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먼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먼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과 접하고 있다. 1913년 옌지현의 일부로 시작하여 1934년 만주국에 의해 시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중일 전쟁, 한국 전쟁 등 역사적 사건들을 거쳤다. 현재는 3개의 가도와 4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한, 한국, 일본, 러시아와의 무역이 활발하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철도, 고속도로, 버스터미널 등이 있으며, 두만강과 북한을 조망할 수 있는 관광 명소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먼시 - 도문국경대교
도문국경대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다리이며,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건설되어 주요 특징을 지니고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비판과 논란에도 직면해 있다. - 투먼시 - 투먼 북역
투먼 북역은 2015년 창훈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고가역으로, 3면 5선의 섬식 및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창춘 및 훈춘 방면 열차를 수용하며 옌지시 역과 훈춘 역이 인접해 있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옌볜 조선족 자치주의 행정 구역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지린성의 현급시 - 둔화시
둔화시는 중국 지린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이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와 관련된 유적들이 존재하며,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지린성의 현급시 - 훈춘시
훈춘시는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속한 현급시로,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 및 러시아와 인접하여 지정학적 요충지이며, 고구려 책성부에서 발해 동경용원부로 이어진 역사와 중국 정부의 투자와 개방 정책에 따른 경제 발전, 그리고 국제 협력 중심지 및 국경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
| 투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투먼 시 |
| 현지 명칭 | |
| 지리 | |
| 위치 |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
| 좌표 | 북위 42° 58' 동경 129° 51' |
| 면적 (전체) | 1142.7 km² |
| 면적 (도시) | 15.00 km² |
| 해발 고도 | 97 m |
| 행정 |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 성 | 지린 성 |
| 자치주 | 옌볜 조선족 자치주 |
| 행정 중심지 | 샹상 가도 |
| 행정 구역 코드 | 222402 |
| 인구 | |
| 총 인구 (2017년) | 121,000명 |
| 도시 인구 (2017년) | 84,700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역사 | |
| 건치 | 1934년 |
| 개제 | 1965년 |
| 경제 | |
| GDP (2003년) | 7.4억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 우편 번호 | 133100 |
| 지역 번호 | 0433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이미지 | |
![]() | |
![]() | |
![]() | |
![]() | |
2. 지리
투먼시는 지린성 남동쪽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온성군과 이웃하고 있다. 동쪽은 훈춘 시, 서쪽은 옌지 시, 북쪽은 왕칭 현과 접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라선특별시까지는 160km 떨어져 있다. 지형은 서북쪽과 남쪽이 높고 동쪽이 낮으며, 최고봉은 삼각산(987m)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두만강, 가야하, 부르하통강(불얼하통강), 스터우허 등이 있다.
3. 역사
4. 행정 구역
图们市중국어는 3개의 가도와 4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다.[3]
| 종류 | 이름 | 한자 | 중국어 발음 |
|---|---|---|---|
| 가도 | 샹샹 가도 | 向上街道 | Xiàngshàng Jiēdào |
| 가도 | 신화 가도 | 新华街道 | Xīnhuá Jiēdào |
| 가도 | 위에궁 가도 | 月宫街道 | Yuègōng Jiēdào |
| 진 | 위에칭 진 | 月晴鎭 | Yuèqíng Zhèn |
| 진 | 스셴 진 | 石峴鎭 | Shíxiàn Zhèn |
| 진 | 창안 진 | 长安鎭 | Cháng'ān Zhèn |
| 진 | 량수이 진 | 凉水鎭 | Liángshuǐ Zhèn |
4. 1. 가도
투먼시는 3개의 가도와 4개의 진으로 구성되어 있다.[3]- 샹샹 가도 (向上街道 / 향상가도)
- 신화 가도 (新华街道 / 신화가도)
- 위에궁 가도 (月宫街道 / 월궁가도)
4. 2. 진
위에칭 진 (月晴镇 / 월청진)[3]스셴 진 (石峴镇 / 석현진)[3]
창안 진 (长安镇 / 장안진)[3]
량수이 진 (凉水镇 / 양수진)[3]
5. 경제
图们市|투먼 시중국어의 2001년 생산 총액은 7.4억위안이었고, 대외 무역 수출액은 약 1000만위안이었다.[1] 북한, 한국, 일본, 러시아와의 무역이 활발하다.[1] 2001년 북한과의 출입국자 수는 2만 4천 명이었다.[1] 최근 몇 년간 북중 관계 악화와 대북 제재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6. 교통
투먼은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로, 투먼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교통의 요지이다.
철도 교통으로는 2015년 창춘-훈춘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투먼 북역이 설치되었다. 투먼 역에서는 창투선, 투자선, 투훈선 3개 노선과 남양 국경선이 투먼강을 건너 북한 남양을 거쳐 라진, 라선, 청진으로 연결된다. 과거에는 국제 여객 열차가 없었고 화물 열차만 국경을 넘었으나, 2011년 10월 8일 북한 칠보산 관광 열차 노선이 개통되었다.[6]
도로 교통으로는 고속도로인 훈우 고속도로(--)와 왕옌 고속도로(--)가 있으며, 국도로는 G302 국도와 G331 국도가 있다. 투먼 장거리 버스 터미널은 투먼역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6. 1. 철도
2015년 창춘-훈춘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투먼 북역이 설치되었다. 투먼 역에서는 창투선, 투자선, 투훈선 3개 노선과 남양 국경선이 투먼강을 건너 북한 남양을 거쳐 라진, 라선, 청진으로 연결된다. 과거에는 국제 여객 열차가 없었고 화물 열차만 국경을 넘었으나, 2011년 10월 8일 북한 칠보산 관광 열차 노선이 개통되었다.[6]6. 2. 도로
- 고속도로
- * -- 훈우 고속도로
- * -- 왕옌 고속도로
- 국도
- * G302 국도
- * G331 국도
6. 3. 버스
투먼 장거리 버스 터미널은 투먼역 바로 옆에 있다.7. 관광
- 투먼 국경대교(투먼 국경) - 다리 중앙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국경 게이트 옥상은 전망대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다리 정면에 북한의 남양역이 있으며, 망원경으로 역사의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의 사진이 걸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두만강 철교 - 투먼대교 전망대에서 철교 전경과 북한의 남양노동자구를 전망할 수 있다.
- 투먼 공원 - 투먼대교에서 두만강을 따라 북쪽에 위치해 있다.
- 두만강 광장 - 투먼대교 부근의 두만강변에 있으며, 여행 서비스 센터, 조선족 무형 문화재, 유람선 선착장이 있다.
- 일광산 - 일광산 삼림공원이 있다. 중턱에는 남양정이 있어 두만강과 북한 남양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산정에서는 투먼시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 온성대교 - 1937년 5월 일본이 건설한 교량으로 투먼시 량수진에 있다. 강변 전망대에서 북한 측의 온성군을 조망할 수 있다. 이 다리와 투먼 시가지의 중간 지점인 중국 측에 두만강이 굽이치는 지점이 북한 최북단이다.
- 투먼 변경 관리소 - 통칭 '투먼 수용소'라고도 불리며, 북한으로 송환되는 탈북자를 수용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 투먼 마반산 산성 - 창안진에 있으며 발해의 유적이 있다.
- 백년부락 - 웨칭진 바이롱촌에 위치한 1세기 이상 전에 지어진 고가옥군. 식당과 숙박 시설이 있다.
















8. 기후
图们市|투먼시중국어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은 5.3°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1.7°C, 7월 평균 기온은 21.2°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38.7mm이며, 대부분 여름철에 집중된다.[8][9]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 평균 최고 기온 (℃) | -5.9°C | -1.2°C | 5.8°C | 14.7°C | 20.4°C | 23.6°C | 26.2°C | 26.6°C | 22.6°C | 15.1°C | 4.1°C | -4.2°C | - |
| 평균 기온 (℃) | -11.7°C | -7.4°C | -0.2°C | 7.9°C | 13.5°C | 17.7°C | 21.2°C | 21.5°C | 15.9°C | 8.3°C | -1.5°C | -9.5°C | 5.3°C |
| 평균 최저 기온 (℃) | -16.6°C | -13°C | -5.8°C | 1.5°C | 7.7°C | 13.2°C | 17.5°C | 17.7°C | 10.8°C | 2.5°C | -6.2°C | -14°C | - |
| 강수량 (mm) | 6.5mm | 6.6mm | 12.9mm | 31mm | 68.1mm | 81mm | 128.7mm | 111.6mm | 65mm | 32.6mm | 20.1mm | 7.6mm | 538.7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2.8 | 3.3 | 5.6 | 8.5 | 13.9 | 14.2 | 14.4 | 14.1 | 9.4 | 6.5 | 6.1 | 4.4 | - |
| 평균 상대 습도 (%) | 56 | 53 | 52 | 53 | 66 | 78 | 83 | 82 | 76 | 63 | 59 | 58 | - |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93.3 | 200.0 | 228.6 | 213.9 | 212.0 | 186.9 | 163.4 | 172.7 | 202.4 | 202.0 | 166.1 | 171.3 | - |
| 평균 일조율 (%) | 66 | 67 | 62 | 53 | 47 | 41 | 35 | 40 | 55 | 60 | 57 | 61 | - |
9. 기타
(내용 없음)
9. 1. 탈북민 문제
투먼시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인접해 있어 탈북민들이 중국으로 넘어오는 주요 경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탈북민을 불법 이주민으로 간주하여 강제 북송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적인 인권 문제로 비판받고 있다.더불어민주당은 탈북민 강제 북송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탈북민들의 인권 보호와 한국 입국 지원을 지지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9. 2. 숙박 시설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19
[2]
뉴스
Tension, Desperation: The China-North Korean Border
https://www.nytimes.[...]
2006-10-22
[3]
웹사이트
延边朝鲜族自治州-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xzqh.org
2011-04-28
[4]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5]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6]
뉴스
中国図們と朝鮮七宝山を結ぶ観光列車が開通
http://j.people.com.[...]
[7]
문서
대한민국 국어 기준으로도 한국 한자음 '도문'으로 읽는 관용이 인정된다.
[8]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7
[9]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