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보스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보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공포의 신으로,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자 데이모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 그는 주로 아버지 아레스의 조력자로서 전투에서 혼란을 야기하며, 여러 문헌에서 묘사된다. 스파르타에서는 포보스를 숭배하는 신전이 존재했으며, 아가멤논의 방패에도 묘사되었다. 1877년에는 화성의 위성 두 개가 발견되었고, 그 중 하나가 포보스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공포증'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phobia'는 포보스에서 유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포의 신 - 에리니에스
    에리니에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복수의 여신들로, 무례함에 대한 불만을 듣고 범죄자를 추적하여 처벌하는 역할을 하며 로마 신화의 푸리에 또는 디라에와 대응되고,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서는 에우메니데스(자비로운 여신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 공포의 신 - 세베크
    세베크는 고대 이집트 신으로 악어 머리를 하고 있으며, 파이윰 지역을 중심으로 숭배받았고, 오시리스와 호루스를 돕는 역할로 묘사되며 악어 미라를 만들거나 살아있는 악어를 숭배하는 특징을 보인다.
  • 아프로디테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프로디테의 자식 - 하르모니아
    하르모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카드모스의 아내이자 저주받은 목걸이와 관련된 비극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이다.
  • 사자의 남신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사자의 남신 - 호루스
    호루스는 매의 머리를 가진 고대 이집트 신화의 하늘의 신으로, 아버지 오시리스의 복수를 위해 세트와 싸워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었으며, 그의 눈은 보호와 왕권을 상징하고 파라오는 그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포보스 (신화)

2. 신화

포보스는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서 아레스아프로디테의 아들이자 데이모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로 묘사된다.[4] 그는 주로 아버지 아레스를 도와 전투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역할을 했다. 『일리아스』에서는 여신 에리스(불화) 및 형제 데이모스(공포)와 함께 아버지를 따라 전투에 참여했고, 헤시오도스의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는 헤라클레스에게 부상을 입은 아레스를 전장에서 옮기기도 했다.[5]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 제우스는 포보스에게 번개를, 데이모스에게 천둥을 주어 티폰을 겁주게 했으며,[6] 이 작품의 후반부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의 전차부대로서 디오니소스인도인들 간의 전쟁에서 아레스와 함께 싸웠다.[7] 스테시코루스에 따르면, 아레스의 아들 퀴크노스는 포보스(공포)에게 바치는 사원을 해골로 짓기 위해 지나가는 사람들을 참수했다고 한다.[9]

2. 1. 기원 및 가족 관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포보스는 아레스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데이모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4] 그는 주로 아버지의 조력자 역할로 등장하며, 전투에서 혼란을 야기한다. 『일리아스』에서 그는 여신 에리스(불화)와 그의 형제 데이모스(공포)와 함께 그의 아버지를 따라 전투에 참여했다.

아이스킬로스의 『테바이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에서 일곱 전사는 검은 방패 위에서 황소를 죽이고 나서 "...손으로 황소의 피를 만지며 아레스, 에니오, 그리고 파멸 [포보스]를 두고 맹세했다."[8]

군신 아레스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아들인 포보스는 데이모스 (공포)와 하르모니아 (조화), 에로스와 형제 관계이다. 그는 형제인 데이모스, 숙모 에뉘오 (전쟁), 때로는 숙모 에리스 (분쟁, 불화)와 함께 항상 아레스에게 종속되어 전장을 누볐다고 한다.

포보스는 원래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등장하는 공포의 의인화이다.

영어 '''포비아''' (Phobia, 공포, 공포증으로 번역)의 어원이 되었다. 또한, 아사프 홀화성의 두 위성을 발견했을 때, 포보스 (포보스)와 데이모스 (다이모스)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2. 역할 및 묘사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포보스는 아레스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데이모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4] 그는 주로 아버지의 조력자 역할로 등장하며, 전투에서 혼란을 야기한다. 『일리아스』에서 그는 여신 에리스(불화)와 그의 형제 데이모스(공포)와 함께 그의 아버지를 따라 전투에 참여했다. 헤시오도스의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와 함께 전투에 참여하여, 그가 헤라클레스에게 부상을 입자 그를 전장에서 옮겨간다.[5]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 제우스는 포보스에게 번개를, 데이모스에게 천둥을 주어 티폰을 겁주게 한다.[6] 이 작품의 후반부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의 전차부대로서 신 디오니소스인도인들 간의 전쟁에서 그와 함께 싸운다.[7]

아이스킬로스의 『테바이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에서 일곱 전사는 검은 방패 위에서 황소를 죽이고 나서 "...손으로 황소의 피를 만지며 아레스, 에니오, 그리고 파멸 [포보스]를 두고 맹세했다."라고 묘사된다.[8] 스테시코루스에 따르면, 아레스의 아들 퀴크노스는 "...포보스(공포)에게 바치는 사원을 해골로 짓기 위해 지나가는 이방인들을 참수했다."라고 묘사된다.[9]

헤시오도스는 헤라클레스의 방패에 포보스를 "…불꽃으로 타오르는 눈으로 뒤를 돌아보고 있었다. 입에는 하얀 이빨이 가득했고, 무섭고 으스스했다…"라고 묘사했다.[10]

포보스는 종종 사자 또는 사자 같은 머리를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 이는 파우사니아스의 『그리스 묘사』에서 볼 수 있는데, "아가멤논의 방패에는 머리가 사자인 포보스(공포)가 있다…"라고 묘사되어 있다.[11]

군신 아레스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형제로는 데이모스 (공포)와 하르모니아 (조화)가 있다. 또한, 에로스와도 형제 관계이다. 형제인 데이모스, 숙모 에뉘오 (전쟁), 때로는 숙모 에리스 (분쟁, 불화)와 함께 항상 아레스에게 종속되어 전장을 누볐다고 한다.

원래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등장하는 공포의 의인화이다.

영어 '''포비아''' (Phobia, 공포, 공포증으로 번역)의 어원이 되었다. 또한, 아사프 홀화성의 두 위성을 발견했을 때, 포보스 (포보스)와 데이모스 (다이모스)의 형제에게 이름을 붙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3. 숭배

플루타르크는 스파르타에 포보스의 신전이 있었으며, 죽음(타나토스)과 웃음(겔로스)을 위한 신전도 함께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스파르타인들이 공포를 국가를 하나로 묶는 긍정적인 힘으로 존중했다고 주장했다.[12] 파우사니아스로마 제국 시대에 포보스에게 바쳐진 신전이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했다.[12]

3. 『일리아스』에서의 등장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포보스데이모스가 등장하는 구절이 많이 있다.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호메로스, 《일리아스》 11. 36절 이하: "[...] (아가멤논의 방패) [...] 그 위에는 데이모스(공포)와 포보스(두려움)가 새겨져 있었다."[1]
  • 호메로스, 《일리아스》 15. 119절 이하: "그(아레스)는 말하고 데이모스(공포)와 포보스(두려움)에게 자신의 말들을 마구에 채우라고 명령했고, 자신은 빛나는 갑옷을 입었다."[2]

4. 역사적 언급

플루타르크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 3세는 가우가멜라 전투 전날 밤 포보스에게 제물을 바쳤다(아마도 다리우스 3세가 공포에 사로잡히도록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13] 메리 르노는 이를 알렉산드로스가 다리우스 3세에 대해 펼친 심리전의 일환이라고 믿었다.[13] 다리우스 3세는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도망쳤는데, 이는 알렉산드로스 3세가 포보스에게 기원한 것이 전술적으로 성공한 것처럼 보이게 했다.[13]

포보스는 아가멤논의 방패에 있는 킵셀루스의 흉상에 묘사되었다.[13]

5. 천문학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은 1877년에 화성의 두 위성 포보스데이모스를 발견했다. 홀은 포보스를 두 위성 중 더 큰 위성으로 명명했다.[14]

6. 심리학

"공포증"이라는 단어는 비합리적인 두려움을 의미하는 Φόβος|포보스grc에서 유래되었다.

참조

[1] 서적 Beekes, s.v. φέβομαι
[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 논문 Personification as a Mode of Greek Thought http://dx.doi.org/10[...] 1954-01-01
[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Gantz
[5]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perseus.[...]
[6] 서적 Dionysiaca
[7] 서적 Dionysiaca
[8] 서적 Seven Against Thebes https://www.perseus.[...]
[9] 문서 Fragment 207
[10]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perseus.[...]
[11]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12] 간행물 Greek cults of deified abstractions University of London 1994
[13] 간행물 The Shield Devices of the Greeks Harvard U 1902
[14] 논문 Names of the Satellites of Mars https://zenodo.org/r[...]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