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시아 왕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시아 왕도는 페르시아 제국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했던 고대 도로이다. 다리우스 1세 때 정비되어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아시리아 시대에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르디스에서 시작하여 니네베, 바빌론을 거쳐 수사, 페르세폴리스로 이어지는 주요 경로를 통해 장거리 교역을 증진시켰다.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의 전령의 신속성을 칭찬했으며, 유클리드는 기하학 학습에 왕도가 없다고 말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 - 아케메네스 제국
    키루스 2세가 건설한 아케메네스 제국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이집트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며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 사트라프를 통한 지방 통치, 조세 및 화폐 제도 정비, 관용 정책 등을 시행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반란으로 쇠퇴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멸망했다.
  • 페르시아 - 발흐
    발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고대 도시로, 인도-이란 민족이 건설한 최초의 도시 중 하나이며, 조로아스터교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인 도시이다.
  • 비단길 - 페르가나
    페르가나는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1875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석유 생산과 섬유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다.
  • 비단길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페르시아 왕도
개요
이름왕도 (王道)
다른 이름페르시아 왕의 길
로마자 표기Wangdo
역사
건설 시기다리우스 대왕 시대
재건 및 확장다리우스 대왕
이전 도로고대 도로망 재정비
기원아케메네스 왕조 시대
경로 및 특징
총 길이약 2,699km (1,677 마일)
주요 경로수사 - 사르디스
연결 지역수사
파사르가다에
페르세폴리스
엑바타나
바빌론
니네베
하란
사르디스
역참도로 곳곳에 역참 설치
도로 안전왕도 전 구간에 걸쳐 안전 보장
기능 및 중요성
주요 기능신속한 정보 전달
군대 이동
무역 활성화
정보 전달말을 탄 전령을 통해 신속한 정보 전달
군사적 중요성군대의 신속한 이동 지원
경제적 중요성무역과 상업 활성화
도로 관리효율적인 도로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기타
관련 인물다리우스 대왕
참고 사항헤로도토스의 기록

2. 역사적 배경

도로가 페르시아 제국의 중요 도시간의 가장 쉬운 경로를 따르지 않으므로 고고학자들은 도로의 서쪽부분은 원래 아시리아 왕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도로가 고대제국의 중심 도시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이다.[5] 도로의 약간 동쪽 부분은(현재 이란 북부) 실크로드로 알려진 주요 교역 경로와 일치한다.[5]

그러나 다리우스 1세는 도로 토대를 개선하고 통합된 전체의 도로에 부분들을 연결하여 오늘날에 인지되는 주로 왕국의 교역 또는 전령을 사용하는 통신의 빠른 모드로서 왕도를 건설하였다.[5] 다리우스에 의해 개선된 도로 건설은 고대 로마에 계속 사용될 정도의 품질을 지녔다. 고르디온에서 발견된 도로를 보면 로마인은 도로를 6.25m폭의 자갈로 포장해 2,700km에 달하는 거리를 연결했다. 디야르바키르에 있는 다리는 아직도 터키에 남아있다.[5]

이 도로는 페르시아가 장거리 교역을 증가시키도록 도왔다. 그것은 마케도니아 왕국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기에 최고조에 도달했다.[5]

2. 1. 페르시아 제국 시대

다리우스 1세는 기존 도로망을 정비하고 연결하여 왕의 길을 완성했다.[5][6] 왕의 길은 왕실의 전령(피라다지스)이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수단으로 주로 활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역참 제도가 운영되었다.[6] 다리우스 1세의 도로 정비 사업은 고대 로마 시대까지 도로가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수준의 토목 기술을 보여주었다.[5][6] 터키 디야르바키르에는 이 시대에 건설된 다리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페르시아 왕도는 페르시아 제국의 장거리 교역 증진에 기여했으며,[5] 이러한 교역은 마케도니아 왕국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기에 최고조에 달했다.[5] 왕도는 원래 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건설되었을것으로 추정되는데, 페르시아 제국의 중요 도시를 잇는 최단 경로나 가장 쉬운 경로가 아니고, 아시리아 제국의 심장부를 관통하기 때문이다.[5] 도로의 동쪽 부분은 실크로드로 알려진 주요 교역 경로와 일치한다.[5]

2. 2. 페르시아 제국 이후

아시리아 왕들이 건설한 "왕의 길"은 실크로드와 일부 일치하는 등, 다리우스 1세에 의해 정비된 이후에도 고대 로마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터키의 디야르바키르에는 당시 건설된 다리가 현존하고 있다.

3. 경로

도로의 경로는 헤로도토스의 저술,[4] 고고학 연구 및 기타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었다. "왕의 길"이 실제로 어떤 지리적 경로를 따라 주행했는지에 대해서는 헤로도토스의 기술, 고고학 연구, 그리고 기타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되었다. 공도는 현대 터키의 이즈미르 동쪽 약 97km 떨어진 사르디스 서쪽에서 시작하여, 오늘날 터키 중북부에 해당하는 지역을 통과해 서쪽으로 주행하고, 고대 아시리아의 수도 니네베(현대 이라크모술)에 도달한 후, 거기에서 더 남쪽으로 뻗어 바빌론(현대 이라크의 바그다드)으로 이어졌다.

바빌론 근처에서 두 개의 경로로 분기되어, 한쪽은 북동쪽으로 주행하여 거기에서 동쪽으로 나아가 엑바타나를 통과하여 실크로드로 연결되었다. 다른 경로는 그대로 동쪽으로 나아가, 후에 페르시아 제국의 수도가 된 수사(오늘날 이란에 위치)를 통과하여 남동쪽으로 달려 페르세폴리스에 이르렀다고 여겨진다.

3. 1. 서쪽 구간

헤로도토스의 기술, 고고학 연구, 기타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된 "왕의 길"은 서쪽의 사르디스(터키 이즈미르 동쪽 약 97km 지점)에서 시작하여 터키 중북부를 통과해 동쪽으로 뻗어 고대 아시리아의 수도 니네베(현대 이라크 모술)를 경유한다.

3. 2. 동쪽 구간

헤로도토스의 기술, 고고학 연구 및 기타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복원된 "왕의 길"은 고대 아시리아의 수도 니네베(현대 이라크모술)에서 남쪽으로 뻗어 바빌론(현대 이라크의 바그다드)으로 이어졌다. 바빌론 근처에서 두 개의 경로로 분기되는데, 한쪽은 북동쪽으로 주행하여 엑바타나를 통과하여 실크로드로 연결되었다. 다른 경로는 동쪽으로 나아가 페르시아 제국의 수도가 된 수사(오늘날 이란에 위치)를 통과하여 남동쪽으로 달려 페르세폴리스에 이르렀다고 여겨진다.

4. 문화적 유산 및 일화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 페르시아의 전령보다 더 빨리 여행하는 것은 세상에 없다"고 기록했다. 헤로도토스는 이 전령에 대해 "눈, 비, 열, 어둠도 이 전령들이 정해진 길을 신속하게 완수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고 칭찬했는데, 이 문구는 뉴욕의 제임스 펄리 우체국에 새겨져 있으며 때때로 미국 우편 서비스의 신조로 여겨진다.

유클리드는 수학 학습에 더 쉬운 길이 없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이집트 왕의 질문에 "기하학을 배우는 데 왕도는 없다"라고 대답했다고 전해진다. 이 격언은 소프트웨어 공학에 관해 프레데릭 브룩스가 언급한 "왕도는 없지만, 길은 존재한다"라는 현대적인 표현에서도 활용되었으며, 이는 은탄환은 없다 (No Silver Bullet)라는 수필에서 인용되었다.

4. 1. 왕도(Royal Road)의 상징적 의미

유클리드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창시자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기하학을 더 쉽게 배우는 방법에 대한 물음에 "파라오이시여, 기하학으로의 왕도는 없사옵니다." 라고 대답하였다고 한다.[8] 같은 문장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답한 메나이크모스에게도 귀속된다.[9] 이는 학문에는 쉬운 길이 없음을 강조한 것이다.

찰스 샌더스 퍼스는 그의 저서 ''s:How to Make Our Ideas Clear''(1878)에서 "논리에는 왕도가 없으며, 진정으로 가치 있는 아이디어는 주의 깊은 노력을 들여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꿈을 "무의식으로 가는 왕도" (''Via regia zur Kenntnis des Unbewußtende|비아 레기아 추어 켄트니스 데스 운베부슈텐'')라고 칭했다. 카를 마르크스자본론 (제1권)의 1872년 프랑스어판 서문에서 "과학에는 왕도가 없으며, 그 가파른 길의 고된 등반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만이 그 빛나는 정상에 오를 기회를 얻는다"라고 썼다.

''로맨스로 가는 왕도''(The Royal Road to Romance)(1925)는 안도라에서 앙코르까지 젊은 시절의 세계 여행을 다룬 리처드 할리버튼의 첫 번째 저서이다. 프레데릭 브룩스는 소프트웨어 공학에 관해 "왕도는 없지만, 길은 존재한다"라는 현대적인 표현을 사용했으며, 이는 은탄환은 없다 (No Silver Bullet)라는 수필에서 인용되었다.

5. 한국에의 시사점

참조

[1] 서적 Continuity & Change: Proceedings of the Last Achaemenid History Workshop 1990 http://www.nino-leid[...] Nederlands Instituut voor het Nabije Oosten
[2] 서적 Alexander the Great Penguin
[3] 서적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
[4] 간행물 Histories
[5] 논문 The Royal Road in Herodotus
[6] 논문 Gordion on the Royal Road
[7] 논문 The Campaign of 1955 at Gordion: Preliminary Report
[8] 서적 Yearbook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2
[9] 문서 Proclus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Menaechmus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11] 간행물 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