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은 1974년 7월 20일, 그리스 군사 정권의 쿠데타에 대응하여 튀르키예가 키프로스를 침공한 사건이다. 1960년 키프로스 독립 이후 그리스계와 튀르키예계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튀르키예는 1960년 보장 조약을 근거로 침공을 정당화했다. 침공 결과, 키프로스는 분단되었고, 북키프로스에는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로 인해 대규모 인구 이동과 인권 침해가 발생했으며, 문화 유산의 파괴도 초래되었다. 국제 사회는 튀르키예의 행위를 비난하고, 키프로스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 |
일부 명칭 | 키프로스 평화 작전 평화 작전 키프로스 작전 |
또 다른 명칭 | 아틸라 작전 |
관련 분쟁 | 냉전, 키프로스 문제 |
기간 | 1974년 7월 20일 ~ 1974년 8월 18일 |
장소 | 키프로스 |
결과 | 터키의 승리 터키계 키프로스인 자치 행정부 설립 1974년 7월 23일 그리스 군사 정권 붕괴 약 200,000명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난민 발생 약 50,000명의 터키계 키프로스인 난민 발생 |
영토 | 터키가 키프로스의 36.2%를 점령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터키 저항 조직 |
교전 세력 2 | 키프로스 공화국 EOKA B 그리스 |
지휘관 | |
지휘관 1 | 파흐리 코루튀르크 뷜렌트 에제비트 네지메틴 에르바칸 라우프 덴크타시 |
지휘관 2 | 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 니코스 삼프손 lt=아타나시오스 스클라베니티스 디미트리오스 이오안니디스 페돈 기지키스 |
병력 규모 | |
병력 규모 1 | 터키: 약 40,000명 터키군: 160 ~ 180대 M47 및 M48 전차 터키계 키프로스인 거주지: 11,000 ~ 13,500명 (전시 동원 시 최대 20,000명) 총합: 약 60,000명 |
병력 규모 2 | 키프로스: 약 12,000명 소수의 T-34 전차 그리스: 1,800 ~ 2,000명 총합: 약 14,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추정 사상자: 1,500 ~ 3,500명 (군인 및 민간인) 전사자: 568명 (터키군 498명, 저항군 70명) 부상자: 2,000명 민간인 사망자: 270명 실종 민간인: 803명 (1974년 공식 수치) |
사상자 2 | 추정 사상자: 4,500 ~ 6,000명 (군인 및 민간인) 키프로스 군인 사망자: 309명 그리스 군인 사망자: 105명 실종자: 1,000 ~ 1,100명 (2015년 기준) |
사상자 3 | UNFICYP: 9명 사망, 65명 부상 |
기타 | |
관련 전투 | 군사 작전 펜테밀리 레드라 궁전 니키 니코시아 7월-8월 충돌 코르노스 언덕 케팔로브리소 아틸라 2차 공세 아기오스 도메티오스 토크니 마라타, 산탈라리스, 알로다 아시아 엡타코미 시스클리포스 프라스티오 |
2. 역사적 배경
1571년,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이후 대부분 그리스인이 거주하는 키프로스 섬을 정복했다. 300년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영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키프로스 조약에 따라 섬과 그 주민들은 영국에 임대되었다. 1914년 11월 5일,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중앙 연합국 편으로 참전하면서 영국은 키프로스를 (이집트와 수단과 함께) 영국 제국의 보호령으로 공식 선포했고, 나중에는 영국령 키프로스로 알려진 왕관 식민지가 되었다. 1923년 로잔 조약 20조는 터키의 키프로스 영유권 주장을 종식시켰으며, 21조는 키프로스에 거주하는 터키 국민에게 2년 안에 섬을 떠나거나 영국 국민으로 남을 선택권을 부여했다.
당시 키프로스 인구는 각각의 조국을 자기 정체성으로 여기는 그리스인과 터키인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두 공동체의 엘리트들은 자신들이 사회적으로 더 진보적이고 교육 수준이 더 높으며, 따라서 본토 사람들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은 오랫동안 조용히 함께 살았다.
두 민족 공동체를 갈라놓은 주요 요인으로는 교육, 영국의 식민지 정책, 경제 발전과 함께 나타난 종교적 가르침이 있다. 교육은 공동체 간 적대감을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영국의 "분할 통치" 정책은 식민 통치에 대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민족적 양극화를 조장했다. 1950년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식민청은 보조 경찰의 규모를 확장했고, 1955년 9월에는 EOKA와 싸우기 위해 터키계 키프로스인들로만 구성된 특수 기동 예비대를 설립했다.
경제 개발과 교육 수준 향상으로 두 공동체의 종교적 특성은 감소했지만, 두 본토의 민족주의 성장은 다른 차이점들의 중요성을 증대시켰다. 터키 민족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추진한 혁명 프로그램의 핵심이었고, 그의 원칙을 따른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타튀르크는 오스만 제국의 잔해 위에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려 했으며, 세속주의와 민족주의 원칙은 이슬람의 역할을 축소하고 터키 정체성을 강조했다.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터키 민족주의의 세속적인 프로그램을 빠르게 채택했다. 오스만 통치하에서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무슬림으로 분류되었으나, 세속적인 아타튀르크의 프로그램은 그들의 터키 정체성을 중요하게 만들어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이웃과의 분열을 강화했을 수 있다.
1950년대 초, 키프로스 투사 국가 조직(EOKA)이라는 그리스계 민족주의 단체가 결성되어[57] 영국으로부터의 독립과 그리스와의 통합(에노시스)을 목표로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58] EOKA는 1955년 6월 21일 처음으로 터키계 경찰관을 살해했고,[59] 이스탄불 포그롬 이후에는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60] 1957년 1월, EOKA는 영국군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터키계 경찰관을 공격하고 살해하여 니코시아에서 터키계의 폭동을 유발했다.[61]
이에 대응하여 튀르키예계는 그리스와의 통합을 막기 위해 터키 저항 조직(TMT)을 결성했다. 이들은 그리스와의 통합이 이루어지면 크레타의 크레타 터키인들처럼 자신들의 존재가 위협받을 것을 우려했다.[62] TMT는 터키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아[62] 그리스계에 맞서 분할(탁심)을 주장하며 무력 충돌을 벌였다.[63] 1958년 6월 12일, TMT는 콘데메노스 마을 출신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8명을 살해하고,[64] 니코시아에 있는 터키 언론 사무소를 위장 폭파하여 그리스계에 책임을 돌리기도 했다.[65][66] 또한 독립을 지지하는 튀르키예계 인사들을 암살했다.[63][66]
1960년 8월, 키프로스는 런던-취리히 협정에 따라 독립 국가가 되었으나, 1960년 키프로스 공화국 헌법은 3년 만에 붕괴되었다.[68]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은 에노시스(그리스와의 통합)를,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은 탁심(그리스와 튀르키예 간 분할)을 원했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했다.[69]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이 인구 비율(18.3%)에 비해 과도한 공무원직(30%)을 차지하고, 부통령직을 맡아 대통령과 함께 주요 문제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던 점도 그리스계의 불만을 샀다.[70][71]
1963년 12월, 마카리오스 3세 대통령은 13개의 헌법 수정안을 제안했다. 그리스계는 이를 통해 튀르키예계의 권한을 축소하고 아크리타스 계획(Akritas plan)에 따라 튀르키예계를 복속시키려 했다.[73] 그러나 튀르키예계는 수정안을 거부하고 정부를 떠났다.[73] 이후 종파 간 폭력 사태가 발생하여 튀르키예계 364명, 그리스계 174명이 사망하고, 25,000~30,000명의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이 피난했다.[76][77]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Daily Telegraph)''는 이를 "튀르키예계를 겨냥한 포그롬(pogrom)"이라고 묘사했다.[78]
196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6호(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6)에 따라 키프로스 유엔 평화유지군(UNFICYP)이 창설되어 섬에 배치되었다.[81] 그러나 양측 민병대의 폭력은 계속되었고, 튀르키예는 여러 차례 침공 위협을 가했다.[82] 1964년 6월, 미국 존슨 대통령은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이 소비에트 연방(Soviet Union)과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82][83]
이후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은 거주지에서 생활하며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았고, 녹색선으로 니코시아가 분할되었다.[77] 1967년,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이 이동의 자유를 요구하면서 다시 충돌이 발생했고, 튀르키예의 침공 위협으로 이어졌다. 결국 그리스 군대 일부 철수, 게오르기오스 그리바스(Georgios Grivas)의 키프로스 퇴거, 키프로스 정부의 이동 제한 일부 해제 등으로 타협이 이루어졌다.[90]
2. 1. 오스만 제국과 영국 통치
1571년,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은 대부분 그리스인이 거주하는 키프로스 섬을 정복했다. 300년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후,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영국과 오스만 제국 간의 키프로스 조약에 따라 섬과 그 주민들은 영국에 임대되었다. 1914년 11월 5일,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중앙 연합국 편으로 참전하면서 영국은 키프로스를 (이집트와 수단과 함께) 영국 제국의 보호령으로 공식 선포했고, 나중에는 영국령 키프로스로 알려진 왕관 식민지가 되었다. 1923년 로잔 조약 20조는 터키의 키프로스 영유권 주장을 종식시켰으며, 21조는 키프로스에 거주하는 터키 국민에게 2년 안에 섬을 떠나거나 영국 국민으로 남을 선택권을 부여했다.당시 키프로스 인구는 각각의 조국을 자기 정체성으로 여기는 그리스인과 터키인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두 공동체의 엘리트들은 자신들이 사회적으로 더 진보적이고 교육 수준이 더 높으며, 따라서 본토 사람들과는 다르다고 믿었다.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터키계 키프로스인은 오랫동안 조용히 함께 살았다.
두 민족 공동체를 갈라놓은 주요 요인으로는 교육, 영국의 식민지 정책, 경제 발전과 함께 나타난 종교적 가르침이 있다. 교육은 공동체 간 적대감을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영국의 "분할 통치" 정책은 식민 통치에 대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민족적 양극화를 조장했다. 1950년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식민청은 보조 경찰의 규모를 확장했고, 1955년 9월에는 EOKA와 싸우기 위해 터키계 키프로스인들로만 구성된 특수 기동 예비대를 설립했다.
경제 개발과 교육 수준 향상으로 두 공동체의 종교적 특성은 감소했지만, 두 본토의 민족주의 성장은 다른 차이점들의 중요성을 증대시켰다. 터키 민족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가 추진한 혁명 프로그램의 핵심이었고, 그의 원칙을 따른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타튀르크는 오스만 제국의 잔해 위에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려 했으며, 세속주의와 민족주의 원칙은 이슬람의 역할을 축소하고 터키 정체성을 강조했다.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터키 민족주의의 세속적인 프로그램을 빠르게 채택했다. 오스만 통치하에서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무슬림으로 분류되었으나, 세속적인 아타튀르크의 프로그램은 그들의 터키 정체성을 중요하게 만들어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이웃과의 분열을 강화했을 수 있다.
2. 2. 1950년대: EOKA와 TMT
1950년대 초, 키프로스 투사 국가 조직(EOKA)이라는 그리스계 민족주의 단체가 결성되어[57] 영국으로부터의 독립과 그리스와의 통합(에노시스)을 목표로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58] EOKA는 1955년 6월 21일 처음으로 터키계 경찰관을 살해했고,[59] 이스탄불 포그롬 이후에는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60] 1957년 1월, EOKA는 영국군의 주의를 돌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터키계 경찰관을 공격하고 살해하여 니코시아에서 터키계의 폭동을 유발했다.[61]이에 대응하여 튀르키예계는 그리스와의 통합을 막기 위해 터키 저항 조직(TMT)을 결성했다. 이들은 그리스와의 통합이 이루어지면 크레타의 크레타 터키인들처럼 자신들의 존재가 위협받을 것을 우려했다.[62] TMT는 터키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을 받아[62] 그리스계에 맞서 분할(탁심)을 주장하며 무력 충돌을 벌였다.[63] 1958년 6월 12일, TMT는 콘데메노스 마을 출신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8명을 살해하고,[64] 니코시아에 있는 터키 언론 사무소를 위장 폭파하여 그리스계에 책임을 돌리기도 했다.[65][66] 또한 독립을 지지하는 튀르키예계 인사들을 암살했다.[63][66]
2. 3. 1960년 독립과 1963-1974년의 위기
1960년 8월, 키프로스는 런던-취리히 협정에 따라 독립 국가가 되었으나, 1960년 키프로스 공화국 헌법은 3년 만에 붕괴되었다.[68]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은 에노시스(그리스와의 통합)를,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은 탁심(그리스와 튀르키예 간 분할)을 원했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했다.[69]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이 인구 비율(18.3%)에 비해 과도한 공무원직(30%)을 차지하고, 부통령직을 맡아 대통령과 함께 주요 문제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던 점도 그리스계의 불만을 샀다.[70][71]1963년 12월, 마카리오스 3세 대통령은 13개의 헌법 수정안을 제안했다. 그리스계는 이를 통해 튀르키예계의 권한을 축소하고 아크리타스 계획(Akritas plan)에 따라 튀르키예계를 복속시키려 했다.[73] 그러나 튀르키예계는 수정안을 거부하고 정부를 떠났다.[73] 이후 종파 간 폭력 사태가 발생하여 튀르키예계 364명, 그리스계 174명이 사망하고, 25,000~30,000명의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이 피난했다.[76][77]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Daily Telegraph)''는 이를 "튀르키예계를 겨냥한 포그롬(pogrom)"이라고 묘사했다.[78]
196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6호(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86)에 따라 키프로스 유엔 평화유지군(UNFICYP)이 창설되어 섬에 배치되었다.[81] 그러나 양측 민병대의 폭력은 계속되었고, 튀르키예는 여러 차례 침공 위협을 가했다.[82] 1964년 6월, 미국 존슨 대통령은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이 소비에트 연방(Soviet Union)과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82][83]
이후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은 거주지에서 생활하며 튀르키예의 지원을 받았고, 녹색선으로 니코시아가 분할되었다.[77] 1967년,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들이 이동의 자유를 요구하면서 다시 충돌이 발생했고, 튀르키예의 침공 위협으로 이어졌다. 결국 그리스 군대 일부 철수, 게오르기오스 그리바스(Georgios Grivas)의 키프로스 퇴거, 키프로스 정부의 이동 제한 일부 해제 등으로 타협이 이루어졌다.[90]
3. 1974년 키프로스 쿠데타와 튀르키예의 군사 개입
1974년 7월 15일, 그리스 군사 정권은 키프로스를 병합하기 위해 쿠데타를 지원했다.[102] 튀르키예는 1960년의 취리히 및 런던 협정에 따른 키프로스의 헌법 질서를 회복시킨다는 명목으로 7월 20일 키프로스를 침공했다.[102] 튀르키예는 보장 조약에 따른 권리를 행사했다고 주장했다.[102]
튀르키예군은 7월 20일 새벽 북쪽 해안의 키레니아(Girne)에 상륙하여 키프로스 국민경비대의 저항에 직면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휴전을 성사시킨 7월 22일까지 튀르키예군은 키레니아와 니코시아 사이의 좁은 지역(키프로스 영토의 3%)을 장악했다.[103] 그들은 결의 제353호에서 요구한 휴전을 위반하며 이 지역을 확장했다.[104][105][106]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따르면, 1차 침공 단계에서 아다나와 사라이 교도소에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가 발생했고, 키프로스 여러 수용소에 3,268명의 터키계 키프로스인이 포로로 잡혔다.[111]
7월 24일에는 그리스 군사 정권이 붕괴되었고,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가 총리로 취임했다. 니코스 삼손이 대통령직을 사퇴하고 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가 임시 대통령직을 맡았다.[112]
1974년 7월 25일부터 7월 30일까지 제네바에서 1차 평화 회담이 열렸다. 참가국들은 터키 점령 지역을 확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평화 회복을 위한 제네바 회담을 추가 개최해야 한다는 내용의 선언을 발표했다.
1974년 8월 14일 제2차 제네바 회담에서 튀르키예는 키프로스 정부에 연방 국가와 인구 이동을 위한 자국의 계획을 수용할 것을 요구했으나, 키프로스 권한대행 대통령 클레리데스의 요청은 거부되었다.[113][114]
투란 Günes(Turan Güneş) 튀르키예 외무장관은 뷸렌트 에체비트 총리에게 암호(Ayşe Tatile Çıksın)를 전달했고, 8월 14일 튀르키예는 "제2의 평화 작전"을 시작하여 루루지나 돌출부(Louroujina Salient)까지 남쪽으로 확장, 키프로스의 37%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이 난민이 되었다. 1974년 이후의 휴전선은 섬의 두 공동체를 분리하며, 일반적으로 그린라인으로 불린다.
갈등 후, 키프로스 대표들과 유엔은 남쪽에 남아 있던 터키계 키프로스인 중, 원하는 사람은 북쪽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터키의 행동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118] 1975년 2월 13일, 튀르키예는 키프로스 공화국의 점령 지역을 "연방 터키 국가"로 선포했고, 국제 사회의 전면적인 비난을 받았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367호 참조).[119]
3. 1. 1974년 7월 쿠데타
1974년 봄, 그리스계 키프로스 정보 당국은 EOKA-B가 그리스 군사 정권의 지원을 받아 마카리오스 3세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를 계획하고 있음을 알아냈다.[91] 1967년 아테네 쿠데타 이후 1973년 11월 학생 항쟁으로 디미트리오스 이오아니디스가 이끄는 정권으로 교체되었는데, 이오아니디스는 마카리오스가 에노시스(그리스와 키프로스의 통합)의 지지자가 아니며 공산주의 동조자라고 의심했다.[92] 이로 인해 이오아니디스는 EOKA-B와 키프로스 국가방위대를 지원했다.[93]1974년 7월 2일, 마카리오스는 그리스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그리스 군부 간부들이 'EOKA-B' 테러 조직을 지원한다"고 불만을 제기하고, 키프로스 국가경비대의 그리스 장교 600명을 철수시킬 것을 명령했다.[94] 이에 그리스 정부는 즉각 쿠데타를 승인했다.[92] 1974년 7월 15일, 그리스 장교들이 이끄는 키프로스 국가경비대 일부가 정부를 전복시켰다.[92]
마카리오스는 파포스로 피신 후, 영국군 휘르윈드 헬기로 구출되어 영국령 아크로티리에서 몰타로, 이후 런던으로 이동했다.[92][95] 니코스 샘프슨이 임시 대통령으로 선포되었는데, 그는 극단적인 민족주의자이자 터키에 대한 광적인 반감을 가진 인물이었다.[92][96] 샘프슨 정권은 마카리오스가 사망했다고 선포했지만, 런던에 있던 마카리오스는 이를 즉각 반박했다.[92][97]
쿠데타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는 조셉 시스코를 파견하여 중재를 시도했다.[92] 터키는 미국 협상가를 통해 그리스에 니코스 샘프슨 즉각 축출, 키프로스 국가경비대에서 그리스 장교 650명 철수,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을 위한 북부 해안에서의 바다 접근 허용등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99] 터키는 보장 조약에 따라 영국에 키프로스를 중립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했으나, 영국은 이를 거부했다.[100]
3. 2. 튀르키예의 군사 개입 (1974년 7월 및 8월)
1974년 7월 15일 그리스 군사 정권이 키프로스를 병합하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키자, 튀르키예는 1960년의 취리히 및 런던 협정에 따른 키프로스의 헌법 질서 회복을 명분으로 7월 20일 키프로스를 침공했다.[102] 튀르키예는 보장 조약에 따른 권리를 행사했다고 주장했다.[102]튀르키예군은 7월 20일 새벽 북쪽 해안의 키레니아(Girne)에 상륙하여 키프로스 국민경비대의 저항에 직면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휴전을 성사시킨 7월 22일까지 튀르키예군은 키레니아와 니코시아 사이의 좁은 지역(키프로스 영토의 3%)을 장악했다.[103] 그들은 결의 제353호에서 요구한 휴전을 위반하며 이 지역을 확장했다.[104][105][106]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따르면, 1차 침공 단계에서 아다나와 사라이 교도소에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가 발생했고, 키프로스 여러 수용소에 3,268명의 터키계 키프로스인이 포로로 잡혔다.[111]
7월 24일에는 그리스 군사 정권이 붕괴되었고,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가 총리로 취임했다. 니코스 삼손이 대통령직을 사퇴하고 글라프코스 클레리데스가 임시 대통령직을 맡았다.[112]
1974년 7월 25일부터 7월 30일까지 제네바에서 1차 평화 회담이 열렸다. 참가국들은 터키 점령 지역을 확대해서는 안 된다는 것과 평화 회복을 위한 제네바 회담을 추가 개최해야 한다는 내용의 선언을 발표했다.
1974년 8월 14일 제2차 제네바 회담에서 튀르키예는 키프로스 정부에 연방 국가와 인구 이동을 위한 자국의 계획을 수용할 것을 요구했으나, 키프로스 권한대행 대통령 클레리데스의 요청은 거부되었다.[113][114]
투란 Günes(Turan Güneş) 튀르키예 외무장관은 뷸렌트 에체비트 총리에게 암호(Ayşe Tatile Çıksın)를 전달했고, 8월 14일 튀르키예는 "제2의 평화 작전"을 시작하여 루루지나 돌출부(Louroujina Salient)까지 남쪽으로 확장, 키프로스의 37%를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이 난민이 되었다. 1974년 이후의 휴전선은 섬의 두 공동체를 분리하며, 일반적으로 그린라인으로 불린다.
갈등 후, 키프로스 대표들과 유엔은 남쪽에 남아 있던 터키계 키프로스인 중, 원하는 사람은 북쪽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터키의 행동의 합법성에 이의를 제기했다.[118] 1975년 2월 13일, 튀르키예는 키프로스 공화국의 점령 지역을 "연방 터키 국가"로 선포했고, 국제 사회의 전면적인 비난을 받았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367호 참조).[119]
4. 키프로스 분단과 그 이후
1974년 7월 24일, 그리스 군사 정권은 그리스 내부 반발로 붕괴되었으며, 이후 튀르키예가 1983년에 북키프로스 정권을 세우면서 키프로스 섬은 사실상 2개의 정부로 분단되었다.[156] 이 사건으로 수도 니코시아는 현재도 남북이 분단되어 있으며, 튀르키예의 침공으로 폭파된 니코시아 국제공항은 완전히 폐허가 되고 말았다. 현재 키프로스의 주 관문은 니코시아가 아닌, 동쪽 해안의 라르나카 국제공항이다.
=== 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TRNC) 선포 ===
1983년, 터키계 키프로스인 의회는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157] 이 선언 직후, 영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소집하여 이 선언을 "법적으로 무효"라고 규탄했다.[15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541호(1983)는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공화국을 건설하려는 시도는 무효이며, 키프로스의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밝혔고, "상기 선언을 법적으로 무효하다고 간주하고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명시했다.[157]
국제 사회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TRNC)의 영토를 키프로스 공화국의 터키 점령 지역으로 간주한다. 이 점령은 국제법상 불법으로 간주되며, 키프로스가 유럽 연합에 가입했기 때문에 유럽 연합 영토를 불법으로 점령하는 것이 되었다. 튀르키예만이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을 승인하고 있다.[157]
=== 인구 이동과 난민 문제 ===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으며, 수많은 그리스계와 튀르키예계 주민들이 난민이 되었다.[139][140] 특히, 2000명이 넘는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들이 터키로 이송되어 터키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일부는 석방되지 않고 여전히 실종 상태이다.[140]
유엔의 후원 하에 운영되는 키프로스 실종자 위원회(CMP)는 약 1600건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그리스인 실종자 사건을 조사할 권한을 위임받았다.[140]
키프로스 실종자 문제는 2004년 여름 유엔 지원하에 설립된 실종자 위원회(CMP)가 신원이 확인된 실종자 유해를 가족들에게 돌려주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141] CMP는 실종자 유해의 발굴, 신원 확인 및 반환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2006년 8월부터 실행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CMP의 전반적인 책임 하에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 과학자들(고고학자, 인류학자, 유전자)의 양측 공동 팀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2007년 말까지 57명의 신원이 확인되었고 유해가 가족들에게 돌아갔다.
유럽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튀르키예의 의도적인 정책으로 인해 섬의 인구 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고 밝혔다. 북키프로스 점령 이후 튀르키예 본토 출신 민간 정착민들이 섬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이는 제네바 제4차 협약 49조를 위반한 것이다.[165][166] 1987년 9월 2일에 채택된 차별 방지 및 소수자 보호 소위원회의 유엔 결의안 1987/19(1987)은 "키프로스 전체 인구의 모든 인권, 특히 이동의 자유, 정착의 자유 및 재산권의 완전한 회복"을 요구했으며, 또한 "키프로스의 점령지에 정착민을 이주시키는 정책과 관행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는데, 이는 일종의 식민주의이며 키프로스의 인구 구조를 불법적으로 변경하려는 시도이다."라고 발표했다.
PRIO를 대신하여 메테 하타이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부 지역에서 투표권을 부여받은 튀르키예 본토 출신 주민 수는 3만 7천 명으로 추산되었다. 그러나 이 수치에는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과 결혼한 본토 출신 주민이나 본토 출신 정착민의 성인 자녀, 그리고 모든 미성년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보고서는 또한 투표권을 부여받지 못한 "일시 체류자"로 분류된 튀르키예 본토 출신 주민 수를 추가로 10만 5천 명으로 추산했다.[167]
=== 유엔의 역할과 평화 협상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키프로스 영토에서 모든 외국군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철수와 난민들의 안전한 귀환을 결정했지만, 터키와 북키프로스는 종파 간의 분쟁 재발을 우려하여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162] 1999년, UNHCR은 키프로스의 국내 실향민에 대한 지원 활동을 중단했다.[163]
키프로스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은 1964년부터 간헐적으로 진행되었다. 1974년부터 2002년까지 터키계 키프로스 측은 균형 잡힌 해결책을 거부하는 측으로 여겨졌으나, 2002년 이후 상황이 역전되어 그리스계 키프로스 측이 안난 계획을 거부했다.[164] 안난 계획은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제안한 것으로,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의 국민투표에서는 찬성되었지만,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의 국민투표에서는 압도적으로 부결되었다.[164] 이 계획은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을 수립하고 섬 전체가 EU 가입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었다.
계획에 따르면,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은 그리스계 키프로스 구성국과 터키계 키프로스 구성국으로 구성된 연방 정부로 연결되었을 것이다. 1974년 난민이 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 중 절반 이상과 그 자손들은 재산을 돌려받고 그리스계 키프로스 행정부의 통치 하에 살 수 있었을 것이며, 재산을 돌려받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금전적 보상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 유럽 연합(EU) 가입과 키프로스 문제 ===
2004년 5월 1일 키프로스는 섬 전체가 분단된 상태로 EU에 가입했다.[162] 그러나 EU 상호 합의된 법규는 정부 통제 하에 있는 지역에만 적용되며, 터키 군대가 점령하고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이 관리하는 지역에서는 중단된다.[162] 키프로스 공화국 시민권을 가진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다른 유럽 연합 시민들과 동일한 권리를 누릴 수 있다.[162]
EU 가입 이전, 키프로스 분쟁 해결을 위한 안난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64] 2004년 4월 24일 국민투표에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은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이 제안한 계획을 거부하였고, 터키계는 찬성하였다. 이 계획은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을 수립하고 섬 전체가 EU 가입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었다.[164]
4. 1. 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TRNC) 선포
1983년, 터키계 키프로스인 의회는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157] 이 선언 직후, 영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를 소집하여 이 선언을 "법적으로 무효"라고 규탄했다.[15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541호(1983)는 "키프로스 북키프로스 공화국을 건설하려는 시도는 무효이며, 키프로스의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밝혔고, "상기 선언을 법적으로 무효하다고 간주하고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명시했다.[157]국제 사회는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TRNC)의 영토를 키프로스 공화국의 터키 점령 지역으로 간주한다. 이 점령은 국제법상 불법으로 간주되며, 키프로스가 유럽 연합에 가입했기 때문에 유럽 연합 영토를 불법으로 점령하는 것이 되었다. 터키만이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을 승인하고 있다.[157]
4. 2. 인구 이동과 난민 문제
튀르키예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대규모 인구 이동이 발생했으며, 수많은 그리스계와 튀르키예계 주민들이 난민이 되었다.[139][140] 특히, 2000명이 넘는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들이 터키로 이송되어 터키 교도소에 수감되었으며, 일부는 석방되지 않고 여전히 실종 상태이다.[140] 유엔의 후원 하에 운영되는 키프로스 실종자 위원회(CMP)는 약 1600건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그리스인 실종자 사건을 조사할 권한을 위임받았다.[140]키프로스 실종자 문제는 2004년 여름 유엔 지원하에 설립된 실종자 위원회(CMP)가 신원이 확인된 실종자 유해를 가족들에게 돌려주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141] CMP는 실종자 유해의 발굴, 신원 확인 및 반환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2006년 8월부터 실행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CMP의 전반적인 책임 하에 그리스계 키프로스인과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 과학자들(고고학자, 인류학자, 유전자)의 양측 공동 팀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2007년 말까지 57명의 신원이 확인되었고 유해가 가족들에게 돌아갔다.
유럽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튀르키예의 의도적인 정책으로 인해 섬의 인구 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고 밝혔다. 북키프로스 점령 이후 튀르키예 본토 출신 민간 정착민들이 섬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이는 제네바 제4차 협약 49조를 위반한 것이다.[165][166] 1987년 9월 2일에 채택된 차별 방지 및 소수자 보호 소위원회의 유엔 결의안 1987/19(1987)은 "키프로스 전체 인구의 모든 인권, 특히 이동의 자유, 정착의 자유 및 재산권의 완전한 회복"을 요구했으며, 또한 "키프로스의 점령지에 정착민을 이주시키는 정책과 관행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는데, 이는 일종의 식민주의이며 키프로스의 인구 구조를 불법적으로 변경하려는 시도이다."라고 발표했다.
PRIO를 대신하여 메테 하타이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부 지역에서 투표권을 부여받은 튀르키예 본토 출신 주민 수는 3만 7천 명으로 추산되었다. 그러나 이 수치에는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과 결혼한 본토 출신 주민이나 본토 출신 정착민의 성인 자녀, 그리고 모든 미성년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보고서는 또한 투표권을 부여받지 못한 "일시 체류자"로 분류된 튀르키예 본토 출신 주민 수를 추가로 10만 5천 명으로 추산했다.[167]
4. 3. 유엔의 역할과 평화 협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키프로스 영토에서 모든 외국군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철수와 난민들의 안전한 귀환을 결정했지만, 터키와 북키프로스는 종파 간의 분쟁 재발을 우려하여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162] 1999년, UNHCR은 키프로스의 국내 실향민에 대한 지원 활동을 중단했다.[163]키프로스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은 1964년부터 간헐적으로 진행되었다. 1974년부터 2002년까지 터키계 키프로스 측은 균형 잡힌 해결책을 거부하는 측으로 여겨졌으나, 2002년 이후 상황이 역전되어 그리스계 키프로스 측이 안난 계획을 거부했다.[164] 안난 계획은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제안한 것으로,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의 국민투표에서는 찬성되었지만,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의 국민투표에서는 압도적으로 부결되었다.[164] 이 계획은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을 수립하고 섬 전체가 EU 가입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었다.
계획에 따르면,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은 그리스계 키프로스 구성국과 터키계 키프로스 구성국으로 구성된 연방 정부로 연결되었을 것이다. 1974년 난민이 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 중 절반 이상과 그 자손들은 재산을 돌려받고 그리스계 키프로스 행정부의 통치 하에 살 수 있었을 것이며, 재산을 돌려받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금전적 보상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섬 전체는 2004년 5월 1일 분열된 상태로 EU에 가입했지만, EU 법규는 정부 통제 하에 있는 지역에만 적용되고, 터키 군대가 점령하고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이 관리하는 지역에서는 중단된다. 그러나 키프로스 공화국 시민권 자격을 증명할 수 있는 개별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다른 유럽 연합 시민들과 동일한 권리를 누린다.
4. 4. 유럽 연합(EU) 가입과 키프로스 문제
2004년 5월 1일 키프로스는 섬 전체가 분단된 상태로 EU에 가입했다.[162] 그러나 EU 상호 합의된 법규는 정부 통제 하에 있는 지역에만 적용되며, 터키 군대가 점령하고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이 관리하는 지역에서는 중단된다.[162] 키프로스 공화국 시민권을 가진 터키계 키프로스인들은 다른 유럽 연합 시민들과 동일한 권리를 누릴 수 있다.[162]EU 가입 이전, 키프로스 분쟁 해결을 위한 안난 계획이 제안되었으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64] 2004년 4월 24일 국민투표에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들은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이 제안한 계획을 거부하였고, 터키계는 찬성하였다. 이 계획은 통일 키프로스 공화국을 수립하고 섬 전체가 EU 가입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었다.[164]
5. 인권 침해와 문화 유산 파괴
유럽인권위원회는 튀르키예가 인구 이동, 자유 박탈, 학대, 살인, 재산 박탈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120][121][122] 섬의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3분의 1을 점령된 북부 지역의 가옥에서 폭력적으로 쫓아내고, 그들의 귀환을 막고, 튀르키예 본토에서 튀르키예인들을 이주시킨 튀르키예의 정책은 민족 청소의 한 예로 여겨진다.[123][124]
1976년과 1983년, 유럽인권위원회는 튀르키예가 유럽인권조약을 반복적으로 위반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 튀르키예는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난민들이 자신의 재산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은 혐의로 비난받았다.[125] 유럽인권위원회는 11대 3으로 튀르키예가 조약 제14조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민족, 인종, 종교를 이유로 차별 없이 이 조항들에 명시된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1975년 카르파스 반도에 고립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소수민족은 튀르키예인들에 의해 인권 침해를 당했으며, 2001년 유럽인권재판소가 ''키프로스 대 튀르키예''(사건 번호 25781/94) 판결에서 유럽인권조약 14개 조항 위반 혐의로 튀르키예를 유죄로 판결했을 때는 600명 미만만 남아 있었다.
유럽인권위원회는 12대 1로 키프로스 공화국의 증거를 받아들였는데, 그 증거는 튀르키예 군인에 의한 여러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여성들의 강간과 섬 침공 당시 많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들의 고문에 관한 것이었다.[128][122] 높은 강간 발생률로 인해 보수적인 키프로스 정교회가 키프로스의 낙태를 일시적으로 허용했다고 한다.[121][129][130] 폴 산트 카시아에 따르면, 강간은 저항을 "무너뜨리고" 두려움을 통해 민간 지역을 정화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다.[131]
그리스계 무장 단체에 의해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에 대한 학살, 강간 등 인권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1974년 8월 14일 EOKA B에 의한 마라타, 산탈라리스, 알로다 학살에서 126명이 사망했다.[134][135] 유엔은 이 학살을 "그리스 및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총잡이들이 저지른 또 다른 반인륜 범죄를 구성한다"고 언급하며 반인륜 범죄로 규정했다.[136] 토흐니 학살에서는 터키계 키프로스인 주민 85명이 학살당했다.[137]
워싱턴 포스트는 리마솔 근처의 작은 터키 마을에 대한 그리스군의 공격에서 200명의 주민 중 36명이 사망했으며, 그리스군은 터키군이 도착하기 전에 터키 마을 주민들을 죽이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보도했다.[138]
리마솔에서 터키계 키프로스인 거주지가 키프로스 국가경비대에 함락되자, 터키계 키프로스인 지역은 불타고 여성들은 강간당했으며 어린이들은 총에 맞았다고 터키계 키프로스인과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목격자들은 증언했다.[107][108] 그 후 1300명이 수용소로 끌려갔다.[109]
분쟁 과정에서 많은 종교 시설과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었다. 1989년, 키프로스 정부는 비잔틴 제국 시대의 희귀한 모자이크 4점의 반환을 위해 미국 미술상을 법정에 제소하여 승소하고 모자이크를 반환받았다.[142] 1997년 10월에는 모자이크를 판매했던 아이딘 디크멘이 독일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그는 6세기, 12세기, 15세기에 이르는 모자이크, 프레스코화, 성상 등 5천만 달러 상당의 물건을 소지하고 있었다.[143] 디크멘이 소지하고 있던 프레스코화 중에는 아칸투에 있는 11세기~12세기 파나기아 페르가미니오티사 교회의 것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교회는 프레스코화가 완전히 벗겨진 상태였다.[144]
그리스 키프로스 측 주장에 따르면, 1974년 이후 최소 55개의 교회가 모스크로 개조되었고, 50개의 교회와 수도원이 마구간, 창고, 호스텔, 박물관으로 개조되거나 철거되었다.[145] 북키프로스 정부 대변인은 건물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러한 조치가 취해졌다고 주장했다.[146]
2011년 1월, 영국의 가수 보이 조지는 1974년 키트레아 근처 네오 코리오 마을의 성 카랄람푸스 교회에서 약탈된 18세기 그리스도 성상을 키프로스 교회에 반환했다.[147][148][149]
5. 1. 그리스계 키프로스인에 대한 인권 침해
유럽인권위원회는 튀르키예가 인구 이동, 자유 박탈, 학대, 살인, 재산 박탈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120][121][122] 섬의 그리스계 주민 3분의 1을 점령된 북부 지역의 가옥에서 폭력적으로 쫓아내고, 그들의 귀환을 막고, 튀르키예 본토에서 튀르키예인들을 이주시킨 튀르키예의 정책은 민족 청소의 한 예로 여겨진다.[123][124]1976년과 1983년, 유럽인권위원회는 튀르키예가 유럽인권조약을 반복적으로 위반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 튀르키예는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난민들이 자신의 재산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은 혐의로 비난받았다.[125] 유럽인권위원회는 11대 3으로 튀르키예가 조약 제14조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이 민족, 인종, 종교를 이유로 차별 없이 이 조항들에 명시된 권리와 자유를 보장하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
1975년 카르파스 반도에 고립된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소수민족은 튀르키예인들에 의해 인권 침해를 당했으며, 2001년 유럽인권재판소가 ''키프로스 대 튀르키예''(사건 번호 25781/94) 판결에서 유럽인권조약 14개 조항 위반 혐의로 튀르키예를 유죄로 판결했을 때는 600명 미만만 남아 있었다.
유럽인권위원회는 12대 1로 키프로스 공화국의 증거를 받아들였는데, 그 증거는 튀르키예 군인에 의한 여러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여성들의 강간과 섬 침공 당시 많은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포로들의 고문에 관한 것이었다.[128][122] 높은 강간 발생률로 인해 보수적인 키프로스 정교회가 키프로스의 낙태를 일시적으로 허용했다고 한다.[121][129][130] 폴 산트 카시아에 따르면, 강간은 저항을 "무너뜨리고" 두려움을 통해 민간 지역을 정화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사용되었다.[131]
5. 2.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에 대한 인권 침해
그리스계 무장 단체에 의해 튀르키예계 키프로스인에 대한 학살, 강간 등 인권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다. 1974년 8월 14일 EOKA B에 의한 마라타, 산탈라리스, 알로다 학살에서 126명이 사망했다.[134][135] 유엔은 이 학살을 "그리스 및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총잡이들이 저지른 또 다른 반인륜 범죄를 구성한다"고 언급하며 반인륜 범죄로 규정했다.[136] 토흐니 학살에서는 터키계 키프로스인 주민 85명이 학살당했다.[137]워싱턴 포스트는 리마솔 근처의 작은 터키 마을에 대한 그리스군의 공격에서 200명의 주민 중 36명이 사망했으며, 그리스군은 터키군이 도착하기 전에 터키 마을 주민들을 죽이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보도했다.[138]
리마솔에서 터키계 키프로스인 거주지가 키프로스 국가경비대에 함락되자, 터키계 키프로스인 지역은 불타고 여성들은 강간당했으며 어린이들은 총에 맞았다고 터키계 키프로스인과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목격자들은 증언했다.[107][108] 그 후 1300명이 수용소로 끌려갔다.[109]
5. 3. 문화 유산 파괴
분쟁 과정에서 많은 종교 시설과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훼손되었다. 1989년, 키프로스 정부는 비잔틴 제국 시대의 희귀한 모자이크 4점의 반환을 위해 미국 미술상을 법정에 제소하여 승소하고 모자이크를 반환받았다.[142] 1997년 10월에는 모자이크를 판매했던 아이딘 디크멘이 독일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그는 6세기, 12세기, 15세기에 이르는 모자이크, 프레스코화, 성상 등 5천만 달러 상당의 물건을 소지하고 있었다.[143] 디크멘이 소지하고 있던 프레스코화 중에는 아칸투에 있는 11세기~12세기 파나기아 페르가미니오티사 교회의 것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교회는 프레스코화가 완전히 벗겨진 상태였다.[144]그리스 키프로스 측 주장에 따르면, 1974년 이후 최소 55개의 교회가 모스크로 개조되었고, 50개의 교회와 수도원이 마구간, 창고, 호스텔, 박물관으로 개조되거나 철거되었다.[145] 북키프로스 정부 대변인은 건물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러한 조치가 취해졌다고 주장했다.[146]
2011년 1월, 영국의 가수 보이 조지는 1974년 키트레아 근처 네오 코리오 마을의 성 카랄람푸스 교회에서 약탈된 18세기 그리스도 성상을 키프로스 교회에 반환했다.[147][148][149]
6. 국제 사회의 반응과 한국의 입장
6. 1. 국제 사회의 반응
6. 2. 한국의 입장
7. 각주
8. 외부 링크
참조
[1]
웹사이트
Atlas: Issues in the Middle East
https://www.abebooks[...]
CIA
2017-04-27
[2]
서적
Cypriot Nationalisms in Context: History, Identity and Politics
[3]
서적
Peace Time: Cease-fire Agreements and the Durability of Pea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4]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Cyprus in Brussels –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4-10-31
[5]
서적
Foreign Press on Cyprus
https://books.google[...]
Cyprus. Grapheio Typou kai Plērophoriōn, Cyprus. Grapheion Dēmosiōn Plērophoriōn, Public Information Office
2023-01-22
[6]
서적
The other world: Issues and Politics of the Developing World
https://books.google[...]
Longman
2023-01-22
[7]
서적
The EU and Conflict Resolution: Promoting Peace in the Backyar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
[8]
서적
Cyprus: A Troubled Islan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9]
서적
Resolving the Cyprus Conflict: Negotiating Histo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
[10]
서적
War in the Balkans: An Encyclopedic History from the Fall of the Ottoman Empire to the Breakup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11]
간행물
Euromosaic III: Presence of Regional and Minority Language Groups in the New Member States
http://bookshop.euro[...]
Katholieke Universiteit Brussel
2015-10-17
[12]
서적
The Property Rights of Refuge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Beyond Restit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3]
서적
Turkish-Greek Hurricane on Cyprus (1940 – 1950 – 1960 – 1970)
Boğaziçi Yayınları
[14]
서적
Η Μάχη της Κύπρου
Εκδόσεις Αφοι Βλάσση
[15]
서적
Η Μάχη της Κύπρου
Εκδόσεις Αφοι Βλάσση
[16]
서적
Η Μάχη της Κύπρου
Εκδόσεις Αφοι Βλάσση
[17]
웹사이트
ΕΛ.ΔΥ.Κ '74 – Χρονικό Μαχών
http://www.eldyk74.g[...]
2012-01-23
[18]
서적
Encyclopedia of US foreign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A Guide to 8,500 Battles from Antiquity Through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
서적
Türk dış politikası, 1919–2008
https://books.google[...]
Platin
[21]
서적
[22]
서적
[23]
웹사이트
Καταλόγοι Ελληνοκυπρίων και Ελλαδιτών φονευθέντων κατά το Πραξικόπημα και την Τουρκική Εισβολή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Cyprus
2015-07-17
[24]
웹사이트
Figures and Statistics of Missing Persons
https://web.archive.[...]
Committee on Missing Persons in Cyprus
2015-07-17
[25]
서적
Ενθυμήματα & Τεκμήρια Πληροφοριών της ΚΥΠ
Δούρειος Ίππος
[26]
서적
Cyprus: Reunification Proving Elusive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1
[2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ypru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28]
서적
After Civil War: Division, Reconstruction, and Reconciliation in Contemporary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4
[29]
서적
Who Shall Govern Cyprus – Brussels Or Nicosia?
https://books.google[...]
Evandia Publishing UK Limited
[30]
서적
Language Planning in Europe: Cyprus, Iceland and Luxembour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31]
학술지
Kıbrıs Meselesi Ekseninde 1974 Kıbrıs Müdahalesi
https://dergipark.or[...]
2023-06-26
[32]
서적
Territorial Disputes and Resource Management: A Global Handbook
[33]
서적
The Europeanization of Cyprus: Polity, Policies and Politics
[34]
서적
Identity and Turkish Foreign Policy: The Kemalist Influence in Cyprus and the Caucasus
I.B. Tauris
[35]
웹사이트
Operation "Niki" 1974: A suicide mission to Cyprus
https://web.archive.[...]
2009-06-10
[36]
웹사이트
U.S. Library of Congress – Country Studies – Cyprus – Intercommunal Violenc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1963-12-21
[37]
서적
Cyprus: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38]
뉴스
Turkey urges fresh Cyprus talks
http://news.bbc.co.u[...]
BBC
2006-01-24
[39]
학술지
Nation, narrative and commemoration: political ritual in divided Cyprus
2003
[40]
서적
The Wiley-Blackwell Dictionary of Modern European History Since 1789
John Wiley & Sons
2011
[41]
서적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and practice, Volume 5
Detroit College of Law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6
[42]
서적
Strategic review, Volume 5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Strategic Institute
[43]
서적
Border and territorial disputes
https://books.google[...]
Longman Group
[44]
undefined
[45]
서적
Cyprus Referendum: A Divided Island and the Challenge of the Annan Plan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9
[46]
뉴스
1974: Turkey Invades Cyprus
http://news.bbc.co.u[...]
BBC
2010-10-02
[47]
서적
Cyprus: Ethnic Political Component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8]
서적
The Statehood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An Island in Europe: The EU and the Transformation of Cyprus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1
[50]
웹사이트
Treaty of Lausanne
http://wwi.lib.byu.e[...]
2011-11-27
[51]
서적
Identity and Turkish Foreign Policy: The Kemalist Influence in Cyprus and the Caucasus
I.B. Tauris
[52]
논문
Explaining Partition: Reconsidering the role of the security dilemma in the Cyprus crisis of 1974
University of New Hampshire
2010-10-15
[53]
서적
USAK Yearbook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Law
https://books.google[...]
USAK Books
[54]
서적
Cyprus and Europe: The Long Way Back
https://books.google[...]
Bibliopolis
[55]
서적
Bad Strategies: How Major Powers Fail in Counterinsurgency
https://books.google[...]
Zenith Imprint
[56]
웹사이트
Cyprus Dimension of Turkish Foreign Policy
http://www.strategic[...]
Strategic Outlook
[57]
서적
The Cyprus Revolt: An Account of the Struggle for Union with Greece
http://www.cyprus-co[...]
George Allen and Unwin
[58]
웹사이트
A Snapshot of Active Service in 'A' Company Cyprus 1958–59
http://www.theargyll[...]
The Argyll and Sutherland Highlanders (Princess Louise's)
2008-11-24
[59]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7
[60]
웹사이트
Το πλέγμα των ελληνοτουρκικών σχέσεων και η ελληνική μειονότητα στην Τουρκία, οι Έλληνες της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ης της Ίμβρου και της Τενέδου
http://invenio.lib.a[...]
University of Thessaloniki
2011-10-03
[61]
서적
Fighting EOKA: The British Counter-Insurgency Campaign on Cyprus, 1955–195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62]
서적
The Making of Informal States: Statebuilding in Northern Cyprus and Transdniestri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
[63]
서적
Sifreli Mesaj: "Trene bindir!"
[64]
뉴스
The Outbreak of Communal Strife, 1958
http://www.cyprus-co[...]
The Guardian
[65]
뉴스
Denktaş'tan şok açıklama
http://gazetearsivi.[...]
Milliyet
1995-01-09
[66]
서적
The rise of Dektash to power
[67]
웹사이트
The Divisive Problem of the Municipalities
http://www.cyprus-co[...]
Cyprus-conflict.net
2008-11-23
[68]
undefined
[69]
뉴스
The Poisons of Cypru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4-02-19
[70]
서적
Cyprus: A Country Study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2010-10-01
[71]
서적
Cyprus: A Troubled Island
Praeger
2000
[72]
서적
Turkey, Greece, and the Borders of Europe. Images of Nations in the West German Press 1950–1975
Frank & Timme GmbH
2012
[73]
웹사이트
Cyprus: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1991
[74]
서적
A Business of Some Heat: The United Nations Force in Cyprus Before and During the 1974 Turkish Invasion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
2004
[75]
서적
Cyprus: in search of peace
MRG
1997
[76]
서적
The Road to Bellapais
https://books.google[...]
1982
[77]
서적
Legal aspects of the Cyprus problem: Annan Plan and EU accession
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6
[78]
뉴스
Turkish distractions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02-08
[79]
서적
1992
[80]
서적
1993
[81]
서적
2020
[82]
서적
1993
[83]
서적
Cyprus in the Politics of Turkey since 1955
The Macmillan Press Ltd
1992
[84]
서적
1992
[85]
서적
1992
[86]
서적
1992
[87]
서적
The Cyprus Referendum: A Divided Island and the Challenge of the Annan Plan
I.B. Tauris & Co Ltd
2009
[88]
서적
The Cyprus Problem: What Everyone Needs to Know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89]
서적
The Road to Bellapais: the Turkish Cypriot exodus to Northern Cypru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90]
서적
The Cyprus Referendum: A Divided Island and the Challenge of the Annan Plan
I.B. Tauris & Co Ltd
2009
[91]
웹사이트
Makarios writes General Ghizikis
http://www.cyprus-co[...]
Cyprus-conflict.net
2008-11-23
[92]
잡지
Cyprus: Big Troubles over a Small Island
http://www.time.com/[...]
1974-07-29
[93]
웹사이트
Cyprus: A Country Study
U.S Library of Congress
1991
[94]
서적
The Mediterranean Feud
Praeger Publishers
1983
[95]
서적
America, Britain and the Cyprus Crisis of 1974: Calculated Conspiracy Or Foreign Policy Failure?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09
[96]
서적
The Road to Bellapais: the Turkish Cypriot exodus to Northern Cypru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97]
서적
The Mediterranean Feud
Praeger Publishers
1983
[98]
서적
The Tragic Duel and the Betrayal of Cyprus
2012
[99]
서적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Cyprus Conflict
Palgrave Macmillan
2010
[100]
간행물
Greek Response to the Cyprus Invasion
2008
[101]
웹사이트
The “Nixon Letter” to Ecevit: An Untold Story of the Eve of the Turkish Invasion of Cyprus in 1974
https://doi.org/10.1[...]
2021
[102]
간행물
Greek Response to the Cyprus Invasion
2008
[103]
웹사이트
Η Τουρκική Εισβολή στην Κύπρο
http://www.sansimera[...]
Sansimera.gr
[104]
서적
30 sıcak gün
1976-03
[105]
서적
Minority Rights Group Report
The Group
1983
[106]
서적
Envoy Extraordinary: A Most Unlikely Ambassador
https://books.google[...]
The Radcliffe Press
1995
[107]
서적
Facts on File Yearbook 1974
Facts on File
1975
[108]
서적
The Road to Bellapais: The Turkish Cypriot Exodus to Northern Cyprus
Boulder: Social Science Monographs
1982
[109]
서적
United Nations Peacekeeping: Europe, 1946–1979
Oxford University Press
[110]
서적
Turkey's Foreign Policy in Transition: 1950–1974
Brill
1975
[111]
서적
Israel Yearbook on Human Rights 1998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99
[112]
서적
Cyprus: A Troubled Island
Praeger
[113]
서적
The History and Politics of the Cyprus Conflict
Palgrave Macmillan
[114]
간행물
Cyprus: A Country Study
(웹 주소 없음)
U.S Library of Congress
1991
[115]
서적
Popüler Siyasî Deyimler Sözlüğü
İletişim Yayınları
1995
[116]
서적
Cyprus at war: Diplomacy and Conflict during the 1974 Crisis
https://books.google[...]
I.B. Tauris
[117]
서적
Cyprus: A Troubled Island
Greenwood Press
[118]
웹사이트
Press and Information office (Cyprus)
http://www.moi.gov.c[...]
2007-10-21
[119]
웹사이트
Security Resolution 367
https://www.un.org/d[...]
2017-06-29
[120]
간행물
Report of the Commission to Applications 6780/74 and 6950/75
https://www.scribd.c[...]
Council of Europe
1976
[121]
웹사이트
Cyprus v. Turkey - HUDOC
http://hudoc.echr.co[...]
ECHR
2019-06-04
[122]
웹사이트
APPLICATIONS/REQUÉTES N° 6780/74 6 N° 6950/75 CYPRUS v/TURKEY CHYPRE c/TURQUI E
http://www.law.gov.c[...]
2019-06-04
[123]
서적
Cyprus: a troubled island
Praeger
[123]
서적
Cyprus: a modern history
I.B. Tauris
[123]
서적
Peace and Freedom: Foreign Policy for a Constitutional Republic
https://archive.org/[...]
Cato Institute
[123]
서적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ternational Studies in Human Rights)
Springer
[123]
서적
Europe's nightmare: the struggle for Kosovo
Praeger
[123]
서적
A history of the protection of regional cultural minorities in Europe: from the Edict of Nantes to the present day
Palgrave Macmillan
[124]
웹사이트
Reuniting Cyprus?
https://jacobinmag.c[...]
2020-08-02
[125]
웹사이트
JUDGEMENT IN THE CASE OF CYPRUS v. TURKEY 1974–1976
http://www.cyprus-di[...]
2011-07-25
[126]
웹사이트
Despite ruling, Turkey won't pay damages to Cyprus – Middle East Institute
http://www.mei.edu/c[...]
2016-08-30
[127]
웹사이트
ECtHR –Cyprus v. Turkey , Application no. 25781/94, 10 May 2001
https://www.asylumla[...]
2023-04-29
[128]
간행물
Report of the Commission to Applications 6780/74 and 6950/75
https://www.scribd.c[...]
Council of Europe
1976
[129]
서적
Scattered Hegemonies: Postmodernity and Transnational Feminist Practic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4
[130]
서적
Religion and Law in Cyprus
Kluwer Law International
2011
[131]
서적
Bodies of Evidence: Burial, Memory, and the Recovery of Missing Persons in Cyprus
Berghahn Books, Incorporated
2007
[132]
학술지
Partitions of Memory: Wounds and Witnessing in Cyprus
http://eprints.lse.a[...]
2019-08-18
[133]
웹사이트
Turkish Cypriot and Greek Cypriot victims of rape: The invisible pain and trauma that's kept 'hidden'
http://www.stwing.up[...]
Hamamböcüleri Journal
2015-04-08
[134]
서적
The road to Bellapais: the Turkish Cypriot exodus to northern Cyprus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 Monographs
2023-01-22
[135]
서적
Bodies of Evidence: Burial, Memory, and the Recovery of Missing Persons in Cypru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22-04-07
[136]
간행물
UN monthly chronicle, Volume 11 (1974)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Office of Public Information
2023-01-22
[137]
서적
Bodies of Evidence: Burial, Memory, and the Recovery of Missing Persons in Cyprus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23-01-22
[138]
뉴스
Washington Post
1974-07-23
[139]
웹사이트
List of Turkish Cypriot missing persons
http://www.mfa.gov.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yprus
2012-03-02
[140]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Cyprus in Washington
http://www.cyprusemb[...]
Embassy of the Republic of Cyprus in Washington
2012-11-11
[141]
웹사이트
Committee on Missing Persons (CMP)
http://www.cmp-cypru[...]
Cmp-cyprus.org
2009-07-26
[142]
논문
Autocephalous Greek-Orthodox Church of Cyrprus v. Goldberg & Feldman Fine Arts, Inc.
1992-01
[143]
뉴스
Shame of Cyprus's looted churches
http://news.bbc.co.u[...]
2007-01-29
[144]
웹사이트
Akatu (Tatlısu) ile çevresinin tarihi geçmişi…
http://www.yeniduzen[...]
Yeni Düzen
2015-05-10
[145]
웹사이트
Cyprusnet
https://web.archive.[...]
Cyprusnet
2011-01-05
[146]
웹사이트
Cyprus: Portrait of a Christianity Obliterated
http://chiesa.espres[...]
Chiesa.espresso.repubblica.it
2011-01-05
[147]
웹사이트
Boy George returns lost icon to Cyprus church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1-01-20
[148]
웹사이트
Boy George returns Christ icon to Cyprus church
https://www.bbc.co.u[...]
BBC.co.uk
2011-01-19
[149]
웹사이트
The post-byzantine icon of Jesus Christ returns to the Church of Cyprus London
http://churchofcypru[...]
Representation of the Church of Cyprus to the European Union
2011-01
[15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s://www.un.org/e[...]
2017-06-29
[151]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solution 360 – UNSCR
http://unscr.com/en/[...]
2014-09-17
[152]
웹사이트
Cyprus History: Archbishop Makarios on the invasion of Cyprus by Greece
http://www.cypnet.co[...]
Cypnet.co.uk
2008-11-24
[153]
웹사이트
Resolution 573 (1974)
https://web.archive.[...]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154]
웹사이트
Resolution 573 (29 July 1974)
http://repository.un[...]
Council of Europe
[155]
위키소스
Treaty of Guarantee
[156]
서적
The Cyprus Conspiracy: America, Espionage and the Turkish Invasion
http://www.defenddem[...]
I.B. Tauris & Co.
[157]
웹사이트
Turkish invasion of Cyprus
https://web.archive.[...]
Mlahanas.de
2011-01-05
[158]
웹사이트
Turkish Army opens fenced-off Famagusta beach exclusively to Turkish nationals & Turkish-Cypriots!
https://web.archive.[...]
Cyprus Tourism, 30.08.2017
2020-03-25
[159]
웹사이트
Germany assuages Greek Cypriot fears over Kosovo ruling
http://www.todayszam[...]
Today's Zaman
2010-07-24
[160]
웹사이트
Can Kosovo Be A Sample For Cyprus
https://www.research[...]
Cuneyt Yenigu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alkan and North Cyprus Relations: Perspectives in Political, Economic and Strategic Studies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2011
2020-03-25
[161]
웹사이트
Kosovo's independence is legal, UN court rules
https://www.theguard[...]
Peter Beaumont, The Guardian (UK), 22.07.2010
2020-03-25
[162]
유엔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3212(XXIX)(1974)
[163]
웹사이트
UNHCR country profiles
http://unstats.un.or[...]
UNHCR
[164]
웹사이트
Cyprus: referendum on the Annan Plan
http://www.wsws.org/[...]
Wsws.org
2007-04-02
[165]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Committee on Migration, Refugees and Demography
https://web.archive.[...]
[166]
서적
p. 57
https://books.google[...]
[167]
웹사이트
PRIO Report on 'Settlers' in Northern Cyprus
https://web.archive.[...]
Prio.no
2008-11-24
[168]
웹사이트
US House asks for report on Cyprus's defence capabilities
http://cyprus-mail.c[...]
Cyprus Mail
2015-05-20
[169]
웹사이트
DDTC Public Portal
https://www.pmddtc.s[...]
2017-07-14
[170]
웹사이트
US Congress ends Cyprus arms embargo, in blow to Turkey
https://web.archive.[...]
2020-01-16
[171]
웹사이트
US partially lifts three-decade-old arms embargo on Cyprus
https://www.france24[...]
2020-09-02
[172]
뉴스
Türkiye slams US decision to lift arms embargo on Greek Cyprus
https://www.hurriyet[...]
2024-09-29
[173]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