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편 추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편 추방은 고대 아테네에서 참주정의 부활을 막고, 민주주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 제도이다. 투표에 사용된 도자기 조각인 오스트라콘에 추방하려는 사람의 이름을 적어, 일정 수 이상의 찬성을 얻은 사람을 10년 동안 아테네에서 추방했다. 이 제도는 기원전 5세기에 주로 시행되었으며, 정치적 갈등을 완화하고 유능한 정치가의 과도한 권력을 견제하는 데 기여했다.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이나 집단을 무시하고 배제하는 행위를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배제 행위인 사이버 오스트라시즘은 사회적 고립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테네 민주주의 - 프닉스
프닉스는 고대 아테네 민주정의 공식 회의 장소로, 아고라에서 옮겨져 시민들의 집회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민주주의 핵심 가치를 구현하고 역사적 인물들이 연설했던 곳으로, 세 단계에 걸쳐 건설 및 확장되어 현재는 그리스 문화부에서 관리한다. - 고대 그리스의 사회 - 심포지엄
심포지엄은 고대 그리스 사교 모임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특정 주제에 대한 공개 토론이나 강연을 진행하는 행사이다. - 고대 그리스의 사회 - 아고라
아고라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하여 자유 시민들이 모여 정치, 사회 활동을 하던 장소를 의미하며, 특히 아테네의 아고라는 민주주의 중심지이자 광장공포증의 어원이 되었다. - 집단 과정 - 무리
무리는 동물 개체들이 행동 모방이나 환경 반응으로 함께 행동하는 집단으로, 크기와 구조가 다양하며, 포식자 보호, 먹이 탐색, 에너지 절약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경쟁 심화, 질병 전파 위험 증가 등의 비용도 수반하며, 인간 사회에서도 군중 심리나 시장 투자 행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집단 과정 - 풍자
풍자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표현 방식으로, 유머와 달리 웃음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 비판적인 목적을 가지고, 정치, 종교,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 예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도편 추방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정치 절차 |
목적 | 시민 보호 |
위치 | 아테네 및 기타 고대 그리스 도시 |
기간 | 기원전 5세기 (아테네) |
방법 | 도편에 이름 기록, 투표 |
결과 | 추방 (일정 기간 동안) |
배경 | |
기원 |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
동기 | 독재 방지, 정치적 안정 유지 |
절차 | |
투표 | 아고라에서 익명으로 진행 |
정족수 | 6,000표 이상 필요 |
추방 기간 | 보통 10년 |
영향 | |
정치적 영향 | 정치적 경쟁자 제거 수단으로 악용 |
유명 사례 | 아리스테이데스, 키몬 등 |
역사적 맥락 | |
어원 | 고대 그리스어 "ostracon" (도자기 조각) |
사용 시기 | 기원전 5세기 아테네 |
종료 | 기원전 417년 이후 폐지 |
현대적 의미 | |
비유적 의미 | 사회적 배척, 왕따 |
관련 개념 | 블랙리스트, 소셜 미디어에서의 배척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다수의 역사 서적 및 논문 존재 - 문서 참조) |
관련 웹사이트 | (다수의 관련 웹사이트 존재 - 문서 참조) |
2. 어원
'도편 추방'이라는 용어는 도자기 깨진 조각을 뜻하는 오스트라콘(ὄστρακον)에서 유래했다.[1]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도자기 조각은 마구 갈겨 적을 수 있는 종이 역할을 했다. 이는 이집트에서 수입되던 고급 매체인 파피루스와 대비된다.[2][3]
도편 추방 절차는 매년 아테네 민회에서 실시 여부를 묻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질문은 아테네력의 여섯 번째 달(현대 그레고리력의 1월 또는 2월)에 제기되었다.[4] 다수의 시민이 도편 추방 실시에 동의하면, 두 달 후에 도편 추방 투표가 실시되었다.
3. 절차
플루타르코스와 필로코로스는 도편 추방이 유효하기 위한 최소 투표수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총 투표 수가 최소 6,000표 이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12] 필로코로스는 추방될 사람에 대해 최소 6,000표가 투표되어야 한다고 기록했다.[13][14] 플루타르코스가 제시한 6,000표 정족수는 이후 시민권 부여에 필요한 수와 일치하여 일반적으로 더 선호되는 견해이다.[15][16][17][18]
도편 추방으로 추방된 사람은 10일 이내에 도시를 떠나야 했다.[11] 만약 추방된 사람이 아테네로 돌아오려고 시도하면,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추방은 범죄에 대한 처벌이 아니었으므로, 추방된 사람의 재산은 몰수되지 않았고 시민권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10년 후에는 불명예 없이 아테네로 돌아올 수 있었다.[5][4] 또한, 민회에서 특별 결정을 통해 도편 추방된 사람을 10년이 지나기 전에 소환하는 것도 가능했다. 페르시아 전쟁 이전인 기원전 479년에는 사면령이 선포되어 페리클레스의 아버지 크산티포스와 아리스티데스가 귀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기원전 461년에 도편 추방된 키몬은 비상 사태 동안 소환되었다.[19]
3. 1. 투표 방법
"도편 추방"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옹기 조각''(오스트라콘, ὄστρακον|ostrakongrc)이라고 불리는 투표 용지로 사용된 도자기 조각에서 유래되었다.[1] 시민들은 아고라의 일부가 구획된 페리쉬오니즈마(περισχοίνισμα)에서[7][8][9] 도편(오스트라콘)에 추방을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적어 제출했다. 글을 모르는 시민들은 서기에게 대필을 요청할 수 있었다. 조각들은 뒤집어 쌓아두어 투표가 익명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1] 9명의 ''아르콘''과 500인 평의회가 이 과정을 감독했으며,[1] ''아르콘''은 제출된 ''오스트라카''를 세어 이름을 별도의 더미로 분류했다.[11]
4. 역사
도편 추방은 아테네 민주주의(기원전 506년~322년경) 시기에 시행된 제도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테네 헌법에 따르면 민주주의 개혁가인 클레이스테네스가 기원전 506년경에 만들었다고 한다.[20] 그러나 처음으로 도편 추방이 실시된 것은 기원전 487년으로, 제도 도입 후 약 20년이 지난 시점이었다.[21]
도편 추방 절차는 매년 민회에서 도편 추방 실시 여부를 묻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 질문은 아테네력의 여섯 번째 달(현재의 1월 또는 2월)에 제기되었다.[4] 만약 민회에서 "예"로 투표하면, 두 달 후에 아고라의 일부를 구분하고 차단한 페리쉬오니즈마 (περισχοίνισμαgrc)에서[6][7][8][9] 도편 추방 투표가 실시되었다. 시민들은 추방을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도자기 조각(옹기 조각, ὄστρακονgrc)에 적어 제출했다. 글을 모르는 사람들은 서기에게 이름을 적어달라고 부탁할 수 있었고, 조각들은 뒤집어 쌓아 익명성을 보장했다.[1] 9명의 ''아르콘''과 500인 평의회가 이 과정을 감독했으며,[1] ''아르콘''은 제출된 ''오스트라카''를 세어 이름을 별도의 더미로 분류했다.[11] 정족수가 충족될 경우(최소 6,000표 이상),[12][13][14]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사람이 추방되었다.[11]
도편 추방된 사람은 10일 이내에 도시를 떠나야 했으며, 돌아올 경우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11] 그러나 재산은 몰수되지 않았고, 10년 후에는 시민권을 회복하여 돌아올 수 있었다.[5][4] 민회는 도편 추방된 사람을 조기에 소환할 수도 있었는데, 페르시아 전쟁 이전인 기원전 479년에 사면령이 선포되어 크산티포스와 아리스티데스가 귀환한 사례가 있다.[19]
도편 추방은 참주 정치의 등장을 막고, 귀족 간의 격렬한 권력 투쟁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10]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쟁의 도구로 악용되기도 했다. 살라미스 해전에서 활약한 테미스토클레스도 도편 추방으로 지위를 잃었다.
마지막 도편 추방은 기원전 417년경 히페르볼로스였다.[21]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민주주의가 회복된 후에는 도편 추방 제도가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불법 제안 고발''(graphe paranomon)이라는 법정 소송으로 대체되었는데,[21] 이는 더 많은 정치인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었고, 더 심각한 처벌을 내릴 수 있었다.
4. 1. 도편 추방된 주요 인물
- 기원전 487년: 히파르코스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친척)[21]
- 기원전 486년: 메가클레스 (히포크라테스의 아들, 클레이스테네스의 조카)[22]
- 기원전 485년: 칼릭세노스 (클레이스테네스의 조카, 확실하지 않음)
- 기원전 484년: 크산티포스 (페리클레스의 아버지)[21]
- 기원전 482년: 아리스티데스[21]
- 기원전 471년: 테미스토클레스 (마지막 가능 연도)[21]
- 기원전 461년: 키몬 (밀티아데스의 아들)[21]
- 기원전 460년: 알키비아데스 (클레이니아스의 아버지, 두 번 추방되었을 가능성 있음)[22]
- 기원전 457년: 메논 (메네클리데스의 아들, 덜 확실함)[21]
- 기원전 442년: 투키디데스 (멜레시아스의 아들)[21]
- 기원전 440년대: 칼리아스 (디디모스의 아들, 덜 확실함)[21]
- 기원전 440년대: 다몬 (다몬의 아들, 덜 확실함)[21]
- 기원전 416년: 히페르볼로스 (안티파네스의 아들, ±1년)[21]

5. 목적
도편 추방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참주정 방지: 기원전 527년부터 36년간 아테네를 지배했던 참주 페이시스트라토스와 그 아들 히피아스와 같이 참주가 다시 등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다. 히피아스는 기원전 510년 스파르타의 도움으로 축출되었지만, 페르시아로 피신하여 침략군을 이끌고 아테네를 위협했다. 도편 추방은 이러한 참주정과 페르시아의 침략이라는 두 가지 위협에 대응하는 수단이었다.[1]
- 정쟁 완화: 클레이스테네스를 비롯한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지역 및 파벌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파벌의 수장을 일시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국가의 질서를 위협하는 대결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32]
- 정책 결정: 참주정의 위협이 사라진 후에는 급진적으로 대립하는 정책 사이에서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443년 투키디데스 (멜레시아의 아들)(동명의 역사가와는 다른 인물)는 아테네의 제국주의와 페리클레스의 아크로폴리스 건설 계획에 반대하다가 도편 추방되었다. 이는 아테네 시민들이 정책 방향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한 사례였다.[33]
- 개인의 오만함 견제: 어떤 사람이 지나치게 오만하거나 두드러지게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그를 견제하기 위해 도편 추방이 사용되기도 했다. "정의로운" 아리스티데스에 대한 일화에서, 한 시민이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도편에 그의 이름을 적어달라고 부탁하면서, "정의로운"이라고 불리는 것이 지겹다고 말한 사례가 있다.[35]
- 폭력 방지: 참을 수 없거나 떠오르는 권력자들에 대한 살인이나 암살을 막고, 좌절감이나 정치적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공개적인 방식으로 불만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있었다.
도편 추방은 귀족들의 격렬한 항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력하게 여겨진다. 고대 아테네에서는 귀족들 간의 권력 투쟁이 끊이지 않았고, 집단 망명과 쿠데타가 반복되었다. 도편 추방은 이러한 증오의 연쇄를 끊기 위해, 일족 전체가 아닌 단 한 명만을 추방하는 완화된 방식이었다.
그러나, 도편 추방은 정쟁의 도구로 악용되어 유능한 정치가가 추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페르시아 전쟁의 살라미스 해전에서 활약한 테미스토클레스도 도편 추방으로 지위를 잃었다. 이러한 폐해 때문에 기원전 5세기 말에는 폐지되었다.
6. 다른 제도와의 비교
도편 추방은 아테네 법정의 재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절차였다. 아테네 법정에서는 기소와 변론이 가능했지만, 도편 추방에서는 이러한 절차가 없었다. 이는 마치 배심원에게 "누군가를 유죄로 판결하고 싶습니까?"라고 먼저 묻고, "누구를 고발하고 싶습니까?"라고 나중에 묻는 것과 같았다.[25] 또한, 도편 추방은 1년에 한 번, 한 사람에 대해서만 가능했다.[25]
도편 추방은 특정 개인의 발의 없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절차였으며, 투표는 유권자들의 뜻에 따라 이루어지는 권력 행사였다.[26] 반면, 아테네 재판은 특정 시민-검사의 발의가 필요했다.[27] 도편 추방은 일반적으로 정치적 긴장을 증가시키기보다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했다.[27]
10년의 망명은 아테네인들에게 어려웠을 수 있지만, 법정이 부과할 수 있는 형벌(사형, 벌금, 재산 몰수, 영구 추방, 시민권 상실 등)에 비하면 관대한 처벌이었다.[28][4] 추방된 엘리트들은 부유하거나 귀족이었고, 그리스 세계에 연줄이 있거나 해외에서 수입을 얻을 수 있었기에 망명 생활이 상대적으로 수월했다.[4]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사람들은 조기에 소환될 수도 있었는데, 이는 아테네 민주주의의 다수결주의가 일관성이 없음을 보여주는 예시였다. 그러나 10년의 망명은 대개 추방을 유발한 문제를 해결했다.[4] 도편 추방은 처벌 조치가 아니라 예방 조치였기 때문에, 완전한 형기를 채우는 개념은 적용되지 않았다.[4]
도편 추방은 현대의 소환 투표 제도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소환 투표는 유권자들이 선출된 대표자를 임기 만료 전에 파면할 수 있는 제도이다.
7. 현대적 의미
도편 추방은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회 심리학자 키플링 윌리엄스는 도편 추방을 "개인 또는 집단이 다른 개인 또는 집단을 무시하고 배제하는 행위"로 정의하며, 이는 반드시 "언어 폭력 또는 신체 폭력"을 수반하지는 않는다.[38] 윌리엄스는 도편 추방의 가장 흔한 형태는 침묵이며,[38] 상대방과의 의사 소통을 거부함으로써 그들을 효과적으로 무시하고 배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39]
이러한 도편 추방은 키플링 윌리엄스가 cyberostracism|사이버 오스트라시즘영어이라고 정의한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추방을 포함하여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와 연결 지어 설명될 수 있다.
7. 1. 컴퓨터 네트워크
키플링 윌리엄스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인터넷) 환경에서 발생하는 도편 추방을 "사이버 오스트라시즘"이라고 정의한다. 특히 이메일에서는 "무응답 이메일"[40] 또는 "무시된 이메일"[41] 형태로 침묵을 지키는 것이 비교적 쉽다. 소셜 미디어에서 추방당하는 것은 소속 욕구, 자존감, 통제력, 삶의 의미와 같은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를 위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2] 사이버 사회적 거부(예: "싫어요"를 받는 것)는 소속감과 자존감의 욕구에 더 큰 위협을 가하고,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진다.[43] 반대로 사이버 오스트라시즘(무시당하거나 "좋아요"를 덜 받는 것)[44]은 더 많은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며,[43] 추방은 문제적 소셜 미디어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45]7. 2. 내부 고발
사회 심리학자 키플링 윌리엄스는 도편 추방을 "개인 또는 집단이 개인 또는 집단에 의해 무시당하고 배제되는 행위"로 정의하며, 반드시 "언어 폭력 또는 신체 폭력"을 수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였다.[38] 윌리엄스는 도편 추방의 가장 흔한 형태는 침묵이며,[38] 그 사람과의 의사 소통을 거부함으로써 그들을 효과적으로 무시하고 배제하는 것이라고 말한다.[39]연구에 따르면, 도편 추방은 내부 고발에 대한 조직의 보복 전략으로 흔히 사용된다. 키플링 윌리엄스는 미국의 내부 고발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모든 응답자가 내부 고발 이후 도편 추방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38] 알렉산더 브라운 역시 내부 고발 이후의 도편 추방이 흔한 대응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실제로 도편 추방을 식별하고 조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도편 추방을 "은밀한" 보복의 한 형태로 묘사한다.[49]
8. 이란의 문화: Qahr와 Ashti
카르(''Qahr'')는 모욕적인 행동을 한 것으로 여겨지는 하위 가족 구성원을 기피하는 것이다. 이는 이란 문화의 여러 의례적인 사회 관습 중 하나이다.[50] 카르와 아쉬티(''Ashti'')는 이란에서 다른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적인 기피 행위의 문화 특유의 이란 형태이다.[50] 현대 서구의 배척 개념이 사회적으로 인정된 집단 내에서 순응을 강요하는 데 기반하는 반면, 카르는 갈등이나 분노를 나타내는 개인적(바티니)이고 가족 중심적인 문제[51]로서, 이를 공개하는 것은 사회적 예절에 어긋나기 때문에 결코 대중에 공개되지 않는다.[52]
고짜쉬트(''Gozasht'')는 '관용, 이해, 용서하려는 열망 또는 의지'[53]를 의미하며, 종결과 인지에 대한 심리적 요구뿐만 아니라, ''타우바''(회개, 코란 2:222 참조)[54]와 ''두아''(탄원)의 필요한 종교적 요구 사항을 실천하기 위한 문화적으로 인정된 근원이기도 한 카르와 아쉬티의 필수 요소이다.[55]
참조
[1]
서적
Grosse Prozesse im antiken Athen
https://books.google[...]
C.H. Beck
2000
[2]
웹사이트
The Price of Papyrus in Greek Antiquity, Gustave Glotz 1929
https://www.marxists[...]
2023-03-21
[3]
논문
Was papyrus regarded as « cheap » or « expensive » in the ancient world?
https://www.jstor.or[...]
1995
[4]
서적
Exile, ostracism, and democracy : the politics of expulsion in ancient Greece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5]
논문
Pruning of the People: Ostracism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Political Space in Ancient Athens
2023-08-31
[6]
문서
[7]
URL
https://agora.ascsa.[...]
[8]
URL
[9]
URL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Plutarch, Aristides, chapter 7
http://www.perseus.t[...]
2021-05-21
[13]
URL
http://www.attalus.o[...]
[14]
논문
Philochorus
http://dx.doi.org/10[...]
2006-10
[15]
서적
Democracy and Participation in Athe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Greek and Roman Voting and Elections
Thames and Hudson
[17]
서적
The Classical Athenian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Mass and Elite in Democratic Athe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URL
[20]
웹사이트
Aristotle, Athenian Constitution, chapter 22
https://www.perseus.[...]
2018-03-25
[21]
논문
Conflict, democracy and voter choice: a public choice analysis of the Athenian ostracism
https://www.jstor.or[...]
2016
[22]
문서
[23]
논문
New Ostraka from the Athenian Agora
https://www.jstor.or[...]
2022-10-21
[24]
문서
[25]
논문
Lives. Aristides
http://dx.doi.org/10[...]
2021-06-08
[26]
서적
Athenian Ostracism and its Original Purpose: A Prisoner's Dilemma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2-12-15
[27]
서적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in classical Athens : essays on law, society, an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Life of Pericles With Introduction, Critical and Explanatory Notes and Indices
Hansebooks GmbH
[29]
논문
Excavations on the North Slope of the Acropolis, 1937
[30]
문서
[31]
문서
[32]
논문
Conflict, democracy and voter choice: a public choice analysis of the Athenian ostracism
http://dx.doi.org/10[...]
2016-10
[33]
URL
[34]
서적
Aristocracy in Antiquity: Redefining Greek and Roman Elites
https://books.google[...]
Classical Press of Wales
[35]
URL
[36]
문서
see Surikov
[37]
문서
see Surikov
[38]
서적
Ostracism : the power of silence
https://www.worldcat[...]
Guilford Press
[39]
간행물
Ostracism: The Power of Silence
Guilford Press
[40]
간행물
'Antisocial Communication on Electronic Mail and the Internet'
Routledge
[41]
간행물
'Ostracism and Stages of Coping'
Oxford University Press
[42]
논문
Social media ostracism: The effects of being excluded online
https://www.scienced[...]
2017-08-01
[43]
논문
Is receiving Dislikes in social media still better than being ignored? The effects of ostracism and rejection on need threat and coping responses online
https://doi.org/10.1[...]
2020-08-11
[44]
논문
Being liked or not being liked: A study on social-media exclusion in a preadolescent population
https://www.scienced[...]
2020-04-01
[45]
논문
The Social Media Disorder and Ostracism in Adolescents: (OSTRACA- SM Study)
2020-06
[46]
서적
The Literary Churchill
Yale
[47]
논문
Recovery From Ostracism Distress: The Role of Attribution
2022-05-11
[48]
논문
The experience of ostracism over the adult life span.
https://psycnet.apa.[...]
2020-10
[49]
서적
Whistling While They Work
ANU Press
[50]
서적
Iran: At War With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1]
서적
Gender, Emotion, and the Famil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2]
웹사이트
Iran – Language, Culture, Customs and Etiquette
http://www.commisceo[...]
2017-04-29
[53]
서적
Iran: At War with History
[54]
웹사이트
Repentance
http://sunnahonline.[...]
[55]
웹사이트
What is Dua?
http://islam.ru/en/c[...]
2018-03-25
[56]
서적
Japan:An Attempt at Interpretataion
Dodo Press
[57]
서적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Mariner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