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큐피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큐피드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랑과 욕망을 상징하는 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에로스에 해당한다. '큐피드'라는 이름은 '열정적인 욕망'을 의미하는 라틴어 'Cupīdō'에서 유래되었으며, 비너스의 아들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큐피드는 날개, 화살, 횃불 등의 속성을 가지며, 금 화살은 욕망을, 납 화살은 혐오감을 불러일으킨다고 전해진다. 큐피드는 종종 돌고래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중세 시대에는 '음행의 악마'로 여겨지기도 했다. 큐피드와 프시케의 이야기는 큐피드가 프시케와 사랑에 빠져 겪는 시련과 결혼을 다루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랑의 남신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랑의 남신 - 안테로스
    그리스 신화에서 안테로스는 사랑의 신으로, 상호적인 사랑을 상징하며 외로운 에로스의 형제로 묘사되고 런던 피카딜리 서커스 분수 조각상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 로마 남신 - 유피테르
    유피테르는 로마 신화에서 천둥, 번개, 하늘 등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으로, 로마 국가의 수호신이자 정치 및 종교 체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존재였다.
  • 로마 남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큐피드
일반 정보
활을 든 에로스
활을 든 고전 시대 큐피드 조각상
역할욕망, 에로틱한 사랑, 매력, 애정의 신
그리스어 상응에로스
힌두교 상응카마데바
신화적 정보
배우자프시케
부모마르스와 베누스
자녀볼룹타스
탈것돌고래
이름
로마자 표기Cupīdō (쿠피도)
다른 이름Amor (아모르)
애칭Amorini (아모리니)

2. 어원

'큐피드(Cupīdō)'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열정적인 욕망'을 의미하며, '욕망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cupiō', 'cupĕre'에서 유래했다. 이는 다시 '욕망하다'라는 뜻의 원시 이탈리아어 '*kup-i-', '*kup-ei-'를 거쳐, '떨다, 욕망하다'라는 뜻의 인도유럽조어 동사 어근 '*kup-(e)i-'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kup-(e)i-'와 관련된 단어로는 고대 아일랜드어의 'accobor'(욕망), 산스크리트어의 'prá-kupita-'(떨림, 떨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kypĕti'(끓다, 끓어오르다) 등이 있다.

3. 기원과 탄생

큐피드는 그리스 신화에로스에 해당하며,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문학과 예술에서 에로스의 신화와 개념을 재해석했다. 중세르네상스 시대의 신화학자들은 두 신을 자유롭게 혼합하기도 했다.[3] 그리스 전통에서 에로스는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계보를 가진다. 그는 무성적으로 존재하게 된 원시 신들 중 하나였으며, 그의 탄생 이후 신들은 남성과 여성의 결합을 통해 탄생하였다.[4]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카오스가이아(대지)만이 더 오래되었다. 성별의 이분법이 존재하기 전에 에로스는 존재들이 이미 가지고 있던 것에서 자신을 분리시키는 원인이 되었다.[4]

동시에 소년이나 날씬한 청년으로 묘사된 에로스는 신성한 부부의 자식으로 여겨졌는데, 그 부모의 신원은 출처에 따라 다양했다. 영향력 있는 르네상스 신화학자 나탈레 콘티는 큐피드/에로스에 관한 장을 시작하면서 그리스인들조차 그의 부모에 대해 확신하지 못했다고 선언했다. 그의 부모는 천국과 지구,[5] 아레스아프로디테,[6] 닉스(밤)와 아이테르(에테르),[7] 또는 이리스(무지개)와 제피로스(서풍)였다.[8] 그리스 여행 작가 파우사니아스는 한 지점에서는 에로스가 아프로디테를 세상에 맞이했다고 말하고, 다른 지점에서는 에로스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자 가장 어린 신이라고 말하며 모순된다고 지적한다.[9]

예술에서 즐겁게 노는 여러 큐피드들은 이렇게 증가하는 사랑과 욕망의 장식적인 표현이다. 영국 르네상스 시대에 크리스토퍼 말로는 "만 개의 큐피드"에 대해 썼고, 벤 존슨의 결혼 마스크인 ''히메나이''에서는 "천 개의 다채로운 사랑들이 ... 결혼식 방 주변을 뛰어다닌다".[12] 원시적 에로스와 성적으로 잉태된 에로스 사이의 이중성은 기독교 시대에도 천상의 사랑과 지상의 사랑이라는 철학적 개념을 수용하였다.[14]

''큐피드가 활을 만드는 모습'' (1620년대) 프랑수아 뒤케누아 작, 베를린 보데 박물관

3. 1. 부모

라틴 문학에서 큐피드는 일반적으로 아버지에 대한 언급 없이 비너스의 아들로 다루어진다. 세네카는 비너스의 남편인 불카누스가 큐피드의 아버지라고 말한다.[10] 키케로는 세 명의 비너스와 세 명의 큐피드가 있다고 주장했는데, 첫 번째 큐피드는 메르쿠리우스디아나의 아들이었고, 두 번째는 메르쿠리우스와 두 번째 비너스의 아들이었으며, 세 번째는 마르스와 세 번째 비너스의 아들이었다. 이 마지막 큐피드는 사랑의 여러 측면을 구현하는 에로테스 신들 중 하나인 안테로스("반대의 사랑")와 동일시되었다.[11]

후기 고전 전통에서 큐피드는 대부분 사랑과 전쟁의 풍유를 나타내는 연애 관계인 비너스와 마르스의 아들로 여겨진다.[13]

4. 속성 및 테마

큐피드는 연인들의 변덕스러운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날개를 달고, 사랑의 비이성적인 면모를 상징하기 위해 소년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큐피드의 대표적인 상징은 화살과 횃불인데, 이는 "사랑은 마음에 상처를 주고 불을 지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5] 이러한 속성과 해석은 이시도루스가 그의 저서 ''어원학(Etymologiae)''에서 요약한 것처럼 고대 후기에 확립되었다.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눈가리개를 한 큐피드(1452/66)


큐피드는 때때로 눈가리개를 하고 맹인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는 사랑의 편협하고 임의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셰익스피어는 ''한여름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에서 이와 관련하여 묘사하기도 했다.[16] 보티첼리의 ''봄의 환상곡''(1482)에서 큐피드는 눈가리개를 하고 화살을 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비너스 위에 위치해 있다.[18]

고대 로마 예술에서 큐피드는 과일, 동물, 계절이나 포도주 신 디오니소스(Dionysus)의 속성을 지니거나 그 속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지구의 생산 능력을 상징한다.[19] 큐피드는 힌두교의 신 카마와 유사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0]

보석이나 다른 유물에서 큐피드는 굴렁쇠 굴리기, 다트 던지기, 나비 잡기, 요정과 장난치기 등 성인의 놀이를 즐기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종종 어머니(주로 비너스)와 함께 나팔을 불거나, 장난기 많은 성격 때문에 어머니에게 꾸중을 듣거나 매를 맞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투구를 쓰고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은 베르길리우스의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Omnia vincit amor)"를 언급하거나, 사랑을 위한 전쟁, 또는 전쟁으로서의 사랑에 대한 풍자로 해석된다.

전통적으로 큐피드는 고전 예술 양식에 따라 나체로 묘사되었지만, 현대적인 묘사에서는 기저귀, 띠, 날개를 착용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
  • -]--]--
  • ---

4. 1. 큐피드의 화살

큐피드는 두 종류의 화살을 가지고 다닌다. 하나는 날카로운 금촉이 달린 화살로, 이 화살에 맞은 사람은 억누를 수 없는 욕망에 사로잡힌다. 다른 하나는 뭉툭한 납촉이 달린 화살로, 이 화살에 맞은 사람은 혐오감을 느껴 도망치기만을 원한다.[21] 이러한 화살의 사용은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잘 묘사되어 있다. 아폴론이 큐피드를 덜 뛰어난 궁수라고 놀리자, 큐피드는 아폴론에게 금촉 화살을 쏘고, 아폴론이 욕망한 님프 다프네에게는 납촉 화살을 쏘았다. 아폴론의 원치 않는 구애에 갇힌 다프네는 페네우스에게 기도하여 월계수로 변하게 된다.[21]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1세에게 귀속된 『왕의 서사시』에는 큐피드가 세 종류의 화살을 가지고 있다는 변형된 이야기가 나온다. 금화살은 가벼운 상처를, 은화살은 더 강렬한 사랑의 상처를, 강철 화살은 결코 치유되지 않는 사랑의 상처를 낸다.[23]

4. 2. 큐피드와 벌

루카스 크라나흐 구세의 ''꿀을 훔친 큐피드''


꿀을 훔친 큐피드 이야기에서, 어린 큐피드는 벌집에서 꿀을 훔치다 벌에 쏘인다. 그는 울면서 어머니 비너스에게 달려가, 그렇게 작은 생물이 그렇게 고통스러운 상처를 입힐 수 있다고 불평한다. 비너스는 웃으며, 큐피드 또한 작지만 사랑의 침을 놓는다고 지적한다.

이 이야기는 기원전 3세기 테오크리토스의 19번째 목가에서 에로스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되었다.[24] 르네상스 시대에 걸쳐 예술과 시에서 여러 번 다시 이야기되었다. 이 주제는 에드먼드 스펜서의 ''아모레티'' 시집(1595)의 결론을 맺었고,[25] 루카스 크라나흐 구세와 그의 작업실에서 적어도 20개의 작품 소재를 제공했다.[26] 독일 시인이자 고전학자인 카를 필립 콘츠(1762–1827)는 같은 제목의 시에서 이 이야기를 ''샤덴프로이데''("남의 고통을 즐김")로 묘사했다.[27] 독일 계몽주의 작가인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의 이야기에서는, 이 사건이 큐피드가 자신을 벌로 변하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이 침으로 아모르는 더 현명해졌다.
지칠 줄 모르는 속임수꾼
다른 전투 계획을 세웠다.
그는 강낭콩과 장미 아래에 숨어 있었다.
그리고 처녀가 그것을 따러 올 때,
그는 벌이 되어 날아가 그녀를 쏘았다.[28]


벌로서의 큐피드 이미지는 청춘의 꽃, 처녀성을 잃게 만드는 사랑의 침, 그리고 사랑의 분비물인 꿀을 포함하는 복잡한 시적 이미지 전통의 일부이다.[29]

4. 3. 큐피드와 돌고래

고대와 르네상스 시대 예술 작품에서 큐피드는 종종 돌고래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고대 로마 사르코파구스에서는 이 모습이 영혼의 여정을 상징했을 수 있으며, 원래는 디오니소스 종교와 관련이 있었다.[31] 로마 브리튼의 모자이크에는 바다의 신 네프투누스의 입에서 시작된 행렬이 돌고래와 바닷새를 거쳐 큐피드에게로 이어지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는 네프투누스가 생명의 기원을, 큐피드가 영혼의 목적지를 상징한다는 해석이 있다.[32]

에라스무스 퀘리누스 2세(Erasmus Quellinus II)의 ''돌고래를 타는 큐피드'' (1630)


다른 맥락에서 돌고래를 탄 큐피드는 장난스러운 모티프로도 나타난다. 폼페이의 정원 조각상에서는 돌고래가 문어로부터 큐피드를 구출하거나, 큐피드가 돌고래를 잡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돌고래는 분수의 물줄기로 묘사되기도 한다.[33] 피렌체 베키오 궁전의 분수에서는 큐피드가 돌고래를 졸라 죽이는 듯한 모습도 보인다.[34]

고대에 돌고래는 인간에게 친근한 존재로 여겨졌으며, 애정의 상징으로도 해석되었다. 플리니우스는 푸테올리에서 돌고래가 매일 소년을 등에 태워 학교에 데려다주고, 소년이 죽자 슬픔에 잠겨 죽었다는 이야기를 기록했다.[35]

신화의 에로틱한 장면에서 돌고래를 탄 큐피드는 사랑의 빠른 속도를 나타내거나,[36] 사랑의 격렬한 여정에 대한 안심을 주는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37] 돌고래를 탄 큐피드는 네프투누스와 암피트리테의 결혼식이나 해양 ''티아소스''로 알려진 네프투누스의 승리 장면에도 등장한다.

5. 잠자는 큐피드

사자 가죽 위에 누워있는 청동 ''잠자는 큐피드''(1635-40년), ''F'' 서명, 프락시텔레스 작품으로 여겨지는 대리석을 바탕으로 함


르네상스 시대 시와 예술에서 잠자는 큐피드는 사라지거나 시들해진 사랑의 상징이었다. 현재는 소실된 미켈란젤로의 ''잠자는 큐피드''(1496년)도 그 예이다.[41] 당시 고대 양식은 고전 문학의 묘사를 통해 알려졌고, 적어도 하나의 기존 작품이 1488년부터 로렌초 데 메디치의 조각 정원에 전시되어 있었다.[42] 1세기경, 플리니우스는 테스피아이에 있는 하나와 파리움에 있는 나체의 ''큐피드''(에로스) 두 개의 대리석 버전을 묘사했는데, 후자는 성적 매력을 불러일으키는 얼룩덜룩한 조각이었다.[43]

미켈란젤로의 작품은 당시 스무 살에 불과했던 젊은 예술가의 명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후원자였던 로렌초 디 피에르프란체스코 데 메디치의 요청에 따라 그는 고의적으로 작품을 "고대 작품"처럼 보이게 하여 가치를 높였다.[44] 이는 그의 "가장 악명 높은 위작"을 만들어낸 것이다.[45] 속임수가 드러난 후, ''잠자는 큐피드''는 프락시텔레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사자 가죽 위에 누워 잠든 큐피드 대리석 조각과 함께 그의 기량을 증명하는 작품으로 전시되었다.[46]

잠바티스타 마리노(사망 1625년)의 시에서 큐피드 또는 ''아모레''가 잠자는 모습은 나태 속에서 사랑의 나른함을 나타낸다. 그의 문학적 라이벌인 가스파레 무르톨라의 마드리갈은 예술가들에게 이 주제를 그릴 것을 촉구했다. 카라바조의 후원자였던 마테이 가문이 수집한 고대 작품 목록에는 로마의 베누스 에리키나 신전의 조각을 바탕으로 한 잠자는 큐피드의 스케치가 포함되어 있었다. 무르톨라가 묘사한 것으로 알려진 카라바조는 1608년 ''잠자는 큐피드''라는 작품으로 이 도전에 응했는데, 이것은 "황달이 걸린 피부, 상기된 뺨, 푸른 입술과 귀, 쇠약해진 가슴과 부어오른 배, 쇠약해진 근육과 염증이 있는 관절"을 가진 건강하지 못하고 움직이지 못하는 아이를 불안하게 묘사한 것이다. 이 모델은 소아류마티스 관절염을 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47] 카라바조의 잠자는 큐피드는 조반니 다 산 조반니에 의해 프레스코화로 재해석되었고, 이 주제는 당시 로마와 이탈리아 작품 전반에 걸쳐 반복되었다.[48]

6.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Amor Vincit Omnia)

카라바조의 ''Amor Vincit Omnia''


초기 경력에서 카라바조는 "성적으로 선정적이고 반지성적인" ''Victorious Love''(정복하는 사랑) 혹은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Amor Vincit Omnia'')로 알려진 작품을 통해 당대의 감성에 도전했다. 이 작품에서 당당하게 알몸을 드러낸 큐피드는 음악, 건축, 전쟁, 학문을 대표하는 문화와 학식의 상징들을 짓밟고 있다.[49]

이 모토는 기원전 1세기 후반에 활동한 아우구스투스 시대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에서 유래한다. 그의 ''에클로그'' 시집은 아마도 그의 가장 유명한 구절로 끝맺는다.[50]

> ''Omnia vincit Amor: et nos cedamus Amori.''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그러니 우리도 사랑에 굴복하자.[51]

이 주제는 ''트리움프스''에서 페트라르카가 표현한 것처럼 큐피드의 개선식으로도 표현되었다.[52]

7. 로마의 큐피드

고대 로마의 ''큐피드''(Cupid)는 욕망을 구현한 신이었지만, 다른 로마 신들과는 달리 신전이나 종교 의식을 따로 가지지 않았다.[13] 큐피드는 가정의 신당에 있는 여러 작은 조각상들 중 하나로 나타날 수 있었지만,[53] 숭배를 위한 조각상과 예술품이나 장식으로 전시된 조각상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었다.[54] 로마 스페인의 카르타마 비문에는 부유한 여성 사제(사케르도스 페르페투아)의 공공 사업 중 화성과 큐피드의 조각상이 기록되어 있으며, 바에티카의 프로쿠라토르의 여러 기부 목록에는 비너스와 큐피드의 조각상이 포함되어 있다.[57]

큐피드는 첫 번째 로마 황제아우구스투스 시대부터 로마 미술에서 더욱 흔해졌다. 악티움 해전 이후 안토니우스클레오파트라가 패배한 후, 큐피드가 화성의 무기를 어머니 비너스에게 넘겨주는 장면은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미지의 모티프가 되었다.[58]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로마 서사시 ''아이네이스''에서 큐피드는 비너스의 아들인 아이네아스의 아들 이울루스로 변장하고, 이 모습으로 카르타고 여왕 디도를 유혹하여 영웅에게 사랑에 빠지게 한다. 이울루스(아스카니우스로도 알려짐)는 율리우스 가문의 신화적인 창시자가 되는데, 이 가문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나왔다. 카이사르의 상속자인 아우구스투스는 어린 나이에 죽은 사랑하는 증손자를 큐피드로 묘사하여, 그러한 조각상 하나를 카피톨리노 언덕의 비너스 신전에 봉헌하고, 하나는 자신의 침실에 두고 밤에 키스했다.[59]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에는 돌고래를 탄 큐피드가 함께 있다.[61] 여러 개의 큐피드는 비너스 게네트릭스 신전(비너스를 "생명의 어머니"로서)의 프리즈에 등장했으며, 특히 어린이의 사르코파구스와 같은 다른 작품의 부조 장면에 영향을 주었다.[62]

8. 큐피드와 프시케

시몽 뷔에의 ''프시케와 사랑''(1626–29): 프시케가 잠든 큐피드를 보기 위해 등불을 들어 올리고 있다.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는 기원전 4세기부터 그리스 미술에서 등장하지만, 이 이야기의 가장 긴 문학적 자료는 아풀레이우스(2세기)가 쓴 라틴 소설 《변신 이야기》(또는 《황금 당나귀》)이다.[72] 이 이야기는 프시케("영혼" 또는 "생명의 숨결")와 큐피드의 사랑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결혼을 통해 하나가 되는 과정을 다룬다.

프시케의 아름다움은 비너스의 아름다움을 능가할 정도로 유명해져서, 사랑의 여신 비너스는 큐피드를 보내 복수를 하게 한다. 그러나 큐피드는 프시케에게 반하고, 그녀를 자신의 궁전으로 데려가도록 한다. 그는 밤에 프시케를 찾아와 자신을 보지 말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프시케의 질투심 많은 언니들은 그녀에게 연인이 흉측한 괴물일 것이라고 설득하고, 결국 프시케는 그를 보기 위해 방에 등불을 가져온다. 그의 아름다움에 놀란 프시케는 등불에서 뜨거운 기름을 떨어뜨려 큐피드를 깨운다. 큐피드는 그녀를 버리고 떠난다. 프시케는 그를 찾아 땅을 헤매다가 결국 비너스의 시중을 들게 되고, 비너스는 그녀를 고문한다. 그런 다음 여신은 프시케에게 일련의 시련을 주며 각 시련마다 절망에 빠지지만, 매번 신적인 도움을 받는다. 마지막 과제에서 프시케는 저승에서 프로세르피나의 미모를 담은 약병을 가져와야 한다. 그녀는 성공하지만, 돌아오는 길에 그 약의 효과를 직접 보기 위해 약병을 열어보고 깊은 잠에 빠진다. 큐피드는 그녀를 그런 상태로 발견하고, 잠을 다시 상자에 돌려놓음으로써 그녀를 되살린다. 큐피드는 프시케에게 불멸의 삶을 주어 두 사람이 평등한 입장에서 결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이야기는 신플라톤주의적 요소와 비밀 종교에 대한 암시를 포함하고 있어 여러 가지 해석을 허용하며,[72] 풍자로, 그리고 민담, 마르헨 또는 동화, 그리고 신화의 관점에서 분석되어 왔다.[73] 종종 죽음을 극복하는 사랑의 풍자로 제시되는 이 이야기는 로마 사르코파구스와 고대의 다른 기존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이미지의 근원이었다. 아풀레이우스의 소설이 르네상스 시대에 재발견된 이후, 수용 관점에서 본 《큐피드와 프시케》의 고전주의 전통에서의 영향은 광범위했다. 이 이야기는 시, 극, 오페라로 재구성되었고, 회화, 조각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해 널리 묘사되었다.[74] 또한 "진정한 사랑"의 예시로 대중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발렌타인데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미녀와 야수"는 가브리엘-수잔 드 빌뇌브가 썼고, 1740년 잔 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이 요약했으며,[75] 1991년 디즈니 영화 ''미녀와 야수''의 영감이 되었다. 가브리엘이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76][77][78]

9. 현대 대중문화

가브리엘-수잔 드 빌뇌브가 쓰고 1740년 잔 마리 르프랭스 드 보몽이 요약한 "미녀와 야수"는 큐피드와 프시케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76][77][78] 1991년 디즈니 영화 ''미녀와 야수''도 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큐피드는 발렌타인데이와 관련하여 "진정한 사랑"의 상징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2]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
[3] 서적 The Anger of Achilles: Mễnis in Greek Epic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3] 서적 Before Sexuality: The Construction of Erotic Experience in the Ancient Greek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4] 문서 One ... Two ... Three: Erōs
[5] 문서 fragment 31
[6] 문서 fragment 54
[7] 문서 FGrH 1A 3 frg. 6C
[8] 서적 Natale Conti's Mythologiae Books I–V Arizona Center for Medieval and Renaissance Studies 2006
[8] 문서 fragment 13
[9] 서적 Mythologiae
[10] 서적 Octavia
[11] 서적 De Natura Deorum
[12] 서적 Masque of Cup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14]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15] 서적 Etymologies
[16] 서적 Classical Mythology in English Literature: A Critical Anthology Routledge 1999
[17] 희곡 A Midsummer Night's Dream
[1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Market House Books 2004
[19] 학술지 A Roman Sarcophagus and Its Patron 2001
[20]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4
[21] 서적 Metamorphoses
[22] 서적 Metamorphoses
[23] 서적 The Kingis Quair
[23] 서적 Chaucerian and Other Pieces Oxford University Press 1897, 1935
[24] 서적 Hugo Wolf and His Mörike So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5] 서적 Idyll 19
[26] 서적 Cupid in Early Modern Literature and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7] 서적 Fifteenth- to Eighteenth-Century European Paintings in the Robert Lehman Collection: France, Central Europe, The Netherlands, Spain, and Great Britain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8
[28] 서적 Hugo Wolf and His Mörike Songs
[29] 서적 Die Biene
[29] 서적 Hugo Wolf and His Mörike Songs
[30] 서적 Hugo Wolf and His Mörike Songs
[31] 서적 Roman Children's Sarcophagi: Their Decoration and Its Social Signific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1] 학술지 Pisces in Britannia: The Eating and Portrayal of Fish in Roman Britain Prospect Books 1998
[32] 학술지 Gnosticism in Fourth-Century Britain: The Frampton Mosaics Reconsidered 2003
[33]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ompe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4] 학술지 Archaeological News 1896
[35] 서적 Natural History
[35] 학술지 Pisces in Britannia
[36] 서적 Italian and Spanish Sculpture: Catalogue of the J. Paul Getty Museum Collection Getty Publications 2002
[37] 서적 Titian and Tragic Painting: Aristotle's Poetics And the Rise of the Modern Artist Yale University Press 2005
[38] 서적 Medieval Mythography: From Roman North Africa to the School of Chartres, A.D. 433–1177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4
[39] 서적 De libris
[40] 서적 De libris
[41] 서적 The Classical Tradition
[42] 서적 Renaissance Rivals: Michelangelo, Leonardo, Raphael, Titian Yale University Press 2002, 2004
[43] 서적 Natural History
[44] 서적 Michelangelo and the Art of Letter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5] 서적 Renaissance Rivals
[46] 서적 François Duquesnoy and the Greek Ideal Yale University Press 2007
[47] 서적 Caravaggio Penn State Press 2006
[48] 서적 Caravaggio and the Role of Classical Models
[49] 서적 Caravaggio
[50] 서적 Eclogues and Georgics of Virgi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1, 1990
[51] 서적 Eclogues
[52] 서적 Petrarch, Laura, and the Triumph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74
[53]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Blackwell 2007
[54] 서적 Art in the Lives of Ordinary Romans: Visual Representation and Non-Elite Viewers in Italy, 100 B.C.-A.D. 31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55] 서적 The Sacred and Civil Calendar of the Athenian Ye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56] 서적 Against Verres
[57] 간행물 Personal Wealth in Roman Spain 1983
[58] 간행물 The Parthians in Augustan Rome 2005
[59] 서적 Caligula
[60] 간행물 Urban Planning and Sculptural Display in Severan Rome: Reconstructing the Septizodium and Its Role in Dynastic Politics 2004
[61] 서적 A Cabinet of Roman Curios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62] 서적 Roman Children's Sarcophagi: Their Decoration and Its Social Signific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3] 서적 Divine Qualities
[64] 간행물 The Theology of Victory at Rome: Approaches and Problem 1981
[65] 간행물 The Cult of Virtues and Roman Imperial Ideology 1981
[66] 서적 War and Imperialism in Republican Rome: 327-70 B.C.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1985
[67] 서적 Vergil, Philodemus, and the Augusta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4
[68] 간행물 De Rerum Natura: Greek Physis and Epicurean Physiologia (Lucretius 1.1–148) 1969
[69] 간행물 A Parody on Hymns in Martial V.24 and Some Trinitarian Problems 1974
[70] 서적 Ars Amatoria
[71] 논문 Retiring Apollo: Ovid on the Politics and Poetics of Self-Sufficiency 2004
[72] 서적 Cupi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3] 서적 Cupid and Psyche Brill 1980
[74] 서적 Cupid and Psyche
[75] 웹사이트 Beauty and the Beast http://humanitiesres[...] 2011
[76] 웹사이트 Marriage Can Be Monstrous, or Wondrous: The Origins of "Beauty and the Beast" https://www.tor.com/[...] 2016-01-07
[77] 학술지 Cupid and Psyche vs Beauty and the Beast: The Milesian and the Modern 1989-05
[78] 웹사이트 Allyn and Bacon Anthology of Traditional Literature: Cupid and Psyche https://web.archive.[...] 2003
[79] 서적 Public Art Collections in North-West England: A History and Guide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