
| 1910 | 8,961 |
| 1930 | 8,754 |
| 1950 | 8,935 |
| 1960 | 9,234 |
| 1970 | 9,726 |
| 1980 | 12,314 |
| 1991 | 25,014 |
| 1996 | 35,998 |
| 2001 | 50,953 |
| 2004 | 75,530 |
| 2005 | 84,348 |
| 2011 | 90,097 |
| 2012 | 105,270 |
| 2014 | 88,447 |
| 2016 | 85,000 |
| 2019 | 83,337 |
5. 정치
호아킨 가르시아 산체스
페드로 에르난데스 마테오(88-91)
P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