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폰토스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토스 공화국은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흑해 북동부 지역에 세워지려 했던 미승인 국가이다. 1461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트라페준타 제국이 멸망한 이후 폰토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904년 튀르키예 메르지폰에서 독립을 위한 비밀 단체가 결성되면서 폰토스 공화국 수립 운동이 시작되었다. 1918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14개 조항 발표와 파리 강화 회의에서 폰토스 공화국 창설이 논의되었으나, 그리스의 지원 부족과 터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터키 독립 전쟁에서 터키가 승리하고,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른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으로 인해 폰토스 공화국 수립은 실패로 돌아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두주의 역사 - 폰토스
    폰토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 북동부 지역을 부르던 지명으로, 폰토스 왕국이 세워진 후 로마 공화정과 세 차례의 전쟁 끝에 멸망하고 비티니아 폰토스 속주가 되었다.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카르스 조약
    카르스 조약은 1921년 터키와 소비에트 러시아를 포함한 트란스 코카서스 지역 국가들 간에 체결되어 터키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간의 국경을 확정하고 나흐치반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의 보호 하에 두었으며, 소련의 무효화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조약이다.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모스크바 조약 (1921년)
    모스크바 조약은 1921년 터키와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간 국경을 정의하고 터키 국경 확정, 바투미의 소비에트 조지아 양도, 나히체반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 등을 규정하여, 2015년 러시아-터키 간 긴장 속 유효성 논란과 함께 한국에 강대국 합의가 주변국에 미치는 외교적 교훈을 제공한다.
  • 기레순주의 역사 - 폰토스
    폰토스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 북동부 지역을 부르던 지명으로, 폰토스 왕국이 세워진 후 로마 공화정과 세 차례의 전쟁 끝에 멸망하고 비티니아 폰토스 속주가 되었다.
  • 기레순주의 역사 - 폰토스 왕국
    흑해 연안 아나톨리아 북부에 위치한 폰토스 왕국은 미트리다테스 1세 크티스테스에 의해 건국되어 그리스와 페르시아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이루었으나,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 이후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폰토스 공화국
기본 정보
이름폰토스 공화국
로마자 표기Gonghwaguk eu Pontoseu
원어 이름Δημοκρατία του Πόντου
위치
수도
수도트레비존드
역사
이전 국가오스만 제국
계승 국가튀르키예
건국 시도1919년
멸망미승인 국가
정부
정치 체제공화국
언어
공용어튀르키예어, 폰토스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라즈어, 현대 그리스어(교육 및 인쇄 매체)
소수 언어프랑스어, 조지아어, 페르시아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도시 중심지)
종교
주요 종교정교회
기타
통화알 수 없음
면적알 수 없음
인구알 수 없음

2. 역사

폰토스 지역은 기원전 800년경부터 그리스인들이 거주해 온 지역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이 지역은 헬레니즘화되었으며, 비잔틴 제국과 트라페준타 제국 시기에도 그리스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1461년 오스만 제국이 폰토스를 정복했지만, 산악 지역에서는 여전히 그리스어가 사용되었다.

19세기 초 그리스가 독립했지만,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와의 연결성이 약하다고 생각하여 그리스와의 통합을 고려하지 않았다. 대신 많은 이들이 러시아조지아로 이주했다.

20세기 초, 폰토스에서는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1904년 메르지폰에서 비밀단체가 결성되었고, 크리산토스 필리피데스, 레오니다스 이아소니디스 등이 독립 운동을 주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트라페준타가 러시아 제국군에게 점령되면서 독립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폰토스 대표단은 폰토스 공화국 수립을 제안했지만,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그리스 총리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터키 독립 전쟁 이후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으로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튀르키예를 떠나 그리스소련으로 이주해야 했다.

2. 1. 오스만 제국 시기

오스만 제국이 트레비존드를 정복하면서 폰토스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830년대 초, 그리스는 독립을 쟁취했지만, 현재보다 적은 영토를 지배하고 있었다. 그리스 민족주의자들은 그리스인 거주지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종교 외에는 그리스와의 연결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여 그리스 병합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았다.[19]

1904년 튀르키예 메르지폰에 폰토스 독립을 위한 비밀단체가 만들어졌다.[20] 이 단체는 1910년대1920년대 크게 성장했고, 후에 아테네대주교가 되는 크리산토스 필리피데스가 주요 지도자가 되었다.[25] 해외의 폰토스 그리스인 단체들은 메르지폰의 독립 단체와 연계하여 미국러시아 등에서 폰토스 독립을 위한 로비 활동을 했다.[21] 레오니다스 이아소니디스는 폰토스 공화국 설립 운동의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21]

1914년 오스만 제국의 소아시아 인구조사.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인 등과 함께 트라브존 지역의 그리스인들은 청년 튀르크당과 케말주의자들에 의해 집단 학살을 당했다. 이는 영토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지역의 튀르크화를 위한 것이었다. 튀르키예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죽음의 행군, 아나톨리아의 노동대대 강제 노역, 토팔 오스만의 학살로 인해 1915년에서 1922년 사이 수십만 명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학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시 내부의 그리스인들은 직접적인 대상이 아니었는데, 지역 유지들이 토팔에게 무기 제공을 거부했고, 크리스트교인 체포에 도시 무슬림들이 반발했기 때문이다.[22]

살아남은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산으로 올라가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협정 때까지 튀르키예인들의 공격을 방어했으며, 최소 6만 명의 폰토스 그리스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의 생명을 구했다고 여겨진다.[23][24]

1918년 1월 8일,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전후 조치에 대한 14개 조항을 발표했다. 그중 12번째 항은 튀르키예 지배하의 비투르크계 민족들의 안전 보장과 자치운동의 자유를 명시했다. 이 조항은 폰토스 지역을 포함하는 아나톨리아의 비투르크계 민족들의 단결을 촉진시켰다.[25] 1918~1919년, 그리스 총리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는 대전 중 러시아에 정착한 폰토스 그리스인들의 본국 귀환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무드로스 종전 협정으로 영국군은 삼순에 상륙하고 많은 지역을 장악했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 문제 논의가 시작되면서, 크리산토스는 1919년 4월 29일 폰토스 지역의 독립을 주장하기 위해 파리에 도착했다. 그는 폰토스 공화국 설립을 주장하는 18쪽의 글을 발표했다.[25] 제안된 폰토스 공화국은 트라브존, 삼순, 시노페, 아마시아, 카라히사르 등을 포함하여 현대 튀르키예의 대부분의 흑해 지역을 소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파리 강화 회의에서 베니젤로스는 독립 폰토스 공화국이 그리스의 군사 지원을 받기에는 너무 멀고 튀르키예의 공격을 방어하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생각했다.[26] 그는 폰토스 공화국 설립을 반대했고, 협상은 사실상 종결됐다. 이후 베니젤로스는 폰토스의 트라브존 지역을 새로 만들어지는 아르메니아에 포함하는 방안을 제안했지만, 연합국은 별 흥미를 보이지 않았고, 터키-아르메니아 전쟁, 터키 독립 전쟁, 볼셰비키의 아르메니아 침공으로 인한 유혈사태가 논의의 진전을 막았다.[26] 1919년 5월, 폰토스 지역의 그리스 적십자는 이 지역은 안전하지 못하고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21]

1921년 폰토스의 많은 정교회교도 남성들이 에르주름의 노동부대로 추방되었다. 이때 무스타파 케말의 튀르키예 민족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아마시아의 "튀르키예 독립을 위한 임시법정"이 여러 중요 인사들에게 교수형을 선고했다. 이때 처형당한 인물 중에는 오스만 제국 의회의 일원이었던 Matthaios Kofidis도 있었다. 그들의 혐의는 폰토스의 독립을 꾀했다는 것이었다.[27]

2. 2. 폰토스 독립 운동

1904년 오스만 제국(튀르키예) 메르지폰에서 폰토스의 독립을 위한 비밀 조직이 결성되었다.[20] 이 조직은 1910년대1920년대에 걸쳐 크게 성장했으며, 크리산토스 필리피데스와 레오니다스 이아소니디스 등이 폰토스 독립 운동을 주도했다.[25][21] 해외의 폰토스 그리스인 단체들은 메르지폰의 독립 조직과 연계하여 폰토스 독립을 위한 로비 활동을 벌였다.[21]

제1차 세계 대전1916년 트라페준타가 러시아 제국군에게 함락되면서 폰토스 독립 구상이 구체화되었다. 1918년 1월 8일,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은 전후 질서를 위한 14개 조항을 발표했는데, 그중 12번째 조항은 튀르키예 지배하의 비튀르크계 민족에게 자율적 발전의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는 폰토스 지역을 포함한 아나톨리아 비튀르크계 민족들의 단결을 촉진시켰다.[25]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의 영토 문제가 논의될 때, 폰토스 대표단은 트라브존, 삼순, 시노페, 아마시아 등 튀르키예 흑해 지역 대부분을 포함하는 폰토스 공화국 수립을 제안했다.[25] 그러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그리스 총리는 폰토스 공화국이 군사적으로 취약하다는 이유로 반대하여 협상은 결렬되었다.[26]

1921년 폰토스 정교회 남성들이 에르주룸 노동 부대로 추방되고,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튀르키예 민족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아마시아의 "튀르키예 독립을 위한 임시법정"에서 폰토스 독립 운동 관련자들에게 교수형을 선고하는 등 탄압이 강화되었다.[27] 이때 처형당한 인물 중에는 전 오스만 제국 의회 의원이었던 Matthaios Kofidis도 있었다.[27]

2. 3. 터키 독립 전쟁과 인구 교환

터키 독립 전쟁에서 무스타파 케말이 이끄는 터키군이 승리하면서 폰토스 지역의 독립은 좌절되었다.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라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이 이루어져, 182,169명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튀르키예를 떠나야 했다.[26] 많은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이전부터 이주해 온 소련으로 떠났고, 나머지는 시민권을 보장하는 그리스(주로 그리스 마케도니아)로 이주하였다. 그리스에서 이들은 ''폰디이''라고 불렸다.

3. 인구 구성



1914년 오스만 제국의 통계에 따르면 폰토스 지역의 그리스인 인구(그리스계 무슬림 제외)는 35만 명 이하로, 전체 인구의 약 17%를 차지했다.[15] 그러나 오스만 제국 내 그리스인 인구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으며, 오스만 당국이 작성한 수치는 신뢰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특히 오스만 그리스인들은 징병을 피하고 세금을 줄이기 위해 무슬림 당국에 등록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15][16]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 그리스 외무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폰토스 지역의 그리스인 인구는 65만 명에서 70만 명 사이였다.[5] 이 숫자는 1912년 카밀 파샤의 오스만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총대주교청과 합의 후 폰토스 그리스인에 대한 국회의원 의석수가 7석(인구 10만 명당 1명의 그리스 국회의원)으로 정해졌다.[5][6]

1916년 세르게이 루돌포비치 민츠로프의 조사에서는 플라타나와 트라브존 지역의 그리스인 비율이 32.4%였다고 밝혔다.[17] 1919년 2월 파리 강화 회의 (1919–1920)에 제출된 각서에서, 폰토스의 자치를 요구하는 현지 그리스 대표단은 학살 이전 폰토스 그리스인 인구가 70만 명이었으며, 수년 전 튀르키예의 박해를 피해 도망친 35만 명은 포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폰토스에는 튀르키예인, 체르케스인, 아르메니아인, 타타르인, 투르크멘인 등 소수 민족도 거주했다.[18]

4. 결과

1923년 로잔 조약과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으로 많은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거주지를 옮겨야 했다. 기록에 따르면 182,169명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인구 교환으로 이주했다.[26][13] 많은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이전부터 이주가 잦았고 가족 관계가 있던 소련으로 떠났다. 나머지 대부분은 그리스 (주로 그리스 마케도니아)로 이주하여 완전한 시민권을 얻었다. 오늘날 러시아에서 그리스로 이주하는 폰토스 그리스인도 유사한 특혜를 받는다. 그리스에서 폰토스 이주민들은 '폰디이'라고 불렸다.

대한민국에서는 폰토스 그리스인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와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Abroad I was Greek and in Greece I am a Foreigner": Pontic Greeks from Former Soviet Union in Greece'
[2] 서적 The 'Right to Return' and the Meaning of Home Lit Verlag
[3]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서적 '"Starving Armenians": America and the Armenian Genocide, 1915-1930 and Af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5] 서적 Σύγχρονος γενική ιστορία του Πόντου https://anemi.lib.uo[...] Η Παμπροσφυγική
[6] 간행물 Η ποντιακή ταυτότητα της τρίτης γενιάς https://ejournals.ep[...] 1992
[7] 웹사이트 Library Journal Review of ''Not Even My Name'' by Thea Halo. https://www.amazon.c[...]
[8] 웹사이트 people.http://www.im[...]
[9] 웹사이트 ΤΟ ΑΝΤΑΡΤΙΚΟ ΤΟΥ ΠΟΝΤΟΥ http://www.hellinon.[...]
[10] 간행물 Hittites, Ottomans and Turks: Ağaoğlu Ahmed Bey and the Kemalist Construction of Turkish Nationhood in Anatolia
[11] 서적 Hē genoktonia tōn Hellēnōn tou Pontou https://books.google[...] Herodotos 2004
[12]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Children of Achilles: the Greeks in Asia Minor Since the Days of Troy https://books.google[...] I.B. Taurus
[14] 서적 Twice a Stranger: The Mass Expulsion that Forged Modern Greece and Turke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Ottoman Population 1830-1914: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5
[16] 웹사이트 Pontus during the Greek Genocide https://www.greek-ge[...] 2020-07-09
[17] 서적 Life During the Russian Occupation of the Trabzon Region in Anatolia During World War 1 https://www.academia[...]
[18] 서적 Memorandum submitted to the Peace Conference by the National Delegation of the Euxine Pontus https://archive.org/[...] Norbury, Natzio & Co. Ltd. 1919
[19] 간행물 '"Abroad I was Greek and in Greece I am a Foreigner": Pontic Greeks from Former Soviet Union in Greece'
[20]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Right to Return' and the Meaning of Home Lit Verlag
[22] 웹사이트 Library Journal Review of ''Not Even My Name'' by Thea Halo. https://www.amazon.c[...]
[23] 웹사이트 people.http://www.im[...]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ellinon.[...] 2016-02-01
[25] 간행물 Hittites, Ottomans and Turks: Ağaoğlu Ahmed Bey and the Kemalist Construction of Turkish Nationhood in Anatolia
[26] 서적 Children of Achilles: the Greeks in Asia Minor Since the Days of Troy http://books.google.[...] I.B. Taurus
[27] 서적 Twice a Stranger: The Mass Expulsion that Forged Modern Greece and Turkey http://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