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슐리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슐리만은 독일 출신의 사업가이자 아마추어 고고학자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묘사된 트로이 유적을 발굴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상업 활동으로 부를 축적한 후, 1860년대부터 고고학에 입문하여 파리에서 관련 학문을 배우고, 1870년부터 그리스와 터키 지역을 탐사하며 트로이, 미케네 등 고대 유적을 발굴했다. 슐리만은 트로이 전쟁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유물을 발굴했지만, 그의 발굴 방식은 고고학적 기록 부족, 유물 훼손, 사적인 소유 등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그는 에게 문명 연구에 기여했으나, 발굴 방식과 유물 해석에 대한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이아 - 윌루사
윌루사는 기원전 14세기경 아수와 연맹에 속해 히타이트 제국에 대항하다가 히타이트의 봉신국이 된 고대 도시로, 트로이 유적지와 동일시되는 주장이 있으며 트로이 전쟁과의 연관성 논란이 있다. - 미케네 - 아가멤논 마스크
아가멤논 마스크는 하인리히 슐리만이 미케네 유적에서 발견한 금으로 제작된 장례용 가면으로, 아가멤논의 것이라고 명명되었으나 현재는 트로이 전쟁 시대보다 앞선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 미케네 - 클리타임네스트라
클리타임네스트라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가멤논의 아내로, 남편 살해 후 아들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며, 여러 예술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출신 - 한스 델브뤼크
한스 델브뤼크는 독일의 군사 역사가이자 이론가, 정치인으로서, 군사사를 일반 역사의 틀 안에서 이해하려 노력했으며, 특히 고대 전쟁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출신 - 막스 슈멜링
막스 슈멜링은 독일의 권투 선수로, 1930년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나치 정권 시기 선전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지만, 유대인을 돕는 등 인간적인 면모를 보였고, 은퇴 후에는 사업가로 성공하여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하인리히 슐리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요한 루드비히 하인리히 율리우스 슐리만 |
출생일 | 1822년 1월 6일 |
출생지 | 노이브코우,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독일 연방 |
사망일 | 1890년 12월 26일 |
사망지 | 나폴리, 이탈리아 왕국 |
국적 | 독일 |
분야 | 고고학 |
배우자 |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리쉬나 (1852년 10월 12일 결혼, 1869년 7월 이혼) 소피아 슐리만 (1869년 9월 23일 결혼) |
자녀 | 5명 (리쉬나와 3명, 슐리만과 2명, 아가멤논 슐리만 포함) |
학문적 배경 | |
업적 | |
주요 업적 | 트로이아 발굴 |
영향을 받은 인물 | 아서 에번스 고든 차일드 |
기타 정보 | |
발음 | |
참고 자료 |
2. 생애
하인리히 슐리만은 1859년 그리스를 방문하고 세계 각지를 여행하였다. 1866년 파리에서 고고학을 배우고, 1868년부터 그리스 일대를 탐사하면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관련된 유적들을 탐구하였다. 1870년부터 1890년까지 그리스인 부인과 함께 트로이 폐허인 소아시아의 히살리크 언덕을 발굴, 유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후에도 세 차례나 더 트로이 일대를 발굴하여 여러 층에 걸친 트로이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슐리만은 제2층에 해당하는 유적을 트로이 전쟁의 유적으로 판단하였다.[57] 1876년에는 '황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미케네 고분을 발굴하여 고대 그리스 이전의 문명인 에게 문명의 계통을 밝혀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 밖에도 티린스 등을 발굴하여 에게 문명의 연구에 공헌하였다.
슐리만은 상업에 종사하면서 여러 언어를 배웠다. 1841년 베네수엘라로 이주하려 했으나 배가 난파되어 네덜란드에 표류, 무역회사에 입사했다. 184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무역회사를 설립하고, 골드러시 시기 새크라멘토에도 무역회사를 설립하여 성공했다. 크림 전쟁 때 러시아에 무기를 밀수입하여 큰돈을 벌었다. 자서전에는 18개 국어를 구사했다고 적혀 있지만,[49] 그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50][51]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슐리만은 1822년 1월 6일,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현재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노이부코우에서 루터교 목사인 에른스트 슐리만과 루이제 테레제 소피 슐리만 사이에서 아홉 형제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2] 1823년 여름 가족은 안커스하겐으로 이주했는데, 이들의 두 번째 집은 오늘날 하인리히 슐리만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2]하인리히의 아버지는 가난한 목사였다. 1831년 하인리히가 아홉 살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아버지는 그를 역시 목사인 삼촌 프리드리히 슐리만에게 보냈다. 열한 살 때 아버지는 그가 노이슈트렐리츠의 김나지움(고등학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비용을 지불했지만, 석 달 만에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다. 하인리히의 역사에 대한 관심은 처음에 아버지에 의해 고무되었는데, 아버지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이야기를 가르치고 1829년 크리스마스에 루드비히 예러의 『삽화 세계사』를 선물했다. 슐리만은 일곱 살 때 자신이 언젠가 트로이를 발굴하겠다고 선언했다고 주장했다.[3][4]
아버지가 교회 기금 횡령 혐의를 받게 되자[5] 하인리히는 레알슐레(실업학교)로 전학해야 했고, 1836년에 시험을 치렀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대학교 교육을 받을 수 없었다.[6]
14세에 레알슐레를 떠난 후, 하인리히는 휘르스텐베르크의 헤어 홀츠 식료품점에서 견습생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식료품점에서 술에 취한 제분공이 호메로스의 서사시를 낭송하는 것을 듣고 호메로스에 대한 열정이 생겼다고 말했다.[5] 5년간 일하다가 무거운 통을 들다 가슴을 다치고 피를 토하며 일을 그만두어야 했다.[7] 1841년, 슐리만은 함부르크로 이주하여 베네수엘라행 브리그선인 '도로테아'호에서 선실 소년이 되었다. 항해 12일 만에 배는 폭풍우 속에서 침몰했고, 생존자들은 네덜란드 해안에 상륙했다.[5] 슐리만은 암스테르담에서 심부름꾼, 사무직원, 그리고 나중에는 회계원이 되었다.[8]
슐리만은 틈틈이 공부하여 15개 국어를 완벽하게 마스터했다고 자서전에 적었지만,[49] 그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50][51]
2. 2. 사업가로서의 성공
슐리만은 1844년 3월 1일, 22세에 수입/수출 회사인 B. H. 슈뢰더 & Co.에 취직했다. 1846년, 회사는 그를 총판 대리점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파견했다. 그는 여러 회사를 대표하며 러시아어와 그리스어를 배웠다. 슐리만은 언어를 배우는 데 6주가 걸렸다고 주장했으며,[5] 생애 말년에는 독일어 외에 영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스웨덴어, 폴란드어, 그리스어, 라틴어, 아랍어로 대화할 수 있었다.[27]슐리만의 언어 능력은 그의 사업 경력에 중요했다. 1850년, 그는 캘리포니아 금광에서 부자가 된 형 루트비히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9][10] 1851년 초, 슐리만은 캘리포니아에 가서 새크라멘토에 은행을 설립하여 6개월 만에 100만달러가 넘는 금가루를 사고팔았다. 그는 병을 핑계로 캘리포니아를 떠났다.[15]
1852년 4월 7일, 슐리만은 사업을 매각하고 러시아로 돌아와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리시친과 결혼했다. 그 후 인디고 염료 거래로 큰 이익을 얻었다.[15] 1858년까지 슐리만은 은퇴할 만큼 부유해졌다.
슐리만은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현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노이부코우 출신으로, 가난 때문에 김나지움을 중퇴하고 식품 회사의 견습공이 되었다. 자서전에는 15개 국어를 완벽하게 마스터했다고 적혀 있지만,[49] 그 가능성은 낮다고 여겨진다.[50][51] 그는 184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무역 회사를 설립하고, 골드러시로 들끓던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도 무역 회사를 설립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크림 전쟁 때 러시아에 무기를 밀수입하여 거대한 부를 얻었다.
2. 3. 고고학에 대한 열정
1866년 파리에서 고고학을 배우고, 1868년부터 그리스 일대를 탐사하면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관련된 유적들을 탐구하였다. 1870년부터 1890년까지 그리스인 부인과 함께 트로이 폐허인 소아시아의 히살리크 언덕을 발굴, 유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후에도 세 차례나 더 트로이 일대를 발굴하여 여러 층에 걸친 트로이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슐리만은 제2층에 해당하는 유적을 트로이 전쟁의 유적으로 판단하였다.[57] 1876년에는 '황금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미케네 고분을 발굴하여 고대 그리스 이전의 문명인 에게 문명의 계통을 밝혀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 밖에도 티린스 등을 발굴하여 에게 문명의 연구에 공헌하였다.슐리만은 자신의 저서에서 어린 시절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감명받은 것이 트로이 발굴을 결심한 계기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슐리만의 허영심이 강했던 탓에 후에 지어낸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51] 슐리만의 저서에는 “발굴 당시에는 ‘트로이 전쟁은 호메로스의 허구’라고 여겨졌고, 트로이의 실존 자체도 의심받았다”는 기록이 있지만, 실제로는 당시에도 트로이 유적 발굴이 진행되고 있었다.[51]
슐리만은 “발굴 조사비를 자비로 충당하기 위해 무역 등의 사업에 매달리면서 『일리아스』 연구와 언어 학습에 힘썼다”고 자신의 저서에 여러 번 기록하고 강연에서도 반복해서 말했지만, 실제로는 발굴 조사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했기 때문에 사업을 접고 유적 발굴을 한 것이 아니라, 사업을 접은 후에 유적 발굴을 생각해낸 것이다.
그 후 파리 대학교(소르본 대학교)와 로스토크 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그리스로 이주하여 17세의 그리스 여성 소피아와 재혼하고 터키로 발굴 조사 여행을 떠났다. 발굴에는 올림피아 조사대도 협력했다.
1870년에 무허가로 히살리크 언덕의 발굴을 시작하여, 이듬해 정식 허가를 받고 발굴 조사를 시작했다. 1873년에 소위 "프리아모스의 보물"을 발견하여 전설의 트로이를 발견했다고 선전했다(오늘날에는 그 시대보다 1000년 이상 이전의 것으로 여겨진다.[55]). 이 발견으로 고대 그리스의 선사 시대 연구는 크게 진전되었다. "프리아모스의 보물"은 슐리만에 의해 오스만 제국 정부의 허락 없이 그리스의 아테네로 반출되어 1881년에 "베를린 명예 시민"의 영예와 맞바꾸어 독일로 기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모스크바의 푸시킨 미술관 지하 창고로 이송되어 현재는 같은 미술관에서 공개 전시되고 있다. 터키, 독일, 러시아가 각각 자국의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슐리만은 발굴 전문가가 아니었고, 당시에는 현대적인 의미의 고고학도 정비되지 않았으며, 발굴 기술에도 한계가 있었다. 발굴에 있어서 슐리만은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협정을 무시하고 출토품을 해외로 반출하거나 사유화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발견의 중대성을 깨달은 오스만 제국 정부가 발굴 중단을 명령했지만, 이스탄불에 주재하는 서구 열강의 외교관들을 움직여 다시 발굴 허가를 받아 트로이의 발굴을 계속했다. 이러한 부적절한 발굴 작업으로 인해 유적에는 상당한 손상이 있으며, 이는 현재에도 고고학자들에 의한 재발굴·재검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슐리만은 발굴한 유적 중 아래에서 두 번째(현재 제2시로 불림)가 트로이 전쟁 시대의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후일 발굴 결과 실제 트로이 전쟁 시대의 유적은 아래에서 일곱 번째 층인 제7층 A임이 밝혀졌다. 제2층은 실제로 트로이 전쟁 시대보다 약 1000년 전 시대의 유적이었다. 이로써 에게해 여러 지역에 에게 문명이 존재했음을 증명했다.
또한 슐리만은 1876년 미케네에서 소위 "아가멤논의 가면"과 같은 호화로운 금제 유물이 있는 수혈묘(수혈식석실)을 발견했다(이는 오늘날 그 시대보다 400년 이상 이전의 것으로 여겨진다[55]). 1881년, 트로이의 황금을 독일 국민에게 기증하고 베를린 명예 시민이 되었다. 건축가 빌헬름 돠르프펠트의 도움을 받아 트로이 발굴을 계속하는 한편, 1884년에는 티린스 발굴을 시작했다. 또한 1880년경부터 크레타섬에서 미노스 왕궁터 탐사에 착수하여 1886년에는 크노소스에서 토지 매입 협상을 시작했지만, 올리브 나무의 수로 토지 가격이 결정되는 그리스에서 예상보다 올리브 나무 수가 적었기 때문에, 수익도 중시하는 슐리만은 토지 매입과 발굴을 중단했고, 이 유적 발견은 4년 후 아서 에반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56].
3. 아마추어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은 상업에 종사하면서 여러 언어를 배웠고, 1859년 그리스를 방문하여 세계 각지를 여행하였다. 1866년 파리에서 고고학을 공부한 후, 1868년부터 그리스 일대를 탐사하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관련된 유적을 찾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헬레니즘 이전 고고학의 아버지"라고 부른다.[16]
1868년 슐리만은 그리스 지역의 유적지를 방문하고, 그리스와 오스만 제국에 있는 고대 유적지를 묘사하고 히사를릭이 트로이 유적지라고 주장하는 『이타카, 펠로폰네소스 그리고 트로이(Ithaka, der Peloponnesus und Troja)』를 출판했다. 그는 이 책을 로스토크 대학교에 박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했고, 1869년 이 논문으로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7][15] 그는 런던 고대학회의 명예 회원이자, 1880년 미국 고대학회 회원이었다.[19]
슐리만은 미케네와 티린스 등을 발굴하여 에게 문명 연구에 큰 공헌을 하였다. 특히 1876년에는 미케네에서 아가멤논의 가면을 발굴하기도 했다.
하지만 슐리만은 발굴 전문가가 아니었고, 당시에는 현대적인 의미의 고고학도 정비되지 않아 발굴 기술에 한계가 있었다. 그는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협정을 무시하고 출토품을 해외로 반출하거나 사유화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켰다. 이 때문에 유적에 상당한 손상이 발생하여, 현재까지도 재발굴 및 재검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1. 트로이 발굴
1866년 파리에서 고고학을 배우고, 1868년부터 그리스 일대를 탐사하면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관련된 유적들을 탐구하였다. 1870년부터 1890년까지 그리스 사람인 부인과 함께 트로이 폐허인 소아시아의 히살리크 언덕을 발굴, 유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후에도 세 차례나 더 트로이 일대를 발굴하여 여러 층에 걸친 트로이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슐리만은 제2층에 해당하는 유적을 트로이 전쟁의 유적으로 판단하였다.[57]슐리만의 고전에 대한 최초의 관심은 트로이의 위치였던 것 같다. 그가 터키에서 발굴을 시작했을 당시, 트로이로 흔히 여겨지는 유적지는 트로이 평원 남쪽 끝의 언덕 위에 있는 피나르바시(Pınarbaşı Köyü)였다.[20] 이 유적지는 이전에 영국의 아마추어 고고학자이자 현지 전문가인 프랭크 캘버트(Frank Calvert)에 의해 발굴된 바 있었다. 슐리만은 피나르바시에서 시험 발굴을 실시했지만, 발견에 실망했다.[20] 히사를릭(Hissarlik)을 트로이로 확인하고 슐리만에게 캘버트 가족 소유의 토지에서 발굴할 것을 제안한 사람은 캘버트였다.
슐리만은 처음에는 히사를릭을 트로이로 식별하는 것에 회의적이었지만, 캘버트에게 설득당했다.[21] 1870년, 슐리만은 히사를릭에서 구덩이를 파기 시작했고, 1873년까지 9개의 매장된 도시를 발견했다.
슐리만은 순수한 구리와 금속 주형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금속 도구, 식기류, 방패, 그리고 항아리들을 발견했는데, 이것들은 유적지에서 약 약 8.53m~약 8.99m 깊이에서 발견되었다.[22]
1873년 6월 15일 발굴이 중단되기 전날, 그는 금을 발견했는데, 그는 그것을 프리아모스의 보물로 여겼다.[27]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유적지에는 3,600년에 걸쳐 여러 정착지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23] 슐리만이 "불탄 도시"[24]라고 부르고 트로이라고 믿었던 지층은 현재 기원전 3000년~2000년 것으로 여겨지며, 호머가 묘사한 트로이 전쟁의 장소로는 너무 이르다.
그는 나중에 흙 속에서 금이 반짝이는 것을 보고 일꾼들을 해고하여 소피아와 함께 직접 발굴했으며, 그녀의 숄로 그것을 가져갔다고 썼다. 그러나 슐리만이 자주 반복했던 소피아가 숄로 보물을 가져갔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었다. 슐리만은 나중에 그것을 날조했다고 인정했는데, 발견 당시 소피아는 사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아테네에 있는 가족과 함께 있었다.[26]
슐리만은 오스만 제국에서 몰래 그리스로 보물을 반출했다.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 법정에서 슐리만을 고소했고, 슐리만은 10000FRF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슐리만은 결국 콘스탄티노플 황실 박물관에 50000FRF을 보냈고, 히사를릭에서의 추가 발굴 허가를 받았다. 1874년 슐리만은 "트로이와 그 유적"을 출판했다. 슐리만은 처음에 프리아모스의 금을 포함한 그의 소장품을 그리스 정부, 그 다음 프랑스, 마지막으로 러시아에 제공했다. 1881년, 그의 소장품은 베를린에 있는 민족지학 박물관, 그리고 이후 선사 및 초기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보관되었다. 1939년, 모든 전시품은 포장되어 박물관 지하실에 보관된 다음 1941년 1월 프로이센 주립 은행 금고로 옮겨졌다. 1941년, 보물은 베를린 동물원에 있는 플락투름(플락투름은 동물원 탑이라고 불린다)으로 옮겨졌다. 빌헬름 운페르자흐트 박사는 베를린 전투가 시작될 때 트로이 금이 담긴 세 개의 상자를 SMERSH 부대가 5월 1일에 탑을 장악할 때까지 보호했다. 1945년 5월 26일, 니콜라이 안티펜코 중장, 예술위원회 부위원장인 안드레 콘스탄티노프, 빅토르 라자레프, 세라핌 드루지닌이 이끄는 소련군이 트럭으로 세 개의 상자를 가져갔다. 그 상자들은 1945년 6월 30일에 모스크바로 공수되어 10일 후 푸쉬킨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1994년, 박물관은 그 소장품이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음을 인정했다.[27][28][29]
그는 1876년 발굴을 계속할 허가를 받았지만, "오디세이"에 언급된 유적지를 찾기 위해 이타카에서 또 다른 발굴을 한 후인 1878~1879년까지 트로이 발굴을 재개하지 않았다. 에밀 부르누프(Emile Burnouf)와 루돌프 피르호(Rudolf Virchow)는 1879년 그와 함께 그곳에 갔다.[31]
1882년부터 1883년까지 슐리만은 트로이에서 여섯 번째 발굴을, 1884년에는 빌헬름 됭펠트와 함께 티린스 발굴을, 그리고 1889년부터 1890년까지 됭펠트와 함께 트로이에서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발굴을 했다.[33]
자신의 저서에서 슐리만은 어린 시절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감명받은 것이 트로이 발굴을 결심한 계기라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슐리만의 허영심이 강했던 탓에 후에 지어낸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51] 슐리만의 저서에는 “발굴 당시에는 ‘트로이 전쟁은 호메로스의 허구’라고 여겨졌고, 트로이의 실존 자체도 의심받았다”는 기록이 있지만, 실제로는 당시에도 트로이 유적 발굴이 진행되고 있었다.[51]
슐리만은 “발굴 조사비를 자비로 충당하기 위해 무역 등의 사업에 매달리면서 『일리아스』 연구와 언어 학습에 힘썼다”고 자신의 저서에 여러 번 기록하고 강연에서도 반복해서 말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굴 조사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했기 때문에 사업을 접고 유적 발굴을 한 것이 아니라, 사업을 접은 후에 유적 발굴을 생각해낸 것이다.
1870년에 무허가로 히사를릭 언덕의 발굴을 시작하여, 이듬해 정식 허가를 받고 발굴 조사를 시작했다. 1873년에 소위 "프리아모스의 보물"을 발견하여 전설의 트로이를 발견했다고 선전했다(오늘날에는 그 시대보다 1000년 이상 이전의 것으로 여겨진다.[55]). 이 발견으로 고대 그리스의 선사 시대 연구는 크게 진전되었다. "프리아모스의 보물"은 슐리만에 의해 오스만 제국 정부의 허락 없이 그리스의 아테네로 반출되어 1881년에 "베를린 명예 시민"의 영예와 맞바꾸어 독일로 기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모스크바의 푸시킨 미술관 지하 창고로 이송되어 현재는 같은 미술관에서 공개 전시되고 있다. 터키, 독일, 러시아가 각각 자국의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슐리만은 발굴 전문가가 아니었고, 당시에는 현대적인 의미의 고고학도 정비되지 않았으며, 발굴 기술에도 한계가 있었다. 발굴에 있어서 슐리만은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협정을 무시하고 출토품을 해외로 반출하거나 사유화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발견의 중대성을 깨달은 오스만 제국 정부가 발굴 중단을 명령했지만, 이스탄불에 주재하는 서구 열강의 외교관들을 움직여 다시 발굴 허가를 받아 트로이의 발굴을 계속했다. 이러한 부적절한 발굴 작업으로 인해 유적에는 상당한 손상이 있으며, 이는 현재에도 고고학자들에 의한 재발굴·재검증을 어렵게 하고 있다.
3. 2. 미케네 및 기타 유적 발굴
슐리만은 1870년부터 1890년까지 그리스인 부인과 함께 소아시아의 히살리크 언덕(트로이 폐허)을 발굴하여 유적임을 확인, 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후 세 차례 더 트로이 일대를 발굴하여 여러 층에 걸친 트로이 유적을 발굴하였으며, 슐리만은 제2층에 해당하는 유적을 트로이 전쟁의 유적으로 판단하였다.[57] 1876년에는 미케네 고분을 발굴하여 고대 그리스 이전의 문명인 에게 문명의 계통을 밝혀내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 밖에도 티린스 등을 발굴하여 에게 문명 연구에 공헌하였다.슐리만은 발굴 전문가가 아니었고, 당시에는 현대적인 의미의 고고학도 정비되지 않았으며, 발굴 기술에도 한계가 있었다.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협정을 무시하고 출토품을 해외로 반출하거나 사유화하는 등의 행위를 했다. 발견의 중대성을 깨달은 오스만 제국 정부가 발굴 중단을 명령했지만, 이스탄불에 주재하는 서구 열강의 외교관들을 움직여 다시 발굴 허가를 받아 트로이 발굴을 계속했다. 이러한 부적절한 발굴 작업으로 인해 유적에는 상당한 손상이 있으며, 이는 현재에도 고고학자들에 의한 재발굴·재검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슐리만이 발굴한 유적 중 아래에서 두 번째(현재 제2시로 불림)가 트로이 전쟁 시대의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후일 발굴 결과 실제 트로이 전쟁 시대의 유적은 아래에서 일곱 번째 층인 제7층 A임이 밝혀졌다. 제2층은 실제로 트로이 전쟁 시대보다 약 1000년 전 시대의 유적이었다. 이로써 에게해 여러 지역에 에게 문명이 존재했음을 증명했다.
또한 슐리만은 1876년 미케네에서 소위 "아가멤논의 가면"과 같은 호화로운 금제 유물이 있는 수혈묘(수혈식석실)을 발견했다(이는 오늘날 그 시대보다 400년 이상 이전의 것으로 여겨진다[55]). 1884년에는 티린스 발굴을 시작했다. 1880년경부터 크레타 섬에서 미노스 왕궁터 탐사에 착수하여 1886년에는 크노소스에서 토지 매입 협상을 시작했지만, 올리브 나무의 수로 토지 가격이 결정되는 그리스에서 예상보다 올리브 나무 수가 적었기 때문에, 수익도 중시하는 슐리만은 토지 매입과 발굴을 중단했고, 이 유적 발견은 4년 후 아서 에번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56]
4. 개인사
슐리만은 어린 시절 첫사랑인 민나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1852년 10월 12일에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리쉰(1826~1896)과 결혼했다. 그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그의 부유한 친구 중 한 명의 조카였으며, 그들은 세 자녀, 아들 세르게이(1855~1941)와 두 딸 나타리야(1859~1869), 나데즈다(1861~1935)를 두었다.[15]
잦은 여행으로 인해 슐리만은 아내와 자녀들과 떨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1866년 부동산 투자를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파리로 자산을 이전하는 동안 소르본느 대학교에서 한 달 동안 수학했다. 그는 아내에게 자신과 함께할 것을 요청했지만, 그녀는 거절했다.
슐리만은 이혼하기 전에 두 번 예카테리나와 이혼하겠다고 위협했다. 1869년 그는 인디애나폴리스에 부동산을 사서 약 3개월 동안 거주하며 인디애나주의 관대한 이혼법을 이용하려 했지만, 미국 내 거주 사실과 주에 남을 의도에 대해 거짓말을 해서 이혼을 얻었다. 그는 인디애나 주 법원이 이혼을 허가하자마자 아테네로 이주했고, 두 달 후 다시 결혼했다.[34]
전직 교사이자 아테네 친구인 만티네이아와 키누리아의 대주교 테오클레토스 빔포스는 슐리만이 "호머에 열정적이고 나의 사랑하는 그리스의 부흥에 대해…그리스 이름과 학문에 대한 열정적인 영혼을 가진" 사람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다. 대주교는 사촌의 딸인 17세의 소피아 엔가스트로메노스를 추천했다. 그들은 1869년 9월 23일에 대주교에 의해 결혼했다. 그들은 나중에 안드로마케와 아가멤논 슐리만 두 자녀를 두었다.[29]
5. 유산과 비판
하인리히 슐리만은 트로이 발굴로 유명하지만, 그의 유산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한다. 슐리만은 아서 에반스 경과 함께 청동기 시대 에게 문명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미케네와 티린스 등에서 중요한 유물을 발굴하여 에게 문명의 존재를 증명하고 고대 그리스 역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슐리만이 발굴한 유물 중에는 순수한 구리와 금속 주형, 금, 다른 금속 도구, 식기류, 방패, 항아리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유적지에서 약 8.5m~9m 깊이에서 발견되었다.[22]
슐리만은 오스만 제국에서 몰래 그리스로 보물을 반출했다.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 법정에서 슐리만을 고소했고, 슐리만은 10000FRF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슐리만은 결국 콘스탄티노플 황실 박물관에 50000FRF을 보냈고, 히사를릭에서의 추가 발굴 허가를 받았다. 1881년, 그의 소장품은 베를린에 있는 민족지학 박물관, 그리고 이후 선사 및 초기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때까지 보관되었다. 1939년, 모든 전시품은 포장되어 박물관 지하실에 보관된 다음 1941년 1월 프로이센 주립 은행 금고로 옮겨졌다. 1941년, 보물은 베를린 동물원에 있는 플락투름(플락투름은 동물원 탑이라고 불린다)으로 옮겨졌다. 빌헬름 운페르자흐트 박사는 베를린 전투가 시작될 때 트로이 금이 담긴 세 개의 상자를 SMERSH 부대가 5월 1일에 탑을 장악할 때까지 보호했다. 1945년 5월 26일, 소련군이 트럭으로 세 개의 상자를 가져갔다. 그 상자들은 1945년 6월 30일에 모스크바로 공수되어 10일 후 푸쉬킨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1994년, 박물관은 그 소장품이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음을 인정했다.[27][28][29]
그러나 슐리만의 발굴 방식은 매우 조잡하고 파괴적이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트로이 유적의 주요 지층을 파괴하고, 중요한 유물과 정보를 훼손했다는 비난을 받았다.[37][40] 또한, 발굴 과정에서 유물을 몰래 반출하고,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약속을 어기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40][41]
슐리만은 자신의 발굴 성과를 과장하고 때로는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하기도 했다.[1] 예를 들어, 그는 소피아가 숄로 보물을 가져갔다는 이야기를 지어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26]
하지만 슐리만의 시대에는 현대적인 고고학 기술이 발달하기 전이었고, 당시로서는 슐리만이 뛰어난 발굴자였다는 옹호론도 있다.[42]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중세 건축물, 특히 거대한 프랑크 탑의 제거를 시작하고 후원했다. 그리스의 조지 1세를 포함한 상당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슐리만은 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 프랑크 그리스의 저명한 역사가 윌리엄 밀러는 나중에 이것을 "역사의 연속성을 인식한 어떤 사람에게도 부적합한 파괴 행위", 그리고 "지루한 야만 행위"라고 비난했다.
결론적으로, 슐리만은 고고학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방법과 진실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5. 1. 에게 문명 연구의 선구자
슐리만은 아서 에반스 경과 함께 청동기 시대 에게 문명 연구의 선구자였다. 슐리만은 크노소스 발굴을 계획했지만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다. 슐리만의 방법은 "야만적이고 잔혹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발견물의 지도 작성, 발견에 대한 설명은 거의 없었다.[40] 그의 조잡한 발굴, 성급한 해석 및 유물의 개인적 소유는 당대의 골동품 수집가들의 비판을 받았다.[41] 칼 블레겐은 1876년 이전에는 발굴을 제대로 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으며 고고학적 조사 과학은 없었고, 아마도 실제 현장 작업에서 슐리만보다 나은 발굴자는 없었을 것이라고 그의 무모함을 변명했다.[42]슐리만은 1876년 미케네에서 "아가멤논의 가면"과 같은 호화로운 금제 유물이 있는 수혈묘(수혈식석실)을 발견했다.[55] 1881년, 트로이의 황금을 독일 국민에게 기증하고 베를린 명예 시민이 되었다. 건축가 빌헬름 되르프펠트의 도움을 받아 트로이 발굴을 계속하는 한편, 1884년에는 티린스 발굴을 시작했다. 1880년경부터 크레타섬에서 미노스 왕궁터 탐사에 착수하여 1886년에는 크노소스에서 토지 매입 협상을 시작했지만, 결국 토지 매입과 발굴을 중단했고, 이 유적 발견은 4년 후 아서 에반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56]
5. 2. 발굴 방식에 대한 비판
슐리만의 발굴 방식은 현대 고고학의 관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는다. 그는 트로이 유적의 주요 지층을 파괴했다는 비난을 받았다.[37] 케네스 W. 하를은 슐리만의 발굴이 너무 조잡하여, 그리스인들이 하지 못한 도시 성벽 파괴를 슐리만이 해냈다고 비꼬았다.[37]1972년 윌리엄 캘더 교수는 슐리만의 작업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주장했고,[38] 데이비드 트레일 교수 등도 이에 동참했다.[38]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의 2004년 기사는 슐리만의 자격, 동기, 방법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가 프랭크 캘버트의 요청으로 히사를릭 유적을 발굴했음에도 그 공을 독차지한 독일인 모험가이자 사기꾼이라고 묘사했다.[1] 또한 슐리만이 트로이의 보물을 찾기 위해 제2도시까지 파괴했으며, 그가 발견한 보석은 호메로스 시대보다 1000년이나 오래된 것이었다고 지적했다.[1]
2005년 기사에서 C. 브라이언 로즈는 슐리만이 고고학에 대한 정식 교육을 받지 못해 "슐리만 트렌치"라고 불리는 거대한 도랑을 파면서 엄청난 양의 자료를 파괴했다고 비판했다.[39] 또한 슐리만이 프리아모스 왕의 보물이라고 믿었던 것이 실제로는 그보다 1000년 전 지층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뒤늦게 인정했다고 덧붙였다.[39]
슐리만의 방법은 "야만적이고 잔혹했다"고 묘사되며, 그는 발견물의 지도 작성이나 설명 없이 토층과 그 안의 모든 것을 파헤쳤다.[40] 그의 조잡한 발굴, 성급한 해석, 유물 사유화는 스피리돈 코모스와 스티븐 샐즈베리 3세 등 당대 골동품 수집가들의 비판을 받았다.[41]
칼 블레겐은 슐리만의 무모함을 변호하며, 1876년 이전에는 발굴을 제대로 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고 고고학적 조사 과학도 없었기 때문에 슐리만보다 나은 발굴자는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42]
1874년 슐리만은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의 중세 건축물, 특히 프랑크 탑 제거를 후원했다. 그리스의 조지 1세를 포함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슐리만은 이를 완수했으며, 윌리엄 밀러는 이를 "역사의 연속성을 인식한 어떤 사람에게도 부적합한 파괴 행위"이자 "지루한 야만 행위"라고 비난했다.
5. 3. 진실성 논란
슐리만은 트로이 유적 발굴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발굴 당시 아마추어 고고학자였으며, 발굴 경험이 부족했다. 특히 트로이 유적지로 알려진 히사를릭 언덕 발굴 당시, 슐리만은 유적의 층위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파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37] 슐리만이 '프리아모스의 보물'이라고 명명한 유물들은 실제로는 트로이 전쟁 시기보다 훨씬 이전 시대의 것이었고,[25] 슐리만이 트로이라고 믿었던 지층 역시 호메로스가 묘사한 트로이 전쟁의 장소로는 너무 이른 시기의 것이었다.[24][25]슐리만은 발굴 과정에서 유물을 몰래 반출하고, 오스만 제국 정부와의 약속을 어기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40][41] 그는 오스만 제국에서 몰래 그리스로 보물을 반출했고, 이로 인해 오스만 제국 법정에서 소송을 당해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27][29]
또한 슐리만은 자신의 발굴 성과를 과장하고, 때로는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하기도 했다.[1] 예를 들어, 그는 소피아가 숄로 보물을 가져갔다는 이야기를 지어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26] 슐리만은 나중에 이 이야기를 날조했다고 인정했다.[26]
슐리만의 발굴 방법은 현대 고고학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미숙하고 파괴적이었다.[40] 그는 유적의 층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중요한 유물과 정보를 훼손했다.[39]
하지만 슐리만의 발굴은 당시 고고학이 아직 발전하기 전이었음을 고려해야 한다.[42] 슐리만은 고대 트로이와 미케네 문명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고대 그리스 역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한 선구자였다.
6. 저술
- ''La Chine et le Japon au temps présent'' (1867)
- 유쇼도 출판(雄松堂出版)에서 1982년에 후지카와 토오루(藤川徹) 역으로 『일본 중국 여행기』를 출판하였다. (ISBN 4841902074)
- 에스·케이·아이에서 1991년에 이시이 카즈코(石井和子) 역으로 『슐리만 여행기 청국·일본』을 출판하였고, 고단샤 학술문고(講談社学術文庫)에서 1998년에 재출판되었다. (ISBN 4061593250)
- ''Ithaka, der Peloponnesus und Troja'' (1868)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Trojanische Altertümer: Bericht über die Ausgrabungen in Troja'' (1874)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Troja und seine Ruinen'' (1875) (영어 번역본: ''Troy and its Remains'' (1875))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Mykena'' (1878) (영어 번역본: ''Mycenae: A Narrative of Researches and Discoveries at Mycenae and Tiryns'' (1878))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Ilios, City and Country of the Trojans'' (1880)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Orchomenos: Bericht über meine Ausgrabungen in Böotischen Orchomenos'' (1881)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Tiryns: Der prähistorische Palast der Könige von Tiryns'' (1885) (영어 번역본 ''Tiryns: The Prehistoric Palace of the Kings of Tiryns'' (1885))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Bericht über de Ausgrabungen in Troja im Jahre 1890'' (1891)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0년 재발행)
- 하인리히 슐리만; 소피아 슐리만 (편): ''Heinrich Schliemann's Autobiography''. 라이프치히, 1892. ([http://digi.ub.uni-heidelberg.de/diglit/schliemann1892 독일어 온라인 버전])
- 무라타 카즈노스케(村田数之亮) 역
- 『선사 세계에의 열정 : 슐리만 자서전』호시노 서점(星野書店), 1942년
- 『선사 세계에의 열정 : 슐리만 자서전』미스즈 서방(みすず書房), 1950년
- 『고대에의 열정 : 슐리만 자전』이와나미 문고(岩波文庫), 1954년 (개정판 1976년) (ISBN 4003342011)
- 『고대에의 열정 : 슐리만 자전』와이드판 이와나미 문고, 1991년. (ISBN 4000070762)
- 타치카와 요조(立川洋三) 역
- 『선사 시대에의 열정』헤이본샤(平凡社)〈세계 교양 전집〉, 1962년 (신판 1974년)
- 『고대에의 열정』포푸라샤(ポプラ社)〈세계의 명저〉, 1968년
- 사토 마키오(佐藤牧夫) 역, 『고대에의 열정 : 발굴왕 슐리만 자전』각카쿠분코(角川文庫), 1967년 (개정판 1994년) (ISBN 4043158017)
- 세키 난세이(関楠生) 역, 『고대에의 열정 : 슐리만 자전』신초문고(新潮文庫), 1977년 (개정판 2004년) (ISBN 4102079017)
- 이케우치 기(池内紀) 역
- 『고대에의 열정』쇼가쿠칸(小学館)〈지구인 라이브러리〉, 1995년. (ISBN 4092510209)
- 『고대에의 열정』각카쿠 소피아 문고(角川ソフィア文庫), 2023년. (ISBN 4044007446)
- 슐리만: 트로이 발굴자의 일생, 에밀 루트비히 저, 아키야마 히데오 역, 하쿠스이샤, 2022년 신판 외
- 엘베 뒤시앵(エルヴェ・デュシエーヌ): 슐리만 - 황금 발굴의 꿈, 「지의 재발견」총서, 소겐샤, 1998년
- 캐롤라인 무어헤드(キャロライン・ムアヘッド): 트로이의 보물 - 그 운명과 슐리만의 일생, 시바 유코 역, 각와쇼텐, 1997년
- 오무라 유키히로: 트로이의 진실 - 아나톨리아의 발굴 현장에서 슐리만의 실체를 조사하다, 오무라 지고 사진, 야마카와 출판사, 2014년
참조
[1]
웹사이트
Did Troy really exist ?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4-05-14
[2]
웹사이트
website of schliemann-museum Ankershagen
http://www.schlieman[...]
Schliemann-museum.de
n.d.
[3]
서적
Ilios: The City and Country of the Trojans: the Results of Researches and Discoveries on the Site of Troy and Through the Troad in the Years 1871-72-73-78-79; Including an Autobiography of the Author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4]
서적
The Bull of Minos: The discoveries of Schliemann and Evans
Bell & Hyman Ltd
[5]
서적
The Gold of Troy: The Story of Heinrich Schliemann and the Buried Cities of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Dorset Press
[6]
서적
Myth, scandal, and history: the Heinrich Schliemann controversy and a first edition of the Mycenaean diar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Schliemann, Heinrich
http://de.wikisource[...]
[8]
서적
PRINCIPLES AND METHODS OF ARCHAEOLOGY
https://www.research[...]
[9]
학술지
THE ROTHSCHILDS AND THE GOLD RUSH: Benjamin Davidson and Heinrich Schliemann in California, 1851-52
https://www.jstor.or[...]
2015
[10]
서적
Myth, scandal, and history : the Heinrich Schliemann controversy and a first edition of the Mycenaean diar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1]
서적
Schliemann and The California Gold Rush
Sidestone Press
[12]
서적
Memoirs of Heinrich Schliemann: A Documentary Portrait Drawn from his Autobiographical Writings, Letters, and Excavation Reports
https://books.google[...]
Harper
[13]
논문
Schliemann on Schliemann: A Study in the Use of Sources
[14]
논문
Schliemann's Mendacity: Fire and Fever in California
www.jstor.org/stable[...]
2020-04-23
[15]
서적
Finding the walls of Troy: Frank Calvert and Heinrich Schliemann at Hisarlík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The Golden Treasures of Troy: The Dream of Heinrich Schliemann
Thames & Hudson
[17]
웹사이트
Homer-Forschung zu Schliemanns Zeit und heute
http://www.uni-rosto[...]
[18]
논문
Promotion an der Rostocker Universität; Ithaque, le Péloponnèse et Troie“ und das Promotionsverfahren Heinrich Schliemanns; Die „altgriechisch geschriebene Dissertation“ Heinrich Schliemanns und die Darstellung seiner Promotion im biographischen Schrifttum
[19]
웹사이트
MemberListS
http://www.americana[...]
[20]
학술지
Heinrich Schliemann: Hero or Fraud?
1998-05-06
[21]
서적
The Trojans and their neighbour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2]
서적
Troy and its remains: a narrative of researches and discoveries made on the site of Ilium, and in the Trojan Plain
https://catalog.hath[...]
J. Murray
1875
[23]
웹사이트
Review – Troy: myth and reality
https://archaeology.[...]
2020-01-13
[24]
서적
THE THIRD, THE BURNT CITY, page 305 to 385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5]
웹사이트
Kingdoms of Anatolia - Troy / llium (Wilusa?)
https://www.historyf[...]
[26]
서적
The Lost Treasures of Troy
[27]
서적
Gods, Graves & Scholars
Wingd Books
1994
[28]
서적
Beautiful Loot
Random House
1995
[29]
서적
Memoirs of Heinrich Schliemann
Harper & Row
1977
[30]
서적
Το χρονικό της ανασκαφής των Μυκηνών, 1870–1878
https://www.archetai[...]
[31]
웹사이트
Heinrich Schliemann Biography, Excavations, & Facts
https://www.britanni[...]
[32]
웹사이트
The scientific work
https://www.mthv.gr/[...]
Archaeological Museum of Thebes
[33]
서적
Troy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8
[34]
웹사이트
"So She Went": Heinrich Schliemann Came to Marion County for a "Copper Bottom Divorce"
https://blog.newspap[...]
2015-03-11
[35]
웹사이트
Arthur John Evans
http://hubbardplus.c[...]
[36]
논문
Heinrich Schliemann: Hero or Fraud?
1998-05-01
[37]
웹사이트
Great Ancient Civilizations of Asia Minor
http://www.thegreatc[...]
2012-11-23
[38]
서적
The Trojan War: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4-12
[39]
웹사이트
Trojan wars and tourism: a lecture by C. Brian Rose
https://swarthmoreph[...]
Swarthmore The Phoenix
2005-11-23
[40]
서적
Digging for Troy
Charlesworth
[41]
학회발표
Report of the Council
1875-04-28
[42]
서적
Troy and the Trojans
[43]
웹사이트
Swastika: The Power of a Symbol
https://web.archive.[...]
2022-12-07
[44]
웹사이트
1320: Section 4: Schliemann and Troy
https://www.usu.edu/[...]
2024-11-18
[45]
뉴스
Did Troy really exist ?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4-05-14
[46]
서적
Digging for Troy
Charlesworth
[47]
학회발표
Report of the Council
1875-04-28
[48]
웹사이트
幕末の八王子での旅の様子は?「トロイ」発掘シュリーマンの日記翻訳: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11-18
[49]
서적
古代への情熱 シュリーマン自伝
岩波・角川・新潮文庫
[50]
서적
甦るトロイア戦争
大修館書店
[51]
서적
シュリーマン 黄金と偽りのトロイ
青木書店
[52]
서적
シュリーマン旅行記清国・日本
講談社学術文庫
[53]
서적
シュリーマン旅行記清国・日本
講談社学術文庫
[54]
서적
シュリーマン旅行記清国・日本
講談社学術文庫
[55]
서적
探検と発掘シリーズ トロイア
(株)評論社
[56]
서적
クレタ
(株)評論社
[5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