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는 2008년 12월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통근형 전동차이다. 5000호대 및 6000호대 전동차를 개조하여 4량 편성으로 5개 편성이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5000호대 19편성을 개조한 2개 편성, 311000호대 12차분과 동일한 사양의 6량 편성 3개 편성이 추가로 도입되었다. 4량 편성(31901~31907)은 경부선, 경부고속선, 경의선 등에서 운행하며, 6량 편성(31908~31910)은 수인·분당선에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1호선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이름 | 한국철도공사 319000계 전동차 |
회사 색상 | #0d3692 |
편성 | 4량 (MT비: 2M2T), 6량 (MT비: 3M3T) |
기동 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11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10 km/h |
감속도 (보통) | 3.5 km/h/s |
감속도 (비상) | 4.5 km/h/s |
편성 정원 | 616명 (좌석 204명) |
차량 정원 | 선두차: 148명 (좌석 48명) 중간차: 160명 (좌석 54명) |
전체 길이 | 선두차: 20,250mm 중간차: 20,000mm |
전체 폭 | 3,200mm |
전체 높이 | 4,500mm |
편성 질량 | 146.0 t |
차량 질량 | 33.0 t (Tc) 38.0 t (M1) 42.0 t (M2) |
궤간 | 1,435 mm |
전기 방식 | 교류 25,000V (60Hz) |
주전동기 | 가고형 삼상 유도 전동기 230kW/기 |
편성 출력 | 1,840kW |
제어 장치 | VVVF 인버터 제어 (IGBT 소자)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
안전 장치 | ATS |
제작 회사 | 현대로템 |
기술 사양 | |
전동기 출력 | 230kW/기 |
대차 | 볼스터리스 대차 |
MT비 | 31901~31907: 2M 2T 31908~31910: 3M 3T |
제어 방식 |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31901~31907) VVVF-IGBT(미쓰비시)(현대로템 IPM) |
추가 정보 | |
용도 | 통근형 전동차 |
제작사 | 현대정공 (→현대로템) (31906~31907편성) 로템 (→현대로템) (31901~31905, 31908~31910편성) 우진산전 (31911~31920편성) |
제작 연도 | 2006년 (31901~31905) 1997년 (31906~31907) 2019년 (31908~31910) 2027년~2028년 (31911~31920) |
생산량 | 10개 편성 46량 |
2. 도입 역사
2008년 12월 1일 5000계 후기형 차량과 6000계를 개조한 319x01~319x05편성의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다. 2006년 6월부터 7월 사이에 5000호대 79~80편성 일부[2] 및 8량화로 남은 5000호대 86~92편성, 6000호대 01~07편성 잔존 차량을 5개 편성으로 개조했다.[2] 각 출입문 위에 LCD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됐으나, LCD 모니터의 노후화로 351000호대 4세대(35173~35178편성), 381000호대 2세대(38111~38117편성), 391000호대(39101~39107편성)와 동일한 천장부착형 LCD TV로 바뀌었다.[2]
2009년 1월, 5000계 5x19편성을 개조한 319x06편성과 319x07편성의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운행이 중지된 5000호대 19편성을 2개 편성으로 개조한 차량으로, '뱀작이'라고도 불린다. 각 출입문 위에 LCD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노후화로 인해 351000호대 4세대, 381000호대 2세대, 391000호대와 동일한 천장부착형 LCD TV로 교체되었다. 차량 내부는 5000호대 19편성과 동일하지만, 외형 및 운전 설비는 311000호대 3세대 전기형, 321000호대와 유사하다. 2020년 7월 16일 운행이 중단된 후 구로차량기지에 방치되었다가 31906편성은 2024년 4월 24일, 31907편성은 2024년 4월 23일 각각 폐차되었다.
2019년에는 319x08~319x10편성이 완성되었다. 2019년에 신규 도입된 전동차는 수인·분당선에 투입되었지만 ATS 전용이라 ATC 구간인 분당선은 운행할 수 없어 오이도~인천 구간만 운행한다.[3] 31908~31910편성이 이 때 완성되었다. 사양은 312000호대의 12차분과 동일하며, 3개 편성이 6량으로 총 18량이 별도 편성되었다. 2023년에 경원선 연천~광운대 구간에서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연천~서울·인천 10량 직통 열차가 들어가게끔 변경되어, 추후 동두천~양주 구간에서 셔틀로 대신 편성 및 운행할 예정이다.
2. 1. 1차 도입분 (31901~31905편성, 2006년 6월~7월 제작)
2006년 6월부터 7월 사이에 5000호대 79~80편성 일부[2] 및 8량화로 남은 5000호대 86~92편성, 6000호대 01~07편성 잔존 차량을 5개 편성으로 개조했다.[2] 각 출입문 위에 LCD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됐으나, LCD 모니터의 노후화로 351000호대 4세대(35173~35178편성), 381000호대 2세대(38111~38117편성), 391000호대(39101~39107편성)와 동일한 천장부착형 LCD TV로 바뀌었다. 2008년 12월 1일부터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다.[2]2. 2. 2차 도입분 (31906~31907편성, 1997년 5월 제작)
영등포역 추돌 사고로 운행이 중지된 5000호대 19편성을 2개 편성으로 개조한 차량으로, '뱀작이'라고도 불린다. 각 출입문 위에 LCD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노후화로 인해 351000호대 4세대, 381000호대 2세대, 391000호대와 동일한 천장부착형 LCD TV로 교체되었다. 차량 내부는 5000호대 19편성과 동일하지만, 외형 및 운전 설비는 311000호대 3세대 전기형, 321000호대와 유사하다.2009년 1월, 5000계 5x19편성을 개조한 319x06편성과 319x07편성의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2020년 7월 16일 운행이 중단된 후 구로차량기지에 방치되었다가 31906편성은 2024년 4월 24일, 31907편성은 2024년 4월 23일 각각 폐차되었다.
2. 3. 3차 도입분 (31908~31910편성, 2019년 10월 제작)
2019년에 신규 도입된 전동차는 수인·분당선에 투입되었지만 ATS 전용이라 ATC 구간인 분당선은 운행할 수 없어 오이도~인천 구간만 운행한다.[3] 31908~31910편성이 이 때 완성되었다. 사양은 312000호대의 12차분과 동일하며, 3개 편성이 6량으로 총 18량이 별도 편성되었다. 2023년에 경원선 연천~광운대 구간에서 운행할 예정이었지만 연천~서울·인천 10량 직통 열차가 들어가게끔 변경되어, 추후 동두천~양주 구간에서 셔틀로 대신 편성 및 운행할 예정이다.2. 4. 4차 도입분 (31911~31920편성, 2027년~2028년 2월 제작) 예정
2008년 12월 1일 5000계 후기형 차량과 6000계를 개조한 319x01~319x05편성의 영업 운전이 개시되었다. 2009년 1월에는 5000계 5x19편성을 개조한 319x06편성과 319x07편성의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2019년에는 319x08~319x10편성이 완성되었다.3. 기술적 사양
3. 1. 제어 기기
311000호대와 동일하며, 도시바의 COVO52-A0 IGBT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31908~31910편성은 미쓰비시제 COVO52-A0형 VVVF-IGBT 소자에 현대로템의 자사 IPM 모듈을 추가로 적용하여 도입되었다.
3. 2. 차체 및 대차
차체는 311000호대와 마찬가지로,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다.[2]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택하여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2]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한다.[2] 본래 4+4 중련 편성을 염두에 두고 제작했으나, 스크린도어와 길이가 맞지 않아서 영업용으로는 중련 편성을 하지 않는다.[2]3. 3. 실내 설비


311000호대 1, 3세대형과 내부가 동일하나, 출입문 위에 LCD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3. 4. 승무 설비
321000호대 중기 편성과 운전 설비는 비슷하나, 경부고속선 금천구청~광명 구간 진입을 이유로 이 차량의 신호 관련 장비를 개조하지 않고 해당 구간에 ATS와 호환되도록 신호 설비를 추가했다.4. 편성
wikitext
;319000형 (Tc)
:광명(光明) 방향의 제어차. 운전대를 갖춘다.
;3191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2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3192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1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319900형 (Tc)
:영등포(永登浦) 방향의 제어차. 운전대를 갖춘다.
형식 | 319000형 (Tc) | 319100형 (M) | 319200형 (M) | 319900형 (Tc) | 종차 |
---|---|---|---|---|---|
탑재기기 | |||||
차량중량 | 33.0t | 33.0t | |||
차량번호 | 319001 : 319005 | 319101 : 319105 | 319201 : 319205 | 319901 : 319905 | 5000계 후기차 6000계 |
319006 319007 | 319106 319107 | 319206 319207 | 319906 319907 | 5000계 5x19편성 |
319x01F~319x04F, 319x06F~319x07F는 구로차량사업소에 소속, 319x05F는 문산차량사업소에 소속, 319x08F~319x10F는 리문차량사업소에 소속된다.
'''4량 편성 (31901~31907)'''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4량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와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만 구성되어 있다.
편성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각 객차별 설치된 전장품은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1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9000형 (Tc): 광명 방향의 제어차로 운전대를 갖춘다.
- 3191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2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 3192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1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 319900형 (Tc): 영등포 방향의 제어차로 운전대를 갖춘다.
319x01F~319x04F, 319x06F~319x07F는 구로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으며, 319x05F는 문산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
'''6량 편성 (31908~31910)'''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319000호대 전동차 6량 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1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XX | M(주변환장치) |
319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3XX | T(무동력객차) |
3194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x08F~319x10F는 리문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
4. 1. 4량 편성 (31901~31907)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4량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와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만 구성되어 있다.편성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각 객차별 설치된 전장품은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1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319000형 (Tc): 광명 방향의 제어차로 운전대를 갖춘다.
- 3191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2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 319200형 (M'): 중간 전동차로, 319100형과 편성을 이룬다. 팬터그래프 등을 탑재한다.
- 319900형 (Tc): 영등포 방향의 제어차로 운전대를 갖춘다.
319x01F~319x04F, 319x06F~319x07F는 구로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으며, 319x05F는 문산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
4. 2. 6량 편성 (31908~31910)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등을 갖춘 Tc차와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어 있다. 319000호대 전동차 6량 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190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1XX | M(주변환장치) |
3192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3XX | T(무동력객차) |
3194XX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199XX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319x08F~319x10F는 리문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
5. 운행 구간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는 다음 구간에서 운행된다.
6. 기타
6. 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차출 운행
2009년 12월 1일부터 수도권 전철 경의선에 4량 전동차를 운행하면서 31903~31904편성이 차출된 적이 있다. 차출 운행 당시엔 임시로 문산차량기지 소속이었으나, 지금은 구로차량기지로 복귀했다. 31904~31905편성은 2012년 2월 중검수 기간에 잠시 광명역 셔틀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2017년 6월부터 31905편성은 다시 문산차량기지 소속으로 변경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하고 있다.6. 2.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개조
경의선과 광명셔틀에서 운행하던 31904편성을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으로 개조한 후 구로차량기지로 복귀시켰다.6. 3. 추진제어장치 개조
2013년 2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31906~31907편성의 추진제어장치(VVVF)가 1997년 5월 반입 당시의 MCK01C형에서 COVO52-A0형으로 바뀌었다.6. 4.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 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다만 광명역은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의정부 ↔ 동두천 셔틀 전동차는 앞칸과 뒷칸만 측면 안내기가 가동 중이다.참조
[1]
text
[2]
text
[3]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