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용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용조는 1946년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유학 후 1985년 서울 서빙고동에 온누리교회를 설립한 목사이다. 그는 복음주의 문화운동을 통해 한국교회에 기여했으며, 온누리교회 담임목사, 두란노서원 원장,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했다. 1980년 연예인교회와 두란노서원을 설립하고, CGNTV를 개국하는 등 다양한 사역을 펼쳤다. 2011년 간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7차례의 간암 수술을 받는 등 투병 생활을 했으며, '2천/1만' 비전과 Acts29 비전을 통해 교회 성장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광고등학교 동문 - 마광수
    마광수는 대한민국의 국문학자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시인과 소설가로 활동하며 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문학관으로 기성 문단과 갈등을 빚었고, 소설 《즐거운 사라》로 외설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광고등학교 동문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남포시 출신 - 노광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노광철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되었으며, 북미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을 수행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무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 남포시 출신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하용조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하용조 (河用祚)
로마자 표기Ha Yong-jo
출생일1946년 (음력 9월 20일)
출생지소련군정 조선 평안남도 강서군
사망일2011년 8월 2일 (66세)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국적대한민국
직업목사, 교수
종교개신교 (독립교단)
배우자이형기
자녀아들: 하성석
딸: 하성지
부모아버지: 하대학
어머니: 김선일
학력

2. 생애

하용조는 평안북도 진남포 (현재의 남포특별시)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났다.[7] 한국전쟁 당시 경기도 이천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까지 피난을 간 실향민이었다.[7] 대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에 진학하여 한국대학생선교회(CCC)에 들어갔다.[7] 김준곤 목사의 지도 아래 옥한흠, 홍정길, 이동원 등과 함께 영성 훈련을 받았다.[7]

이후 7년간 CCC 간사로 활동하고, 1972년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1976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7] 목사 안수 전부터 섬기던 마포교회 장로 김경태 (연출가)의 도움으로 가수 윤복희, 코미디언 구봉서 등과 함께 연예인교회를 개척하여 부흥시켰다.[7] 그러나 연예인교회 성전 완공 무렵, 지병인 간경화가 재발하여 교회를 사임하고 1980년 영국으로 요양을 떠났다.[7] 1984년 귀국 후, 1985년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에 온누리교회를 설립했다.[7]

온누리교회는 사도행전을 모델로 삼아 'Acts29' 비전을 가지고 교회를 세우고 선교사를 파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2] 1994년에는 '2010년까지 2000명의 선교사와 10000명의 평신도 사역자를 세운다'는 '2천/1만' 비전을 선포했고, 2003년에는 'Acts29' 비전을 발표했다.[7]

하용조는 CCM을 교회 예배에 도입하여 한국 교회에 확산시켰으며, 현대 문화 코드를 활용하여 대중에게 다가갔다.[8] 대학교 3학년 때 폐결핵을 시작으로 당뇨, 고혈압 등 건강이 좋지 않았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신부전증 악화로 투석을 받았다. 간염간암으로 발전하여 7차례 간암 수술을 받았다.[7] 2011년 8월 2일 간암 투병 중 서울에서 별세했다.[1][4]

그는 옥한흠, 홍정길, 이동원과 더불어 복음주의 4인방으로 불렸으며, 특히 문화를 읽는 안목이 탁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7] 연예인교회, 두란노서원, 온누리교회, CGNTV, 대학과 신학교, 제자훈련과 성령운동의 접목, 일본 선교와 러브 소나타 등을 통해 복음주의 문화운동을 한국 교회에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7] 그는 영상과 선교를 접목시킨 위성방송 CGNTV를 통해 전 세계 선교사들에게 다가갔으며, 일본 선교의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러브 소나타 역시 그의 기독교 문화 운동의 결실이었다.[8]

출판 문화를 통해서도 복음주의 운동을 확산시켰다. 정기 간행물 <생명의 삶>, <빛과 소금>, <목회와 신학>, <그 말씀>은 한국 복음주의 기독교 출판 문화의 새 장을 열었다.[8] 강해 설교를 통해 한국 교회에 본문에 기초한 설교를 소개하고 보급하는 데 앞장섰다.[8] 또한 기독교 학교 운동에도 헌신하여 횃불 트리니티 신학교 총장, 신동아학원 이사장을 맡으며 전주대학교, 한동대학교, 횃불트리니티 신학교 운영에 참여했다.[8]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하용조는 1946년 평안북도 진남포 (현재의 남포특별시)라고 알려져 있지만 공식적으로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났다.[7] 한국 전쟁으로 경기도 이천을 거쳐 전라남도 목포까지 피난을 온 실향민이다.[7] 유소년 시절을 목포에서 보낸 그는 대광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에 진학한 뒤 한국대학생선교회(CCC)에 들어갔다.[7] 그곳에서 고 김준곤 목사의 지도 아래 고 옥한흠 목사(사랑의교회), 홍정길 목사(남서울은혜교회), 이동원 목사(지구촌교회) 등과 함께 영성 훈련을 받았다.[7]

이후 7년간 CCC 간사로 활동했으며 1972년 장로회신학대학에서 공부하고 1976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7]

2. 2. 초기 사역 활동

하용조는 한국대학생선교회(CCC)에서 김준곤 목사의 지도를 받았고, 옥한흠 목사(사랑의교회), 홍정길 목사(남서울은혜교회), 이동원 목사(지구촌교회) 등과 함께 영성 훈련을 받았다.[7] 이후 7년간 CCC 간사로 활동했으며, 1972년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공부하고 1976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7]

목사 안수 이전에 섬기던 마포교회 장로 김경태 (연출가) PD의 도움으로 가수 윤복희, 코미디언 구봉서 등과 함께 연예인교회를 개척하고 부흥시켰지만, 연예인교회 성전을 완공할 무렵 지병인 간경화가 재발해 교회를 사임하고 치료와 휴식을 위해 1980년 영국으로 떠났다.[7] 1984년 영국에서 돌아온 하용조 목사는 1985년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온누리교회를 설립했다.[7]

2. 3. 온누리교회 설립과 사역

1980년 영국에서 돌아온 하용조 목사는 1985년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에 온누리교회를 설립했다.[7] 1984년 12가정을 모아 설립된 온누리교회는 짧은 기간 동안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했다.[2][8] 그의 접근 방식은 사도행전을 모델로 삼아 교회를 세우고 선교사를 파송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Acts 29' 비전으로 알려졌다.[2] 2010년 6월까지 온누리교회는 1,200명의 선교사를 파송했고 75,000명의 교인을 유지했다.[3]

그는 제자훈련을 도입했지만 그것만을 고집하지 않았다. 성령운동에 대해서도 열린 사람이었다. 시카고 윌로우크릭 커뮤니티 교회의 구도자예배를 도입해 국내에 열린 예배를 처음 도입하기도 했다.[8]

1994년에는 '2010년까지 2000명의 선교사와 10000명의 평신도 사역자를 세운다'는 '2천/1만' 비전을 선포했고, 2003년에는 '사도행전적 교회를 재생산해 온누리에 복음을 전한다'는 'Acts29' 비전을 발표했다.[7]

그는 CCM(현대기독교음악)을 교회 예배에 도입하고 한국교회 안에 저변 확대시켰다. 현대 대중들의 심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 시대 문화 코드를 가지고 대중에게 다가갔다. 그는 교회의 문턱을 낮추고 대중들에게 교회의 문을 활짝 열었다. 그 결과 온누리교회는 폭발적인 성장을 이룩하며 한국 근대 기독교 역사에 또 하나의 성장 신화를 이룩했다.[8]

2. 4. 질병과 투병

하용조는 대학교 3학년 때 폐결핵을 앓기 시작했고, 당뇨, 고혈압 등 평소 건강이 좋지 않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신부전증이 악화되어 1주일에 네 번씩 투석을 받았다. 간염으로 시작된 간 질환은 간암으로 발전하여 7차례 간암 수술을 받았다.[7]

7번의 암 수술을 받는 등 병약한 가운데서도 수많은 사역을 감당하며 근대 복음주의 운동을 선도했던 대표적 복음주의 지도자였다.[8] 간암 투병 중 2011년 8월 2일 서울에서 사망했다.[1][4]

2. 5. 별세

하용조는 간암으로 투병하다가 2011년 8월 2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하였다.[1][4]

3. 주요 사역 및 업적

하용조는 1965년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CCC)에 가입하여 7년간 봉사했으며, 1966년 CCC 하계 수련회에서 영적 각성을 경험했다.[1] 1976년 목사 안수를 받았다.[1] 1980년대 초 영국에서 유학하며 선교에 대한 시야를 넓혔다.[1] 1985년 온누리교회를 설립했다.[1] 1998년 온누리복지재단을 설립하고, 2002년 용산노인종합복지관을 개관하는 등 사회복지 분야에도 기여했다.[1] 2006년 용인 온누리 노인요양센터를 개원하였다.[1]

3. 1. 두란노서원과 출판 사역

1980년 하용조 목사는 "연예인교회"를 설립하고 두란노서원을 창립하였다.[1]

3. 2. CGNTV와 미디어 선교

하용조는 2000년 온누리 인터넷 방송국을 개국하였다. 2005년에는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으며, CGNTV 본사를 설립하고 개국하였다.[1]

3. 3. 러브 소나타와 일본 선교

하용조는 2007년 오키나와에서 러브 소나타를 시작했다.[1]

3. 4. 기독교 학교 운동

하용조는 1995년 한동대학교 이사장에 선출되었고,[1] 1999년에는 신동아학원 이사장에 선출되었다.[1] 2004년 한동대학교 이사,[1] 2005년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다.[1]

4. 학력

건국대학교축산가공학과
장로회신학대학교목회학
영국 런던 바이블 칼리지(Bible College)
영국 WEC 국제선교센터수료
영국 런던 인스티튜트(Institute)
미국 트리니티 대학교명예 신학 박사
명지대학교명예 철학 박사
숭실대학교명예 기독교학 박사


5. 약력

직책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온누리교회 담임목사
두란노서원 원장
전주대학교 이사장
한동대학교 이사
CGNTV 이사장



연도내용
1965년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CCC) 가입, 7년간 봉사
1972년 3월장로회신학대학교 입학, 1975년 졸업
1976년 5월목사 안수
1980년"연예인교회" 설립 및 두란노서원 창립
1985년온누리교회 설립
1995년한동대학교 이사장 선출
1998년바이올라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학위 수여, 온누리복지재단 설립
1999년신동아학원 이사장 선출
2004년한동대학교 이사 선임
2005년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총장 임명, CGNTV 본사 설립 및 개국


6. 가족

관계이름
아버지하대학
어머니김선일
아내이형기
아들하성석
하성지


참조

[1] 웹사이트 Onnuri Church founder Ha die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1-08-02
[2] 서적 The Dream of an Acts-like Church http://www.duranno.c[...] Duranno Publishing 2017
[3] 웹사이트 Onnuri Church History http://en.onnuri.org[...] Onnuri Community Church 2018-08-23
[4] 웹사이트 In memory of Pastor Ha Yong Jo https://eugenecho.co[...] 2011-08-02
[5] 웹사이트 하용조 목사님, 당신의 발자취 https://pastorha.onn[...] Pastor Ha Yong-jo Official Website 2024-11-22
[6] 뉴스 온누리교회 하용조 목사 별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8-02
[7] 뉴스 하용조 목사 누구인가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1-08-02
[8] 뉴스 하용조 목사가 남긴 족적-박용규 교수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