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은 전파 이용 촉진 연구, 방송·통신·전파 관련 기술 정보 수집 및 분석, 관련 연구 지원 및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국가기술자격 검정(통신 분야)을 시행하고 관리하며, 법령에 따른 업무 또는 위탁 사업, 방송통신위원회가 위탁한 사업을 수행한다. 1972년 한국무선종사자협회로 설립되어,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한국전파진흥원을 거쳐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서울, 북서울, 부산, 전남, 강원, 경북, 경인, 전북, 충청, 제주에 지역 본부 및 지사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주시 소재의 관공서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는 대한민국의 전력 생산, 송전, 변전, 배전 및 판매를 담당하는 공기업으로, 한성전기회사로 시작하여 여러 합병과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스마트 그리드 구축 및 해외 사업 진출을 추진 중이나, 에너지 정책 변화와 요금 인상 논란, 적자 문제가 과제로 남아 있다.
  • 나주시 소재의 관공서 - 한전KPS
    한전KPS는 한국전력공사가 전액 출자하여 설립한 발전플랜트 Total 서비스 전문 회사로서, 발전설비의 진단, 정비, 성능 개선, 신재생에너지 설비 O&M, 송변전 설비 정비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국내외 발전설비 유지보수 및 기술 용역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공공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기본 정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로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로고
설립일2011년 12월 30일
설립 목적방송통신전파의 진흥
약칭KCA
종류기타공공기관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760 (빛가람동)
직원 수150명 (2023년 기준)
조직
이사장김홍진
상임 감사이헌수
원장정한근
기획조정본부기획조정실
디지털혁신실
재무관리실
방송통신인재개발본부방송통신교육1팀
방송통신교육2팀
방송통신교육3팀
방송통신진흥본부방송통신사업기획팀
방송통신산업진흥팀
방송통신콘텐츠진흥팀
미디어융합기술팀
전파진흥본부전파기반팀
전파방송안전팀
전파자원팀
전파엔지니어링팀
주요 사업
방송통신 인재 개발방송통신 전문인력 양성
방송통신 기술 교육
방송통신 진흥 사업방송통신 콘텐츠 제작 지원
방송통신 기술 개발 지원
방송통신 산업 육성
전파 진흥 사업전파 이용 환경 개선
전파 기술 연구 개발
전파 안전 관리
관련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기타
관련 기관방송통신위원회

2. 설립 근거

전파법[4]

3. 주요 업무


  • 전파 이용 촉진에 관한 연구
  • 방송·통신·전파 관련 국내외 기술 정보 수집, 조사 및 분석
  • 방송·통신·전파 관련 연구 지원 및 교육
  • 국가기술자격 검정 통신 분야 시행 및 관리
  • 그 밖에 법령에 따른 진흥원 업무 또는 위탁 사업, 방송통신위원회 위탁 사업

4. 연혁


  • 1972년 7월 21일 '''한국무선종사자협회''' 설립
  • 1990년 8월 1일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으로 개편
  • 2006년 7월 13일 한국정보통신대학교 부설 정보통신교육원 흡수 통합
  • 2006년 7월 21일 '''한국전파진흥원'''(KORPA) 출범
  • 2007년 4월 2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지정 (\[\[기획재정부]])
  • 2007년 5월 21일 IT인재개발교육원으로 개편 (정보통신교육원)
  • 2010년 1월 1일 방송통신분야 국가기술자격검정 시행 및 IT인재개발교육원을 한국전파진흥협회로 이관
  • 2011년 1월 1일 방송통신발전기금 위탁관리기관 지정
  • 2011년 1월 24일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출범[5]

5. 조직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은 원장, 부원장 및 감사 아래 여러 조직을 두고 있다.


  • 감사
  • 감사실
  • 감사팀
  • 안전경영지원단
  • 인사총무팀
  •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안전보건센터
  • 재무회계팀


본원 및 지역 본부, 지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본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본원에는 감사, 감사실, 감사팀, 안전경영지원단, 인사총무팀, 디지털교육연구센터, 안전보건센터, 재무회계팀이 있다.

5. 2. 지역 본부 및 지사

소재지관할구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35 (가락동 78) IT벤쳐타워 서관 2층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189 중소기업DMC타워 10층 (상암동 1622)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중로 29 KCA빌딩 (초량동 1056-2)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888 아이비타워 5층 502호 (칠암동 414-10)경상남도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219 (치평동 1241-3)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 33 유달산우체국 2층 (대의동2가 1-6)전라남도
전라남도 여수시 문수로 117번지 (문수동 111-2) KT문수빌딩 2층전라남도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만대로 15-1 2층 (무실동 1724-13)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솔올로5번길 55 (교동1882-4) 청호아넥스 빌딩 6층 601호강원특별자치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수로 66 (상동 6-12)대구광역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중앙로 201 (죽도동 49-1)경상북도
인천광역시 남동구 미래로 7 (구월1동 1128-10) 현대해상빌딩 4층인천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견훤로 279 (인후동1가 784-4)전북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553번길 24 (탄방동 671), 지하철 탄방역 5번출구대전광역시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로 112 (성내동 282) KT플라자 충주점 3층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65 성우빌딩 7층 (이도이동 1034-4)제주특별자치도


참조

[1] 뉴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출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1-25
[2] 뉴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한국법제연구원과 교류협정 체결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2-03-01
[3] 뉴스 국립전파연구원·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신청사 착공식 https://news.joins.c[...] 뉴시스 2012-03-21
[4] 문서 제66조(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① 전파의 효율적 관리 및 방송·통신·전파의 진흥을 위한 사업과 정부로부터 위탁받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진흥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5] 뉴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새 출발..`소통리더` 비전제시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1-01-24
[6] 문서 한국콘텐츠진흥원과 공동운영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