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팡족은 베티-파후인족에 속하는 민족으로, 카메룬 남부,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 남부에 걸쳐 분포한다. 팡족은 팡족, 엔투무족, 므바에족, 오칵족으로 구성되며, 전통적으로 자급자족 농업을 기반으로 생활하며, 카사바, 옥수수 등을 재배한다. 대부분 기독교화되었지만, 전통 종교와 문화를 유지하며, 부계 혈족 사회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민족 - 카누리족
카누리족은 니제르 남동부, 나이지리아 북동부, 카메룬 북부에 거주하며 카네므-보르누 제국을 건설한 니로-사하라어족 집단으로,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고 카누리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카메룬의 민족 - 풀라족
풀베족은 서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스스로를 풀베족이라 부르지만 풀라니족, 풀라족 등으로도 불리는 민족으로,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목축을 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민담을 지니고 이슬람교를 믿지만 일부 전통 종교의 영향도 남아있고, 토지 및 자원 분쟁으로 갈등을 겪기도 한다.
| 팡족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다른 이름 | 베티-팡족 |
| 주요 거주 지역 | 카메룬 콩고 공화국 가봉 적도 기니 상투메 프린시페 |
| 인구 | 약 400만 명 |
| 언어 | 베티-파후인어 |
| 하위 민족 | 베네족 불루족 팡족 음베레족 은툼족 오카크족 |
| 문화 | |
| 종교 | 기독교 토착 신앙 |
| 음악 | 무비쿠 |
| 관련 민족 | |
| 관련 민족 | 바카족 코타족 바르케족 |
| 팡족 (본 문서) | |
| 거주 지역 | 카메룬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 상투메 프린시페 |
| 주요 거주 지역 | 숲 지역 |
| 언어 | 팡어 |
| 하위 민족 | 오케족 메카족 음베족 은탐족 예이족 |
| 역사 | |
| 19세기 | 대규모 이주 |
| 식민 통치 | 프랑스 스페인 독일 |
| 카메룬 | 독일령 카메룬 |
| 가봉 | 프랑스령 |
| 적도 기니 | 스페인령 |
| 문화 | |
| 농업 | 카사바, 얌, 바나나 재배 |
| 전통 가옥 | 숲 속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 |
| 예술 | 조각 목공예 가면 |
| 사회 | |
| 사회 구조 | 씨족 중심 사회 |
| 종교 | |
| 전통 종교 | 조상 숭배 |
| 기독교 | 상당수 개종 |
| 언어 | |
| 방언 | 다양한 방언 존재 |
| 기타 | |
| 관련 링크 | 팡족(영어 위키백과) 팡족(프랑스어 위키백과) |
2. 분포 및 하위 집단
베티-파후인족은 20개가 넘는 개별 씨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메룬의 사나가 강 북쪽에서 적도 기니, 가봉 북부, 콩고 남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살고 있다. 서쪽으로는 대서양, 동쪽으로는 자 강까지 뻗어 있는 숲과 구릉 지대가 이들의 주요 거주 지역이다. 베티-파후인족은 크게 베티족, 팡족, 불루족 등으로 나뉜다.
2. 1. 베티족
베티족으로 분류되는 첫 번째 집단은 '''에원도족'''(좀 더 정확하게는 '''콜로족'''), '''바네족''', '''방족'''(좀 더 정확하게는 '''엠방족'''), '''엠비다-엠바네족''', '''므보그-녠게족''', '''브랑족'''(좀 더 정확하게는 '''브랑족''' 또는 '''브롱족'''), 그리고 '''에톤족'''(또는 '''이톤족''')으로 구성된다. 에톤족은 다시 '''에톤-베티족''', '''에톤-벨루아족''', 그리고 '''벨루아-에톤족'''으로 세분된다.에원도족 또는 야운데족은 카메룬의 수도 야운데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도시 이름은 이들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동부 메푸 주와 므펀디 주 및 녠용과 소 주 그리고 중부 주에도 거주한다. 나머지 영토는 남부 주의 오세앙 주 북부에 있다. 이들의 언어(또는 베티 방언)는 에원도어라고도 불리며, 1982년 기준으로 약 1,200,000명의 화자가 있는 카메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베티어이다. 이 언어는 야운데와 카메룬 중부 및 남부 주의 대부분 지역에서 공용어 역할을 한다.
에톤족은 주로 카메룬 중부 주의 레키 주에 거주하며, 사아와 오발라에 주요 정착지가 있다. 그들은 에톤어 또는 방언을 사용하며, 1982년에는 500,000명의 화자가 있었다.[1]
2. 2. 팡족
팡족(또는 판족)은 두 번째 집단을 형성한다. 개별 민족 집단으로는 '''팡족''' 자체, '''엔투무족''', '''므바에족''', 그리고 '''오칵족'''이 있다. 팡족의 거주지는 카메룬 남부 주의 크리비, 쥬움(Djoum), 므방간(Mvangan) 남쪽에서 시작하여 국경을 넘어 남쪽으로 이어지며, 적도 기니의 리오 무니 전체와 가봉 및 콩고 남부까지 포함된다.[1]
2. 3. 기타 집단
여러 다른 민족들이 현재 베티-파후인 이웃들에 의해 동화되거나 "파후인화"되고 있다. 여기에는 망기사(Manguissa), 예카바(Yekaba), 밤벨레(Bamvele), 에부족(Evuzok), 바찬가(칭가)(Batchanga (Tsinga)), 옴방(Omvang), 예투데(Yetude) 그리고 어느 정도 바카가 포함된다.[1]3. 사회와 문화
베티-파후인족은 부계 혈족을 따르지만, 일부는 과거 모계를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2] 그 결과 오늘날에도 외삼촌과 조카 사이에 강한 유대감을 볼 수 있다.[2][3] 가족(남편, 아내 또는 여러 아내, 그리고 자녀)이 이 시스템의 중심이며, 공통 조상을 가진 여러 가족이 마을에 함께 살고, 여러 관련 마을이 씨족을 형성한다. 씨족은 명목상의 수장이 지배하며, 수장은 전통적으로 종교적 권위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베티-파후인족은 대부분 수백 명이 채 안 되는 소규모 길가 마을에 거주한다. 마을은 선형으로, 집들은 도로와 평행하게 지어지고 숲에 둘러싸여 있다. 전형적인 주택은 대나무 골조 위에 진흙 벽돌로 짓고 라피아 야자 잎으로 지붕을 덮는다. 최근에는 금속 지붕이 일반화되었고, 부유한 사람들은 콘크리트로 집을 짓기도 한다.
베티-파후인족의 영토에는 독일인이나 프랑스인이 건설한 여러 개의 큰 도시들도 포함된다. 이곳의 정착지는 거리망, 다양한 지역 사회, 중앙 행정 또는 상업 지구를 갖춘 유럽식 양식에 가깝다.
3. 1. 생계 및 경제
대부분의 팡족 사람들은 농촌 생활을 한다. 주식 작물은 카사바와 옥수수이며, 플랜테인, 야마, 땅콩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Ewondo" 및/또는 "Yaoundé"는 "땅콩"을 의미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땅을 의미한다. 다양한 산림 부산물(예: 잎채소, 곤충, 버섯, 다양한 야자 제품)이 식단을 보충한다. 가축은 염소, 돼지, 닭과 같이 방목하는 데 방치될 수 있는 작은 동물로 제한된다.이러한 가축들은 일반적으로 장례식이나 신정과 같은 특별한 경우에만 잡아 먹는다. 대신, 일 년 내내 주요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은 부시미트(천산갑, 호저, 원숭이와 같은 야생 동물)로, 정글 사냥꾼들이 가져온다. 마찬가지로, 낚시는 특히 적도 기니와 상투메 프린시페에서 많은 베티-파후인 사람들의 삶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당수의 베티-파후인 사람들은 적도 기니, 가봉, 카메룬 남부 지역에 산재한 코코아 농장에 종사한다. 이들 대부분은 그들의 영토에 가장 많은 농장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불루족이나 팡족이다. 반대로 북쪽에 있는 에원도족은 환경이 훨씬 도시화되어 있기 때문에 종종 비숙련 노동자로 일자리를 찾는다. 많은 베티-파후인 사람들은 목재, 상아, 비누돌 분야에서 매우 숙련된 노동자였다. 그들은 특히 활기찬 가면으로 유명했다.
4. 종교
대부분의 팡족은 1939년까지 기독교화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전통 문화, 특히 토착 무용과 노래의 많은 부분이 사라졌다.[1] 식민지 시대가 끝난 후, 브위티 종교와 같은 전통 종교가 부활하였고,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과 무용이 꽃을 피웠다.[1]
오늘날 많은 팡족은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여기며 일요일에 교회에 가지만, 그 주의 다른 시간에는 여러 비밀결사에 참석하거나 전통 의료인을 찾기도 한다.[1]
5. 언어
일부 팡족 사람들은 자국 공용어인 적도 기니의 스페인어(아노본어는 아노본에서 사용), 카메룬, 적도 기니, 가봉의 프랑스어, 상투메 프린시페의 포르투갈어(앙골라어, 프린시페어, 포로어) 그리고 카메룬의 영어를 말하거나 이해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Eton: A Language of Camero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11-07-28
[2]
서적
Les seigneurs de la forêt: essai sur le passé historique, l'organisation sociale et les normes éthiques des anciens Beti du Cameroun
https://books.google[...]
Editions L'Harmattan
2009
[3]
학술지
Condition des femmes dans la région cacaoyère du Cameroun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