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1990년 패밀리 컴퓨터로 발매된 전략 롤플레잉 게임이다. 아카네이아 대륙을 배경으로 주인공 마르스가 군대를 이끌고 턴제 전투를 벌이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각 유닛의 클래스, 무기 내구도, 영구적인 죽음 시스템 등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확립했다. 이 게임은 닌텐도 스위치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시리즈의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이어 엠블렘 게임 - 파이어 엠블렘 if
    파이어 엠블렘 if는 2015년에 닌텐도 3DS로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호시도와 노르 왕국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주인공 카무이가 선택에 따라 세 개의 왕국 중 하나에 합류하여 스토리를 진행하며, 턴 방식 전투, 마이 캐슬 시스템, 다양한 모드와 온라인 멀티플레이를 지원한다.
  • 파이어 엠블렘 게임 -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는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가 공동 개발한 부분 유료화 턴제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소환사가 되어 영웅들을 소환하고 육성하여 아스크 왕국을 엠블라 제국으로부터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며, 노르드 신화를 기반으로 한 세계관과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게임 -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는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가 공동 개발한 부분 유료화 턴제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소환사가 되어 영웅들을 소환하고 육성하여 아스크 왕국을 엠블라 제국으로부터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며, 노르드 신화를 기반으로 한 세계관과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게임 -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는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가 공동 개발한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주인공 알레아가 턴제 전략 방식으로 전투를 치르며, 시리즈 이전 영웅들과 함께 싸울 수 있는 문장 반지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사가 2: 비보전설
    스퀘어가 1990년 게임보이로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사가 2: 비보전설》은 과학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4인 파티가 실종된 아버지를 찾는 모험을 떠나는 게임으로, 전작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게임성을 높였으며 2009년 닌텐도 DS로 리메이크되었다.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박스 아트
일본 박스 아트
제목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원제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Faiā Emuburemu: Ankoku Ryū to Hikari no Tsurugi)
원제 의미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장르전략 롤플레잉
모드싱글 플레이어
시리즈파이어 엠블렘
개발 정보
개발사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닌텐도 R&D1
배급사닌텐도
프로듀서요코이 군페이
디렉터데라사키 케이스케
디자이너카가 쇼조
프로그래머나리히로 토루
작가카가 쇼조
아티스트오사와 토루
오니시 나오타카
마치다 사토시
무라마츠 토시타카
작곡가츠지유코 유카
기술 지도타나카 히로카즈
플랫폼
플랫폼패밀리 컴퓨터
닌텐도 스위치
출시일
패밀리 컴퓨터일본: 1990년 4월 20일
닌텐도 스위치전 세계: 2020년 12월 4일
일본: 2019년 3월 13일
기타
미디어3 메가비트 + 64 킬로 RAM 롬 카트리지
판매량32만 9787개
CEROA
ESRBE
PEGI7
USK6
ACBG

2. 게임플레이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전투 화면. 플레이어 턴에 마르스 군대가 표시된다.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주인공 마르스를 중심으로 군대를 육성하며 아카네이아 대륙을 배경으로 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 각 캐릭터는 고유한 캐릭터 클래스를 가지며, 클래스에 따라 전투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병은 넓은 이동 범위를 가지며, 궁수는 원거리 공격을 할 수 있다.[5][2]

전투는 턴제 방식으로 진행되며, 플레이어는 제한된 수의 유닛을 움직여 적을 공격한다. 전투에서 승리하면 경험치를 얻어 캐릭터의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레벨이 오르면 능력치가 상승한다. 마을이나 상점을 방문하여 아이템을 구매할 수도 있다. 무기는 각 캐릭터에 특화되어 있으며, 내구도가 다하면 파괴된다.[1][5][2]

전투 중 캐릭터가 사망하면 영구적인 죽음을 맞이하여 더 이상 게임에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 마르스가 사망하면 게임이 종료된다.[1][2]

본 작품은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이후 시리즈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2. 1. 기본 시스템

기본 시스템설명
턴제 전투플레이어는 제한된 수의 유닛을 조작하여 적을 물리치고 승리 조건을 달성해야 한다.
캐릭터 클래스각 유닛은 고유한 캐릭터 클래스를 가지며, 클래스에 따라 이동 범위, 공격력, 방어력 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기병은 기동성이 좋고, 궁수는 공격 범위가 넓으며, 중장갑 캐릭터는 방어력이 높다.[5][2]
경험치 및 레벨 업전투에서 승리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경험치를 얻고 레벨을 올릴 수 있다. 레벨 업 시 능력치가 상승한다. 캐릭터가 100 경험치를 얻으면 레벨이 올라가고 체력이 증가하며 클래스별로 지정된 능력치가 무작위로 상승한다.[1][5][2]
무기 내구도무기는 내구도가 있으며, 내구도가 다하면 파괴된다.[1][5][2]
영구적 죽음전투 중 사망한 캐릭터는 영구적으로 소멸하며, 이후 전투나 스토리에 참여할 수 없다. 마르스가 전투에서 쓰러지면 게임이 종료된다.[1][2]
캐릭터 영입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새로운 캐릭터를 영입할 수 있다. 게임 과정에서 총 52명의 캐릭터를 영입할 수 있다.[5][2]


2. 2. 원작의 특징 (후속작과 다른 점)

본작은 공격 속도 계산, 필살 회피율, 경험치 획득 방식 등에서 후속작들과 차이를 보인다.[47] 공격 속도는 1 이상 차이가 나면 추격(재공격)이 가능했지만, 후속작에서는 3~5 이상 차이가 나야 한다. 본작에는 필살 회피율이 없어 항상 필살 공격의 위험이 있었다.[47]

경험치는 적에게 준 피해량에 따라 획득하는 방식[98]이어서 공격력이 낮은 유닛은 성장이 어려웠다. 후속작에서는 모든 유닛이 균등하게 경험치를 얻고, 고레벨 유닛은 획득량이 제한된다. 승려 계열 유닛은 지팡이 사용으로는 경험치를 얻을 수 없고, 적의 공격을 받아 쓰러뜨려야 했다.[47] 이는 초보자에게는 어려운 육성 방식이었기에[50] 후속작에서는 변경되었다.

도적 유닛에게 보물을 도둑맞으면 되찾을 방법이 없었지만,[47] 후속작에서는 쓰러뜨리면 되찾을 수 있게 개선되었다. 일부 캐릭터는 특정 능력치의 성장률이 0%[47]였으나, 후속작에서는 최소 1% 이상으로 변경되었다. 모든 적 유닛은 행운 수치가 없어 데빌 계열 무기로 자폭하는 일이 없었다.[47] 외전까지는 행운이 마법 회피율과 필살률에 관여했고, 문장의 수수께끼 이후 필살 회피율 개념이 생기면서 행운 수치가 사용되었다.[53]

모든 캐릭터의 마법 방어는 0[47]이었고, 성장하지도 않았다. 후속작에서는 이 요소가 개정되었다.[54] 맵 시스템에서는 적 페이즈에도 커서가 보였고, 회복 지형에 대한 표시가 없었지만,[55] 후속작에서는 개선되었다.

출격 준비에서는 유닛 선택과 맵 확인만 가능했고, 배치 변경이나 아이템 교환은 불가능했다.[56] 후속작에서는 완화되었다.[57] 아군 턴 페이즈 시 화면 암전,[58] 행동 후 즉시 대기[59] 등의 시스템도 후속작에서 삭제되거나 변경되었다.

투기장에서는 적 클래스를 알 수 없었고, 패배 시 캐릭터를 잃었다. 10턴 내 캔슬이 불가능[98]했지만, 후속작에서는 개선되었다. 보관소 이용 시 수수료(10G)를 내야 했고, 최대 40개만 보관 가능[47]했지만, 후속작에서는 '수송대'[64]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상점에서는 아이템을 팔 수 없었고,[47] 소지품 상한(4개)을 넘으면 구매가 불가능[68]했지만, 후속작에서는 개선되었다. 아이템 표기는 이름과 사용 횟수뿐[98]이었고, 적 무기에는 강도가 없었지만,[98] 후속작에서는 변경되었다.

메리클 레이피어는 마르스 전용에 레벨 업 시 능력치가 2포인트 상승[98]했지만, 문장의 수수께끼에서는 '메리클 소드'로 변경[55]되어 누구나 사용 가능하고 획득 경험치가 2배가 되는 효과로 바뀌었다. 은 사정거리 1~2의 일반 마법[47]이었으나, 후속작에서는 적 전용, 사정거리 3~10으로 변경되었다.

슈터는 사정거리 2인 전차 유닛[47]이었으나, 문장의 수수께끼에서는 적 전용, 장사정 무기[55]로 변경되었다. 마무쿠트와 메디우스의 용석은 무제한[47]이었으나, 후속작에서는 아군 용석에 강도가 생겼다.[55] 마룡은 마법 공격 봉쇄 능력[47]이 있었으나, 후속작에서는 삭제되었다. 메디우스는 간접 공격 및 마법 봉쇄 능력[98]이 있었으나, 후속작에서는 삭제되고 데미지 반감 능력이 추가되었다.

팔시온은 브레스 외 직접 공격 봉쇄 능력[98]이 있었으나, 후속작에서는 삭제되었다. 스토리 설정과 언어도 변경[55]되었고, 파이어 엠블렘의 설정도 '패자의 증표'에서 '문장의 방패'로 변경[47][55]되었다.

3. 줄거리

지룡왕 메디우스와 용자 안리의 싸움으로부터 100년 후, 되살아난 메디우스에 의해 아카네이아 대륙은 전쟁의 시대를 맞이한다. 안리가 세운 아리티아는 메디우스가 이끄는 도루아와 그 연합군에 의해 멸망당한다. 왕자 마르스는 누나 에리스의 도움으로 변방의 탈리스로 피신하지만, 에리스는 도루아에 협력하는 마도사 가네프에게 납치된다.[77]

2년 후, 마르스 일행은 탈리스 성의 해적 습격을 계기로 도루아 제국을 타도하고, 누나를 되찾기 위해 일어선다. 각 장은 시작부터 대화로 시작하며, 스토리 설명은 각 장마다 프롤로그가 붙은 『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수수께끼』에 비해 간소하다.

이야기의 주요 무대는 다음과 같다.

국가명설명
아카네이아 왕국아카네이아 대륙의 여러 나라를 통솔하는 종주국. 가장 역사가 깊으며, 7개의 왕국으로 분열된다. 도루아 제국의 침공으로 궤멸, 왕도 팰리스는 함락되고 니나 공주를 제외한 왕족은 모두 처형당한다.
아리티아 왕국주인공 마르스의 선조인 영웅 안리가 아리티아에 건국. 초대 국왕 안리는 신검 팔시온으로 지룡왕 메디우스를 쓰러뜨려 발전했다. 도루아 전쟁으로 궤멸되고, 현재 마르스와 측근들만이 남았다.
오렐리안 왕국대륙 북동부, 최북단에 위치. 초원이 펼쳐져 말 운용이 발달했다. 도루아 전쟁에서 마케도니아군에 점령당하지만, 왕제 하딘은 반란군을 일으켜 게릴라 투쟁을 한다.
그루니아 왕국대륙 남서쪽에 위치한 기사의 나라. 카뮤 장군의 흑기사단은 대륙 최강으로 명성이 높다. 도루아 제국과 동맹을 맺지만, 니나 공주와 연인 사이인 카뮤는 조국과 연인 사이에서 고뇌한다.
마케도니아 왕국도루아 남쪽의 삼림·산악 지대에 위치. 비룡·천마를 생산하며, 용기사단은 그루니아 흑기사단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미셸이 실권을 잡자 도루아와 동맹을 맺는다.
그라 왕국아리티아 동쪽에 위치. 도루아에 협력하여 동맹국 아리티아를 배신하고, 아리티아군을 배후에서 급습했다.
탈리스 왕국동해의 섬나라. 건국된 지 얼마 안 되어 국력이 낮고, 정식 기사단이 없어 용병에 의존한다. 도루아 전쟁으로 조국을 잃은 마르스에게 원조를 한다.
카다인마도국. 대륙 서부 사막 지대에 위치, 마도 수행자들이 모이는 마도 학원이 있다. 암흑 사제 가네프가 카다인을 제압해 도루아의 손에 들어갔다.
도루아 제국아카네이아 대륙 남서부 정글의 패자 지룡 메디우스가 다스린다. 메디우스는 대륙 제패 야망을 품고 침공했지만, 안리에 의해 멸망했다. 100년 후 메디우스가 부활, 그루니아와 마케도니아를 병합하여 도루아 제국을 부활시켰다.
카시미어국아카네이아 연방 소속 소국. 대륙과 카시미어 해협 다리로 연결. 비보가 잠든 라만 사원이 있다.


3. 1. 주요 등장인물


  • '''마르스''': 아리티아 왕국의 왕자이자 게임의 주인공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누나 엘리스가 희생하여 탈리스 섬나라로 피신한다.[77] 몇 년 후, 탈리스 왕의 도움을 받아 돌흐와 싸울 준비를 한다.
  • '''시다''': 탈리스 왕국의 공주이다. 마르스와 함께 돌흐와 싸운다. 게임이 끝난 뒤 마르스와 서로 사랑을 맹세한다.
  • '''니나''': 아카네이아 왕국의 공주이다. 돌흐에 대한 저항군의 지도자로, 마르스에게 파이어 엠블렘을 준다.
  • '''가네프''': 사악한 마법사로, 메디우스와 힘을 합쳐 세계를 정복하려 한다. 마르스에게 패배한다.
  • '''메디우스''': 암흑룡이자 돌흐 제국의 지배자이다. 마르스에게 패배하여 땅에 평화가 찾아온다.

4. 개발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 R&D1이 공동 개발하였다.[3] 카가 쇼조가 초기 컨셉과 시나리오를 담당했으며, 요코이 군페이가 프로듀서를 맡았다.[4][7] 초기에는 "배틀 판타지 파이어 엠블렘"이라는 가제로 불렸으며, 동인 게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9]

그래픽과 캐릭터 아트는 오사와 토오루, 오오니시 나오타카, 마치다 사토시, 무라마츠 토시타카가 공동으로 담당했다.[5] 음악은 츠지요코 유카가 작곡했으며, 다나카 히로카즈의 기술 지도를 받았다.[9][6] 게임의 장르는 패미컴 카트리지의 메모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해야 했는데, 《암흑룡과 빛의 검》은 이를 초과하였다. 이에 인텔리전트 시스템즈는 게임 저장을 위해 할당된 메모리 일부를 사용했고, 닌텐도의 도움으로 일본어 텍스트를 처리하고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카트리지 칩을 만들어 이 문제를 극복했다.[8]

시리즈 제목인 "파이어 엠블렘"은 신비한 힘을 가진 방패 형태로 처음 등장하며, 전쟁과 드래곤의 힘을 상징하는 이 명칭은 향후 시리즈의 핵심 요소가 된다.[13][14]

발매 당시에는 소프트웨어 가격 폭락으로 불만이 많았지만, 반년 후 일부 라이터들이 호의적으로 다루고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입소문이 퍼지면서 팬층을 늘려갔다.[46] 발매 당시 게임 화면을 전혀 보여주지 않고 "파이어 엠블렘의 테마"에 맞춰 중세 기사 복장을 한 사람들이 창화하는 독특한 TVCM이 방송되었다.[47]

본 작품은 일본에서만 발매되었으나, 2020년 12월 4일 새롭게 현지화된 해외판 '''''Fire Emblem: Shadow Dragon & the Blade of Light'''''가 닌텐도 스위치용 소프트로 처음 발매되었다.[48] 일본판에는 없는 유닛 이동 속도 가속 기능과 임의 지점 저장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49]

4. 1. 개발 비화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 R&D1이 공동 개발한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패미컴용 하드웨어 개발에서 벗어나 "시뮬레이션 게임" 제작에 집중하면서 시작되었다.[3][8][4] 카가 쇼조가 시나리오 작가 겸 디자이너로서 초기 컨셉을 만들었으며, 요코이 군페이가 프로듀서를 맡았다.[4][7][9]

1987년에 시작된 컨셉 개발은 패미컴 워즈의 설정을 벗어나 롤플레잉 경험을 만들고자 하는 개발진의 바람에서 비롯되었다.[7][8] 카가는 쿠레 소프트의 ''퍼스트 퀸''(1988)에서 영향을 받아, 플레이어가 캐릭터에 감정 이입을 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다.[10] 그는 롤플레잉 게임의 강한 스토리와 전술 게임의 다양한 캐릭터를 결합하여, 몰입감 있는 캐릭터와 함께 흥미로운 게임 플레이 경험을 만들고자 했다.[7]

당시 패미컴 게임의 메모리 용량 제약은 개발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었다.[15] 초기에는 PC 게임처럼 주요 스토리 순간을 위한 그래픽을 계획했으나, MMC3 메모리 칩의 용량(1메가바이트) 부족으로 인해 축소해야 했다.[9] 결국 그래픽과 연출은 간소화되었고, 이는 카가를 포함한 팀원들이 나중에 후회하는 부분이 되었다.[11]

광범위한 스토리를 사용하는 것은 당시 메모리 문제에 시달리던 패미컴 게임에서는 드문 일이었다.[15] 초기 스토리 초안에는 가이아와 넵튠 두 마리의 드래곤이 보스로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하드웨어 제약으로 인해 넵튠은 삭제되고 가이아는 메디우스의 캐릭터로 발전했다.[9]

1991년 닌텐도 공식 가이드북 '파이어 엠블렘 백과'에서 개발진은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은 딱딱하고 감정 이입이 되지 않아, RPG 요소를 가미하여 플레이어가 캐릭터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라고 밝혔다.[87] 또한, "플레이어마다 다른 플레이 방식, 유닛 사용법, 전략을 통해 다양한 결말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하며, 친구들끼리 플레이 경험을 공유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87]

1996년 발매된 '파이어 엠블렘 더 컴플리트'에서는 세계관의 기원에 대한 질문에 "특별한 원전은 없고, 작가 개인의 창작에 의한 것이지만, 그리스 신화 등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다"라고 답했다.[87]

5. 발매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일본어은 1990년 4월 20일에 일본에서 패밀리 컴퓨터용으로 처음 발매되었다.[16][17] 발매 당시에는 소프트웨어 가격이 폭락하여 불평이 많았지만,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입소문으로 팬층을 늘린 작품이기도 하다.[46] 초기 광고 당시에는 炎の紋章|호노오 노 몬쇼|불꽃의 문장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최종 제품에는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와 이야기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래픽 역시 변경되었으며, 특히 마르스의 머리 색깔과 스타일에서 두드러졌다.[9]

이후 버추얼 콘솔을 통해 Wii(2009년 10월 20일[18]), 닌텐도 3DS(2012년 8월 1일[19]), Wii U(2014년 6월 4일[20])로 재발매되었다. 2019년 3월 13일부터는 일본과 홍콩에서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 구독자에게 제공되었다.[21]

2020년 프랜차이즈 3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공식 현지화 및 번역되어 닌텐도 스위치용 독립형 타이틀로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에서 출시되었다. 이 버전의 게임은 저장 상태, 빨리 감기, 되감기 기능과 같은 다양한 내장 에뮬레이션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22] 이 출시는 2020년 12월 4일부터 2021년 3월 말까지 한정된 기간 동안 제공되었다.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발매 이력
No.제목발매일대응 기종개발원발매원미디어비고
1파이어 엠블렘일본어
암흑룡과 빛의 검
Wii닌텐도 개발 제1부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닌텐도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2파이어 엠블렘일본어
암흑룡과 빛의 검
닌텐도 3DS닌텐도 개발 제1부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닌텐도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3파이어 엠블렘일본어
암흑룡과 빛의 검
Wii U닌텐도 개발 제1부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닌텐도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4패밀리 컴퓨터
Nintendo Switch Online
닌텐도 스위치닌텐도닌텐도다운로드2020년 4월 20일에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트라이앵글 어택 버전,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클라이맥스 버전이라는 특별판이 배포[85]


5. 1. 대한민국 발매

대한민국에서는 2020년 12월 4일, 닌텐도 스위치 온라인을 통해 처음으로 정식 발매되었다.[22] 이 버전에는 저장 상태, 빨리 감기, 되감기 기능과 같은 다양한 내장 에뮬레이션 기능이 포함되어 있었다.[22]

6. 평가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발매 당시 일본 언론으로부터 그래픽과 난이도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패미통의 "크로스 리뷰"에서는 40점 만점에 26점을 받았다.[97] 그러나 사용자들의 입소문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패밀리 컴퓨터 Magazine의 독자 투표에서는 30점 만점에 23.48점을 기록했다.[23][24] 도쿄예술대학 강사 이시하라 츠네카즈는 공략본 칼럼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는 다양한 곳에 개성이 있다", "판타지 세계의 리얼리티가 높다"고 평가하며, "워 시뮬레이션도 아니고, RPG도 아닌 약간 특이한 몰입감을 주는 게임"이라고 언급했다.[47]

항목캐릭터음악조작성열중도구입가치오리지널리티종합
득점4.103.843.704.023.833.9923.48



닌텐도 스위치 버전은 메타크리틱에서 29명의 비평가로부터 100점 만점에 62점을 받아 "혼합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받았다.[26]

6. 1. 유산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느리게 시작했지만, 결국 성공하여 후속작 제작으로 이어졌다. 1992년에는 ''파이어 엠블렘 외전''이 발매되었다.[9][29] 이후 ''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수수께끼''에서 ''암흑룡과 빛의 검''이 일부 리메이크되었고, 마르스의 이야기가 계속되었다.[30][31] 닌텐도 DS용으로 완전 리메이크된 ''파이어 엠블렘 신 암흑룡과 빛의 검''은 해외에도 출시되어, ''파이어 엠블렘'' 콘텐츠가 일본 외 지역에서도 처음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33][8] ''파이어 엠블렘 각성''에서는 아카네이아의 배경이 다시 사용되기도 했다.[32]

''암흑룡과 빛의 검''은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시작이자 일본에서 전술 롤플레잉 장르가 인기를 얻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택틱스 오우거: 고난을 함께'', ''파이널 판타지 택틱스'', ''마계전기 디스가이아'' 시리즈 등 해당 장르의 다른 게임 제작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33][34][35][36] ''암흑룡과 빛의 검''에 사용된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이후 거의 모든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게임 플레이의 기초가 되었다.[33][34]

이 게임은 잡지 미리 보기뿐만 아니라 실사 텔레비전 광고를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광고를 개척한 것으로도 평가받으며, 이는 훗날 ''젤다의 전설'' 시리즈 등에도 사용되었다.[37] 전투와 스토리를 결합한 방식은 ''사쿠라 대전'' 시리즈의 게임 플레이에도 영감을 주었다.[38]

''암흑룡과 빛의 검''은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서 시리즈 전체의 기초를 다졌으며, SLG RPG의 선구자이자 캐릭터 게임으로서 미디어 믹스 전개를 펼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44]

기존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에서는 유닛이 단순한 말에 불과했지만, 이 게임에서는 아군과 일부 적에게 얼굴을 표시하여 캐릭터성을 높였다. 또한 캐릭터가 전투에서 사망하면 원칙적으로 부활하지 않는[45] 시리어스한 게임 시스템과 중후한 판타지 시나리오가 화제를 모았다. 발매 초기에는 소프트웨어 가격 폭락으로 불만이 많았으나, 발매 반년 후 일부 라이터들이 호의적으로 다루고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입소문으로 팬층을 늘려갔다.[46]

발매 당시에는 게임 화면을 전혀 보여주지 않고 "파이어 엠블렘의 테마"에 맞춰 중세 기사 복장을 한 사람들이 창화하는 독특한 TVCM이 방송되었다.[47]

7. 미디어 믹스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은 소설, 만화, 드라마 CD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만화는 여러 작가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사노 마사테루&와타나베 쿄의 『파이어 엠블렘』 (카도카와 쇼텐)은 1992년부터 1997년까지 연재되었으며, 오리지널 게임의 「마르스의 여정」부터 「아카네이아 팰리스」까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100] 하코다 마키의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에닉스)은 월간 G 판타지에 연재되었으며, 원작과 달리 마르스의 1인칭을 「와타시(私)」로 설정하는 등 작가의 독자적인 해석이 더해졌다.[100] 시마다 히로카즈의 『파이어 엠블렘』 (타카라지마샤)은 패밀리 컴퓨터 Magazine에 연재되었으며, 오리지널 게임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100] 우에다 신슈의 『파이어 엠블렘 바람의 마도사』(에닉스)는 1992년경 타츠미 출판의 코믹 슈퍼 패미컴 셀렉션에 연재된 것을 단행본화한 것으로, 작가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소설로는 야마구치 히로시가 쓰고 키가와 아키히코가 그림을 그린 『소설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후타바샤 판타지 노벨 시리즈)이 1992년에 출판되었다. 쿠로 토레스가 쓰고 스튜디오 하드가 제작, 사토・코가 일러스트를 담당한 게임북 『파이어 엠블렘 환상의 왕국』 (후타바샤・패밀리 컴퓨터 어드벤처 게임북)은 별개의 차원에 존재하는 환상의 왕국 펠토니아를 무대로 마르스가 싸우는 외전적 스토리를 담고 있다.

드라마 CD로는 아카호리 사토루 각본, 나카자와 카즈토/오미시 레이 그림의 『전격 CD 문고 베스트 게임 셀렉션 7 파이어 엠블렘 여정의 장』 (미디어 웍스)이 있다. 하코다 마키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G 판타지 코믹 CD 컬렉션 파이어 엠블렘 암흑룡과 빛의 검』 (에닉스) Vol.1〜4와, 사노 마사테루&와타나베 쿄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파이어 엠블렘 여명편/자람편』 (BMG 빅터)도 발매되었다. 『파이어 엠블렘 여명편/자람편』은 분카 방송 "애니마가 파라디 드라마 월드"에서 방송된 라디오 드라마 (총 8화)를 수록하고 있다.

7. 1. 관련 작품

파이어 엠블렘 외전(1992년 발매)은 '암흑룡과 빛의 검'의 속편이다.[9][29] 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수수께끼는 '암흑룡과 빛의 검'을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마르스의 이야기가 이어진다.[30][31] 닌텐도 DS용 완전 리메이크작인 파이어 엠블렘 신 암흑룡과 빛의 검은 해외에도 출시되어, 최초로 '파이어 엠블렘' 콘텐츠가 일본 외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33][8] 아카네이아의 배경은 파이어 엠블렘 각성에서 다시 사용되었다.[32]

8. 기타

이 게임은 시리즈의 첫 작품이자, 전략 시뮬레이션 롤플레잉 게임(SLG RPG)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44] 기존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의 유닛은 단순한 말에 불과했지만, 이 게임에서는 아군과 일부 적에게 얼굴을 표시하여 캐릭터성을 높였다.[44] 또한, 전투에서 사망한 캐릭터는 부활하지 않는[45] 시스템과 중후한 판타지 시나리오로 화제를 모았다. 발매 당시에는 소프트웨어 가격 폭락으로 불만이 있었지만, 게임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입소문으로 팬층을 늘렸다.[46]

게임 화면을 전혀 보여주지 않고 중세 기사 복장을 한 사람들이 "파이어 엠블렘의 테마"에 맞춰 창화하는 독특한 TV 광고가 방송되었다.[47]

일본에서만 발매되었지만, 2020년 12월 4일 해외판 '''Fire Emblem: Shadow Dragon & the Blade of Light'''가 닌텐도 스위치용 소프트로 처음 발매되었다.[48] 일본판에는 없는 유닛 이동 속도 가속, 임의 지점 저장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49]

; 개발자 인터뷰 (1991년, 닌텐도 공식 가이드북 파이어 엠블렘 백과)


  • 신 시스템 "RPGSLG"[86]에 대해, 개발자는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은 딱딱하고 감정 이입이 어렵다. SLG에 RPG 요소를 가미하여 감정 이입을 돕고, 플레이어에 따라 다른 전개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87]
  • "FE는 플레이어마다 다양한 플레이 방식, 유닛 사용법, 전략이 나올 것이다. 중요하지 않은 캐릭터는 없으며, 소중히 다루면 강해지는 캐릭터도 있다. 친구들과 플레이 경험을 공유하며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87]
  • SLG로서 부족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닌텐도 게임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기본이다. SLG 부분에서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전체적인 게임 밸런스가 중요하며, 숫자 데이터보다는 '데미지다, 무섭다'와 같은 감각으로 즐기길 바란다. 아이들을 바보 취급하면 안 된다. 아이들은 어른보다 뛰어나다"고 답했다.[87]
  • 게임에서 표현하고 싶었던 것에 대해서는 "더 드라마틱한 것을 담고 싶었다. 캐릭터가 고통을 느낄 수 있도록, 죽으면 되살아날 수 없게 하여 신중하게 플레이하도록 유도했다. 그만큼 애정을 가지면 보답받는 결과가 된다"고 말했다.[87]
  • "이번 작품에서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는 "멀티 플레이어적인 요소를 넣고 싶었지만 일직선 전개였다. 어렵게 키운 유닛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점이 아쉽다. 여러 무대를 동시에 진행하는 다양한 전개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87]
  • 닌텐도 스태프는 "구상에 3년을 썼다. 게임을 모르는 사람도 즐겁게 공략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라고 밝혔다.

; 개발자 인터뷰 (1996년, 파이어 엠블렘 더 컴플리트)

  • "파이어 엠블렘의 세계관은 어떻게 생겨났는가?"라는 질문에 "특별한 원전은 없고, 작가 개인의 창작이다. 굳이 말하자면 그리스 신화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87]
  • SLGRPG라는 장르 개발 중 가장 고심했던 점에 관해서는 "SLG는 RPG와 달리 시간적 연속성이 없고 표현할 수 있는 정보도 적어 이야기 진행에 고생했다. 복잡한 세계관을 플레이어가 이해해 줄까 걱정했지만, 많은 플레이어가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해해 주었다. FE 특유의 감성을 가진 플레이어 덕분에 시나리오 SLG라는 새로운 장르를 확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87]


; 관련 서적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紋章の謎 暗黒竜と光の剣|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엔터브레인/패미통 문고)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ザ・コンプリート|파이어 엠블렘 더・컴플리트일본어 (NTT 출판)
  • ALL OF EIRE EMBLEM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紋章の謎~のすべて|ALL OF EIRE EMBLEM 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타카라지마샤)
  • 20th Anniversary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大全|20th Anniversary 파이어 엠블렘 대전일본어 (쇼가쿠칸)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メモリアルブック アカネイア・クロニクル|파이어 엠블렘 메모리얼 북 아카네이아・크로니클일본어 (아스키 미디어 웍스)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0 公式ガイド|파이어 엠블렘 0 공식 가이드일본어 (토쿠마 서점)


; 관련 TCG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TCG|파이어 엠블렘 TCG일본어 (NTT 출판)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0|파이어 엠블렘 0 (사이퍼)일본어 (인텔리전트 시스템즈 / 닌텐도)


; 게임을 좋아했던 유명인

  • 사쿠라이 마사히로는 회사 선배가 플레이하는 것을 보고 게임을 구입,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제작을 위해 『파이어 엠블렘』을 파고들었다.[103][104][105]
  • 패미통 작가였던 조르조 나카지는 『'''FE교단'''』이라는 가상의 단체를 설립, 교주를 자처하며 예수 그리스도 분장을 하고 닌텐도를 방문하여 개발자와 인터뷰했다.[106]
  • 프로레슬러 미사와 미츠하루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으로 꼽았다.[107]
  • 게임 리퍼블릭 사장 오카모토 요시키는 "패미컴에 관한 가장 좋아하는 일품"으로 꼽았다.[108]

참조

[1] 서적 Nintendo 1990
[2] 서적 Shogakukan 1991-03-15
[3]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0
[4] 서적 Shogakukan 1994-05-20
[5] 서적 Shogakukan 1990
[6] 웹사이트 Interview with Yuka Tsujiyoko http://interviews.ro[...] RocketBaby 2001
[7] 웹사이트 Fire Emblem – Developer Interviews http://shmuplations.[...] Shmuplations
[8] 웹사이트 Iwata Asks: Fire Emblem: Shadow Dragon http://fire-emblem.c[...] Fire Emblem: Shadow Dragon Official Website 2008
[9] 서적 Tokuma Shoten 2015-11-28
[10] 웹사이트 ゴチャキャラバトルSLG『ファーストクイーン』のリメイク版『FirstQueen1NEXT』がiOS/Androidで配信開始。今回は2部隊でさらに多くのキャラが活躍 http://www.gamecast-[...] GameCast 2000-06-27
[11] 서적 NTT Publishing 1997-01-27
[12] 서적 ASCII Media Works 1996
[13] 서적 Shogakukan 2010-06-30
[14]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Fire Emblem World
[15] 뉴스 http://www.4gamer.ne[...] 2015-04-28
[16]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Fire Emblem World
[17] 웹사이트 http://intsys.co.jp/[...] Intelligent Systems
[18]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19]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20]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21] 웹사이트 "ファミコン Switch Online"に3月13日より『イー・アル・カンフー』、『光神話 パルテナの鏡』、『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が配信決定&『テトリス99』配信記念"テト1カップ"が開催 - ファミ通.com https://s.famitsu.co[...]
[22] 웹사이트 Original Fire Emblem Being Localized For The First Time Ever December 4 https://www.nintendo[...] NINWR, LLC 2020-10-22
[23] 간행물 Tokuma Shoten 1991-05-10
[24] 서적 NTT Publishing 1996
[25] 웹사이트 http://www.translan.[...] Translan 2002-11-14
[26] 웹사이트 Fire Emblem: Shadow Dragon & the Blade of Light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27] 웹사이트 2021 Game Publisher Rankings https://www.metacrit[...]
[28] 웹사이트 Best JRPGs Of All Time https://www.timeexte[...] Hookshot Media 2023-02-25
[29] 웹사이트 http://intsys.co.jp/[...] Intelligent Systems
[30] 간행물 Micro Magazine 2008-10-03
[31] 웹사이트 http://intsys.co.jp/[...] Intelligent Systems
[32] 웹사이트 Fire Emblem Awakening: Killing for Keeps http://www.1up.com/p[...] 2013-01-10
[33] 잡지 Fire Emblem through the ages http://www.officialn[...] 2013-04-13
[34] 웹사이트 Pocket Primer: A complete history of Fire Emblem http://www.pocketgam[...] Pocket Gamer 2013-04-18
[35] 웹사이트 Game Design Essentials: 20 RPGs http://www.gamasutra[...] 2009-07-02
[36] 간행물 The 10 Best Strategy/RPGs You Can Purchase Now https://web.archive.[...] 2015-07-18
[37] 논문 Second Plant Development Committee 2010-08-15
[38] 서적 Mainichi Communications 2003-07-28
[39] 문서 日本版は[[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 Nintendo Switch Online]]内のソフトとして配信。
[40] 문서 徳間書店「メイキング オブ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P300 インタビューより。
[41] 논문 5月10日号特別付録 ファミコンロムカセット オールカタログ 徳間書店 1991-05-10
[42] 웹사이트 日本ユニ著作権センター【事件名】ゲームソフト「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FE)事件」 https://www.translan[...]
[43] 문서 サブタイトル「暗黒竜と光の剣」の「剣」の部分の読み方については、テレビコマーシャルでも「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の部分しか読まれなかったため公式に提示された読み方はなく、資料により「つるぎ」と「けん」が併存していたが、ゲーム本編ではメッセージが全て[[平仮名]]と[[片仮名]]で構成されており、第14章「かなしみのだいち・グラ」でモロドフがファルシオンを「ひかりのつるぎ」と呼んでいることから、「つるぎ」という示唆的なものしか無かった。しかし、『新・暗黒竜と光の剣』ではテレビコマーシャルでも「けん」と呼んでいる(本編中のメッセージは漢字を使用、ルビ無し)。同様の事例として、『[[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封印の剣]]』と続編『[[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烈火の剣|烈火の剣]]』が前者が「ふういんの'''つるぎ'''」であるのに対して、後者は「れっかの'''けん'''」に変更されている。そのほかに、[[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漫画)|箱田版]]のドラマCDでは、タイトルが「暗黒竜と光の'''けん'''」と読まれている。また、『[[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X]]』の公式HP[https://www.smashbros.com/ スマブラ拳!!]の日本版とアメリカの英語版以外の「音楽」の隠しコンテンツ「隠しを含めた全曲リスト」では、「Hikari no Ken」と表記されている。[http://www.nintendo.co.uk/NOE/en_GB/games/nds/fire_emblem_shadow_dragon_10089.html 欧州版『新・暗黒竜』公式サイト]の「Media」のコンテンツから「Video」での『暗黒竜』の紹介においては、「Tsurugi」と表記されている。「Nintendo Direct 2015.4.2」での「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0」の紹介では「けん」と読んでいる。
[44] 문서 第二次惑星開発委員会『PLANETS』2010年Vol.7「特集 ゲーム批評の三角形(トライフォース)」P50「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より。
[45] 문서 復活の杖オームを使用することにより、特定のマップで1名のみ復活させることが可能である。
[46] 문서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ザ・コンプリート「FE出生秘話」より。
[47] 서적 任天堂公式ガイドブック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百科 小学館(株) 1990-05-20
[48] 웹사이트 FC版『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が完全ローカライズ!海外ニンテンドースイッチで発売へ https://www.gamespar[...] Game*Spark 2020-10-23
[49] 웹사이트 Fire Emblem: Shadow Dragon & the Blade of Light for Nintendo Switch - Nintendo Game Details https://www.nintendo[...] Nintendo of America 2020-12-05
[50] 문서 『外伝』でもゲームの序盤では、回復で経験値が得られないが攻撃魔法(表記がゲームでは「黒魔法」。取扱説明書では「白魔法」と表記されているため)・リザイアで経験値が得ら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
[51] 문서 とくに武器レベルを上げるアイテムが極めて限定的なため、盗賊は高レベルの武器が全く使えなかった。以降作品ではある程度見直されているものの、武器レベルが固定の『聖戦の系譜』、クラスチェンジができない『封印の剣』などでは最高位の武器が使えないという名残がある。
[52] 문서 『任天堂公式ガイドブック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百科』「仲間ユニット成長率一覧表」より。
[53] 문서 『外伝』でもボスユニットの運が0は継続されているが、パラメーターに表示されてはいないが、リゲルの皇帝・ルドルフが幸運が40も上がる「天使の指輪」を装備しているため。継続はしていない。
[54] 문서 『外伝』ではキャラクター毎の初期固定数値によるシステムになっている。
[55] 서적 任天堂公式ガイドブック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紋章の謎 小学館(株) 1994-02-20
[56] 문서 全ての自軍キャラクターの出撃する順序は前のマップの順序を保つ。たとえば、A,B,Cというキャラクターが前のマップでこの順序で出撃した場合、次のマップではA,C,Bという順番は不可能、Cを2番目に配置したければ、Bの出撃を断念しなければならない
[57] 문서 進撃準備が存在する『紋章の謎』以降から。『紋章の謎』では規定数に満たなくても出撃可能、アイテムが交換可能など。『トラキア776』では『暗黒竜と光の剣』と同じ仕様で配置の変更はできなくなったがアイテムの整理は可能である。『トラキア776』以降では進撃準備で武器の購入も可能となった(『封印の剣』ハードモードと『烈火の剣』のみ不可能)。マップでの初期配置の直接変更が可能になったのは『封印の剣』以降であるが、『紋章の謎』でも出撃する順番を調整することは可能。ただし、最大人数以下の場合、制約がかかってしまう(たとえば、15人が最大出撃枠であって15人目の配置には、14人以下では配置できない)。『外伝』、『聖戦の系譜』は全員強制出撃かマップで行うため、進撃準備が存在しない。進撃準備でのアイテム(ドーピング、クラスチェンジなど)の使用は、『烈火の剣』以降可能となった。
[58] 문서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タクティクス』「COLUMN・影武者部隊の活用」より。
[59] 문서 『外伝』でも、このシステムは継承しているが、全アイテムの性能と所有できる数が『暗黒竜』とは異なっている。
[60] 문서 『外伝』ではストーリー通過に必須なマップのみに「0/40」の制限ターンが表示され、それ以外のマップではターン自体が表示されないシステムのため。
[61] 문서 この999ターン以上が表示されているFEシリーズは、『蒼炎の軌跡』『暁の女神』のみである。
[62] 문서 ただし、闘技場でパルティアを使用して戦うことはかなり厳しい。弓兵のほとんどがクラスチェンジ不可なキャラが多いうえに成長率も高くなく、対戦相手の技の数値が高く、さらに使用武器のほとんどが必殺付き武器のため。
[63] 문서 闘技場のシステムがない『外伝』『蒼炎の軌跡』『暁の女神』は除く。
[64] 문서 『外伝』ではアイテム数に制限があるため、「輸送隊」ではなくフリーマップ時に「持ち物」のコマンドから「預かる」「交換する」「受け取る」のシステムになる。また、アルム軍、セリカ軍にあるアイテムの受け渡しは「ノーマルモード」では交換数限定の「商人」を使った受け渡し。「イージーモード」ではフリーマップ時に「持ち物」のコマンドからアルム軍、またはセリカ軍からアイテムが交換できるシステムになっている。『聖戦の系譜』では特殊なシステムのため「預かり所」が復活したが、仕様は「城内限定」「個人所有のアイテムのみしか預けられない」「手数料は無料」と、『暗黒竜』とは異なっている。受け渡しも1部のアイテム除いたほとんどが、Gを消費する「中古店」でしかできない。
[65] 문서 『蒼炎の軌跡』『暁の女神』の主人公にはこのシステムは搭載されていない。
[66] 문서 『封印の剣』、『烈火の剣』のみ、ユニットとして独立した輸送隊が出撃できる。また、『トラキア776』では手数料が無料、アイテムの預かり数上限が多いものの暗黒竜に準じた預かり所が一部マップに存在する。
[67] 문서 お店のシステムがない、またはゲームシステムが他のFEシリーズとは異なる『外伝』『聖戦の系譜』は除く。
[68] 문서 『外伝』ではアイテムを購入するシステム自体が存在しないため、『紋章の謎』からの採用になる。
[69] 문서 『外伝』では盗賊ユニット自体がおらず、『紋章の謎』からこのアイテムは廃止された。また、『トラキア776』からGBAシリーズでは再び復活した。また、『聖魔の光石』では鍵が不要の盗賊の上位ユニットもいる。
[70] 문서 『蒼炎の軌跡』では武器を使って壊すこともできる。
[71] 문서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外伝#ゲーム内容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웹사이트 速報スマブラ拳!!アンケート集計拳 https://www.nintendo[...]
[76] 웹사이트 桜井政博さんが訊く『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新・暗黒竜と光の剣』 番外編「新しくなったマルス」 https://www.nintendo[...]
[77] 문서
[78] 서적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ザ・コンプリート NTT出版 1996-05-20
[79] 서적 20th Anniversary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大全 小学館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웹사이트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30周年を記念してキャラページ開設。“Switch Online FC”にスペシャルバージョンの追加も https://www.famitsu.[...] KADOKAWA 2020-04-20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90] 웹사이트 『ネトゲの嫁』座談会第4回は髙橋龍也氏&雑破業氏&福良P。特別ゲスト・高橋名人の参加で懐かしゲーム談議に? https://dengekionlin[...]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웹사이트 https://www.1101.com[...]
[95] 서적 幻影異聞録 #FE FIRST GUIDE 電撃Nintendo 2016-02
[96] 문서
[97] 웹사이트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まとめ [ファミコン]/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2018-04-28
[98] 문서
[99] 간행물 ファミコン30周年 ゲームの歴史を作った選り抜き50作 フライデーダイナマイト 2013-03-14
[100] 문서
[101] 웹사이트 『幻影異聞録♯FE』開発者インタビュー:誕生の経緯からバトル詳細、登場キャラの秘密まで!(2/3)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ファミ通 2015-07-14
[102] 서적 幻影異聞録#FE 完全攻略本 徳間書店
[103] 웹사이트 速報スマブラ拳!!アンケート集計拳 https://www.nintendo[...]
[104] 웹사이트 桜井政博さんが訊く『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新・暗黒竜と光の剣』 第2回「リニューアルされた『暗黒竜と光の剣』」 https://www.nintendo[...]
[105] 서적 桜井政博のゲームについて思うこと DX Think about the Video Games3 エンターブレイン
[106] 서적 エンターブレイン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暁の女神 パーフェクトガイドブック 「FE信者に贈る! おいらと『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と17年(空白あり)」より。
[107] 간행물 [[ファミ通]] 2007年11月2日号「あの人のセレクトはコレ! 未来に伝えたいゲーム」
[108] 간행물 [[ニンテンドードリーム|Nintendo DREAM]] 2008年11月号「ファミコン25周年連続企画 ファミコンと僕と思い出の一品~[[高橋名人]]&岡本吉起さん対談~」
[109] 웹인용 파이어 엠블렘 월드 - HISTORY https://www.nintendo[...] 닌텐도 2020-11-09
[11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s.famitsu.co[...] 2020-10-31
[111] 웹인용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ワールド 【FIRE EMBLEM WORLD】 – Series https://www.nintendo[...] Fire Emblem World 2015-07-17
[112] 웹인용 社長が訊く『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新・紋章の謎 ~光と影の英雄~』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0
[113] 웹인용 Original Fire Emblem Being Localized For The First Time Ever December 4 https://www.nintendo[...] NINWR, LLC 2020-10-22
[114] 웹인용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Wii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6-10-21
[115] 웹인용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3DS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6-10-21
[116] 웹인용 バーチャルコンソールWii U –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 暗黒竜と光の剣 https://www.nintendo[...] Nintendo 2016-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