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랜스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랜스여성주의는 1990년대 초, 트랜스젠더 혐오에 대한 비판과 젠더 이분법에 도전하며 시작되었다. 이들은 젠더 이분법을 비판하고, 트랜스젠더 여성이 겪는 여성 혐오인 '트랜스미소지니' 개념을 통해 특수한 형태의 차별을 지적한다. 트랜스여성주의는 다문화주의, 신체 이미지, 자기 정의 등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의 주요 주제를 통합하며, 다른 페미니즘 분파들과 여성 억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그러나 여성 전용 공간 문제와 성별 불쾌감 진단 문제 등, 일부 페미니즘 분파와 쟁점을 공유하며, 젠더 정체성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랜스여성주의 - 트랜스여성혐오
    트랜스여성혐오는 트랜스젠더 혐오의 일종으로, 트랜스 여성 및 여성성을 표현하는 트랜스젠더 개인에 대한 편견, 차별, 혐오를 의미하며, 남성 중심의 젠더 위계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어 사회적 차별, 폭력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성소수자 여성주의 - 레즈비언 여성주의
    레즈비언 여성주의는 제도적 이성애를 비판하며, 여성 간의 사랑, 분리주의, 공동체 등을 핵심 주제로 삼고, 퀴어학 및 퀴어 이론과 유사하게 논쟁과 개정을 중시한다.
  • 트랜스젠더학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트랜스여성주의
트랜스여성주의
트랜스여성주의 상징
트랜스여성주의 상징
개요
분야여성주의, 트랜스젠더 권리
목표트랜스여성의 해방, 모든 여성의 해방
관련 주제트랜스젠더
성전환
젠더 표현
성 역할
시스젠더 중심주의
트랜스포비아
교차성
여성 혐오
미소지니
성차별
반대트랜스 배제적 급진 페미니즘 (TERF)
젠더 비판적 페미니즘 (GCF)
역사 및 이론
기원1990년대 초
주요 인물샌디 스톤
줄리아 세라노
에이모스 매카프리
레이디 진
주요 개념트랜스젠더 여성도 여성이다.
트랜스젠더 여성의 경험은 여성주의 이론에 필수적이다.
트랜스젠더 여성은 여성 혐오와 싸워야 한다.
시스젠더 여성과 트랜스젠더 여성은 연대해야 한다.
추가 정보
관련 단체트랜스젠더 법 센터
국립 성소수자 태스크 포스
GLAAD
관련 학술지젠더 연구
트랜스젠더 연구 분기별

2. 역사

트랜스페미니즘 운동은 재니스 레이먼드의 트랜스젠더 배제적인 저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평가받는다. 초기 주요 인물로는 1994년 《젠더 아웃로: 남성, 여성, 그리고 우리 모두》(Gender Outlaw: On Men, Women, and the Rest of Us영어)를 저술한 케이트 본스타인[10]재니스 레이먼드의 주장에 직접적으로 반박하는 에세이 "제국은 반격한다: 포스트트랜스젠더 선언"(The Empire Strikes Back: A Posttranssexual Manifesto영어)을 쓴 샌디 스톤[11] 등이 있다. 본스타인은 2010년 S. 베어 버그만과 함께 《젠더 아웃로: 다음 세대》(Gender Outlaws: The Next Generation영어)를 출간하며 활동을 이어갔다.[14]

'트랜스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패트릭 캘리피아가 1997년 인쇄물에서 사용한 것이 정기간행물 외 첫 사용례로 알려져 있다.[16] 1999년에는 제시카 자비에가 자신의 글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17] 같은 해 이후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18]

지난 수십 년 동안 모든 여성이 공통적인 경험을 공유한다는 생각은 유색인 여성, 레즈비언, 노동 계급 여성 등에 의해 면밀히 검토되었다. 많은 트랜스젠더 사람들도 젠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질문하며, 젠더를 생물학적 사실로 간주하는 것에 도전하고 있다.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은 자신들의 독특한 경험이 페미니스트 영역의 일부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9]

트랜스페미니즘은 다문화주의, 신체 이미지, 자기 정의, 여성의 인간 행위 능력을 포함하여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의 모든 주요 주제를 통합한다. 또한 제3의 물결의 관점에서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분석도 포함한다.[20] 트랜스페미니즘은 주류의 남성성에 대한 개념을 비판하고 여성은 동등한 권리를 받을 자격이 있으며, 젠더가 여성을 억압하는 데 사용되는 가부장적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다른 페미니즘과 통일적인 원칙을 공유한다. 트랜스젠더의 "트랜스"는 파괴성을 암시하는 데 사용되었다.[21] 니콜라스 번스는 트랜스페미니즘을 " '트랜스-'라는 용어를 최대한 이질적인 방식으로 정의하는 페미니즘"으로 분류한다.[22]

트랜스페미니즘이 개념으로서 정당성을 얻는 과정은 다른 페미니즘보다 달랐고 더 논란이 많았다. 트랜스 배경과 영향을 가진 소외된 여성들은 자신들의 필요가 다르며 주류 페미니즘이 반드시 그들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해야 했다.[23] 반대로 트랜스 여성은 자신의 여성성이 다른 여성의 여성성과 동등하게 유효하며, 페미니즘이 페미니즘이기를 멈추지 않고 그들을 대변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급진 페미니즘 재니스 레이먼드의 트랜스 여성을 여성으로, 페미니즘의 참여자로 간주하는 데 대한 반대는 이러한 장애를 보여준다. 그녀의 경력은 《트랜스섹슈얼 제국》(The Transsexual Empire영어) (트랜스섹슈얼 여성에 대한 책 길이의 분석)으로 시작되었고, 그녀는 종종 이 주제로 돌아갔다.[24]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크리스타 스콧-딕슨[9]줄리아 세라노[12][13] 등이 트랜스페미니즘 관련 저작들을 출판하며 이론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2006년에는 크리스타 스콧-딕슨이 편집한 첫 트랜스페미니즘 선집 《트랜스/형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스트의 목소리가 말하다》(Trans/Forming Feminisms: Transfeminist Voices Speak Out영어)가 수마크 프레스에서 출판되었다.[9] 최근에는 수잔 스트라이커와 탈리아 M. 베처 등도 관련 연구와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5]

2007년 트랜스젠더 리더십 서밋에서 알렉시스 마리 리베라는 어린 라틴계 트랜스 여성으로서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한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녀는 초기에, 자신이 주부의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믿었던 전환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에 대해 논했다. 그녀는 트랜스페미니즘은 해야 하기 때문에가 아니라 하고 싶기 때문에 여성적인 젠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5]

3. 주요 개념

트랜스여성주의는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의 주요 주제인 교차성, 다문화주의, 신체 이미지, 자기 정의, 여성의 인간 행위 능력 등을 포괄한다.[20] 또한, 다른 페미니즘과 마찬가지로 주류 남성성 개념을 비판하고, 여성이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하며, 젠더는 여성을 억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부장적 사회 구성물이라는 기본 원칙을 공유한다.[21]

이 운동은 제2의 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포함하며[20], 특히 모든 여성이 공통된 경험을 공유한다는 생각에 도전한다. 이러한 관점은 이미 유색인 여성, 레즈비언, 노동 계급 여성 등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19] 트랜스여성주의는 젠더를 단순히 생물학적 사실로 보는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며[19], 젠더 이해에 있어 개인의 내재적 특성과 사회적 구성 요소 모두를 고려하는 복합적인 접근을 시도한다.[34][68]

트랜스여성주의자들은 트랜스젠더 개개인의 고유한 경험이 페미니즘 논의의 일부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19] 트랜스 여성들은 자신들의 여성성이 다른 여성들의 여성성과 동등하게 유효하며, 페미니즘이 그들을 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노력해왔다.[23] 이러한 과정에서 급진 페미니스트 재니스 레이먼드와 같이 트랜스 여성을 여성이나 페미니즘의 참여자로 인정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과의 논쟁이 있었다.[24]

트랜스여성주의 운동의 초기 목소리에는 《젠더 아웃로: 남성, 여성, 그리고 우리 모두》를 쓴 케이트 본스타인[10], 재니스 레이먼드의 주장에 반박하는 에세이 "제국은 반격한다: 포스트트랜스젠더 선언"을 쓴 샌디 스톤 등이 있다.[11] 21세기에는 크리스타 스콧-딕슨[9], 줄리아 세라노[12][13] 등이 관련 저작을 출판했으며, 2006년 스콧-딕슨이 편집한 최초의 트랜스여성주의 선집 《트랜스/형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스트의 목소리가 말하다》가 출간되었다.[9] '트랜스페미니즘'이라는 용어 자체는 199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패트릭 캘리피아가 1997년 인쇄물에 사용한 것이 정기간행물 외 최초 사례로 알려져 있다.[16] 이후 1999년을 기점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17][18]

3. 1. 트랜스미소지니 (Transmisogyny)

줄리아 세라노는 트랜스여성이 경험하는 특수한 형태의 여성혐오를 '트랜스미소지니'(eng)라고 명명했다.[1] 이는 트랜스포비아(트랜스젠더 혐오)와 여성혐오(misogyny)가 결합된 형태의 차별과 억압을 의미하며, 트랜스 여성을 '진짜 여성이 아닌 가짜 여성'으로 취급하고 그들의 여성성을 의심하거나 조롱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세라노에 따르면, 트랜스여성의 여성성 표현은 시스젠더 여성의 동일한 행동보다 훨씬 더 가혹하게 인식되고 처벌받는 경향이 있다.[35] 이러한 이중 잣대는 문제의 핵심이 특정 행동 자체가 아니라 트랜스젠더 정체성 자체에 대한 혐오임을 보여준다.[28][36]

3. 2. 젠더 이분법 비판

트랜스여성주의는 제2 물결 페미니즘의 보편적인 자매애라는 개념과 거리를 두며, 여성의 경험이 단일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교차성과 제3 물결 페미니즘의 관점과 유사하게, 여성 경험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34] 트랜스여성주의는 젠더를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틀로만 이해하려는 시각에 도전한다.

줄리아 세라노는 트랜스여성이 표현하는 여성성이 시스젠더 여성의 동일한 행동보다 훨씬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가혹하게 처벌받는 현실을 지적한다.[35] 이러한 이중 잣대는 문제의 핵심이 특정 행동이 아니라 트랜스젠더라는 존재 자체에 대한 사회적 편견임을 보여준다.[28][36] 세라노는 이러한 트랜스여성을 향한 특유의 여성혐오를 '트랜스미소지니'라고 명명했다.[1]

또한 트랜스여성주의는 여성성이 전적으로 사회적인 구성물이라는 주장에 직접적으로 반박하며, 젠더를 개인의 다양한 내재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이 복합적으로 얽힌 것으로 이해한다. 예를 들어, 사회가 규정하는 여성성이나 남성성과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사람은 트랜스젠더뿐 아니라 시스젠더 중에도 존재한다.[34] 이는 젠더가 단순히 남/녀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훨씬 복잡하고 다층적임을 시사한다.

탈리아 M. 베처는 2014년 에세이 "잘못된 이론에 갇히다"에서 트랜스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젠더 본질주의는 거부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현실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8] 이는 젠더를 타고난 본성으로 고정하는 시각과 사회적 영향력을 무시하는 시각 모두를 경계하며, 젠더 이분법을 넘어서는 이해를 촉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3. 교차성 (Intersectionality)

트랜스여성주의는 주류 제2물결 페미니즘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제2물결 페미니즘의 '보편적 자매애'라는 개념, 즉 모든 여성이 공통적인 경험을 공유한다는 생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34] 이러한 보편적 자매애 개념은 이미 유색인 여성, 레즈비언, 노동 계급 여성 등 다양한 배경의 여성들에 의해 문제 제기가 이루어져 왔다.[19] 트랜스여성주의는 이러한 비판적 관점을 수용하여 여성의 경험이 단일하지 않음을 강조하며, 교차성(Intersectionality) 이론과 제3물결 페미니즘의 관점을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즉, 성별, 성 정체성, 성적 지향뿐만 아니라 인종, 계급,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범주들이 서로 교차하며 개인의 경험과 억압을 복합적으로 구성한다고 본다.[34]

이러한 교차성적 관점에서 트랜스여성주의는 트랜스젠더 개개인이 겪는 고유한 경험들이 페미니즘 논의의 중요한 일부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9] 예를 들어, 2007년 트랜스젠더 리더십 서밋에서 활동가 알렉시스 마리 리베라(Alexis Marie Rivera)는 자신이 어린 라틴계 트랜스 여성으로서 겪었던 경험을 공유하며, 인종과 트랜스젠더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보여주었다.[25]

또한, 줄리아 세라노(Julia Serano)는 트랜스여성이 겪는 특수한 형태의 여성혐오를 설명하기 위해 '트랜스미소지니(Transmisogyny)'라는 용어를 제시했다.[1] 세라노는 트랜스여성이 표현하는 여성성이 시스젠더 여성의 동일한 행동보다 훨씬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사회적 제재를 받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35] 이러한 이중 잣대는 단순히 특정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트랜스젠더의 존재 자체에 대한 혐오가 여성혐오와 결합된 결과임을 보여준다.[28][36] 이처럼 교차성 이론을 통해 트랜스젠더 내에서도 다양한 정체성과 경험의 차이를 이해하고, 더욱 폭넓은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트랜스여성주의의 중요한 지향점이다.

4. 다른 페미니즘과의 관계

트랜스여성주의는 여성 해방과 가부장제 비판이라는 페미니즘의 기본적인 목표를 다른 분파들과 공유한다. 성별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인식 역시 많은 페미니즘 이론과 공통되는 지점이다.[20][19] 그러나 트랜스젠더 포용 문제를 둘러싸고 모든 페미니즘 분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급진 페미니즘이나 일부 레즈비언 페미니즘 진영과는 트랜스여성의 정체성과 여성 공간 참여 등을 놓고 역사적으로 긴장과 갈등을 겪어왔다.[23][43][55][56] 이러한 관계는 페미니즘 내 다양한 관점과 논쟁 지점을 보여준다.

4. 1. 공통점

트랜스여성주의는 다른 페미니즘 분파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이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하며, 젠더가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적 사회 구조의 일부라는 기본적인 원칙을 공유한다.[20] 이는 주류의 남성성 개념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며, 성차별에 저항하는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진다.[20]

이러한 공통된 문제의식은 성별이 생물학적 운명이 아니라는 인식에 기반한다.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가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말했듯[26], 페미니즘은 전통적으로 '여성'이라는 범주의 경계를 탐구하고 성별이 생물학적 사실로만 간주되는 것에 도전해 왔다.[27][19]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젠더시스젠더 페미니스트 모두 사회의 전통적인 성(sex)과 성별(gender) 관점에 유사한 방식으로 도전한다고 주장한다.[19] 특히 트랜스젠더 해방 이론은 성별을 사회적 구성물로 보는 관점을 페미니즘에 새롭게 제시하며, 성별의 의미 자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19] 많은 트랜스페미니즘 지지자들은 여성학의 전통적인 접근 방식이 의존하는 성별의 고정성에 저항하고 도전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30]

4. 2. 급진 페미니즘 (Radical Feminism)과의 관계

급진 페미니즘 내에서는 트랜스젠더 이슈를 둘러싸고 다양한 입장과 논쟁이 존재한다. 트랜스페미니즘은 일부 급진 페미니스트들이 제기하는 문제의식, 즉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트랜스젠더 정체성 자체를 부정하거나 배제하려는 시각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23]

대표적인 비판적 입장으로는 급진 페미니스트 재니스 레이먼드가 있다. 그녀는 1979년 저서 《The Transsexual Empire|트랜스섹슈얼 제국eng》에서 트랜스여성을 "실제 여성의 형태를 인공물로 축소하고, 이 신체를 자신을 위해 전유함으로써 여성의 몸을 강간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을 강하게 비판했다.[24][43] 레이먼드는 트랜스젠더 여성이 여성 공간에 참여하는 것을 '여성에 대한 남성의 침입'으로 간주했다.[43] 이러한 레이먼드의 주장은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와 이를 지지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 큰 반발을 샀으며, 샌디 스톤은 에세이 "제국은 반격한다: 포스트트랜스젠더 선언"(The Empire Strikes Back: A Posttranssexual Manifestoeng)을 통해 레이먼드의 주장에 직접적으로 반박했다.[11] 또 다른 급진 페미니스트인 쉴라 제프리스(Sheila Jeffreys) 역시 2014년 저서 『젠더는 고통이다』(Gender Hurtseng)에서 트랜스페미니즘이 남성에게 여성의 정의를 내릴 권위를 부여한다고 주장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41]

이러한 트랜스젠더 배제적 입장은 실제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1990년대 초 미시간 여성 음악 축제에서는 트랜스젠더 여성 낸시 버크홀더를 추방하고 "Womyn-born womyn|여성으로 태어난 여성eng"만을 위한 행사임을 선언했다.[44][45] 이에 리키 윌친스, 제시카 자비에, 레슬리 페인버그 등 트랜스 활동가들은 Camp Trans|캠프 트랜스eng를 결성하여 축제의 트랜스 혐오적 정책에 항의하고 페미니스트 커뮤니티 내에서 트랜스젠더 수용을 촉구했다.[46][47][48] 축제 측이 수술받은 트랜스여성의 참여를 고려했지만, 이는 성전환 수술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이들에 대한 계급주의라는 비판에 직면했다.[49] 또한, 1995년 캐나다 밴쿠버에서는 강간 위기 상담사 자원봉사자였던 킴벌리 닉슨이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해고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밴쿠버 강간 구호 단체 측은 닉슨이 고객의 경험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닉슨은 이를 차별로 규정하고 소송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2007년 캐나다 대법원이 닉슨의 항소를 기각하며 종결되었다.[52][53][54] 샌디 스톤 역시 1970년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음반사인 올리비아 레코드에서 음향 엔지니어로 일했지만, 트랜스젠더 여성이라는 이유로 논란에 휩싸여 결국 사임해야 했다.[55] 토론토 레즈비언 기구(L.O.O.T.)와 같은 일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단체들도 "Womyn-born womyn|여성으로 태어난 여성eng 전용" 정책을 채택하며 트랜스 여성을 배제했다.[56]

반면, 모든 급진 페미니스트가 트랜스젠더에 대해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은 아니다. 급진 페미니스트 작가이자 활동가인 앤드리아 드워킨은 저서 『Woman Hating|여성 혐오eng』에서 트랜스젠더에 대한 혐오와 박해를 강력히 비판했다. 드워킨은 "모든 트랜스젠더는 자신의 조건에 따라 생존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성전환 수술이 필요한 트랜스젠더에게 사회가 이를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역설했다.[42]

트랜스페미니즘은 모든 여성이 동일한 경험을 공유한다는 제2 물결 페미니즘의 보편적 자매애 개념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교차성과 제3 물결 페미니즘이 강조하는 여성 경험의 다양성을 중시한다.[34] 줄리아 세라노는 트랜스여성이 시스젠더 여성과 동일한 행동을 하더라도 훨씬 더 가혹한 시선과 처벌을 받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를 'transmisogyny|트랜스미소지니eng'라는 용어로 설명했다.[35][1] 이는 문제의 본질이 특정 행동이 아니라 트랜스젠더의 존재 자체에 있음을 시사한다.[28][36]

그래함 마예다는 일부 우익 성향의 여성들이 트랜스젠더, 특히 트랜스여성의 생물학적 특성이 언급될 때 평등과 여성의 중요성 문제가 부차적으로 취급된다고 느낀다고 분석했다.[58] 이들은 트랜스여성의 존재가 '여성만의 공간'이라는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페미니즘의 목표와 충돌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는 것이다.[58]

하지만 레즈비언 어벤저스와 같이 트랜스 여성을 포용하는 페미니스트 단체들도 존재하며, 제도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여성 폭력 방지법(Violence Against Women Acteng, VAWA)은 "트랜스젠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생존자"를 명시적으로 보호하도록 개정되어, VAWA 기금을 받는 가정 폭력 상담소, 강간 위기 센터 등은 성별,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누구도 거부할 수 없게 되었다.[59]

4. 3. 레즈비언 페미니즘 (Lesbian Feminism)과의 관계

레즈비언 페미니즘은 여성 간의 연대와 사랑을 강조하며 가부장제 사회에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긍정하는 페미니즘의 한 분파이다. 트랜스페미니즘은 레즈비언 페미니즘과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지만, 역사적으로 일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들의 트랜스젠더 배제적 태도와 충돌하기도 했다.

사라 아흐메드는 2017년 저서 《페미니스트적 삶을 살아가기》에서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트랜스페미니즘이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동맹 관계라고 주장했다. 아흐메드는 반트랜스 입장은 반페미니즘적 입장이며, 성별에 따른 역할을 고정하는 젠더 숙명론은 해로운 사람들을 지원하는 세상을 만드는 페미니스트 프로젝트에 반한다고 비판했다.[40]

그러나 모든 레즈비언 페미니스트가 트랜스젠더 포용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급진 페미니스트 재니스 레이몬드는 1979년 저서 ''트랜스섹슈얼 제국''에서 트랜스젠더 여성을 여성이 아닌 남성으로 규정하며, 이들이 여성의 몸을 "강간"하고 "여성에 대한 침입"을 한다고 주장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24][43] 레이몬드의 이러한 관점은 일부 레즈비언 페미니즘 공동체 내 트랜스젠더 배제 움직임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인 갈등 사례도 존재한다. 샌디 스톤과 같은 트랜스젠더 여성은 주류 제2 물결 페미니즘의 "생물학적 여성" 개념에 도전했다. 스톤은 1974년부터 1978년까지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음반사 올리비아 레코드에서 음향 엔지니어로 일했으나, 일부 페미니스트들의 항의로 인해 결국 사임했다.[55] 당시 올리비아 레코드는 스톤의 고용을 옹호했지만, 논란은 레이몬드의 책[24]에서도 이어졌다. 또한 1978년 토론토 레즈비언 기구(L.O.O.T.)는 트랜스 여성의 가입 요청을 거부하며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전용" 정책을 내세웠다. L.O.O.T. 회원들은 "성전환한 남성....자신을 여성이자 레즈비언으로 감히 정체화하려 했다"는 것에 분노를 표하며, "사람은 칙령으로 억압받는 자에 합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56]

1990년대 초에는 미시간 여성 음악 축제가 트랜스젠더 여성 낸시 버크홀더를 추방하고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만을 위한 행사임을 주장하면서 논란이 되었다.[44][45] 이에 리키 윌친스, 제시카 자비에, 레슬리 페인버그 등 트랜스 활동가들은 캠프 트랜스를 결성하여 축제의 트랜스 혐오적 정책에 항의했다.[46][47][48] 축제 측은 이후 수술을 받은 트랜스 여성의 참여를 고려했지만, 이는 수술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이들에 대한 계급주의라는 비판을 받았다.[49] 축제는 보이콧 요구에 직면했으며[50],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공간에 대한 지원이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와 함께하고 지지하는 것과 상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51]

1995년에는 캐나다 밴쿠버의 강간 구호 단체에서 자원봉사자로 활동하던 트랜스젠더 여성 킴벌리 닉슨이 트랜스젠더라는 이유로 해고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단체 측은 닉슨이 고객의 경험을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지만, 닉슨은 차별 소송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2007년 캐나다 대법원이 닉슨의 항소를 기각하며 종결되었다.[52][53][54]

이러한 배제와 갈등에도 불구하고, 모든 레즈비언 페미니즘 공동체가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레즈비언 어벤저스와 같은 단체들은 트랜스 여성을 포용한다. 또한 미국에서는 여성 폭력 방지법(Violence Against Women Act)이 개정되어 "트랜스젠더,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생존자"를 명시적으로 보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VAWA 기금을 받는 가정 폭력 상담소, 강간 위기 센터 등은 성별 정체성이나 표현, 성적 지향을 이유로 서비스를 거부할 수 없게 되었다.[59] 이는 트랜스젠더 포용을 향한 제도적 변화를 보여준다.

5. 주요 쟁점

트랜스여성주의는 기존 페미니즘 및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여러 복잡한 쟁점들을 다룬다. 주요 논쟁 중 하나는 여성 전용 공간에 트랜스여성의 참여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이다. 일부 급진 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여성이 생물학적 여성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성 공간에서 배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43] 이는 미시간 여성 음악 축제와 같은 실제 배제 사례로 이어지기도 했다.[45] 트랜스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입장이 트랜스미소지니(transmisogyny, 트랜스여성혐오)[1]에 기반하며, 사회적으로 구성된 성별 이분법을 강화한다고 비판한다.[28][36]

또 다른 핵심 쟁점은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의 진단 문제와 관련된다. 과거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GID)라는 진단명은 트랜스젠더 정체성을 정신 질환으로 취급하고 병리화한다는 비판을 받았다.[62][63] 이후 DSM-5에서는 '성별 불쾌감', ICD-11에서는 '성별 부조화'(Gender Incongruence)라는 용어로 변경되었지만, 진단 자체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진단 폐지를 주장하는 측은 이것이 트랜스젠더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강화한다고 보는 반면,[20] 진단 유지를 지지하는 측은 성전환 관련 의료 서비스 접근성 보장 및 법적 보호를 위해 진단이 현실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한다.[65][66] 이러한 쟁점들은 트랜스젠더의 인권과 사회적 수용, 그리고 페미니즘 이론의 확장과 관련된 중요한 논의 지점이다.

5. 1. 여성 전용 공간 문제

급진 페미니스트 재니스 레이몬드는 1979년 저서 ''트랜스섹슈얼 제국''에서 트랜스젠더 수술을 강하게 비판하며 논란을 일으켰다. 레이몬드는 "모든 트랜스젠더는 실제 여성의 형태를 인공물로 축소하고, 이 신체를 자신을 위해 전유함으로써 여성의 몸을 강간한다"고 주장하며, 트랜스젠더가 여성을 침입하는 존재라고 규정했다.[43] 이러한 관점은 일부 여성 전용 공간에서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하는 논리로 이어지기도 했다.

샌디 스톤과 같은 트랜스젠더 여성들은 주류 제2 물결 페미니즘의 "생물학적 여성" 개념에 도전했다. 스톤은 1974년부터 1978년까지 레즈비언으로 정체화한 여성들이 운영하는 기업인 올리비아 레코드에서 음향 엔지니어로 일했으나, 트랜스젠더 여성이 근무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사임했다.[55] 이러한 논쟁은 레이몬드의 책[24]에서도 다루어졌으며, 레이몬드는 "트랜스섹슈얼리 구성된 레즈비언 페미니스트"에 대한 비판에 한 장을 할애했다.

캐나다 토론토레즈비언 단체인 '토론토 레즈비언 기구'(L.O.O.T.)와 같은 일부 조직들은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전용" 정책을 시행했다. 1978년, 한 트랜스 여성 레즈비언이 L.O.O.T. 가입을 공식 요청했으나, 단체는 투표를 통해 트랜스 여성을 배제하기로 결정했다. L.O.O.T. 회원들은 비공식 논의 과정에서 "성전환한 남성....자신을 여성이자 레즈비언으로 감히 정체화하려 했다"는 점에 분노를 표했으며, 공식 답변에서는 "사람은 칙령으로 억압받는 자에 합류할 수 없다"고 밝혔다.[56]

1990년대 초 미시간 여성 음악 축제(MWMF)는 트랜스젠더 여성 낸시 버크홀더를 축제에서 추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4] 이후 축제 측은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만을 위한 공간임을 주장했다.[45] 이에 활동가 단체 캠프 트랜스(Camp Trans)가 결성되어 트랜스 혐오적인 정책에 항의하고 페미니스트 커뮤니티 내에서 트랜스젠더 수용을 촉구했다. 리키 윌친스, 제시카 자비에, 레슬리 페인버그 등 많은 트랜스 활동가와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이 캠프 트랜스에 참여했다.[46][47][48] 축제 측은 수술을 받은 트랜스젠더 여성의 참여를 고려했으나, 이는 많은 트랜스젠더 여성이 생식기 수술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계급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49] 이후 축제 측은 웹사이트에 관련 성명과 요구 사항 링크를 게시하며[50], "여성으로 태어난 여성 공간에 대한 지원이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와 함께하고 지지하는 것과 상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51]

1995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의 '밴쿠버 강간 구호 및 여성 쉼터'(Vancouver Rape Relief & Women's Shelter)에서 강간 위기 상담사 훈련 자원봉사자였던 킴벌리 닉슨은 트랜스젠더라는 사실이 알려지자 해고되었다. 단체 측은 닉슨이 고객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고객이 유전적으로 여성인 상담사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닉슨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차별 소송을 제기했으며, 그의 변호사들은 이미 다이애나 코반트가 여성 전용 가정 폭력 보호소에서 일한 최초의 공개 트랜스젠더 여성이라는 선례를 들며 해고의 부당함을 주장했다. 그러나 2007년 캐나다 대법원은 닉슨의 항소를 기각했다.[52][53][54]

이러한 사례들은 여성 전용 공간의 의미와 범위, 그리고 트랜스젠더 여성의 참여 문제를 둘러싼 페미니즘 내의 지속적인 논쟁을 보여준다.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젠더 여성을 배제하는 것이 트랜스미소지니(줄리아 세라노가 명명한 트랜스여성혐오[1])에 해당하며, 성별 이분법을 강화한다고 비판한다.[28][36]

5. 2. 성별 불쾌감 (Gender Dysphoria) 진단 문제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은 개인이 출생 시 지정받은 성별이나 그 성별과 연관된 성 역할에 대해 현저한 불쾌감을 느끼는 상태를 지칭한다. 과거에는 특히 심리학자의사들이 사용하는 공식 진단명으로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GID)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다.[60]

성 정체성 장애는 ICD-10 CM[61]과 DSM-4에서 의학적 장애로 분류되었다.[62] 그러나 이후 개정된 DSM-5에서는 '성별 불쾌감'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병리적 함의를 줄였고, ICD-11에서는 '성별 부조화'(Gender Incongruence)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많은 트랜스젠더, 트랜스여성주의자, 의학 연구자들은 성 정체성 장애 분류 자체에 반대하며 폐지를 주장한다. 이들은 해당 진단이 성별 이질성을 병적인 것으로 취급하고, 성 이분법을 강화하며,[63] 트랜스젠더 개인에게 사회적 낙인을 찍을 수 있다고 비판한다.[62] 또한, 일부 트랜스여성주의자와 전통적 여성주의자들은 이 진단이 권력자들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으며,[64] 성별 다양성은 모든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라고 주장하며 진단 폐기를 요구한다.[20]

반면, 진단 유지를 지지하는 트랜스여성주의자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진단이 과거에 오용된 사례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전문가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5] 현실적으로 많은 국가나 법적 관할 구역에서 트랜스젠더는 성별 불쾌감 진단을 통해 성전환 관련 의료 서비스에 대한 보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진단이 폐지될 경우,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의료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장애인 차별 금지법이 명확한 진단명이 있는 경우에만 트랜스젠더에게 적용되기도 한다. 물론 다른 지역에서는 성차별 금지 규정이나 별도의 법적 범주를 통해 트랜스젠더를 보호하기도 한다.[66] 이러한 의료 접근성 및 법적 보호와 관련된 경제적 문제는 계급에 따라 트랜스젠더 운동 내에서 입장이 갈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39]

2006년 버몬트 대학교에서 열린 트랜스 정체성 컨퍼런스에서 코르반트(Courvant)는 이 논쟁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진단 폐지론자들이 트랜스젠더에 대한 비낙인화 노력이 정신 질환에 대한 비낙인화 노력과 상충되는지, 그리고 진단 범주 제거가 실제로 트랜스젠더에게 도움이 되는지, 현행 보험 시스템에 혼란을 야기하지는 않는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대로 진단 유지론자들은 결함 있는 진단 기준과 부적절한 '치료'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보았다.[67] 코르반트는 진단 범주 자체는 유지하되, 정신 질환의 정당성 확보와 트랜스젠더 수용성 개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진단 관련 논쟁을 넘어서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6. 주요 인물

트랜스여성주의 운동의 초기 목소리 중에는 1994년 《젠더 아웃로: 남성, 여성, 그리고 우리 모두》(Gender Outlaw: On Men, Women, and the Rest of Useng)를 저술한 케이트 본스타인[10]과 에세이 "제국은 반격한다: 포스트트랜스젠더 선언"(The Empire Strikes Back: A Posttranssexual Manifestoeng)을 쓴 샌디 스톤이 있다. 샌디 스톤의 에세이는 재니스 레이먼드가 트랜스섹슈얼리티에 대해 쓴 글에 직접적으로 응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1] 급진 페미니스트인 재니스 레이먼드는 그의 저서 《트랜스섹슈얼 제국》(The Transsexual Empireeng) 등을 통해 트랜스 여성을 여성이나 페미니즘 참여자로 인정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왔으며, 이는 트랜스페미니즘이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이다.[24][23]

21세기에 들어서는 크리스타 스콧-딕슨[9]줄리아 세라노[12][13] 등이 트랜스페미니즘 관련 저작을 출판하며 논의를 이어갔다. 케이트 본스타인 역시 2010년 S. 베어 버그만과 함께 《젠더 아웃로: 다음 세대》(Gender Outlaws: The Next Generationeng)와 같은 새로운 작업을 선보였다.[14] 수잔 스트라이커와 탈리아 M. 베처 또한 최근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한 출판물을 발표하며 논의에 기여했다.[15]

'트랜스페미니즘'이라는 용어 자체는 패트릭 캘리피아가 1997년 정기간행물 외의 인쇄물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이 용어는 1999년 이후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제시카 자비에는 1999년 후반 자신의 글을 소개하며 이 용어를 독립적으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7][18]

2006년에는 크리스타 스콧-딕슨이 편집한 트랜스페미니즘에 관한 첫 번째 서적 《트랜스/형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스트의 목소리가 말하다》(Trans/Forming Feminisms: Transfeminist Voices Speak Outeng)가 출판되었다.[9]

또한, 2007년 트랜스젠더 리더십 서밋에서는 알렉시스 마리 리베라가 젊은 라틴계 트랜스 여성으로서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여성적인 젠더 역할을 의무가 아닌 선택으로 수행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5] 니콜라스 번스는 트랜스페미니즘을 "'트랜스-'라는 용어를 최대한 이질적인 방식으로 정의하는 페미니즘"으로 설명하기도 했다.[22]

참조

[1] 서적 Trans bodies, trans selves : a resource for the transgender commun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 간행물 Resistance as a Foundational Commons: Intersectionality, Transfeminism, and the Future of Critical Feminisms http://journals.sage[...] 2023-04-25
[3] 서적 The Lost Sheep in Philosophy of Religion: New Perspectives on Disability, Gender, Race, and Anim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9-04
[4] 간행물 Collective Memory and the Transfeminist 1970s: Toward a Less Plausible History https://read.dukeupr[...] 2018-02-01
[5] 서적 Women in Culture: An Intersectional Anthology for Gender and Women's Stud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05-24
[6] 간행물 Transfeminine Brokenness, Radical Transfeminism https://read.dukeupr[...] 2017
[7] 웹사이트 Inadvertent Praxis: What Can "Genderfork" Tell Us about Trans Feminism? http://academinist.o[...] 2012
[8] 간행물 The Decentering of Second Wave Feminism and the Rise of the Third Wave http://guilfordjourn[...] 2005-01-22
[9] 서적 Trans/forming feminisms : trans/feminist voices speak out http://www.sumachpre[...] Sumach Press 2006
[10] 서적 Gender Outlaw: On Men, Women, and the Rest of Us 1994
[11] 웹사이트 The Empire Strikes Back: A Posttranssexual Manifesto http://www.actlab.ut[...] 1991
[12] 서적 Whipping Girl, A Transsexual Woman on Sexism and the Scapegoating of Femininity Da Capo Press 2007
[13] 서적 Excluded: Making Queer and Feminist Movements More Inclusive Basic Books 2013
[1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S. Bear Bergman (The Nearest Exit May Be Behind You) — Genderfork http://genderfork.co[...] 2018-10-09
[15] 간행물 Introduction https://read.dukeupr[...] 2016-05
[16] 서적 Sex Changes: The Politics of Transgenderism Cleis Pr; First Printing Highlighting edition 1997-07
[17] 웹사이트 Passing as Stigma Management http://www.annelawre[...]
[18] 웹사이트 Passing as Privilege http://www.annelawre[...]
[19] 웹사이트 Trans-itioning feminism: the politics of transgender in the reproductive rights movement https://clpp.hampshi[...] 2002
[20] 웹사이트 Menacing Feminism, Educating Sisters http://www.edst.educ[...] 2001
[21] 문서 See the subtitle of the trans community periodical "Chrysalis," which is "The Journal of Transgressive Gender Identities," transfeminism should not be seen as an anti-feminist movement
[22] 문서 "The Earth's Revenge: Nature, Transfeminism and Diaspora in Larissa Lai's ''Salt Fish Girl''" https://books.google[...] Rodopi 2008
[23] 웹사이트 Coalition Politics: Turning the Century http://shewhostumble[...] 1981
[24] 서적 The Transsexual Empire Teachers College Press 1994
[25] Youtube Transgender Leadership Summit, Sunday, March 25, 2007 https://www.youtube.[...] 2011-08-09
[26] 문서 The Second Sex
[27] 서적 Exclusions in Feminist Though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Womanhood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2002-09
[28] 문서 Thinking of Privilege
[29] 웹사이트 Transgender debate: against exclusion http://www.pfc.org.u[...] 1998-10-28
[30] 서적 Women's Studies on the Edge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2008
[31]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gender.or[...]
[32] 웹사이트 Transgender Death Statistics 1970 to 8/15/02 http://www.tgcrossro[...]
[33] 간행물 Conformity Pressures and Gender Resistance among Transgendered Individual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02
[34] 웹사이트 Trans Feminism: There's No Conundrum About It http://msmagazine.co[...] 2012-04-18
[35] 웹사이트 Trans-misogyny primer https://www.juliaser[...] 2007
[36] 뉴스 Now That You're a White Man Anzaldua & Keating
[37] 서적 Evolution Firebrand Books
[38] 웹사이트 Why Serve Trans or Intersex Survivors http://www.survivorp[...] 2021-07-03
[39] 웹사이트 http://www.confluere[...]
[40] 서적 Living a Feminist Life Duke University Press Books 2017
[41] 서적 Gender Hurts: A Feminist Analysis of the Politics of Transgenderism Routledge 2014
[42] 서적 Woman Hating https://archive.org/[...] E. P. Dutton
[43] 서적 The Transsexual Empire Teachers College Press
[44] 서적 The Girls Next Door: Into the Heart of Lesbian America Simon and Schuster
[45] 웹사이트 Michigan Womyn's Music Festival:Performances http://michfest.com/[...]
[46] 웹사이트 Op-ed: Where 'Don't Ask, Don't Tell' is Alive and Well http://www.advocate.[...] 2013-08-14
[47]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Camp Trans (1993) http://dallasdenny.c[...] 2013-10-13
[48] 웹사이트 Leslie Feinberg http://mbpratt.org/m[...]
[49] 서적 Trans/Forming Feminisms: Trans/Feminist Voices Speak Out Sumach Press
[50] 웹사이트 Community Statements {{!}} Michfest http://michfest.com/[...] 2018-10-09
[51] 웹사이트 Michfest Response to Equality Michigan's Call For Boycott – August 1, 2014 {{!}} Michfest http://michfest.com/[...] 2018-10-09
[52] 웹사이트 Background on Nixon v Vancouver Rape Relief http://www.egale.ca/[...] 2005-04-04
[53] 웹사이트 Excerpt from Proceedings http://www.raperelie[...] 2001-01-08
[54] 뉴스 Rape Relief wins: Supreme Court refuses to hear trans woman's appeal. Xtra! 2007-02-14
[55] 웹사이트 From Lesbian Nation to Queer Nation http://findarticles.[...] Hecate 1995-10-01
[56] 서적 The House that Jill Built: A Lesbian Nation in Form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7] 서적 The Transgender Studies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0-03
[58] 간행물 Re-imagining Feminist Theory: Transgender Identity, Feminism, and the Law
[59] 웹사이트 Know Your Rights! Trans Survivors of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http://forge-forward[...] 2018-10-08
[60] 간행물 Gender Identity Disorder in Twins: A Review of the Case Report Literature
[61] 웹사이트 Gender identity disorder in adolescence and adulthood http://www.icd10data[...] ICD10Data.com 2011-07-03
[62] 간행물 Recommendations for Revision of the DSM Diagnosis of Gender Identity Disorder in Adults
[63] 간행물 Sex, Gender and Culture: Issues in the Defini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Gender Identity Disorder 2002-07-01
[64] 문서
[65] 웹사이트 Destigmatization Versus Coverage and Access: The Medical Model of Transsexuality http://dentedbluemer[...] 2008-04-05
[66] 웹사이트 Transgender Law and Policy Institute: State Cases http://www.transgend[...] 2002-08-26
[67] 서적 The Last Time I Wore A Dress Riverhead Books 1998-10
[68] 간행물 Trapped in the Wrong Theory: Rethinking Trans Oppression and Resistance https://www.jstor.or[...]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