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뒤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 뒤카스는 1865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음악 평론가, 교육자이다. 파리 음악원에서 화성, 작곡, 피아노를 배우며 클로드 드뷔시와 우정을 맺었다. 1891년 관현악곡 《폴리유크트》로 주목받았으며, 이후 평론 활동과 작곡을 병행했다. 1910년 파리 음악원 교수가 되었고, 올리비에 메시앙 등을 제자로 길러냈다.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작품 수는 많지 않지만, 《마법사의 제자》와 같은 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35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작곡가 - 스티븐 포스터
스티븐 포스터는 19세기 미국의 작곡가로, 189곡 이상의 가곡을 통해 미국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표곡으로는 "오! 수잔나", "캠프타운 경주" 등이 있고, 블랙페이스 민스트럴 쇼 연관성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미국 남부 문화를 다룬 그의 음악은 현재까지도 미국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 19세기 작곡가 - 스콧 조플린
스콧 조플린은 래그타임 음악의 선구적인 미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단풍잎 래그'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사후 '스팅'의 삽입곡으로 재평가받았다. - 프랑스 유대인 - 앙리 베르그손
앙리 베르그손은 20세기 과정철학의 선구자로서 '지속' 개념으로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생기' 개념으로 기계론적 세계관에 도전했으며, 의식, 기억, 진화, 도덕, 종교 등을 탐구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192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서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유대인 - 장피에르 멜빌
장피에르 멜빌은 프랑스 레지스탕스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로, 《사무라이》, 《붉은 원》 등 미니멀리스트 누아르 영화를 제작했으며,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파리 출신 음악가 - 카미유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 파리 출신 음악가 - 나디아 불랑제
프랑스의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수인 나디아 불랑제는 드뷔시의 영향을 받은 조성 음악 작곡과 여성 지휘자로서의 선구적인 활동을 펼쳤으며, 롱기 음악학교, 피바디 음악원, 파리 음악원, 퐁텐블로 음악학교 등에서 애런 코플랜드, 레너드 번스타인, 퀸시 존스 등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들을 배출한 영향력 있는 교육자이다.
폴 뒤카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폴 아브라함 뒤카 |
출생 | 1865년 10월 1일 |
출생지 | 파리 |
사망 | 1935년 5월 17일 (세) |
사망지 | 파리 |
학력 | |
학교 | 파리 음악원 |
직업 | |
직업 | 작곡가 |
음악 스타일 | |
장르 | 클래식 음악 |
2. 생애
폴 뒤카스는 1865년 파리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1881년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마티아스에게 피아노를, 뒤부아에게 화성을, 기로에게 작곡을 배웠다. 음악원에서 만난 드뷔시와는 평생 우정을 나누었다.
1891년 관현악곡 《서곡 폴리유크트》로 주목받았다. 1902년부터 1917년까지는 신문과 잡지에 평론을 발표하며 베토벤, D. 스카를라티, 생상스 등 작곡가의 작품을 편곡하거나 피아노 연탄곡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뒤카스는 완벽주의적인 성격으로 신중하게 작곡하여, 《아리아네》와 같이 7년이나 걸린 작품도 있었다. 1920년대에는 대부분의 작품을 파기하여 현재 남아있는 작품은 20곡 정도이다.
1910년 파리 음악원 관현악과 교수가 되었고, 1926년 또는 1927년에는 작곡과 교수가 되었다. 그의 제자로는 메시앙, 뒤뤼플레, 폰세, 로드리고 등이 있다. "새의 소리를 들으시오"라는 그의 조언은 메시앙의 작곡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34년 프랑스 학사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35년 파리에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1865-1889)

뒤카스는 1865년 파리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2][4] 아버지는 은행가였고, 어머니는 피아니스트였다.[4][3] 뒤카스가 다섯 살 때, 어머니는 셋째 아이를 낳다가 사망했다.[4] 뒤카스는 14세까지 음악적 재능을 보이지 않았으나,[4] 16세인 1881년 말 파리 음악원에 입학하여 조르주 마티아스에게 피아노를, 테오도르 뒤부아에게 화성을, 에르네스트 기로에게 작곡을 배웠다.[5] 그는 음악원에서 만난 클로드 드뷔시와 평생 우정을 나누었다.[2]
1883년에는 서곡 《리어왕》과 《괴츠 폰 베를리힝겐》을 작곡했다. 《리어왕》의 악보는 1990년대에 재발견되어 1995년에 초연되었다.[4] 1888년 칸타타 《벨레다》로 로마 대상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5] 1889년에는 수상을 하지 못하고 실망하여 음악원을 떠나 군 복무를 했다.[6]
2. 2. 작곡가와 평론가 (1890-1910)
1890년 제대 후, 뒤카스는 작곡가와 음악 평론가로서의 경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는 여러 신문과 잡지에 걸쳐 400편 이상의 평론을 기고했다.[5]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에 대한 평론으로 시작된 그의 평론가 경력은 ''라 레뷔 에브도마데르''에 게재되었으며, 이후 ''미네르바'', ''라 크로니크 데 자르'', ''가제트 데 보자르''와 ''르 쿠리에 뮤지컬''에도 기고했다.[4][5]
작곡가로서 그는 1891년에 작곡한 서곡 ''폴리외크트''를 통해 1892년 1월 샤를 라무뢰와 그의 라무뢰 관현악단에 의해 초연되면서 파리 무대에 데뷔했다.[5] 코르네유의 비극을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당시 프랑스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바그너의 영향을 보여주었지만, 일관성과 개성을 드러냈다.[2][5]
1892년, 뒤카스는 오페라 ''호른과 리멘힐드''를 작곡하기 시작했지만, "작품의 전개가 음악적이기보다 문학적이라는 것을 너무 늦게 깨달았기 때문"에 한 악장만 작곡하고 중단했다.[7]
1895년부터 1896년까지 뒤카스는 교향곡 C장조를 작곡했다. 이 곡은 폴 비달에게 헌정되었으며, 1896년 1월 헌정자의 지휘로 초연되었다.[5] 어빙 슈베르케는 이 작품에 대해 "고전적 형식의 모더니즘에 대한 풍부한 표현"이며, "프랑스 작곡가가 위대한 교향곡을 쓴 적이 없다는 널리 퍼진 생각을 훌륭하게 반박한다"고 평가했다.[5] 프랑크의 유일한 교향곡처럼, 뒤카스의 교향곡도 전통적인 4악장이 아닌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장 | 설명 |
---|---|
제1악장 알레그로 논 트로포 비바체 | 활기차고 격렬하며 강렬한 리듬을 가짐. 논리적인 구조, 강력한 주제, 다성적인 풍부함, 남성적인 관현악법으로 생생하고 화려한 색채 효과를 냄. |
제2악장 안단테 | 첫 악장과 대조적으로, 완벽한 마무리와 묘사할 수 없는 멜로디의 매력을 드러냄. |
제3악장 알레그로 스피리토소 | 관현악법이 매우 풍부하며, 교향곡을 힘차게 마무리함. |
이 교향곡은 초연에서 엇갈린 반응을 얻었지만, 1902년 라무뢰 관현악단이 이 곡을 다시 연주했을 때는 더 좋은 반응을 얻었다.[8]
1897년에는 뒤카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관현악을 위한 스케르초 ''마법사의 제자''가 작곡되었다. 괴테의 시 ''마법사의 제자''를 바탕으로 한 이 곡은(공연 시간 10~12분)[9] 뒤카스의 다른 모든 작품뿐만 아니라 괴테의 원작시의 명성까지 능가할 정도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2][5] 그러나 이 곡의 인기는 뒤카스에게는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했으며,[6] 2011년 ''그로브 음악 및 음악가 사전''은 "''마법사의 제자''의 인기와 디즈니의 ''환타지아''에 등장하는 ... 영화 버전은 뒤카스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를 방해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4]
2. 3. 전성기와 교육 활동 (1910-1935)
1910년, 뒤카스는 파리 음악원 관현악과 교수로 임명되었다.[4] 1911년에는 발레 《라 페리》를 작곡했으며, 이 작품은 1912년에 초연되었다.[19] 1916년에는 포르투갈 출신의 수잔 페레이라와 결혼했고, 1919년에는 딸 아드리엔-테레즈가 태어났다.[4]
1927년, 샤를-마리 비도르의 뒤를 이어 파리 음악원 작곡과 교수가 되었다.[5] 그는 에콜 노르말 드 뮈지크에서도 가르쳤다.[5] 그의 제자로는 제앙 알랭, 엘사 바라인, 이브 본 드포르트, 프랜시스 샤그린, 카를로스 차베스, 모리스 뒤뤼플레, 조르주 위곤, 장 랑글레, 올리비에 메시앙, 월터 피스톤, 마누엘 폰세, 호아킨 로드리고, 데이비드 반 벡터, 시안 싱하이 등이 있다.[2][4][20] 그는 보수적인 교사였지만, 학생들의 재능을 격려하며 "음악을 정말 사랑하는 것이 분명하네. 항상 마음으로 써야지, 머리로 쓰면 안 된다는 것을 기억하게"라고 말하기도 했다.[19]

《라 페리》 이후 뒤카스는 새로운 대규모 작품을 완성하지 않았다.[21] 1920년, 그는 친구 클로드 드뷔시를 추모하는 피아노 곡 《목신의 아득한 탄식》(La plainte, au loin, du faune...)을 작곡했다.[3] 1924년에는 피에르 드 롱사르의 시에 곡을 붙인 《아무르》(Amours)를 작곡했다.[3]
1934년, 뒤카스는 프랑스 학사원 회원이 되었다.[21] 1935년, 파리에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24]
3. 작품 목록
뒤카스는 관현악, 실내악, 피아노곡, 오페라, 발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폴리에크트''' - 관현악 서곡 (1891)[2]
- '''C장조 교향곡''' (1895–96)[5]
- '''마법사의 제자''' - 관현악 (1897)[9][2]
- '''내림 마단조 피아노 소나타''' (1899–1900)[4]
- '''라모 주제에 의한 변주곡, 간주곡 및 피날레''' - 피아노 (c.1899–1902)[4]
- '''빌라넬''' - 호른과 피아노 (1906)[30]
- '''하이드의 이름을 기리는 비가풍 전주곡''' - 피아노 (1909)
- '''보컬리제-에튀드 (집시풍)''' - 성악과 피아노 (1909)
- '''멀리서 들려오는, 목신의 탄식...''' - 피아노 (1920)
- '''사랑'''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소네트 (1924)
- '''알레그로''' - 피아노 (1925)
- '''모데레''' - 피아노 (?) (1933; 1936년에 사후 출판)
대규모 성악곡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비고 |
---|---|---|
1882년 | 클뤼템네스트라의 아리아 | Air de Clytemnestre, for voix et petit orchestre |
1884년 | 수다쟁이 아가씨의 노래 | Chanson de Barberine, pour soprano et orchestre |
1884년 | 미르테의 축제 | La fête des Myrthes,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4년 | 물의 정령과 어부 | L'ondine et le pêcheur, pour soprano et orchestre |
1885년 | 칸타타 『엔디미온』 | Endymion,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6년 | 칸타타 『사울의 환영』 | La vision de Saül,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7년 | 꽃 | La fleur,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8년 | 태양 찬가 | Hymne au soleil,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8년 | 칸타타 『벨레다』 | Velléda,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9년 | 칸타타 『세멜레』 | Sémélé,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3. 1. 무대 작품
- 1907년 오페라 《아리아네와 푸른 수염》[1]
- 1911년 발레곡 《라 페리》[2]
- 1912년 《라 페리》에 대한 팡파르 - 금관 악기만으로 편성. 위의 발레 음악 초연을 위해 추가된 음악이며, 발레 음악 연주 시 동시에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팡파르 단독으로 연주되는 경우도 많다.[3]
3. 2. 관현악
코르네유의 비극을 바탕으로 한 서곡 ''폴리외크트''는 1891년에 작곡되어 1892년 1월 샤를 라무뢰와 그의 라무뢰 관현악단에 의해 초연되었다.[2] 당시 프랑스 작품들처럼 바그너의 영향을 보여주었지만,[2] 일관성이 있으며 개성을 드러냈다.[5]''폴리외크트'' 이후, 뒤카스는 1892년에 오페라를 쓰기 시작했지만, 한 악장만 작곡하고 중단했다.[7]
교향곡 C장조는 뒤카스가 30대 초반이었던 1895-96년에 작곡되었다. 폴 비달에게 헌정되었으며, 1896년 1월 헌정자의 지휘로 초연되었다.[5] 프랑크의 유일한 교향곡처럼, 뒤카스의 교향곡은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초연에서 엇갈린 반응을 얻었으나,[8] 1902년 라무뢰 관현악단이 부활시켰을 때 더 좋은 반응을 얻었다.[8]
이 교향곡에 이어 뒤카스의 작곡 중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관현악을 위한 스케르초 ''마법사의 제자''(1897)가 나왔다. 괴테의 시 "마법사의 제자"를 바탕으로 한 짧은 곡이다.[9][2]
- 1883년 서곡 《리어왕》(le Roi Lear, ouverture) - 최근에 서곡만 발견되어 1995년에 초연되었다.
- 1884년 서곡 《게츠 폰 베를리힝겐》(Götz von Berlichingen, ouverture)
- 1891년 서곡 《폴리외크트》(Polyeucte, ouverture)
- 1896년 교향곡 다장조 (Symphonie en ut)
- 1897년 교향시 《마법사의 제자》(L'Apprenti sorcier, scherzo symphonique)
3. 3. 실내악
- 1906년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빌라넬 (전원시 Villanelle, pour cor et Piano) - 파리 음악원 입학 과제곡으로 작곡되었다.[30]
- 목가 바장조(호른과 피아노)(1906)
3. 4. 피아노
- 1901년 피아노 소나타 내림 마단조[27]
- 1903년 라모 주제에 의한 변주곡, 간주곡과 종곡(Variations, interlude et finale sur un thème de Rameau프랑스어)[27]
- 1920년 목신의 아득한 탄식 (드뷔시 추도) La Plainte au loin du Faune프랑스어
- 1920년 세르게이 쿠세비츠키를 위한 알레그로
『마법사의 제자』 이후, 뒤카스는 두 개의 대규모 피아노 작품을 작곡했다. 생상스에게 헌정된[4] 피아노 소나타와[4], ''라모 주제에 의한 변주곡, 간주곡 및 피날레''가 그것이다.[4] 평론가들은 뒤카스의 피아노 작품에서 베토벤의 영향, 또는 "세자르 프랑크에 의해 프랑스인들에게 해석된 베토벤"을 감지했다.[11] 두 작품 모두 당대의 유명한 피아니스트 에두아르 릴러가 초연했다.[10]
평론가 에드워드 록스피저는 "거대하고 다소 난해한" 소나타는[11] 주류 레퍼토리에 진입하지 못했지만, 최근 마르크-앙드레 아믈랭과 마가렛 핑거헛과 같은 피아니스트들에 의해 옹호되었다고 언급했다.[12][13] 록스피저는 ''라모 변주곡''에 대해 "더 발전되고 확신에 찬 ... 뒤카스는 기존 형식에 새롭고 강력한 정신을 불어넣었다"고 묘사했다.[11]
특히 『피아노 소나타』는 그의 대표작일 뿐만 아니라, "뒤카스뿐만 아니라 프랑스 피아노 음악사상 가장 야심찬 작품"으로도 일컬어진다.[27] 이 곡은 아직까지 충분히 레퍼토리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뒤카스의 제자인 장 위보, 프랑수아 르네 뒤샤블, 그리고 최근에는 마르캉드 아믈랭, 마거릿 핑거하트 등 많은 연주가가 정기적으로 연주하고 있다.
3. 5. 가곡
- 바베린의 노래 (1884)
- 물의 요정과 어부 (1884)
- 칸타타 엔디미온 (1885)
- 사랑 (1924)
- 롱사르의 소네트 (1924)
- 1909년 보칼리제 에튀드 - 집시풍으로 (Vocalise etude - Alla Gitana, pour voix et piano)
- 1924년 롱사르의 소네트 (Sonnet de Ronsard) - 시인 피에르 드 롱사르 탄생 400주년 기념을 위한 작품.
3. 6. 대규모 성악곡
연도 | 제목 | 비고 |
---|---|---|
1882년 | 클뤼템네스트라의 아리아 | Air de Clytemnestre, for voix et petit orchestre |
1884년 | 수다쟁이 아가씨의 노래 | Chanson de Barberine, pour soprano et orchestre |
1884년 | 미르테의 축제 | La fête des Myrthes,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4년 | 물의 정령과 어부 | L'ondine et le pêcheur, pour soprano et orchestre |
1885년 | 칸타타 『엔디미온』 | Endymion,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6년 | 칸타타 『사울의 환영』 | La vision de Saül,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7년 | 꽃 | La fleur,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8년 | 태양 찬가 | Hymne au soleil, pour chœur et orchestre |
1888년 | 칸타타 『벨레다』 | Velléda,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1889년 | 칸타타 『세멜레』 | Sémélé, cantate pour trois voix solos et orchestre |
3. 7. 기타
1888년 푸가(Fugue)4. 평가 및 영향
뒤카스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인해 작품 수가 적지만, 그 작품들은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1920년대에 대부분의 작품을 파기하여 현재 남아있는 작품은 20곡 정도이다.[1] 그는 신중하게 작곡하여 《아리아네》와 같은 작품은 7년이라는 시간을 소요하기도 했다.[1]
그의 음악은 독일 낭만주의의 영향과 프랑스 인상주의의 요소를 결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관현악법에 뛰어나 《마법사의 제자》와 같은 작품에서 화려하고 다채로운 음향을 만들어냈다.
교육자로서도 큰 영향을 미쳐, 올리비에 메시앙, 모리스 뒤뤼플레, 마누엘 폰세, 호아킨 로드리고 등 많은 제자들이 그의 가르침을 통해 20세기 프랑스 음악의 발전에 기여했다.[1] 특히 메시앙에게 "새의 소리를 들으시오"라고 조언한 것은 메시앙의 작곡에 큰 영향을 주었다.[1]
뒤카스의 제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자 이름 |
---|
루치야 가루타 |
올리비에 메시앙 |
모리스 뒤뤼플레 |
토니 오방 |
조르주 위공 |
귀스타브 사마즈유 |
프란시스코 에스쿠데로 |
헤수스 아랑바리 |
마르셀 포트 |
마누엘 폰세 |
장 랑글레 |
앙리 바로 |
장 위보 |
마린 고레미노프 |
타데우시 셰리고프스키 |
데이비드 반 왁터 |
류보미르 피프코프 |
장 알랑 |
호아킨 로드리고 |
다리우스 미요 |
월터 피스톤 |
프랑시스 샤그랑 |
오사와 히사토 |
뒤카스의 음악은 오늘날에도 꾸준히 연주되고 있으며, 그의 대표작들은 프랑스 음악의 중요한 레퍼토리로 자리 잡고 있다.
5. 유산
뒤카스가 사망했을 때, 가브리엘 피에르네, 기 로파르츠, 플로랑 슈미트, 마누엘 데 파야, 호아킨 로드리고, 토니 오방, 올리비에 메시앙, Elsa Barraine|엘자 바라엔영어, 율리안 크라인(알렉산드르 크라인의 조카)을 포함한 9명의 작곡가들이 추도곡을 작곡했다.[28] 이 추도곡들은 뒤카스가 편집자로 있던 『르뷔 뮈지칼』 17권 166호(1936년 5·6월호)의 부록에 게재되었다.[28] 파야에게 뒤카스는 은인이었고, 로드리고, 오방, 메시앙, 바라엔, 크라인은 뒤카스의 제자였다.[28]
6. 논란
뒤카스의 성(Dukas)은 프랑스어에서 '뒤카스'와 '뒤카' 두 가지로 발음될 수 있어, 한국어 표기에도 혼란이 있다. 1955년, 뒤카스 가문의 친구가 BBC에 "폴 뒤카스 본인이 s를 발음했다"라고 증언한 바 있다.[25]
참조
[1]
웹사이트
French Composers' Names – Paul Dukas
https://icareifyouli[...]
2022-06-12
[2]
서적
Lockspeiser
[3]
웹사이트
Paul Dukas
http://www.musimem.c[...]
2011-03-18
[4]
웹사이트
Dukas, Paul
http://www.oxfordmus[...]
2011-03-19
[5]
웹사이트
Paul Dukas: A Brief Appreciation
https://www.jstor.or[...]
2011-03-17
[6]
웹사이트
Paul Dukas
https://www.jstor.or[...]
2011-03-17
[7]
서적
Dukas, quoted in Grove
[8]
서적
Notes to Chandos CD 209225
1994
[9]
문서
Indicative timings
[10]
서적
Lockspeiser
[11]
서적
Lockspeiser
[12]
웹사이트
Dukas
http://www.gramophon[...]
2011-03-18
[13]
음반
Chandos CD 8765
1988
[14]
웹사이트
Dukas, Paul (Abraham)
http://www.oxfordmus[...]
2011-03-19
[15]
웹사이트
Toscanini in America
https://www.jstor.or[...]
1947
[16]
서적
Lockspeiser
[17]
서적
Jefferson
[18]
웹사이트
Ariane et Barbe-Bleue
http://www.evene.fr/[...]
2011-03-18
[19]
서적
Notes to Chandos CD 208852
1990
[20]
웹사이트
Francis Chagrin
http://www.chesterno[...]
2011-03-19
[21]
서적
Walsh
[22]
서적
Jones
[23]
서적
Index biographique des membres et associés de l'Académie royale de Belgique (1769-2005)
[24]
문서
Cimetière du Père Lachaise. Plot: Division 87 (columbarium), urn 4938
[25]
웹사이트
How to say: Francis Poulenc
https://www.bbc.co.u[...]
[26]
웹사이트
デュカス 1865-1935 Dukas, Paul
https://enc.piano.or[...]
一般社団法人全日本ピアノ指導者教会(ピティナ)
2024-10-01
[27]
서적
뉴グローヴ 세계 음악 대사전
[28]
웹사이트
Le tombeau de Paul Dukas
https://www.worldcat[...]
[29]
문서
중국의 작곡가
[30]
문서
Villanel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