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치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치운은 칭기즈 칸의 동생으로, 몽골 제국 건국에 기여했으나 1207년 사망했다. 그의 아들 알치다이는 몽골 제국에서 영지를 분봉받아 쿠빌라이 칸 시대까지 활약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원나라와 명나라 시대를 거쳐 15세기에는 도란 타이시가 이끄는 투메트의 일원이 되었고, 일부는 청나라의 옹뉴드 기로 이어졌다. 카치운 가문은 칭기즈 칸의 동생들 중 하나인 조치 카사르, 테무게 옷치긴과 함께 동방 삼왕가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6년 출생 - 최우
최우는 최충헌의 아들로 고려 무신정권을 계승하여 정방과 서방을 설치하고 강화도 천도를 단행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로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다 1249년에 사망했다. - 1166년 출생 - 존 (잉글랜드)
존은 헨리 2세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형들의 사망으로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으나,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영토를 잃고 과도한 세금으로 귀족들의 반발을 사 마그나 카르타를 제정했으며 교황과의 갈등과 귀족 반란으로 혼란스러운 통치를 했다. - 1207년 사망 - 신기질
신기질은 남송의 장군이자 시인으로, 금나라에 저항하는 의병 활동 후 남송에 귀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북벌 정책으로 인해 주류 세력과 갈등하며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고, 만년에는 은거하며 호방하고 비장미 넘치는 가사풍의 시를 썼으며 소식과 함께 "소신"으로 불린다. - 1207년 사망 - 한탁주
한탁주는 남송의 관료이자 정치가로, 효종의 신임을 바탕으로 영종 옹립에 기여하여 13년간 권력을 누렸으나, 측근 중용, 성리학 탄압, 개희북벌 실패 등으로 남송 쇠퇴의 원인이 된 인물이다. - 카묵 몽골의 왕자 - 바르탄
바르탄은 12세기 몽골 귀족으로 카불 칸의 아들이자 예수게이 바투르의 아버지였으며, 그의 후손들은 칭기즈 칸 시대에 키야트 씨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몽골 제국 발전에 기여하거나 갈등을 겪었다. - 카묵 몽골의 왕자 - 주치 칸
주치 칸은 칭기즈 칸의 장남으로 몽골 제국 초기에 활약하며 서방 원정에 참여하여 중앙아시아 북부를 정복했으나, 동생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1225년경 사망 후 그의 영토는 아들 바투에게 상속되어 킵차크 한국의 기반이 되었다.
하치운 |
---|
2. 생애
그의 이름은 몽골어로 비상하다, 특이하다는 뜻이다. 별칭은 알치(Алчи), 알치다이(Алчидай)인데 몽골어로 안녕함을 뜻한다. 정확한 생일은 기록에 전하지 않는다. 몽골비사에 의하면 테무친(칭기즈 칸)이 9살이었을 때 카사르는 7살, 하치운은 5살, 테무게는 3살, 누이 테물룬은 강보에 있었다고 한다. 테무진의 세력이 작고 적이 많았던 시기에 일가가 타이치우드부의 습격을 받자, 카치운은 테무게, 테물룬과 함께 절벽의 틈 사이에 숨어 있었다고 한다.[4][5]
하치운은 형 테무친(후의 칭기즈 칸)을 도와 몽골 제국의 기틀을 닦았으나, 1207년 몽골 제국 건국 직후 일찍 사망했다.[6] 그의 아들 알치다이가 울루스를 분봉받았다.[7]
그는 형인 테무친을 도와 몽골 제국의 기틀을 닦았으나 오래 살지 못하여 1207년 몽골 제국이 세워지자마자 사망한다. 원사연의에는 병으로 사망했다 하고, 신원사에는 일찍 죽었다고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원사에는 그의 이름만이 전한다. 1206년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포될 무렵 그는 몽골 제국내 권력 서열 7위였다는 견해가 있다. 하치운의 아들 알치다이는 쿠빌라이 칸의 시대까지 생존하여, 제남왕(济南王)의 작위를 받았다. 알치다이의 다른 자손들은 원나라때 오왕(吴王)의 작위를 받았다. 알치다이의 다른 아들 카다안 투투겐은 쿠빌라이 카안 말년에 카이두 등과 연합하려 반란을 일으키다가 진압되었고, 카다안의 후대는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6]
3. 카치운 가문의 발전
1207년에서 1211년 사이, 칭기즈 칸은 어머니 호엘룬과 여러 아들, 동생 등 친족들에게 영지(울루스)를 분봉했는데, 알치다이는 나이만, 울량카트, 타타르 부족으로 구성된 세 개의 천인대를 받았다. 이 중 울량카트 천인대 대장은 차울카이이며, 『원조비사』에서는 "왕부"로서 카치운 가문에 파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스기야마 마사아키의 연구에 따르면, 칭기즈 칸의 동생들인 조치 카사르, 카치운, 테무게 옷치긴 가문의 울루스는 대흥안령 서쪽 기슭에 설치되었다. 그 중 카치운 가문의 영지는 남쪽 끝 부이르 호 남쪽, 울겐 강 유역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
알치다이는 오고타이 칸, 몽케 칸, 쿠빌라이 칸 시대에 걸쳐 활약했으며, 쿠빌라이 칸 즉위 당시 다른 칭기즈 칸의 동생 가문들과 함께 쿠빌라이를 지지했다.[9] 알치다이의 아들 카다안 투투겐은 쿠빌라이 칸 말년에 카이두 등과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11] 카다안의 후손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1302년 12월 10일, 쿠빌라이를 이은 성종 테무르가 카라코룸에서 개최한 카이두 격파 축하연에 조치 카사르 가문의 당주 바부샤 등과 함께 카치운 가문의 당주 에질도 참석했다.
3. 1. 역대 카치운 가문 당주
이름 | 비고 |
---|---|
카치운 | |
제남왕 알치다이 | |
차크라 대왕 | |
클라쿠르 왕 | |
카다안 대왕 | |
제남왕 신나카르 | |
제남왕 에질 |
4. 카치운 가문의 후예
1302년 12월 10일 쿠빌라이 칸의 뒤를 이은 성종 테무르가 카라코룸에서 오고타이 칸의 카이두를 격파한 승리 축하연에 조치 카사르 가문의 당주 바부샤와 함께 카치운 가문의 당주 에치르도 참석했다.[12]
15세기 투메드 7개 부의 지도자 도란 타이시는 카치운의 후손이었다고 전해진다. 카치운의 다른 후손들은 옹구트부를 형성하여 명나라 말기까지 존속했으며, 청나라에 편입된 후에는 옹구트기가 되었다. 옹구트부는 청나라, 중화민국, 만주국을 거쳐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적봉시 온뉴드 기로 이어지고 있다.[14]
5. 가계도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Mongolia
Global Oriental
2010
[2]
서적
Rashiduddin Fazlullah's Jami'ut Tawarikh: Compendium of Chronicles, A History of the Mongols, Part One
Department of Ne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Harvard University
[3]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http://dx.doi.org/10[...]
BRILL
2006-08-01
[4]
서적
村上1970,82頁
[5]
서적
村上1970,79頁
[6]
서적
村上1970,123頁
[7]
서적
村上1976,107頁
[8]
서적
杉山2004,40-48頁
[9]
서적
杉山2004,105-110頁
[10]
서적
杉山2004,114頁
[11]
서적
杉山2004,207頁
[12]
서적
杉山2004,211-212頁
[13]
서적
Buyandelger1998,7-8頁
[14]
서적
Buyandelger1998,2-3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