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콧부스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0세기 소르브인 정착지에서 시작되어 오랜 역사를 지닌다. 중세 시대에는 양모 산업과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이후 보헤미아, 브란덴부르크, 프로이센, 작센의 지배를 거쳐 1871년 독일 제국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강제 수용소가 있었고, 동독 시대를 거쳐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브란덴부르크주의 일부가 되었다. 현재는 19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르브인 문화의 중심지로서 독일어와 저지 소르브어를 함께 사용한다. 브란덴부르크 공과대학교, 동유럽 국제 영화제 등이 있으며, 축구 클럽 FC 에너지 콧부스의 연고지이기도 하다.
1514년 얀 라크는 코트부스에서 소르브어 김나지움인 Universitas Serborumla을 설립했다. 1635년, 하부 루사티아는 보헤미아에서 작센으로 양도되었고, 이로써 코트부스는 작센의 월경지가 되었다. 1701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프로이센 왕국이 되었다.
콧부스는 19개의 구(Ortsteil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는 고유한 역사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993년과 2003년에 걸쳐 여러 마을이 콧부스 시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행정 구역이 형성되었다.
2. 역사
1807년,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이후, 코트부스는 틸지트 조약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작센 왕국으로 양도되어 하부 루사티아와 재결합했다. 1815년 빈 회의를 통해 코트부스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프로이센으로 반환되었다. 하부 루사티아 역시 프로이센으로 양도되었고, 두 지역 모두 프로이센의 브란덴부르크 주의 일부가 되어 1947년까지 유지되었다. 19세기에, 소르브어 신문인 ''Bramborski Serbski Casnik''이 이 도시에서 발행되었고, 1880년에는 Maćica Serbska 조직의 첫 번째 하부 루사티아 지부가 설립되었다.[6]
1871년 프로이센과 함께 코트부스는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05년 프로이센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트부스 시의 인구는 46,270명이었으며, 그중 97%가 독일인, 2%가 소르브인, 1%가 폴란드인이었다.[7]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코트부스는 원치 않는 유대인 동유럽 이민자들을 위한 강제 수용소 부지였다.[8]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코트부스에는 여성들을 위한 나치 교도소가 운영되었고, 도시와 주변 지역에는 여러 강제 노동 부속 수용소가 있었다.[9] 폴란드 배우 브와디스와프 한차는 1944년에서 1945년 사이에 이 도시의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0] 1945년 4월 22일, 전쟁 막바지에 코트부스는 붉은 군대에 점령되었다. 1946년 1월, 코트부스는 도시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34개의 반우편 우표를 발행했다. 1949년부터 1990년 독일 통일까지 코트부스는 독일 민주 공화국의 일부였다. 1952년부터 1990년까지 코트부스는 코트부스 구의 행정 중심지였다.
2. 1. 초기 정착과 중세
10세기에 소르브인들이 슈프레 강의 모래섬에 성을 세우면서 콧부스가 정착되었다.[5] 965년 루사티아 변경백국에 점령된 후, 1002년 볼레스와프 1세 용감공 치하의 폴란드로 넘어갔다가 1032년에 다시 루사티아 변경백국으로 돌아갔다.[5] 마을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1156년이다.[5] 13세기에 독일 정착민들이 마을로 이주해 왔고 그 후 소르브인들과 함께 살았다.
중세 시대에 콧부스는 양모로 유명했으며, 마을의 옷감은 브란덴부르크, 보헤미아 왕국, 작센 선제후국 전역으로 수출되었다.[5] 또한 "소금길"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길은 할레에서 루사티아를 거쳐 동쪽의 폴란드까지 소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5] 콧부스는 루사티아 변경백국의 일부였으며, 나중에는 하부 루사티아에 속했는데, 1367년 보헤미아 왕관령이 될 때까지 베틴 가문이 지배했다.[5]
2. 2. 보헤미아와 브란덴부르크의 지배
10세기에 소르브인들이 슈프레 강의 모래섬에 성을 세우면서 콧부스가 정착되었다. 콧부스는 루사티아 변경백국에 점령되었다가, 1002년 볼레스와프 1세 용감공 치하의 폴란드로 넘어갔지만, 1032년에 다시 루사티아 변경백국으로 돌아갔다. 콧부스라는 마을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1156년의 일이다. 13세기에는 독일 정착민들이 마을로 이주해 왔고 그 후 소르브인들과 함께 살았다.
중세 시대에 콧부스는 양모로 유명했으며, 마을의 옷감은 브란덴부르크, 보헤미아 왕국, 작센 선제후국 전역으로 수출되었다. 또한 "소금길"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 길은 할레에서 루사티아를 거쳐 동쪽의 폴란드까지 소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5] 콧부스는 루사티아 변경백국의 일부였으며, 나중에는 하부 루사티아에 속했는데, 1367년 보헤미아 왕관령이 될 때까지 베틴 가문이 지배했다.
1445년, 콧부스는 보헤미아에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인수되었다. 콧부스는 보헤미아령 하부 루사티아에 거의 완전히 둘러싸인 월경지였으며, 남서쪽으로는 작센 선제후국과 짧은 경계선을 이루고 있었다.
2. 3. 작센과 프로이센의 지배
10세기에 소르브인들이 슈프레 강의 모래섬에 성을 세우면서 코트부스가 정착되었다.[5] 13세기에는 독일 정착민들이 마을로 이주해 와 소르브인들과 함께 살았다.[5] 중세 시대에 코트부스는 양모로 유명했으며, 옷감은 브란덴부르크, 보헤미아 왕국, 작센 선제후국 전역으로 수출되었다.[5] 또한 "소금길"이라고 불리는 중요한 무역로에 위치해 할레에서 루사티아를 거쳐 동쪽의 폴란드까지 소금을 운송했다.[5]
코트부스는 루사티아 변경백국의 일부였다가 하부 루사티아에 속했는데, 1367년 보헤미아 왕관령이 될 때까지 베틴 가문이 지배했다. 1445년, 코트부스는 보헤미아에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인수되었다. 코트부스는 보헤미아령 하부 루사티아에 거의 완전히 둘러싸인 월경지였으며, 남서쪽으로는 작센 선제후국과 짧은 경계선을 이루고 있었다. 1635년, 하부 루사티아는 보헤미아에서 작센으로 양도되었고, 이로써 코트부스는 작센의 월경지가 되었다. 1701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프로이센 왕국이 되었다.
1807년,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이후, 코트부스는 틸지트 조약에 의해 프로이센에서 작센 왕국으로 양도되어 하부 루사티아와 재결합했다. 코트부스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5년 빈 회의를 통해 프로이센으로 반환되었다. 하부 루사티아 역시 프로이센으로 양도되었고, 두 지역 모두 프로이센의 브란덴부르크 주의 일부가 되었다.
2. 4. 독일 제국과 바이마르 공화국
1871년 프로이센이 독일 제국에 통합되면서 콧부스 역시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905년 프로이센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콧부스의 인구는 46,270명이었으며, 이 중 97%는 독일인, 2%는 소르브인, 1%는 폴란드인이었다.[7]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독일에서 콧부스는 원치 않는 유대인 동유럽 이민자들을 위한 강제 수용소 부지였다.[8]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도 콧부스는 계속해서 독일의 영토로 남아있었다.
2. 5.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코트부스에는 여성들을 위한 나치 교도소가 운영되었고, 도시와 주변 지역에는 여러 강제 노동 부속 수용소가 있었다.[9] 폴란드 배우 브와디스와프 한차는 1944년부터 1945년까지 이 도시의 강제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0] 전쟁 막바지인 1945년 4월 22일, 코트부스는 붉은 군대에 점령되었다.
2. 6. 동독 시대와 독일 통일
10세기에 소르브인들이 슈프레 강의 모래섬에 성을 세우면서 코트부스가 정착되었다.[5] 1949년부터 독일 통일이 이루어진 1990년까지 코트부스는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일부였다. 1946년 1월, 코트부스는 도시 재건을 지원하기 위해 34개의 반우편 우표를 발행했다. 1952년부터 1990년까지 코트부스는 코트부스 구의 행정 중심지였다.
3. 행정 구역
3. 1. 구 목록
콧부스는 19개의 구(Ortsteile)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독일어 | 저지 소르브어 | 인구 | 면적 (km2) | 인구 밀도 | 최초 언급 | 편입 | |
---|---|---|---|---|---|---|---|
1 | 미테(Mitte) | Srjejź | 10,732 | 1.7km2 | 6,313 | ||
2 | 슈멜비츠(Schmellwitz) | Chmjelow | 14,116 | 8.1km2 | 1,743 | 1414 | 1950 |
3 | 잔도(Sandow) | Žandow | 15,301 | 8.7km2 | 1,759 | 1415 | 1904 |
4 | 슈프렘베르거 포어슈타트(Spremberger Vorstadt) | Grodkojske pśedměsto | 13,800 | 3.6km2 | 3,833 | ||
5 | 슈퇴비츠(Ströbitz) | Strobice | 15,726 | 11.7km2 | 1,344 | 1452 | 1950 |
6 | 질로(Sielow) | Žylow | 3,510 | 18.8km2 | 187 | 1300 | 1993 |
7 | 자스포(Saspow) | Zaspy | 686 | 4.3km2 | 160 | 1455 | 1950 |
8 | 메르츠도르프(Merzdorf) | Žylowk | 1,089 | 7.4km2 | 147 | 1411 | 1993 |
9 | 디센헨(Dissenchen) | Dešank | 1,101 | 30.7km2 | 36 | 1536 | 1993 |
10 | 브라니츠(Branitz) | Rogeńc | 1,446 | 5.4km2 | 268 | 1449 | 1993 |
11 | 마들로(Madlow) | Módłej | 1,630 | 3km2 | 543 | 1346 | 1950 |
12 | 작센도르프(Sachsendorf) | Knorawa | 10,584 | 6.6km2 | 1,603 | 1779 | 1950 |
13 | 되브리크(Döbbrick) | Depsk | 1,695 | 15.5km2 | 109 | 1551 | 1993 |
14 | 스카도(Skadow) | Škódow | 568 | 4.6km2 | 123 | 1407 | 1993 |
15 | 빌머스도르프(Willmersdorf) | Rogozno | 633 | 6.4km2 | 99 | 1449 | 1993 |
16 | 카렌(Kahren) | Kórjeń | 1,259 | 14km2 | 90 | 1300 | 1993 |
17 | 키케부슈(Kiekebusch) | Kibuš | 1,292 | 3.7km2 | 349 | 1427 | 2003 |
18 | 갈린헨(Gallinchen) | Gołynk | 2,768 | 5.5km2 | 503 | 1421 | 2003 |
19 | 그로스 가글로(Groß Gaglow) | Gogolow | 1,487 | 4.6km2 | 323 | 1389 | 2003 |
콧부스 (Cottbus) | Chóśebuz | 99,423 | 164.3km2 | 605 | 1156 |
4. 인구
콧부스의 인구는 1875년 35,201명에서 2020년 98,693명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중간에 감소하는 시기도 있었다.[22] 1980년대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1989년에는 137,366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감소하여 2021년에는 98,347명이 되었다.
4. 1. 인구 변화
다음은 콧부스의 인구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22]연도 | 인구 |
---|---|
1875 | 35,201 |
1890 | 46,671 |
1910 | 65,438 |
1925 | 68,228 |
1933 | 72,286 |
1939 | 75,969 |
1946 | 73,010 |
1950 | 73,695 |
1964 | 84,952 |
1971 | 94,606 |
1981 | 125,326 |
1985 | 133,232 |
1989 | 137,366 |
1990 | 134,781 |
1991 | 131,625 |
1992 | 131,343 |
1993 | 130,756 |
1994 | 128,601 |
1995 | 126,343 |
1996 | 124,389 |
1997 | 122,579 |
1998 | 119,629 |
1999 | 115,970 |
2000 | 113,618 |
2001 | 111,125 |
2002 | 109,144 |
2003 | 107,549 |
2004 | 106,415 |
2005 | 105,309 |
2006 | 103,837 |
2007 | 102,811 |
2008 | 101,785 |
2009 | 101,671 |
2010 | 102,091 |
2011 | 99,974 |
2012 | 99,913 |
2013 | 99,595 |
2014 | 99,491 |
2015 | 99,687 |
2016 | 100,416 |
2017 | 101,036 |
2018 | 100,219 |
2019 | 99,678 |
2020 | 98,693 |
2021 | 98,347 |
5. 기후
콧부스는 쾨펜 기후 구분 상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보인다. 북쪽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여름은 매우 따뜻하며, 대서양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겨울은 온화한 편이다. 다만, 다른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올 경우 심한 한파가 발생하기도 한다. 연간 기온 진폭은 해양성 기후치고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여름에는 35°C, 겨울에는 -15°C까지 이르기도 한다. 강수량은 잦지만 누적량은 적은 편이며, 눈은 연간 36일 동안 쌓이나 대개 빨리 녹는다.[12] 1년 중 대부분은 흐린 날씨가 이어지지만, 늦봄에는 맑은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평년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900년~현재 기준이다.[23][24]
5. 1. 기후 데이터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6.6°C | 20.6°C | 25.4°C | 31.2°C | 33.3°C | 39.2°C | 38.9°C | 38.5°C | 34.5°C | 29.2°C | 20.2°C | 17.9°C | 39.2°C |
평균 최고 기온 (°C) | 3.5°C | 5.3°C | 9.4°C | 15.7°C | 20.3°C | 23.6°C | 25.6°C | 25.4°C | 20.3°C | 14.4°C | 8.2°C | 4.4°C | 14.7°C |
평균 기온 (°C) | 0.8°C | 1.7°C | 4.8°C | 10°C | 14.5°C | 17.9°C | 19.8°C | 19.3°C | 14.6°C | 9.8°C | 5.1°C | 1.9°C | 10°C |
평균 최저 기온 (°C) | -2.1°C | -1.7°C | 0.4°C | 3.9°C | 8.2°C | 11.8°C | 13.8°C | 13.4°C | 9.4°C | 5.5°C | 1.9°C | -0.7°C | 5.3°C |
최저 기온 기록 (°C) | -26.6°C | -29.5°C | -23°C | -14.2°C | -3.5°C | -1.9°C | 4.3°C | 3.2°C | -2.7°C | -10.2°C | -14.4°C | -25.8°C | -29.5°C |
강수량 (mm) | 41.5mm | 34.1mm | 40.9mm | 30.6mm | 56.6mm | 53.1mm | 74.8mm | 63mm | 46.3mm | 40.5mm | 42.9mm | 42mm | 566mm |
평균 강수일수 (≥ 0.1mm) | 17.5 | 14.5 | 15.0 | 11.6 | 13.1 | 12.3 | 13.6 | 12.9 | 11.8 | 13.7 | 14.6 | 16.4 | 167.0 |
평균 상대 습도 (%) | 83.4 | 79.7 | 75.0 | 66.5 | 66.4 | 66.2 | 67.0 | 68.8 | 76.2 | 81.1 | 85.1 | 84.7 | 75.0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54.0 | 77.1 | 127.1 | 192.4 | 227.3 | 228.0 | 237.2 | 227.4 | 169.0 | 118.9 | 62.7 | 49.1 | 1770.3 |
콧부스는 쾨펜 기후 구분 상 서안 해양성 기후(Cfb)를 보인다. 북쪽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여름은 매우 따뜻하며, 대서양에서 불어오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겨울은 온화한 편이다. 다만, 다른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올 경우 심한 한파가 발생하기도 한다. 연간 기온 진폭은 해양성 기후치고는 상당히 높은 편으로, 여름에는 35°C, 겨울에는 -15°C까지 이르기도 한다. 강수량은 잦지만 누적량은 적은 편이며, 눈은 연간 36일 동안 쌓이나 대개 빨리 녹는다.[12] 1년 중 대부분은 흐린 날씨가 이어지지만, 늦봄에는 맑은 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평년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900년~현재 기준이다.[23][24]
6. 문화 및 교육
콧부스는 저지 소르비아어 소수 민족의 문화 중심지이다. 도시의 많은 표지판은 이중 언어로 되어 있으며, 저지 소르비아어 김나지움과 소르비아 분기가 있지만, 소르비아어는 거리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콧부스에는 브란덴부르크 공과대학교(BTU)와 물리학자 막스 슈텐베크의 이름을 딴 수학/과학 중심의 막스-슈텐베크 김나지움이 있다. 매년 동유럽 국제 영화제가 개최된다.
콧부스에는 축구팀 FC 에너지 콧부스가 있으며, 2021–2022 시즌 현재 레기오날리가 노르도스트에서 활동하고 있다. 홈 경기는 슈타디온 데어 프로이쉔프트 (콧부스)에서 열린다.
6. 1. 브라니츠 공원
콧부스 인근에는 1845년 이후 헤르만 폰 퓌클러-무스카우 공작이 조성한 유명한 브라니츠 공원이 있다. 브라니츠 성은 1846년에서 1852년 사이에 고트프리트 젬퍼에 의해 후기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헤르만 공작이 조성한 정원에는 두 개의 피라미드가 있다. 이 중 하나인 제피라미데는 인공 호수 한가운데에 있으며 그의 묘소로 사용된다.[14]6. 2. 교육 기관
콧부스는 저지 소르비아어 소수 민족의 문화 중심지이다. 도시의 많은 표지판은 이중 언어로 되어 있으며, 저지 소르비아어 김나지움과 소르비아 분기가 있지만, 소르비아어는 거리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콧부스에는 브란덴부르크 공과대학교 (BTU)와 물리학자 막스 슈텐베크의 이름을 딴 수학/과학 중심의 막스-슈텐베크 김나지움이 있다.
6. 3. 영화제
콧부스에서는 매년 동유럽 국제 영화제가 개최된다.7. 경제
콧부스는 슈프레 강을 따라 위치한 공업 도시이며, 폴란드 국경까지 약 20km 거리이다. 인근 도시로는 북쪽 약 65km 지점에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남서쪽 약 90km 지점에 드레스덴, 북서쪽 약 100km 지점에 베를린이 있다.
7. 1. 교통

콧부스는 코트부스 중앙역을 통해 철도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 도시에는 코트부스-드레비츠 공항 (코트부스에서 북동쪽으로 약 25km 거리)과 코트부스-노이하우젠 공항 (코트부스에서 남동쪽으로 약 10km 거리) 두 곳의 공항이 있다.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은 코트부스에서 한 시간 거리에 있다.
지역 대중교통은 Cottbusverkehr GmbH와 DB Regio Bus Ost GmbH가 운영하는 트램과 버스로 제공되며, 이 두 회사는 모두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VBB)의 회원이다.[1]
7. 2. 에너지 산업
코트부스(라우지츠) 주변 지역에는 지역 노천 채굴을 통해 공급되는 여러 개의 갈탄 화력 발전소가 있다. 가장 큰 발전소는 슈바르체 펌페(1600MW), 복스베르크(1900MW), 옌슈발데(3000MW)이다. 일부 노천 채굴장은 이미 폐쇄되었으며, 이전 Cottbus-Nord opencast mine|코트부스-노르트 노천 채굴장de은 코트부스 동해(Cottbuser Ostsee)라고 불리는 19km2 표면적의 인공 호수로 변환되었다.8. 스포츠
에너지 코트부스(FC Energie Cottbusde)는 코트부스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이다. 동서독 통일 후 분데스리가 1부에 소속되었던 몇 안 되는 구 동독 클럽 중 하나이다. 2003년 분데스리가 2부로 강등되었지만 2006년 1부로 복귀하였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소마 타카토가 이 클럽에 소속되어 있었다.
9. 정치
콧부스의 정치는 시장과 시의회에 의해 운영된다. 2022년부터 사회민주당(SPD) 소속의 토비아스 시크가 시장직을 맡고 있다. 시의회는 2024년 6월 9일에 치러진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9. 1. 시장 및 시의회
현재 시장은 2022년부터 사회민주당(SPD) 소속의 토비아스 시크이다. 2022년 9월 11일에 치러진 시장 선거에서는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득표한 후보가 없어 10월 9일에 결선 투표가 진행되었다.후보 | 정당 | 1차 투표 | 2차 투표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토비아스 시크 | 사회민주당 | 13,300 | 31.8 | 29,526 | 68.6 | |
라르스 시스케 | 독일을 위한 대안 | 11,026 | 26.4 | 13,488 | 31.4 | |
토마스 베르그너 | 기독교민주연합 | 10,302 | 24.6 | |||
스베벤 벤켄 | 우리 코트부스! | 2,485 | 5.9 | |||
펠릭스 시커 | 자유민주당 | 2,377 | 5.7 | |||
리산 코베 | dieBasis | 1,621 | 3.9 | |||
요한 슈타우딩거 | 무소속 | 716 | 1.7 | |||
유효 득표수 | 41,827 | 99.4 | 43,014 | 99.1 | ||
무효표 | 260 | 0.6 | 383 | 0.9 | ||
총 투표수 | 42,087 | 100.0 | 43,397 | 100.0 | ||
선거인/투표율 | 78,918 | 53.3 | 78,912 | 55.0 |
시의회는 시장과 함께 도시를 통치한다. 2024년 6월 9일에 치러진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독일을 위한 대안 (AfD) | 41,731 | 29.2 | 14 | |
사회민주당 (SPD) | 27,991 | 19.6 | 9 | |
기독교민주연합 (CDU) | 22,894 | 16.0 | 7 | |
우리 코트부스! (UC!) | 12,938 | 9.0 | 4 | |
좌파당 (Die Linke) | 10,173 | 7.1 | 3 | |
동맹 90/녹색당 (Grüne) | 7,066 | 4.9 | 2 | |
활동적인 시민 – 자유 유권자 (AUB–FW) | 6,195 | 4.3 | 2 | |
미틀 클래스 이니셔티브 브란덴부르크 (MIBrb) | 5,881 | 4.1 | 1 | |
자유민주당 (FDP) | 2,926 | 2.0 | 1 | |
사회적 격변 (SUB) | 2,704 | 1.9 | 1 | |
안전한 미래 코트부스 (ZSC) | 2,456 | 1.7 | 1 | |
유효 득표수 | 142,965 | 100.0 | 56 | |
무효 투표 | 769 | 1.6 | ||
총 투표 | 48,820 | 98.4 | ||
선거인/투표율 | 78,002 | 62.6 |
10. 자매 도시
콧부스는 9개의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17]
10. 1. 자매 도시 목록
콧부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 [17]국가 | 도시 | 맺은 해 |
---|---|---|
-- 프랑스 | 몽트뢰유 | 1959년 |
-- 이탈리아 | 그로세토 | 1967년 |
-- 러시아 | 리페츠크 | 1974년 |
-- 폴란드 | 지에로나구라 | 1975년 |
-- 불가리아 | 터르고비슈테 | 1975년 |
-- 슬로바키아 | 코시체 | 1978년 |
-- 독일 | 자르브뤼켄 | 1987년 |
-- 독일 | 겔젠키르헨 | 1995년 |
-- 영국 | 너니턴 베드워스 | 1999년 |
11. 유명 인물
콧부스는 다양한 분야의 유명 인물을 배출한 도시이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풍경 화가 카를 블레헨, 작사가 쿠르트 뎀믈러, 해부학자 구스타프 테오도어 프리치, 원반던지기 선수 로베르트 하르팅, 사이클 선수 토니 마틴, 축구 선수 옌스 멜지히, 포커의 항공기 설계자 라인홀트 플라츠, 원반던지기 선수 가브리엘레 라인슈 등이 있다.
11. 1. 인물 목록
- 재니스 베렌트 (1983년 출생) - 미인대회 우승자이자 모델
- 카를 블레헨 (1798–1840) - 풍경 화가
- 쿠르트 뎀믈러 (1943–2009) - 작사가; 성폭행 혐의로 기소되어 감옥에서 자살
- 루디 핑크 (1958년 출생) - 아마추어 복서 및 복싱 코치
- 구스타프 테오도어 프리치 (1838–1927) - 해부학자, 인류학자, 생리학자
- 마르코 가이슬러 (1974년 출생) - 조정 선수
- 오토 후고 파울 그로트카우 (1846–1898) - 사회주의자, 노동조합원, 미국 저널리스트
- 로베르트 하르팅 (1984년 출생) - 원반던지기 선수
- 마르타 이스라엘 (1905–1967년경) - 정치인
- 토니 마틴 (1985년 출생) - 사이클 선수
- 옌스 멜지히 (1965년 출생) - 축구 선수
- 다니엘 무시올 (1983년 출생) - 사이클 선수
- 라인홀트 플라츠 (1886–1966) - 포커의 항공기 설계자이자 제조업자
- 콜린 라크 (2000년 출생) - 축구 선수
- 가브리엘레 라인슈 (1963년 출생) - 세계 기록 보유자, 원반던지기 선수
- 빅토리아 슈미트-린젠호프 (1944–2013) - 미술사학자, 교수
- 하이코 슈바르츠 (1989년 출생) - 축구 선수
- 크리스토프 하르팅 - 육상 선수, 로베르트 하르팅의 동생[18][19]
참조
[1]
웹사이트
Ergebnis der Oberbürgermeisterwahl in Cottbus
https://wahlen.brand[...]
2022-11-13
[2]
웹사이트
Life: Cottbus/Chóśebuz International
https://www.cottbus.[...]
[3]
웹사이트
Map of the Lower Sorbian speaking region. The cultural capital is in Chóśebuz.
https://www.research[...]
2018
[4]
논문
Reviewed Work: The Slavic Literary Languages
https://www.jstor.or[...]
1982
[5]
학술지
Związki handlowe Łużyc ze Śląskiem w dawnych wiekach
1949
[6]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I
[7]
서적
Sprachliche Minderheiten im preussischen Staat: 1815 - 1914 ; die preußische Sprachenstatistik in Bearbeitung und Kommentar
https://opacplus.bsb[...]
Herder-Inst.
1998
[8]
서적
Concentration Camp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9]
웹사이트
Frauenzuchthaus Cottbus
https://www.bundesar[...]
2021-10-30
[10]
웹사이트
Władysław Hańcza (1905 – 1977)
http://www.dziennikt[...]
2023-09-30
[11]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 Brandenburg at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12]
웹사이트
Cottbus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9-16
[13]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climatologiques 1991-2020 à Cottbu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27
[14]
문서
Fürst Pücklers Traumpark
Ullstein Verlag
1996
[15]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cottbus.[...]
Cottbus
2021-02-11
[16]
간행물
Population GER-BB
SOURCE
[17]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cottbus.[...]
2018-02-03
[18]
웹사이트
金メダリストの略歴=クリストフ・ハルティング(男子円盤投げ)〔五輪・陸上〕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6-08-14
[19]
웹사이트
円盤投げ金メダリストのハルティング 名前を間違えられ会見打ち切る
http://news.livedoor[...]
2016-08-15
[20]
웹사이트
www.statistik-berlin-brandenburg.de//Publikationen/OTab/2010/OT_A01-04-00_124_200912_BB.pdf
http://www.statistik[...]
[21]
뉴스
텅 빈 '동독 도시'
https://news.naver.c[...]
MBC
2006-10-03
[22]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 Brandenburg at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23]
웹인용
Cottbus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09-16
[24]
웹인용
Normales et records climatologiques 1991-2020 à Cottbus
https://www.infoclim[...]
Infoclimat
2023-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