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엥겔베르트 돌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으로, 1932년부터 1934년 암살될 때까지 총리를 역임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농민 협회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기독교사회당에 입당했다. 1932년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위기 속에서 총리가 된 돌푸스는 의회 해산 후 권위주의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공산당과 나치당을 금지하고, 오스트리아 파시즘으로 불리는 오스트로파시즘 체제를 구축했다. 1934년 2월 내란을 진압하고 1934년 5월 헌법을 공포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강화했다. 1934년 7월 나치당 당원들의 쿠데타 시도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은 오스트리아의 정치적 격변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파시스트 - 쿠르트 슈슈니크
    쿠르트 슈슈니크는 오스트리아의 총리로서 나치 독일의 압력 속에서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지키려 했으나, 사임 후 체포되어 강제 수용소에서 고초를 겪고 미국으로 이주하여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오스트리아에서 사망했다.
엥겔베르트 돌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톰 폰 드레거의 초상화, 1934년
톰 폰 드레거의 초상화, 1934년
직책총리
임기 시작1932년 5월 20일
임기 종료1934년 7월 25일
대통령빌헬름 미클라스
부총리프란츠 빈클러
에밀 파이
에른스트 뤼디거 슈타렘베르크
전임카를 부레슈
후임쿠르트 슈슈니크
직책 1조국전선의 지도자
임기 시작 11933년 5월 20일
임기 종료 11934년 7월 25일
전임 1당 창설
후임 1에른스트 뤼디거 슈타렘베르크
직책 2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 21932년 5월 20일
임기 종료 21934년 7월 10일
전임 2카를 부레슈
후임 2슈테판 타우시츠
직책 3농업 및 임업 장관
임기 시작 31931년 3월 18일
임기 종료 31934년 6월 25일
전임 3안드레아스 탈러
후임 3에른스트 뤼디거 슈타렘베르크
출생일1892년 10월 4일
출생지텍싱탈, 니더외스터라이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망일1934년 7월 25일
사망지, 오스트리아
사망 원인총격 암살
안장 장소히칭 묘지, 빈, 오스트리아
정당조국전선 (1933년–1934년)
다른 정당기독교 사회당 (1933년까지)
배우자알바인 글리엔케
자녀한네를, 에바, 루돌프
아버지요제프 베닝거
어머니요제파 돌푸스
모교빈 대학교
내각돌푸스 1차–2차
별칭''
군사 경력
소속오스트리아-헝가리군
복무 기간1914년–1918년
군종오스트리아-헝가리군
계급오버로이츠난트 (중위)
부대카이저슈첸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전선
훈장군사 공로 십자훈장 3급, 군사 공로 메달 (2회), 용맹 메달, 카를 부대 십자훈장 (2회), 부상 훈장

2. 초창기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1892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텍싱탈에서 가난한 가톨릭 농부의 사생아로 태어났다. 어머니 요제파 돌푸스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돌푸스는 어린 시절을 인근 키른베르크 코뮌의 계부 집에서 보냈다.

텍싱에 있는 돌푸스 생가


청년기의 엥겔베르트 돌푸스


지역 교구 사제들의 재정적 지원으로 홀라브룬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돌푸스는 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다 몇 달 후 법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그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자선적 활동을 하는 학생 단체인 학생 사회 운동의 회원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돌푸스는 빈에서 징집될 예정이었으나, 키가 2cm 작아 거부당했다. 성인이 된 후에도 그의 키는 152cm 미만이었고, 훗날 "밀리메터니히"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밀리미터를 뜻하는 독일어 '밀리미터'와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의 합성어였다.[1][2]

징집을 거부당한 당일, 돌푸스는 장크트푈텐으로 가서 지역 징병 위원회에 징집을 요청하여 카이저슈첸으로 알려진 티롤 민병대에 자원 입대했다.[25] 그는 곧 상사로 진급했으며, 이탈리아 전선의 티롤 남부에서 37개월 동안 복무하며 1916년 중위로 진급했다.[30]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돌푸스는 니더외스터라이히 농민 연합에서 일하며 농민들을 전쟁과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조직하는 데 힘썼다.[26] 이 능력을 인정받아 베를린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독일 농민 연합 연맹 등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1921년, 돌푸스는 개신교 신자인 알비네 글리엔케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26]

2. 1. 출생과 성장 배경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1892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텍싱탈에서 가난한 가톨릭 농부의 사생아로 태어났다.[25] 그의 어머니 요제파 돌푸스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 어린 시절은 인근 키른베르크 코뮌의 계부 집에서 보냈다.[26]

2. 2. 학창 시절



1892년 텍싱탈de(현재 멜크구텍싱탈)에서 요제프 베닝거와 연인 요제파 돌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두 사람은 가난한 농가 출신이었기 때문에 재정적인 이유로 결혼할 수 없었다. 돌푸스가 태어난 지 몇 달 후, 어머니 요제파는 키른베르크 안 데어 망크de의 지주 레오폴트 슈문츠와 결혼했지만, 슈문츠는 돌푸스를 아들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돌푸스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자랐고, 1904년 장학금을 받아 홀라브룬de신학교에 진학했다. 1913년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신학교에 진학하려 했지만, 이후 빈 대학교에 진학하여 법학을 전공했다.

지역 교구 사제들의 재정적 지원으로 돌푸스는 홀라브룬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돌푸스는 사제가 되려고 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지만, 몇 달 후 진로를 바꿔 법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사회적, 자선적 활동을 하는 학생 단체인 학생 사회 운동의 회원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돌푸스는 빈에서 징집될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최소 키보다 2cm 작아 거부당했다. 다 자란 그의 키는 152cm 미만이었고, 나중에는 "밀리메터니히"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밀리미터를 뜻하는 독일어인 ''밀리미터''와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의 합성어였다.[1][2]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돌푸스는 빈에서 징집될 예정이었으나, 키가 최소 기준보다 2cm 작아 처음에는 거부당했다.[1][2] 성인이 된 그의 키는 미만이었고, 훗날 "밀리메터니히"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밀리미터를 뜻하는 독일어 '밀리미터'와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의 합성어였다.[1][2]

빈에서 징집을 거부당한 같은 날, 돌푸스는 장크트푈텐으로 가서 지역 징병 위원회에 징집을 요청했고, 최소 키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받아들여졌다. 자원병으로서 그는 자신이 복무할 연대를 선택할 권리가 있었고, ''카이저슈첸''으로도 알려진 티롤 민병대를 선택했다.[25] 그는 곧 상사로 진급했다. 그는 이탈리아 전선, 티롤 남부에서 37개월 동안 복무했으며, 1916년까지 중위로 진급했다.[30]

2. 4. 전후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돌푸스는 니더외스터라이히 농민 연합에서 일하며 농민들을 전쟁과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조직하는 데 힘썼다.[26] 이러한 능력을 인정받아 베를린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고, 독일 농민 연합 연맹 등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1921년, 돌푸스는 개신교 신자인 알비네 글리엔케와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26]

3. 정치 활동 시작

1930년 9월 30일, 기독사회당 동료 카를 파우고인이 수상이 되자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총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파우고인 내각은 12월 의회 선거에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의석을 늘린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다.[19]

1931년 3월, 오토 엔더 내각에서 농림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엔더 내각은 6월에 사퇴했지만, 돌푸스는 카를 부레쉬 후임 내각에서도 농림 장관직을 유지했다. 당시 오스트리아 국내에서는 독일 나치당의 영향을 받은 파시즘 세력이 확대되고 있었고, 의회에서는 사회민주당과의 대립으로 정세가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1932년 5월 20일, 부레쉬 내각은 총사퇴했고, 돌푸스는 5월 10일 대통령 빌헬름 미클라스로부터 수상 임명 내락을 받은 후, 5월 20일 기독교사회당, 호국단, 농업당 연립 정권을 발족시켰다.[24]

부레쉬 내각 (뒷줄 왼쪽이 돌푸스)

3. 1. 농업 분야 경력

빈으로 돌아와 니더외스터라이히 농민 연합 비서로 일하며 농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1922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농무성에서 근무하며 농민 협회 총재를 맡았다.[19] 1927년에는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농업의회 의장이 되었다.[19] 돌푸스는 기독교사회당 지도자 카를 폰 포겔상에게 영향을 받아 입당하여 농업 조합 설립 및 실업 농민을 위한 급여금 창설을 위해 활동했다.[19]

3. 2. 기독사회당 입당

1922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농무성에서 근무하며 농민 협회 총재를 맡았다. 1927년에는 니더외스터라이히주의 농업의회 의장이 되었다. 돌푸스는 기독사회당 지도자 Karl von Vogelsang|카를 폰 포겔상de에 영향을 받아 입당하여 농업 조합 설립 및 실업한 농민을 위한 급여금 창설을 위해 활동했다. 1930년 9월 30일, 같은 당 소속 Carl Vaugoin|카를 파우고인de이 수상이 되자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총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파우고인 내각은 12월 의회 선거에서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이 의석을 늘린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다.[24]

1931년 3월, 오토 엔더 내각에서 농림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6월에 엔더 내각이 사퇴했지만, 돌푸스는 후임 Karl Buresch|카를 부레쉬de 내각에서도 농림 장관직을 유지했다. 당시 오스트리아 국내에서는 독일 나치당의 영향을 받은 파시즘 세력이 확대되고 있었고, 의회에서는 사회민주당과의 대립으로 정세가 불안정한 상황이었다.[24]

4. 오스트리아 총리

1922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농무성에서 근무하며 농민 협회 총재를 맡았던 돌푸스는, 1927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농업의회 의장이 되었다. 기독교사회당에 입당하여 농업 조합 설립과 실업 농민 지원에 힘썼다. 1930년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총재로 임명되었으나, 내각이 총사퇴하면서 물러났다.

1931년 오토 엔더 내각에서 농림 장관으로 입각했고, 이후 카를 부레쉬 내각에서도 농림 장관직을 유지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나치당의 영향을 받은 파시즘 세력이 확대되고, 의회에서는 사회민주당과의 대립이 심화되어 정세가 불안했다.

1932년 5월, 부레쉬 내각이 총사퇴하자 돌푸스는 대통령 빌헬름 미클라스로부터 수상 임명 내락을 받고, 기독교사회당, 호국단, 농업당의 연립 정권을 발족시켰다.

총리 취임 이후, 돌푸스는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난에 직면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 주요 공업 지대가 생제르맹 조약으로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할양되어 오스트리아 경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의회에서 돌푸스는 근소한 차이로 다수파를 확보하지 못했고, 디플레이션 정책은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사회민주당과의 대립은 더욱 깊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1933년 3월, 국민의회 의장 카를 레너와 부의장들이 사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돌푸스는 이를 "의회가 책무를 포기했다"는 명분으로 삼아 미클라스에게 의회의 무기한 휴회를 건의하고, 경찰을 동원하여 의회를 폐쇄했다. 이로써 돌푸스는 비상 령을 통해 강권적인 통치를 시작했다(오스트로파시즘).

돌푸스가 강경 통치에 나선 배경에는 독일에서 나치당의 아돌프 히틀러가 수상으로 취임하면서 오스트리아 나치가 세력을 확대하여 오스트리아의 존립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력 확대도 위협 중 하나였다. 돌푸스는 1933년 5월 오스트리아 공산당을, 6월에는 오스트리아 나치를 비합법화하고 활동을 금지했다. 최종적으로는 기독교 사회당 외의 모든 정당을 해산시키고, 이탈리아 왕국베니토 무솔리니를 모델로 한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타임지 표지에 실린 돌푸스(1933년)


1933년 9월, 돌푸스는 정권 지원 단체인 조국 전선을 조직하고, 기독교 사회당과 호국단을 통합했다.

1934년 2월, 돌푸스는 공화국 방위 동맹으로부터 무기를 받았다는 이유로 사회민주당원을 검거하기 시작했고, 이에 반발한 사회민주당은 봉기했다. 봉기는 빈과 린츠 등 여러 도시에서 일어났지만, 경찰과 호국단에 의해 진압되었다. 봉기 진압 후 사회민주당은 활동이 금지되었고, 간부들은 체포되거나 국외로 탈출했다(2월 내란).[31]

1934년 4월, 돌푸스는 신헌법을 공포하고 5월에 시행했다. 새 헌법은 정부에 대한 보조 기관으로 '직업 공동체'라 불리는 7개의 직능 대표로 구성된 평의회를 두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일종의 조합주의).[32] 이로써 정부는 사실상 입법권과 행정권을 모두 장악했고, 가톨릭과 중세 독일 전통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체제를 구축했다. 국명도 오스트리아 연방국으로 개칭되었다.

4. 1. 총리 취임

1932년 5월 20일,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기독사회당, 란트분트(우익 농본주의 정당), 하임아트블록(준군사조직이자 극우 민족주의 단체인 ''자위단''의 의회 조직)의 연립정부 수반으로 취임하여 총리가 되었다.[3] 당시 오스트리아는 대공황의 여파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 이후 보헤미아모라바의 공업 지역을 상실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 지역은 베르사유 조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되었다.[3]

돌푸스의 연립정부는 대공황의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시급한 과제를 안고 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산업의 많은 부분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생제르맹 조약의 결과로 체코슬로바키아유고슬라비아 왕국에 속하게 된 지역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전후 오스트리아는 경제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3]

돌푸스는 오스트리아 연방 의회에서 가까스로 1표 차이로 과반수를 확보할 정도로 미미한 지지를 받았으며[4], 디플레이션 정책은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사회민주당과의 대립은 깊어졌다.

4. 2. 의회 해산과 권위주의 통치

1933년 3월, 오스트리아 의회에서 투표 과정의 위법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하원 의장이 의원으로서 투표하기 위해 사임하고, 다른 정당 소속의 두 부의장도 같은 이유로 사퇴하면서 의회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었다.

돌푸스는 이 상황을 이용하여 세 의원의 사임을 모두 수리하고, 하원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빌헬름 미클라스 대통령에게 의회의 무기한 휴정을 요청했고, 얼마 후 하원 의원들의 재소집 요구에도 불구하고 경찰을 동원하여 의회 문을 봉쇄했다.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의 민주주의는 크게 훼손되었다.

한편, 돌푸스는 히틀러와 나치 세력, 그리고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당과 공산당을 금지하고, 기독사회당을 중심으로 한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33년 9월, 돌푸스는 자신의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조국 전선을 결성하고, 기독교 사회당과 호국단을 통합했다.

4. 3. 오스트로파시즘

1933년 오스트리아 의회에서 투표 과정 문제로 의장단이 모두 사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돌푸스는 이를 기회로 의회를 무력화시키고 강권 통치를 시작했다. 그는 히틀러와 나치의 위협, 그리고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며 오스트리아 나치와 오스트리아 공산당을 금지하고, 기독교사회당 외 모든 정당을 해산시켰다. 이탈리아베니토 무솔리니를 모델로 한 독재 체제를 구축하였는데, 무솔리니는 가톨릭 보수주의에 기반한 동맹국으로서 돌푸스를 지지하며, 오스트리아를 독일과의 완충 지대로 활용하고자 했다.[3]

1934년 2월 내전 이후 사회민주당을 탄압하고, 1934년 4월 30일에는 신헌법을 공포하여 5월 1일에 시행하였다. 이 헌법은 이탈리아 파시즘과 포르투갈의 이스타두 노부를 참고하여 가톨릭과 중세 독일적 전통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체제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의회는 '직업 공동체'라 불리는 7개의 직능 대표로 구성된 평의회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정부의 보조 기관 역할을 수행했다. 이로써 정부는 입법권과 행정권을 모두 장악하게 되었다.[32] 이러한 체제를 오스트로파시즘이라고 부른다.

1933년 9월, 돌푸스는 정권 지원 조직인 조국 전선을 결성하여 기독교사회당과 호국단을 통합하였다.

5. 오스트리아 내전과 새로운 헌법

세계 대공황으로 오스트리아의 경제가 어려워진 가운데, 1933년 3월 카를 레너 국민의회 의장과 부의장들이 사임하자, 돌푸스는 의회를 해산하고 비상 령을 통해 강권 통치를 시작했다(오스트로파시즘).[27]

돌푸스는 나치당의 아돌프 히틀러가 독일에서 집권하면서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Österreichs_– Hitlerbewegung|오스트리아 국가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히틀러 운동|오스트리아 나치de가 세력을 확장하는 것에 위협을 느꼈다.[28][29][30] 또한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력 확대도 경계하여 1933년 5월 26일 오스트리아 공산당을, 6월 19일에는 오스트리아 나치를 불법화했다. 최종적으로는 기독교 사회당 외의 모든 정당을 해산시키고 이탈리아 왕국베니토 무솔리니를 모델로 한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무솔리니는 돌푸스를 지지하며 오스트리아를 독일과의 완충 지대로 여겼다. 돌푸스는 무솔리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히틀러와 이오시프 스탈린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국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확대를 막고자 했다.

1933년 9월, 돌푸스는 조국 전선을 조직하여 기독교 사회당과 호국단을 통합했다. 10월에는 국가 사회주의 사상을 이유로 군에서 추방된 루돌프 델틸이 돌푸스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5. 1. 오스트리아 내전 (1934년 2월)

1934년 2월 12일, 돌푸스는 Republikanischer Schutzbund|공화국 방위 동맹de에서 무기를 받았다는 이유로 사회민주당원들을 검거하기 시작했고, 이에 반발한 사회민주당은 돌푸스 정권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봉기는 빈과 린츠를 시작으로 그라츠, 브루크 안 데어 무어, 유덴부르크, 비너 노이슈타트, 슈타이어 외에 동부, 북부, 중앙부 각 도시에서 일어났지만, 2월 16일에는 모두 경찰과 호국단에 의해 진압되었다. 봉기 진압 후 사회민주당은 활동이 금지되었고, 간부 대부분은 체포되거나 국외로 탈출했다(2월 내란)[31]

5. 2. 1934년 5월 헌법

1934년 4월 30일, 돌푸스는 새 헌법을 공포하고 5월 1일에 시행했다. 이 헌법은 "직업 공동체"라고 불리는 7개의 직능 대표로 구성된 평의회 조직이 의회를 대신하여 정부의 보조 기관으로 기능하도록 했다(일종의 조합주의).[32] 이를 통해 정부는 사실상 입법권과 행정권을 모두 장악했으며, 이탈리아의 파시즘이나 포르투갈의 에스타두 노부를 참고하면서도 가톨릭과 중세 독일적인 전통에 기반한 새로운 국가 체제를 구축했다. 이 헌법으로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은 종식되었고, 국명은 오스트리아 연방국(Ständestaat)으로 바뀌었다.

6. 암살

1934년 7월 25일, Otto Planettade, Paul Hudlde 등 오스트리아 나치 제89 연대 당원 10명이 수상 관저로 난입하여 돌푸스를 사살하고 쿠데타를 시도했다(Juliputschde}).[33][34][35] 이 사건은 오스트리아 각지에서 폭동을 일으켰고, 케른텐 주에서는 나치파가 권력을 잡으려 했으나 진압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사건 당시 베네치아에서 휴가 중이던 호국단 지도자 에른스트 슈탈렘베르크를 질책했고, 슈탈렘베르크는 비행기로 빈으로 돌아와 수상 대행으로 취임하여 체포된 후들과 면회했다.[36]

돌푸스의 처자는 라켈레 구이디의 초대로 리치오네에 체류하고 있었기 때문에 화를 면했다. 무솔리니는 돌푸스의 처자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맹우의 죽음을 애도했다고 한다.[40][41]

6. 1. 7월 쿠데타

1934년 7월 25일, Otto Planettade, Paul Hudlde 등 오스트리아 나치 제89 연대 당원 10명이 수상 관저에 난입하여 돌푸스를 사살하고 쿠데타를 시도했다(Juliputschde).[33][34][35] 이 사건은 돌푸스 암살에 그치지 않고 오스트리아 각지에서 폭동을 일으켰다. 케른텐 주에서는 나치 세력이 권력을 잡으려 했으나 반대파에 의해 진압되었다.

돌푸스와 부인의 묘


히틀러는 돌푸스 암살 소식에 기뻐했지만, 무솔리니의 격렬한 반응에 당황했다. 무솔리니는 오스트리아 침공을 획책하던 히틀러를 견제하기 위해 4개 사단을 오스트리아 국경 지대에 배치하고,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보장하겠다고 선언했다. 히틀러는 이에 굴복하여 돌푸스의 죽음을 애도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사건 개입을 부인했다. 또한 프란츠 폰 파펜을 빈 공사로 임명하여 관계 개선을 시도했고, 오스트리아 나치 당원의 독일 입국을 금지했다.

쿠데타 가담자들은 나치파 전 문부대신 Anton Rintelende의 석방을 요구하며 다이너마이트를 들고 저항했지만, 오스트리아군에 투항하여 사형당했다.[37] 사건 이후, 교육부 장관 쿠르트 슈슈니크가 돌푸스의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다. 범인 중 후들은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안슐루스 직전인 1938년 2월 12일 히틀러와 슈슈니크의 회담을 통해 사면되어 풀려났고, 이후 친위대 소좌가 되었다.

돌푸스의 장례식은 빈에서 성대하게 치러졌으며, 오스트리아 전체 인구 650만 명 중 약 50만 명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돌푸스의 유해는 Hietzingde에 안장되었다.[38][39]

6. 2. 무솔리니의 반응과 히틀러의 입장 변화

무솔리니는 엥겔베르트 돌푸스 암살 소식을 듣고 크게 분노했다. 그는 즉시 4개 사단을 오스트리아 국경에 배치하여 히틀러에게 경고하는 동시에, 오스트리아의 독립을 보장하겠다고 선언했다.[36] 무솔리니는 볼차노에 있던 독일 음유시인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의 동상을 로마 제국 장군 대 드루수스의 동상으로 교체하는 등 반(反)독일 감정을 드러냈다.

히틀러는 무솔리니의 강경한 태도에 당황하여 돌푸스 암살 사건에 대한 개입을 부인하고 애도를 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37] 또한, 오스트리아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 부총리 프란츠 폰 파펜을 빈 공사로 임명하여 파견하고, 오스트리아 나치 당원의 독일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다.

6. 3. 슈슈니크의 총리직 승계

1934년 7월 25일, 엥겔베르트 돌푸스는 오스트리아 나치 당원 8명에게 살해당했다.[33][34][35] 이 사건으로 오스트리아 각지에서 폭동이 발생했고, 케른텐 주에서는 나치파가 권력을 잡으려 했으나 진압되었다. 돌푸스 암살 사건 이후, 교육부 장관이었던 쿠르트 슈슈니크가 돌푸스의 뒤를 이어 오스트리아의 총리가 되었다.[37]

7. 인물

Engelbert Dollfuß|엥겔베르트 돌푸스de는 키가 150cm로, 당시 오스트리아인으로서는 작은 편이었다. 그는 작은 키 때문에 농담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런 농담들을 모아 재미있어했다.[42]

참조

[1] 서적 Dollfuss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Hutchinson 1935
[2]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hristian Politic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3] 간행물 Austria : Eve of Renewal http://www.time.com/[...] 1933-09-25
[4] 서적 Österreich I (Die unterschätzte Republik) Verlag Kremayr und Scheriau
[5] 웹사이트 4 March 1933 – The beginning of the end of parliamentarian democracy in Austria https://www.wien.gv.[...] Stadt Wien 2017-05-09
[6]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7] 웹사이트 DöW – Documentation Center of Austrian Resistance http://en.doew.brain[...] 2015-07-05
[8] 뉴스 J L Moser – Former Pupils Honor2 https://www.newspape[...] 2023-11-15
[9] 웹사이트 Die tiefen Wunden des Bürgerkriegs https://www.kleineze[...] 2023-12-06
[10] 웹사이트 Die Februarkämpfe 1934 und wie es zu ihnen kam (4) https://www.protestw[...] 2023-12-06
[11] 웹사이트 Februarkämpfe 1934 https://www.doew.at/[...] 2023-12-06
[12] 서적 L'Autriche 1918–1938 : recueil de textes civilisationnels https://books.google[...] Presses universitaires de Rouen et du Havre 2022-09-29
[13] 서적 Protokolle des Ministerrates der Ersten Republik, Volume 8, Part 6 https://books.google[...]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Staatsdruckerei 2018-03-04
[14] 서적 Civil War in Europe, 1905–1949 2011
[15] 서적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Dramatic Discourse in Tom Murphy's The Patriot Game and Felix Mitterer's In Der Löwengrub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24-02-29
[16] 웹사이트 http://erfurt-web.de[...]
[17] 웹사이트 Pics of Planetta and Holzweber (1934 coup) http://forum.axishis[...] 2015-07-05
[18] 웹사이트 14 Aug 1934, p. 6 –The Gazette and Daily at Newspapers.com https://www.newspape[...]
[19] 간행물 Austria: Death for Freedom http://www.time.com/[...] 2010-05-02
[20] 서적 Mussolini and the British 1997
[21] 문서 de:Walther-Denkmal (Bozen)
[22] 웹사이트 Vienna Tourist Guide: Dollfuss Hietzinger Friedhof http://www.viennatou[...] Hedwig Abraham 2010-02-06
[23] 웹사이트 Rudolf Dollfuß – Traueranzeige und Parte † 05.11.2011 – ASPETOS http://www.aspetos.a[...] 2013-01-22
[24] 뉴스 Review/Theater; Brecht's Cauliflower King In Another Resistible Rise https://www.nytimes.[...] 2014-09-24
[25] 문서 Engelbert Dollfuß - Arbeitermörder oder Heldenkanzler Vienna 2004
[26] 웹사이트 "Wer war Engelbert Dollfuß?“ http://www.artikel32[...] 2012-04-19
[27] 서적 Österreich I (Die unterschätzte Republik) Verlag Kremayr und Scheriau
[28]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29] 뉴스 AUSTRIA: Eve of Renewal http://www.time.com/[...] 1933-09-25
[30] 뉴스 AUSTRIA: Eve of Renewal http://www.time.com/[...] 1933-09-25
[31] 서적 Protokolle des Ministerrates der Ersten Republik, Volume 8, Part 6 https://books.google[...] 2010-02-06
[32] 서적 Civil War in Europe, 1905-1949 2011
[33] 웹사이트 http://erfurt-web.de[...]
[34] 웹사이트 Pics of Planetta and Holzweber (1934 coup) - Axis History Forum http://forum.axishis[...]
[35] 뉴스 AUSTRIA: Death for Freedom http://www.time.com/[...] 1934-08-06
[36] 서적 Mussolini and the British 1997
[37] 뉴스 AUSTRIA: Death for Freedom http://www.time.com/[...] Time 1934-08-06
[38] 뉴스 Austria: Death for Freedom http://www.time.com/[...] Time 1934-08-06
[39] 웹사이트 Vienna Tourist Guide: Dollfuss Hietzinger Friedhof http://www.viennatou[...] Hedwig Abraham 2010-02-06
[40] 뉴스 AUSTRIA: Eve of Renewal http://www.time.com/[...] Time 1933-09-25
[41] 웹사이트 Rudolf Dollfuß - Traueranzeige und Parte † 05.11.2011 - ASPETOS http://www.aspetos.a[...] 2013-01-22
[42]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裁判 上 白水社 2023-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