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립어 (언어유형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립어는 단어의 형태 변화가 적고, 단어와 형태소의 비율이 낮은 언어 유형을 의미한다. 현대 언어학에서는 단어당 형태소 비율과 형태소 간의 융합 정도를 기준으로 언어를 분류하며, 고립어는 일반적으로 1:1에 가까운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보인다. 고립어는 접사나 어형 변화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문법적 관계는 어순, 문맥, 부치사 등으로 표현된다. 베트남어, 중국어 등이 고립어에 해당하며, 한국어는 고립어에 속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립어 (언어유형론)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고립어 (언어유형론)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고립어 (언어유형론)
개요
정의형태소 대 단어 비율이 매우 낮은 언어
특징단어의 형태 변화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음
언어학적 유형
유형론적 분류분석적 언어의 하위 유형
형태소 결합단어 내 형태소 결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음
문법 관계 표시어순, 조사, 전치사 등을 통해 문법 관계를 나타냄
예시
주요 예시 언어베트남어, 중국어, 광둥어, 태국어
장단점
장점문법 규칙이 단순하여 배우기 쉬움
단점의미의 명확성을 위해 문맥 의존도가 높음

2. 특징

고립어는 단어당 형태소 비율이 매우 낮은 언어를 가리킨다. 즉, 단어가 더 이상 작은 의미 단위(형태소)로 쪼개지지 않는 경향이 강한 언어이다.

아우구스트 슐라이허는 언어를 고립어, 교착어, 굴절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이 중 고립어는 형태론적 특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언어로 정의했다. 이후 에드워드 사피어는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종합의 지표와 융합의 지표를 제시했는데, 고립어는 종합의 지표(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의 수)가 극단적으로 낮은 언어 유형에 해당한다.

분석적 언어는 종합성의 지표가 비교적 낮은 언어를 말하며, 고립어는 분석적 언어의 극단적인 유형이다. 분석적 언어에서는 문법 범주를 어형 변화 대신 문맥, 어순, 조사와 같은 기능어를 통해 표현하며, 결과적으로 단어는 소수의 형태소로 구성된다.

영어굴절어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법은 조동사로 표시되고 주어목적어(직접, 간접)의 구분은 어순이나 전치사로 나타나는 등 분석적 성격이 강하다.

2. 1. 형태론적 특징

과거에는 언어 유형을 고립어, 굴절어, 교착어의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구분했지만, 현대 언어학에서는 전통적인 형태론적 유형을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한다.

  • 단어당 형태소 비율 (단어 하나에 형태소가 얼마나 많이 들어가는가)
  • 형태소 간의 융합 정도 (단어의 굴절 형태소가 나타내는 의미 단위를 얼마나 분리할 수 있는가)


어떤 언어가 다른 언어보다 '고립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어당 형태소 비율이 더 낮을 때를 의미한다.

단어와 형태소의 관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영어 단어 "rice"는 하나의 형태소(rice)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므로, 1: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반면, "handshakes"는 세 개의 형태소(hand, shake, -s)로 구성된 단어이므로, 3: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평균적으로 영어 단어는 단어당 형태소 비율이 1보다 크다.

하나의 굴절 형태소가 여러 의미 단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단어 vídyat/видят (그들은 본다)는 두 개의 형태소를 가지므로 2: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어근 vid-/вид-는 불완료 상의 의미를 전달하고, 굴절 형태소 -yat/-ят은 3인칭 주어, 복수 주어, 현재/미래 시제, 직설 법의 4가지 의미 단위를 나타낸다. 즉, 하나의 형태소 -yat/-ят에 4개의 의미 단위가 결합되어 있다.

고립적인 성향이 강한 언어는 일반적으로 1:1에 가까운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보인다. 이상적인 고립어는 단어가 형태소라는 작은 의미 단위와 관련하여 내부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형태론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언어는 의존 형태소 (접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단어당 형태소 비율은 고립적인(낮은 비율) 특성에서 합성적인(높은 비율) 특성까지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비율이 높을수록 고립어보다는 합성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베트남어 예시를 보면, 시제, , 등에 따라 단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과 "나의"는 모두 tôivi로 형태가 같고, 의미 차이는 어순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고립어는 접사를 붙이거나 다른 방법으로 어형 변화를 하지 않으며, 종합어에서 어형 변화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법 범주문맥, 어순, 부치사 등으로 표현된다.

고립어라는 분류는 아우구스트 슐라이허가 제안한 언어의 3가지 유형(고립어, 교착어, 굴절어)에 기반하지만, 이후 에드워드 사피어가 제안한 종합의 지표와 융합의 지표라는 두 가지 지표로 재검토되었다. 이 중 종합의 지표는 하나의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의 수에 기반하며, 고립어는 종합의 지표가 매우 낮은 언어로 정의할 수 있다.

고립어로 분류되는 언어에는 시나티베트어족의 중국어(특히 한문), 티베트어, 미얀마어 등과, 말레이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대륙부의 언어(베트남어, 라오스어, 태국어, 크메르어 등), 사모아어 등이 있다.

2. 2. 분석적 언어와의 관계

과거에는 언어 유형을 고립어, 굴절어, 교착어의 세 가지 기본 유형으로 구분했지만, 현대에는 전통적인 형태론적 유형을 다음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한다.

  • 단어당 형태소 비율 (단어당 형태소의 수)
  • 형태소 간의 융합 정도 (단어의 굴절 형태소가 나타내는 의미 단위에 따라 얼마나 분리될 수 있는지)


어떤 언어가 다른 언어보다 고립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어당 형태소 비율이 더 낮을 때이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rice"는 하나의 형태소(rice)로 구성된 단일 단어이며, 1: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반면, "handshakes"는 세 개의 형태소(hand, shake, -s)로 구성되어 3: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러시아어 단어 vídyat/видят ("그들은 본다")는 두 개의 형태소를 가지므로 2:1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갖는다. 어근 vid-/вид-는 불완료 상의 의미를, 굴절 형태소 -yat/-ят은 3인칭 인칭 주어, 복수 주어, 현재/미래 시제, 직설 법의 4가지 의미 단위를 나타낸다.

고립 경향이 높은 언어는 1:1에 가까운 단어당 형태소 비율을 보이며, 이상적인 고립어에서는 형태론이 완전히 부재하고 접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단어당 형태소 비율은 고립적인 낮은 비율에서 합성적인 높은 비율까지 스펙트럼으로 나타나며, 높은 비율은 언어가 고립어보다는 합성어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트남어의 경우, tôi|또이vi는 "나는"과 "나의" 모두 같은 형태이며, 의미 차이는 어순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고립어는 접사나 어형 변화 없이 문맥, 어순, 부치사 등으로 문법 범주를 표현한다.

고립어는 아우구스트 슐라이허가 제안한 3가지 유형(고립어, 교착어, 굴절어) 중 하나였으나, 에드워드 사피어는 종합의 지표와 융합의 지표라는 두 가지 지표를 제안했다. 종합의 지표는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 수에 기초하며, 고립어는 이 지표가 매우 낮은 언어이다.

시나-티베트어족의 중국어(특히 한문), 티베트어, 미얀마어, 말레이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대륙부 언어(베트남어, 라오스어, 태국어, 크메르어 등), 사모아어 등이 고립어로 분류된다.

분석적 언어는 종합성의 지표가 낮은 언어를 말하며, 고립어는 분석적 언어의 극단적인 유형이다. 분석적 언어는 문법 범주를 어형 변화 대신 문맥, 어순, 조사와 같은 기능어로 표현하며, 단어는 소수의 형태소로 구성된다.

영어굴절어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법은 조동사로, 주어·목적어는 어순이나 전치사로 나타내는 등 분석적 성격이 강하다.

3. 예시

고전 중국어,[8] 베트남어,[3][2] 요루바어,[1] 크메르어, 태국어, 중앙 플로레스어 등이 고립어의 예시이다. 인도네시아 동부의 말레이어(trade and creole languages)에는 다음이 포함된다:[9]


  • 암본 말레이어
  • 쿠팡 말레이어
  • 라란투카 말레이어
  • 마나도 말레이어
  • 북 말루쿠 말레이어
  • 파푸아 말레이어[10]


고립어는 아우구스트 슐라이허가 제안한 언어의 3유형(고립어, 교착어, 굴절어) 중 하나이다. 이후 에드워드 사피어는 종합의 지표와 융합의 지표라는 두 가지 지표를 통해 언어 유형을 재정의했다. 종합의 지표는 한 단어를 구성하는 형태소의 수를 나타내는데, 고립어는 이 지표가 매우 낮은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고립어는 시나-티베트어족의 중국어(특히 한문), 티베트어, 미얀마어 등과 말레이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 대륙부 언어(베트남어, 라오스어, 태국어, 크메르어 등), 그리고 사모아어 등이 있다.

3. 1. 중국어

중국어고립어의 한 예시이다.[8]

  • 你'''在'''做什么?|nǐ zài zuò shénme|너 짜이 쭈어 션머중국어 (你'''在'''做什麼?|nǐ zài zuò shénme|너 짜이 쭈어 션머중국어) (부사; 무엇을 '''하고''' 있니?)
  • 你爸爸'''在'''家吗?|nǐ bàba zài jiā ma|니 빠바 짜이 지아 마중국어 (你爸爸'''在'''家嗎?|nǐ bàba zài jiā ma|니 빠바 짜이 지아 마중국어) (동사; 아버지는 집에 '''있습니까'''?)
  • 你'''在'''哪里打工?|nǐ zài nǎlǐ dǎgōng|니 짜이 나리 다꿍중국어 (你'''在'''哪裏打工?|nǐ zài nǎlǐ dǎgōng|니 짜이 나리 다꿍중국어) (전치사; 어디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니?)


「在|zài|짜이중국어」의 발음은 모두 "zài"이다.

  • 昨天我'''去'''了图书馆。|zuótiān wǒ qù le túshūguǎn|쭈오티엔 워 취 러 투슈관중국어 (昨天我'''去'''了圖書館。|zuótiān wǒ qù le túshūguǎn|쭈오티엔 워 취 러 투슈관중국어) (어제 나는 도서관에 '''갔다'''.)
  • 今天我'''去'''图书馆。|jīntiān wǒ qù túshūguǎn|찐티엔 워 취 투슈관중국어 (今天我'''去'''圖書館。|jīntiān wǒ qù túshūguǎn|찐티엔 워 취 투슈관중국어) (오늘 나는 도서관에 '''간다'''. )
  • 明天我要'''去'''图书馆。|míngtiān wǒ yào qù túshūguǎn|밍티엔 워 야오 취 투슈관중국어 (明天我要'''去'''圖書館。|míngtiān wǒ yào qù túshūguǎn|밍티엔 워 야오 취 투슈관중국어) (내일 나는 도서관에 '''갈 것이다'''. )


「去|qù|취중국어」의 발음은 모두 "qǜ"이다.

  • '''그녀'''는 스파게티를 좋아합니다。|tā xǐhuan yìdàlìmiàn|타 시환 이따리미엔중국어 ('''그녀'''는 스파게티를 좋아합니다。|tā xǐhuan yìdàlìmiàn|타 시환 이따리미엔중국어) (주격; '''그녀는''' 스파게티를 좋아한다.)
  • 그는 '''그녀'''에게 매우 상냥합니다。|tā duì tā hěn hǎowán|타 뛔이 타 헌 하오완중국어 (그는 '''그녀'''에게 매우 상냥합니다。|tā duì tā hěn hǎowán|타 뛔이 타 헌 하오완중국어) (목적격; 그는 '''그녀에게''' 매우 상냥하다.)


「그녀|tā|타중국어」의 발음은 모두 "tā"이다.

3. 2.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고립어의 한 예이다.[3][2] 베트남어는 시제, , 에 따라 단어 형태가 바뀌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나는"과 "나의"는 모두 tôivi로 형태가 같으며, 의미 차이는 어순으로 나타낸다.

Khi tôi đến nhà bạn tôi, chúng tôi bắt đầu làm bài.vi

(친구가 집에 오니 숙제를 시작했습니다.)

위 예시처럼, 베트남어는 접사를 붙이거나 다른 방법으로 어형 변화를 하지 않는다. 대신 종합어에서 어형 변화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법 범주문맥, 어순, 부치사 등으로 표현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 Computerized Identification System for Verb Sorting and Arrangement in a Natural Language: Case Study of the Nigerian Yoruba Language http://www.eajournal[...] 2023-04-04
[2] 웹사이트 Isolating Language https://glossary.sil[...] 2023-04-04
[3] 백과사전 Analytic language https://www.britanni[...] 1998-07-20
[4] 서적 Introduction to Typology: The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Inc
[5] 웹사이트 Lecture No. 13 https://www.departme[...] 2023-04-04
[6] 웹사이트 Morphological Typology https://moodle.studi[...] 2023-04-04
[7] 웹사이트 Polysynthetic language https://www.japanpit[...] 2023-04-04
[8] 웹사이트 Isolating language https://www.sorosoro[...] 2023-04-04
[9] 서적 The Malay contact varieties of eastern Indonesia: A typological comparison https://www.acsu.bu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21-08-08
[10] 서적 A Grammar of Papuan Malay http://langsci-press[...] Language Science Pres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