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빌레브란트 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 빌레브란트 병은 1924년 처음 발견된 유전성 출혈 질환으로,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결핍 또는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VWF는 혈소판 응집을 돕고 제8 응고 인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 질환은 잦은 코피, 잇몸 출혈, 멍, 과다 월경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폰 빌레브란트 병은 1형, 2형, 3형, 혈소판형 등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유전자 검사, 혈액 응고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치료는 데스모프레신, 호르몬 요법, VWF 농축액 투여 등을 사용하며, 폰 빌레브란트 병은 개, 돼지 등 동물에게서도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결절성 경화증
결절성 경화증은 뇌, 피부, 신장, 심장, 폐 등 여러 장기에 양성 종양 및 과오종을 유발하며 발작, 지적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신장 혈관근종, 림프관평활근종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임상적 특징과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증상 완화 및 합병증 관리를 위한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하다.
| 폰 빌레브란트 병 | |
|---|---|
| 개요 | |
![]() | |
| 진료 분야 | 혈액학 |
| 발병 시기 | 불명 |
| 지속 기간 | 불명 |
| 유형 | 불명 |
| 원인 | 불명 |
| 위험 요소 | 불명 |
| 진단 | 불명 |
| 감별 진단 | 불명 |
| 예방 | 불명 |
| 치료 | 불명 |
| 약물 | 불명 |
| 예후 | 불명 |
| 빈도 | 불명 |
| 사망자 | 불명 |
| 일반 정보 | |
| 영어 명칭 | von Willebrand disease |
| 질병 분류 | |
| OMIM | 193400 |
| MeSH ID | D014842 |
| 외부 링크 | |
| MedlinePlus | 폰 빌레브란트병: MedlinePlus 의학 백과사전 |
| GeneReviews | 폰 빌레브란트병 |
2. 역사
1924년, 핀란드 의사 에릭 아돌프 폰 빌레브란트는 올란드 제도 푀글뢰 출신의 5세 소녀를 진찰하면서 이 질환을 처음 발견했다. 그는 소녀의 가족 66명을 조사하여 1926년 스웨덴어 논문에서 이 질환이 혈우병과는 다른 출혈 질환이라고 보고했다.[39] 1931년에는 독일어로 된 논문을 발표하여 국제적인 관심을 받았다.[40] 1930년대 후반에서 1940년대 초반, 폰 빌레브란트의 연구를 기리기 위해 이 질환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41]
폰 빌레브란트병(VWD)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유전적 결손으로 인해 혈소판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50] VWF의 양이 부족한 경우(1형), 질에 이상이 있는 경우(2형), VWF가 전혀 생성되지 않는 경우(3형)로 나뉜다. 1형이 가장 흔하며,[50] 3형은 가장 심각한 증상을 보인다.[51]
1950년대에는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들에게서 제8 응고 인자가 감소하고, Cohn 분획 I-0이 제8 응고 인자의 혈장 결핍과 연장된 출혈 시간을 모두 교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때부터 긴 출혈 시간을 유발하는 인자를 "폰 빌레브란트 인자"라고 불렀다.
1970년대에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의 변이형이 확인되었고, 이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합성의 결과로 밝혀졌다. 1980년대의 분자 및 세포 연구를 통해 혈우병 A형과 폰 빌레브란트병을 더 정확하게 구분하게 되었다.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는 X 염색체에 정상적인 제8 응고 인자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고, 일부는 12번 염색체에 비정상적인 폰 빌레브란트 인자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들 중 많은 사람이 폰 빌레브란트 인자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폰 빌레브란트 인자 감소의 경미한 형태에 대한 유전적 원인은 여전히 연구 중이며, 항상 비정상적인 폰 빌레브란트 인자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3. 원인 및 유전
증상으로는 자반, 코피, 잇몸 출혈, 점막 출혈과 같은 표재성 출혈이 나타나며, 혈변, 소화관 출혈, 생식기 과다 출혈도 발생할 수 있다.[49]상태 프로트롬빈 시간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출혈 시간 혈소판 수 폰 빌레브란트병 변화 없음 연장 혹은 변화 없음 연장 변화 없음
3. 1. 유전학
VWF 유전자는 12번 염색체 단완(12p13.2)에 위치하며, 52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다. 1형과 2형은 주로 상염색체 우성 형질로 유전되지만, 2형은 드물게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 3형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11] 폰 빌레브란트병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 일반적이지만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경우도 보고된다.[49]
유전자 검사는 폰 빌레브란트 병의 초기 검사에 포함되지 않으며, 임상 병력 및 실험실 검사를 기반으로 1형으로 진단된 사람들에게는 필요하지 않다.[25] 유전자 검사는 주로 알려진 변이가 있는 개인의 가족 구성원을 평가하거나, 2B형과 혈소판형 VWD, 2N형 VWD와 혈우병 A를 구별할 때 유용하다.[25]
3. 2. 병태 생리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주로 혈류 속도가 빠르고 전단 응력이 높은 조건에서 활성화된다. 따라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 결핍은 주로 모세 혈관이 광범위하게 분포된 피부, 위장관, 자궁과 같은 기관에서 출혈 경향으로 나타난다.[12] 혈관 이형성증은 거대 창자의 모세 혈관 확장증의 한 형태로, 전단 응력이 일반적인 모세 혈관보다 훨씬 높으며 출혈 위험이 함께 증가한다.[12]
1형 폰 빌레브란트병(VWD)의 더 심각한 경우, VWF 유전자 내에서 유전적 변화가 흔하며 침투율이 높다. 1형 VWD의 더 경미한 경우에는 VWF 유전자 자체의 다형성 외에도 복잡한 분자적 병리학 스펙트럼이 존재할 수 있다.[13]
개인의 ABO식 혈액형은 VWD의 임상 양상과 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보다 평균 수치가 낮다. ABO 그룹별 VWF:항원 기준 범위를 사용하지 않으면 정상적인 O형 개인은 1형 VWD로 진단될 수 있으며, VWF의 유전적 결함을 가진 일부 AB형 개인은 혈액형으로 인해 VWF 수치가 상승하여 진단을 놓칠 수 있다.[14]
폰 빌레브란트병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유전적 결손으로 혈소판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50] 일반적으로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지만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경우도 보인다.[49]
| 상태 | 프로트롬빈 시간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출혈 시간 | 혈소판 수 |
|---|---|---|---|---|
| 폰 빌레브란트병 | 변화 없음 | 연장 혹은 변화 없음 | 연장 | 변화 없음 |
4. 증상
폰 빌레브란트 병의 증상은 출혈 경향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쉽게 타박상이 생기거나, 코피가 자주 나거나, 잇몸 출혈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타난다.[2] 여성의 경우 월경과다 및 출산 중 과도한 혈액 손실을 겪을 수 있다.[9][10]
가장 심각한 유형인 폰 빌레브란트 병 3형을 제외하면 심각한 내부 출혈 및 관절 내 출혈은 드물다. 폰 빌레브란트 인자는 주로 혈류 속도가 빠르고 전단 응력이 높은 조건에서 활성화되기 때문에, 폰 빌레브란트 인자 결핍은 주로 모세 혈관이 광범위하게 분포된 피부, 위장관, 자궁과 같은 기관에서 나타난다.[12]
심한 경우, 자연적인 잇몸 출혈, 반상출혈 및 코피가 발생할 수 있다. 수술 후 출혈, 발치 후 출혈, 잇몸 출혈, 코피, 멍이 잘 드는 증상도 나타난다. 월경과다의 1차 치료법인 경구 피임약 복용은 여성에게 잇몸 비대와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46]
폰 빌레브란트병 (VWF)의 유전적 결손으로 혈소판 기능 이상이 생기면 자반, 코피, 잇몸 출혈, 점막 출혈 등의 표재성 출혈과 혈변, 소화관 출혈, 생식기 과다 출혈도 나타날 수 있다.[49]
| 상태 | 프로트롬빈 시간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출혈 시간 | 혈소판 수 |
|---|---|---|---|---|
| 폰 빌레브란트병 | 변화 없음 | 연장 또는 변화 없음 | 연장 | 변화 없음 |
5. 진단
폰 빌레브란트병(VWD) 진단은 환자의 병력, 출혈 증상, 가족력 및 혈액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이루어진다.
기본적인 혈액 검사에는 전혈구 검사(CBC, 특히 혈소판 수치),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프로트롬빈 시간(PT, INR 포함), 트롬빈 시간(TT), 피브리노겐 수치가 포함된다.[7]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는 일반적으로 정상 프로트롬빈 시간을 보이며, VWF가 인자 VIII의 운반체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한지에 따라 APTT가 가변적으로 연장된다.[7]
VWD가 의심되는 경우, VWF의 양과 기능을 측정하는 추가 검사가 필요하다. VWF 항원 분석으로 VWF 양을 측정하고, 당단백질(GP)Ib 결합 분석, VWF 항체 분석 또는 리스토세틴 보조 인자 활성(RiCof) 분석을 통해 VWF 기능을 측정한다.[15] 인자 VIII 수치도 측정하는데, 이는 VWF에 결합하여 혈액 내에서 빠르게 분해되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VWF 결핍은 인자 VIII 수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15]
리스토세틴 유도 혈소판 응집(RIPA), 콜라겐 결합 및/또는 VWF 멀티머 분석을 통해 비정상적인 스크리닝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혈소판 응집 분석에서는 사용된 다른 효능제에 대한 정상 반응과 함께 리스토세틴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다.
| ADP | 에피네프린 | 콜라겐 | 리스토세틴 | |
|---|---|---|---|---|
| P2Y 수용체 억제제 또는 결함[16] | 감소 | 정상 | 정상 | 정상 |
|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결함[16] | 정상 | 감소 | 정상 | 정상 |
| 콜라겐 수용체 결함[16] | 정상 | 정상 | 감소 또는 부재 | 정상 |
| 정상 | 정상 | 정상 | 감소 또는 부재 | |
| 감소 | 감소 | 감소 | 정상 또는 감소 | |
혈소판 기능 검사는 비정상적인 콜라겐/에피네프린 폐쇄 시간을 나타낼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콜라겐/ADP 시간을 나타낸다. 인자 VIII 수치가 불균형적으로 낮은 경우 2N형을 고려할 수 있지만, 확인을 위해서는 "인자 VIII 결합" 분석이 필요하다.
VWD 하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추가 검사에는 폰 빌레브란트 멀티머 분석, 변형된 리스토세틴 유도 혈소판 응집 분석, VWF 프로펩타이드 대 VWF 프로펩타이드 항원 비율 등이 있다.[17]
VWF는 감염, 임신, 스트레스 시 수치가 상승하는 급성기 반응 물질이므로 VWD 진단이 복잡할 수 있다.[17] 경미한 경우 일시적인 VWF 농도 상승으로 위음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복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50]
유전자 검사는 특정 유형(2B형, 혈소판형 VWD, 2N형)을 감별하거나, 알려진 변이가 있는 가족 구성원을 평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25]
| 상태 | 프로트롬빈 시간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출혈 시간 | 혈소판 수 |
|---|---|---|---|---|
| 폰 빌레브란트병 | 변화 없음 | 연장 or 변화 없음 | 연장 | 변화 없음 |
6. 유형
폰 빌레브란트병(VWD)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양적 또는 질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이다. 크게 1형, 2형, 3형, 그리고 가성 또는 혈소판형으로 분류된다.
- 1형: VWF의 양이 감소하는 유형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 2형: VWF의 질적 결함이 있는 유형으로, 2A, 2B, 2M, 2N의 네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뉜다. 상염색체 우성 또는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될 수 있다.
- 3형: VWF가 거의 또는 완전히 생성되지 않는 가장 심각한 유형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 가성 (혈소판형): 혈소판 막 당단백질(GPIb)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유형이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 colspan=2| | 기전 | 상염색체 유전 | vWF 활성 | RIPA | 멀티머 양 | |
|---|---|---|---|---|---|---|
| 제1형 | VWF 양 감소 | 우성 | 감소 | 정상[25] 또는 감소[24] | 멀티머 유형 간 유사한 감소 | |
| 제2형 | A | 대형 멀티머 형성 불능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종종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대형 멀티머 감소 |
| B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강화 | 우성 | 감소 | 증가 | 대형 멀티머 감소 | |
| M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감소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멀티머 유형 간 유사한 감소 | |
| N | 제VIII인자에 대한 결합 감소 | 열성 | 정상 | 정상 | 정상 | |
| 제3형 | VWF 부재 | 열성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일반적으로 검출 불가 | |
VWF 유전자는 12번 염색체 단완(12p13.2)에 위치하며, 178 kbp에 걸쳐 52개의 엑손을 가지고 있다. 폰 빌레브란트병은 인구의 약 1%에서 발생하며 남성과 여성에게 동등하게 영향을 미친다.[11] 드물게 획득되는 경우도 있다.[7]
6. 1. 1형
1형 폰 빌레브란트병(VWD)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이며, 전체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의 40%[21]~80%[11]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 이는 결함이 있는 유전자에 대해 이형접합성을 보이는 정량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즉, VWF가 순환계로 분비되지 않거나, 1C형의 경우 VWF가 정상보다 더 빨리 제거되기 때문이다.[7] VWF 수치가 50% 이상이면 VWD를 배제할 수 있으며, VWF 활성이 30% 미만이면 VWD가 존재한다. VWF 활성이 0.30-0.50 IU/mL인 환자는 출혈 증상의 유무에 따라 분류된다. 출혈 증상이 있으면 VWD가 있는 것이고, 출혈이 없으면 "낮은 VWF"를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7]대부분의 환자들은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여 뚜렷한 응고 손상이 없어 출혈 질환을 의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낮은 VWF 수치는 다른 의료 절차를 위해 혈액 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부수적 발견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낮은 VWF는 대부분 무증상 또는 경미한 증상으로 인해 진단되지 않으며, 1형 VWD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합병증 없이 정상적인 삶을 살게 되고, 자신이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7]
그러나 일부 환자에게는 수술(치과 시술 포함) 후 출혈, 눈에 띄는 멍, 또는 월경과다의 형태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소수의 1형 환자는 심각한 출혈 증상을 보일 수 있다.[7]
1C형 폰 빌레브란트병은 VWF 제거가 빨라져서 생기는 양적 결핍을 나타내며, 전체 1형 폰 빌레브란트병의 약 15%~20%를 차지한다. 이러한 환자는 출혈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VWF 농축액이 필요할 수 있다.[22][1]
| colspan=2| | 기전 | 상염색체 유전 | vWF 활성 | RIPA | 멀티머 양 | |
|---|---|---|---|---|---|---|
| 제1형 | VWF 양 감소 | 우성 | 감소 | 정상[25] 또는 감소[24] | 멀티머 유형 간 유사한 감소 | |
| 제2형 | A | 대형 멀티머 형성 불능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종종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대형 멀티머 감소 |
| B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강화 | 우성 | 감소 | 증가 | 대형 멀티머 감소 | |
| M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감소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멀티머 유형 간 유사한 감소 | |
| N | 제VIII인자에 대한 결합 감소 | 열성 | 정상 | 정상 | 정상 | |
| 제3형 | VWF 부재 | 열성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일반적으로 검출 불가 | |
폰 빌레브란트병은 VWF의 유전적 결손으로 혈소판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50] 일반적으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지만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경우도 관찰된다.[49] 1형은 VWF의 양적 결손에 해당한다.[50]
6. 2. 1C형
1C형 폰 빌레브란트병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제거 속도가 빨라져서 VWF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의 약 15~20%를 차지하며, VWF 농축액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24]6. 3. 2형
2형 폰 빌레브란트병(VWD)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질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체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의 15%[11]에서 50%[21]를 차지하며, 출혈 경향은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2A, 2B, 2M, 2N의 네 가지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은 멀티머의 존재 및 기능 이상에 따라 구분된다.[11] 2N형을 제외한 2형 폰 빌레브란트병은 활성도 대 항원 비율이 0.7 미만인 것이 특징이다.[7]2형 폰 빌레브란트병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기도 한다.[24]
| colspan=2| | 기전 | 상염색체 유전 | vWF 활성 | RIPA | 멀티머 양 | |
|---|---|---|---|---|---|---|
| 제2형 | A | 대형 멀티머 형성 불능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종종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대형 멀티머 감소 |
| B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강화 | 우성 | 감소 | 증가 | 대형 멀티머 감소 | |
| M | GPIb 수용체에 대한 결합 감소 | 우성 또는 열성 | 감소 | 높은 리스토세틴 농도에서 감소[25] | 멀티머 유형 간 유사한 감소 | |
| N | 제VIII인자에 대한 결합 감소 | 열성 | 정상 | 정상 | 정상 |
6. 4. 3형
폰 빌레브란트병 3형은 드물지만 가장 심각한 형태이다. 결함이 있는 유전자에 대해 동형 접합인 사람들에게 발생하며,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가 거의 또는 완전히 생성되지 않는다.[51] 상염색체 열성 패턴으로 유전된다.[7] VWF는 응고 제VIII인자를 단백질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VWF가 완전히 없으면 제VIII인자 수치가 극도로 낮아져(일반적으로 1~10%) 중증 혈우병 A와 유사한 수준의 심각한 외부 및 내부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7]폰 빌레브란트병 3형의 진단에는 리스토세틴 보조 인자 검사 및 콜라겐 결합 검사를 사용한 VWF 활성 평가가 포함된다. 3형에서는 VWF 활성이 없거나 거의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이다. VWF 멀티머 분석은 전기영동에서 밴드가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희미한 밴드만 나타난다. 또한, 리스토세틴 유발 혈소판 응집(RIPA)은 일반적으로 없거나 심하게 낮다.[7]
| colspan="2" | | 기전 | 상염색체 유전 | vWF 활성 | RIPA | 멀티머 양 | |
|---|---|---|---|---|---|---|
| 제3형 | VWF 부재 | 열성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부재 또는 현저하게 감소 | 일반적으로 검출 불가 | |
6. 5. 혈소판형 (가성 폰 빌레브란트병)
혈소판형 폰 빌레브란트병(가성 폰 빌레브란트병)은 혈소판 막 당단백질(GPIb)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유형이다.[50]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는 질적으로 정상이지만, 혈소판에 대한 결합력이 증가하여 혈소판 감소증 및 고분자량 VWF 다량체 소실이 발생한다.[50] 리스토세틴 보조 인자 활성 및 큰 VWF 멀티머의 손실은 2B형 폰 빌레브란트병과 유사하다. 이 질환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49]폰 빌레브란트병의 유전적 결손은 혈소판 기능 이상을 일으킨다.[50]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 일반적이지만 상염색체 열성 유전의 경우도 관찰된다.[49] 증상으로는 자반, 코피, 잇몸 출혈, 점막 출혈 등의 표재성 출혈과 혈변, 소화관 출혈, 생식기 과다 출혈 등이 나타난다.[49]
6. 6. 후천성 폰 빌레브란트병
자가항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혈소판 또는 콜라겐 결합을 방해하거나, 혈장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의 제거를 증가시키거나, 골수종 세포 또는 혈소판에 흡착되거나, 전단 응력으로 유도된 펼쳐짐 이후 VWF의 단백질 분해 절단을 유발한다.[26]획득성 폰 빌레브란트병(VWD)의 한 형태는 대동맥판 협착증 환자에게서 발생하여 위장관 출혈을 유발하는 Heyde 증후군이 있다.[27] 2003년 Vincentelli 등은 획득성 VWD와 대동맥 협착증 환자가 판막 치환술을 받으면 지혈 이상이 개선되지만, 보철 판막이 환자와 잘 맞지 않을 경우 6개월 후에 지혈 이상이 재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27]
마찬가지로 획득성 VWD는 좌심실 보조 장치(심장의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펌프질하는 펌프)를 이식한 사람의 출혈 경향에 기여한다.[28]
7. 치료
폰 빌레브란트병의 치료는 유형, 증상의 심각도, 환자의 개별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 목표는 출혈을 예방 및 관리하고, 지혈을 촉진하는 것이다.
데스모프레신은 1형 및 일부 2형 폰 빌레브란트병에 사용되며, 베이벨-팔라데 소체의 내피 세포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VWF) 방출을 자극하여 VWF(응고 제8인자) 수치를 3~5배 증가시킨다.[29] 2b형에는 혈소판 감소증 및 혈전증 합병증의 위험 때문에 금기이며, 2M형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2N형에는 드물게 효과가 있으며, 3형에는 전혀 효과가 없다.[29]
월경 과다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함유 경구 피임약은 생리 기간의 빈도와 지속 시간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레보노르게스트렐, 드로스피레논, 시프로테론 등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30]
데스모프레신은 바소프레신의 합성 유사체로, 과도하게 사용하면 수분 저류 및 희석성 저나트륨혈증으로 이어져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31]
수술 예정이거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출혈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폰 빌레브란트 인자를 포함한 인간 유래 중간 순도 제8인자 농축액을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재조합 제8인자 제품은 VWF 양이 미미하여 단독 요법으로는 유용하지 않다.[8]
보니코그 알파는 재조합 단백질 폰 빌레브란트 인자이다.[34][35] 제8인자 활성이 40% 이상이고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경우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지만, 40% 미만이고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하면 FVIII 대체 요법과 함께 투여해야 한다.[36]
빈혈과 저혈량증으로 인한 저혈압을 교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수혈을 실시한다. 혈소판형 폰 빌레브란트병 관련 출혈 교정을 위해 혈소판 농축액 주입이 권장된다.[33]
7. 1. 약물 치료
데스모프레신은 1형 및 일부 2형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에게 효과적인 약물이다. 혈관 내피세포에서 폰 빌레브란트 인자 방출을 촉진하여 혈중 농도를 일시적으로 3~5배 증가시킨다.[29] 경구, 비강 스프레이, 정맥 주사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2b형에는 혈소판 감소증 및 혈전증 합병증의 위험 때문에 사용할 수 없으며,[29] 2M형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2N형에는 드물게 효과가 있으며, 3형에는 전혀 효과가 없다.[29]데스모프레신에 반응하지 않거나 사용할 수 없는 환자, 중증 출혈 환자에게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제VIII인자 농축 제제를 정맥 주사로 투여한다.[8]
트라넥삼산, 아미노카프로산과 같은 항섬유소 용해제는 출혈을 멈추거나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에스트로겐 함유 경구 피임약은 월경 과다 여성에게 효과적이다.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레보노르게스트렐, 드로스피레논, 시프로테론 등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화합물은 자궁 내막을 안정화시켜 출혈을 감소시킨다.[30]
7. 2. 보존적 치료
폰 빌레브란트 병 환자는 출혈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격렬한 운동 피하기: 신체 접촉이 많은 운동이나 부상 위험이 큰 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 약물 복용 주의: 아스피린 등 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 복용은 피해야 한다.[2]
- 국소 지혈: 출혈 시 압박, 얼음찜질 등으로 지혈한다.
- 수혈: 심각한 출혈 시에는 수혈이 필요할 수 있다.
7. 3. 치과 치료 시 고려 사항
폰 빌레브란트병 (VWD) 환자는 치과 치료 시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치료 전 상담: 치과 치료 전 혈액학 전문의와 상담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48]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NSAIDs는 혈소판 응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 전 반드시 혈액학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48]
- 국소 마취제: 국소 마취제는 혈관 수축제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혈관 수축제는 국소 지혈 효과를 높일 수 있다.[48]
- 수술 시: 수술 시에는 봉합, 산화 셀룰로오스, 피브린 접착제 등 국소 지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48] 필요한 경우 항섬유소 용해제를 투여할 수 있다.[48]
폰 빌레브란트병 환자는 잇몸 출혈, 반상출혈, 코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46] 폰 빌레브란트 인자 (VWF)의 유전적 결손으로 혈소판 기능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50] 수술이나 발치 후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46]
8. 역학
전 세계적으로 100명 중 1명꼴로 폰 빌레브란트병 유병률을 보이지만,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다.[37]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사례의 유병률은 10,000명 중 1명 정도이다.[37] 월경 과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견된다. 혈액형 O형인 사람에게서 더 심각하거나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38]
| 상태 | 프로트롬빈 시간 |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출혈 시간 | 혈소판 수 |
|---|---|---|---|---|
| 폰 빌레브란트병 | 변화 없음 | 연장 또는 변화 없음 | 연장 | 변화 없음 |
9. 합병증
만성적인 출혈로 인해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반복적인 관절 내 출혈로 인해 관절 변형 및 기능 장애가 초래될 수 있는데, 주로 3형 폰 빌레브란트병에서 나타난다. 근육, 연조직 등에 혈액이 고여 덩어리(혈종)를 형성할 수 있다. 드물지만, 심각한 내부 출혈(뇌출혈, 위장관 출혈 등)이 발생하면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51]
10. 동물에서의 발병
폰 빌레브란트병(VWD)은 개, 돼지, 생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말, 소, 토끼에서도 사례가 보고되었다.[1]
개에서 VWD 1형의 원인 돌연변이는 도베르만 핀셔, 저먼 핀셔, 버니즈 마운틴 독, 맨체스터 테리어, 케리 블루 테리어, 카디건 웰시 코기, 푸들, 코튼 드 툴레아, 드렌트 파트리슈혼트, 파피용, 스타비훈 품종에서 확인되었다.[1] 2형의 원인 돌연변이는 저먼 와이어헤어드 포인터, 저먼 쇼트헤어드 포인터, 차이니즈 크레스티드 품종에서 확인되었고, 3형의 원인 돌연변이는 쿠이커혼드제, 스코티시 테리어, 셔틀랜드 쉽독 품종에서 확인되었다.[1] 1형 VWD에 걸린 개에서 원인 돌연변이는 모든 품종에서 동일했으며, 일부 인간 VWD 1형 환자에서도 동일한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1] 반면, 개에서 3형 VWD를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각 품종별로 특이적이다.[1] 유전자 검사는 알려진 품종에 대해 제공된다.[1]
돼지에서 VWD 3형의 원인 돌연변이 또한 확인되었다.[1] 이는 VWF 유전자 내의 큰 중복으로, 유전자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켜 사실상 VWF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는다.[1] 돼지의 임상 양상은 VWD 3형을 가진 인간과 가장 유사하다.[1] 따라서 이 돼지들은 임상 및 약리학적 연구를 위한 가치 있는 모델이다.[1]
VWD 3형에 걸린 생쥐는 인간 질병의 소형 모델을 얻기 위해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생산되었다.[1] 이 계통에서는 VWF 유전자가 제거되었다.[1]
VWD에 걸린 다른 종의 동물에서는 아직 원인 돌연변이가 확인되지 않았다.[1]
참조
[1]
MedlinePlus
Von Willebrand disease
[2]
논문
von Willebrand disease: A guide for the internist
2024-02
[3]
논문
Genetic diagnosis in hemophilia and von Willebrand disease
2017-01
[4]
논문
von Willebrand disease (VWD): evidence-based diagnosis and management guidelines,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HLBI) Expert Panel report (USA)
2008-03
[5]
논문
Novel insights into the clinical phenotype and pathophysiology underlying low VWF levels
2017-11
[6]
웹사이트
Von Willebrand Disease
https://www.hemophil[...]
2014-03-04
[7]
논문
ASH ISTH NHF WFH 2021 guidelines on the diagno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s://ashpublicati[...]
2021-01-12
[8]
논문
ASH ISTH NHF WFH 2021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s://ashpublicati[...]
2021-01-12
[9]
논문
Significant gynecological bleeding in women with low von Willebrand factor levels
2018-07
[10]
논문
Gynaecological and obstetric bleeding in moderate and severe von Willebrand disease
https://research.vum[...]
2011-11
[11]
웹사이트
Von Willebrand Disease
https://www.hemophil[...]
2014-03-05
[12]
논문
Special considerations in GI bleeding in VWD patients
2022-12
[13]
논문
The mutational spectrum of type 1 von Willebrand disease: Results from a Canadian cohort study
2007-01
[14]
논문
The effect of ABO blood group on the diagno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www.bloodjour[...]
1987-06
[15]
논문
Clinically relevant differences between assays for von Willebrand factor activity
2018-12
[16]
논문
Bleeding disorders in the tribe: result of consanguineous in breeding
[17]
논문
von Willebrand Disease: A Concise Review and Update for the Practicing Physician
2017-11
[18]
서적
Inherited Bleeding Disorders in Women
Blackwell
2009
[19]
논문
Reducing errors in identification of von Willebrand disease: the experience of the royal college of pathologists of australasia quality assurance program
2006-07
[20]
논문
Von Willebrand factor assay proficiency testing. The North American Specialized Coagulation Laboratory Association experience
2011-06
[21]
논문
Laborator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on Willebrand Disease in South Africa
[22]
논문
Application of genetic testing for the diagno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2024-08
[23]
논문
Type 2N von Willebrand disease: Characterization and diagnostic difficulties
2018-01
[24]
웹사이트
Clinical presentation and diagno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s://www.uptodate[...]
[25]
웹사이트
Von Willebrand Disease - VWD
https://arupconsult.[...]
[26]
논문
How I treat the acquired von Willebrand syndrome
2011-06
[27]
논문
Acquired von Willebrand syndrome in aortic stenosis
2003-07
[28]
논문
Acquired von Willebrand syndrome after continuous-flow mechanical device support contributes to a high prevalence of bleeding during long-term support and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2010-10
[29]
논문
Desmopressin as a Treatment in Patients With Von Willebrand Disease: A Systematic Review
2023-08
[30]
논문
Oral hormonal therapy as treatment option for abnormal uterine bleeding
2023-12
[31]
논문
Life threatening biphasic adverse reactions to desmopressin: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16-08
[32]
논문
Shifting Paradigms and Arising Concerns in Severe Hemophilia A Treatment
2024-07
[33]
논문
Guidanc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latelet-type von Willebrand disease: A communication from the Platelet Physiology Subcommittee of the ISTH
2020-08
[34]
웹사이트
Vonvendi (von willebrand factor- recombinant kit
https://dailymed.nlm[...]
2019-02-13
[35]
웹사이트
Veyvondi EPAR
https://www.ema.euro[...]
2018-09-20
[36]
논문
Evolution of replacement therapy for von Willebrand disease: From plasma fraction to recombinant von Willebrand factor
2019-11
[37]
논문
Molecular ba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http://www.haematolo[...]
2009-01-30
[38]
서적
Rodak's Hematology: Clinical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lsevier
2020
[39]
논문
Hereditary pseudohaemophilia
1999-05
[40]
서적
The Man Behind the Syndrom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41]
논문
Erik von Willebrand
https://pdfs.semanti[...]
2013
[42]
웹사이트
Canine von Willebrand Disease - Breed Summaries
https://ahdc.vet.cor[...]
2019-02-08
[43]
웹사이트
Canine von Willebrand Disease
https://www.vetgen.c[...]
2021-01-10
[44]
논문
VWF Gene in Pigs Affected by Von Willebrand Disease Type 3
2018-02
[45]
논문
Animal models of hemophilia and related bleeding disorders
2013-04
[46]
문서
'"Hemophilia A" (PDF). College of Dental Hygienists of Ontario. September 2, 2015.'
[47]
서적
Burket's Oral Medicine
People's Medical
2015
[48]
Monograph
Guidelines for dent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herited bleeding disorders
https://www1.wfh.org[...]
2006-05
[49]
서적
南山堂医学大辞典 第12版
[50]
서적
メルクマニュアル 第18版 日本語版
[51]
서적
Stedman's Medical Dictionary 28th
[52]
웹인용
Von Willebrand diseas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www.nlm.nih.[...]
2016-06-26
[53]
저널
von Willebrand Disease
1993
[54]
저널
ASH ISTH NHF WFH 2021 guidelines on the diagnosis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s://ashpublicati[...]
2021-01-12
[55]
저널
ASH ISTH NHF WFH 2021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von Willebrand disease
https://ashpublicati[...]
2021-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