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슈타인 독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슈타인 독트린은 서독이 동독을 승인하는 국가와 외교 관계를 단절하겠다는 외교 정책이었다. 이 정책은 1955년 발터 할슈타인 외무부 국무장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서독이 전체 독일을 대표한다는 배타적 위임을 주장하며, 동독을 고립시키고 서독의 국제적 지위를 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1957년 유고슬라비아, 1963년 쿠바와의 외교 관계 단절에 적용되었으나, 1960년대 이후 데탕트 흐름과 동독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로 인해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1969년 빌리 브란트 정부의 동방 정책 추진으로 사실상 폐기되었으며, 이후 동서독 기본 조약을 통해 상호 주권 국가임을 인정하고 외교 노선을 통한 통일을 추구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 독트린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외교 독트린 - 트루먼 독트린
트루먼 독트린은 1947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외교 정책으로,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그리스와 터키를 지원하며 미국의 고립주의에서 벗어나 세계 정치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 냉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냉전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 할슈타인 독트린 | |
|---|---|
| 기본 정보 | |
![]() | |
| 일반 정보 | |
| 유형 | 외교 정책 독트린 |
| 시행 국가 | 서독 |
| 존속 기간 | 1955년 - 1970년 |
| 관련 국가 | 동독 |
| 목표 | |
| 주요 목표 | 동독의 국제적 고립 동독의 국가로서의 승인 방지 |
| 배경 | |
| 주요 원인 | 독일 분단과 냉전 |
| 발안자 | 발터 할슈타인 |
| 상세 내용 | |
| 내용 | 서독은 동독을 국가로 승인하거나 동독과 외교 관계를 맺는 국가와 외교 관계를 단절함. |
| 예외 | 소련 (전승국) 서방 국가 (미국, 영국, 프랑스) 중립국 (유고슬라비아) |
| 결과 및 영향 | |
| 영향 | 동독의 국제적 고립 심화 (초기) 동독의 국제적 승인 확대 (후기) 서독의 외교적 부담 증가 |
| 종식 | 빌리 브란트의 동방 정책 추진으로 폐기 (1970년)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발터 할슈타인 콘라트 아데나워 빌리 브란트 |
| 기타 | |
| 관련 사건 | 동방 정책 |
2. 역사적 배경
1949년 독일 기본법은 독일 재통일을 목표이자 요구 사항으로 명시했으며, 전체 독일 국민의 이름으로 선포되었다. 1954년 3월 23일, 소련은 독일 민주 공화국(DDR)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동독에 어느 정도 국가로서의 정당성을 부여했다.
1955년 5월 5일 파리 협정 비준과 일반 조약 발효로 서독은 주권을 회복했다. 서독 정부는 여러 선언에서 전체 독일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했으며, 1951년 9월 18일 뉴욕 선언에서 연합국은 서독 정부를 자유롭고 합법적인 유일한 독일 정부로 간주하고 국제 문제에서 독일 국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서독은 동구권의 동독을 인정하지 않았고, 동독 및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
2. 1. 독일의 분단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영토는 소련 또는 폴란드의 행정 하에 놓였고, ''사실상'' 병합되었다. 그 서쪽의 나머지 영토는 연합국에 의해 통제되는 4개의 점령 구역으로 분할되었으며, 옛 수도 베를린 역시 4개 구역으로 분할되었다.프랑스 공화국, 영국, 미국이 통제하는 서부 구역은 1949년 5월에 통합되어 ''독일 연방 공화국''(Bundesrepublik Deutschland)을 형성했고, 1949년 10월에는 소련 점령 구역이 ''독일 민주 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 또는 DDR)이 되었다.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서독"과 "동독"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54년 이전까지 연합국은 여전히 전체 독일에 대한 책임을 공식적으로 유지했으며 동독도 서독도 주권을 회복하지 못했다.
1949년에 발효된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은 서독과 동독을 포함한 전체 독일을 위한 헌법으로 작성되었다.[1] 이 법은 독일 재통일을 목표이자 요구 사항으로 명시했으며, 전체 독일 국민의 이름으로 선포되었다.
2. 2. 동독에 대한 소련의 승인
1954년 3월 23일, 소련은 동독과 외교 관계를 수립한다고 선언했다. 이는 동독이 별개의 국가로서 어느 정도 정당성을 부여받는 것으로 여겨졌다. 본에 있던 서독 정부는 이를 거부하며, 독일 "Reich"의 정당한 계승자는 독일 연방 공화국이라고 주장했다.2. 3. 독일의 주권
1955년 5월 5일 파리 협정 비준 이후, 일반 조약이 발효되면서 서독은 주권을 대폭 회복했다.2. 4. 배타적 위임
서독 정부는 전체 독일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여러 선언에서 반복되었다. 1951년 9월 18일 뉴욕 선언에서, 연합국은 "독일 연방 공화국 정부를 자유롭고 합법적으로 구성된 유일한 독일 정부로 간주하며, 따라서 국제 문제에서 독일 국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다"고 선언했다.독일 연방 공화국은 동독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동독이나 다른 공산주의 국가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지 않았다. 이 원칙은 서독이 "독일 지역에서 유일하게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 국민을 대표하는 정통성을 가진 국가"로 위치를 정하고, "소련 이외에 동독을 국가 승인한 국가와는 외교 관계를 단절한다"고 하여, 동독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57년 동독과 국교를 맺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처음으로 이 원칙이 적용되었고, 유고슬라비아와 서독은 단교 상태에 돌입했다. 또한, 쿠바 혁명으로 동구권에 들어선 쿠바에 대해서도, 동독과의 국교 수립에 항의하는 형태로 1963년 서독은 쿠바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서 동독이 제3세계의 새롭게 독립한 여러 국가들과 국교를 맺은 것과 데탕트의 흐름이 강해짐에 따라, 이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서독 외교에 불이익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졌다.
1969년 5월 30일 구스타프 하이네만 대통령의 성명을 통해 할슈타인 원칙은 사실상 폐기되었고, 같은 해 서독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이 해에 총리로 취임한 빌리 브란트는 같은 해 10월 28일 두 개의 독일의 존재를 인정하는 발언을 했고, 할슈타인 원칙을 완전히 부정했다.
이후 서독과 동독은 동서독 기본 조약에서 서로가 주권 국가임을 인정하고, 외교 노선을 통한 통일을 목표로 하게 된다.
3. 할슈타인 독트린의 기원
1955년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소련과 서독 간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면서 할슈타인 독트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는 서독에게는 유리했지만, 소련이 동독과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독의 '독점 위임' 정책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였다. 따라서 서독은 다른 국가가 동독과 외교 관계를 맺는 것을 비우호적인 행위로 간주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정책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
발터 할슈타인과 빌헬름 그레베는 아데나워 총리의 모스크바 방문 대표단 일원이었다.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은 모스크바에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결정되었지만,[2] 독일 외무부는 이미 정책의 일부를 구상하고 실행하고 있었다. 1955년 12월 8일, 주요 독일 대사관 수장들과 외무부 지도부 회의에서 동독 불인정 정책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고, 외무부 장관 브렌타노, 할슈타인, 그레베의 연설문은 전 세계 대사관에 배포되었다.
할슈타인과 그레베는 정책의 유연성을 강조했지만, 브렌타노 외무장관은 동독을 승인하는 모든 국가와 즉시 외교 관계를 단절할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3. 1. 저자와 명칭
할슈타인 독트린은 독일 외무부의 국무장관 (최고위 공무원)이었던 발터 할슈타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실제로는 독일 외무부 정치부장이었던 빌헬름 그레베에 의해 주로 구상되고 실행되었다.
할슈타인 독트린이 탄생(또는 명명)될 당시, 하인리히 폰 브렌타노가 외무부 장관을 맡고 있었는데, 이 직책은 1955년 서독이 주권을 되찾은 후 새로 만들어졌다. 그 이전에는 외교 정책에 대한 정치적 책임은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맡고 있었다. 브렌타노는 이 정책 또는 그 변형을 브렌타노 독트린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후 1958년에 언론인들은 이 정책을 '할슈타인-그레베 독트린'이라고 불렀고, 나중에는 '할슈타인 독트린'으로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 그레베는 자신이 이 정책의 대략적인 윤곽을 구상했지만, 이는 여러 옵션 중 하나였으며, 결정은 외무부 장관 브렌타노와 아데나워 총리에 의해 내려졌다고 썼다. 어쨌든 할슈타인 독트린이라는 명칭은 다소 잘못된 것일 수 있다.

4. 할슈타인 독트린의 내용과 근거
1955년 콘라트 아데나워는 모스크바를 방문하여 소련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는 데 합의했다. 이는 서독의 이익에 부합했지만, 소련이 동독과도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서독은 다른 국가가 두 개의 독일 "국가"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독점 위임 정책을 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발터 할슈타인과 빌헬름 그레베는 아데나워의 모스크바 방문에 동행하여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을 구상했다. 이들은 모스크바에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정책의 핵심 요소를 결정했으며,[2] 외무부는 이미 정책의 일부를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었다. 할슈타인은 소련이 동독을 승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과의 외교 관계 수립은 소련이 점령국으로서 갖는 특권적인 지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데나워는 1955년 9월 16일 기자 회견과 9월 22일 국회 정부 성명을 통해 이 정책을 발표하며, 다른 국가들이 동독과 외교 관계를 맺는 것은 비우호적인 행위로 간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955년 12월 8일에는 외무부 장관 브렌타노, 할슈타인, 그레베가 주요 독일 대사관 수장들과 회의를 열어 동독 불인정 정책을 논의하고, 관련 연설문을 전 세계 대사관에 배포했다.
이 원칙은 서독이 독일 지역에서 유일하게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 국민을 대표하는 정통성을 가진 국가로 규정하고, 소련 이외에 동독을 국가 승인한 국가와는 외교 관계를 단절하여 동독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1957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동독과 국교를 맺자 서독은 이 원칙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유고슬라비아와 단교했다. 1963년에는 쿠바 혁명으로 동구권에 들어선 쿠바가 동독과 국교를 수립하자, 서독은 쿠바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 동독이 제3세계의 신생 독립국들과 국교를 맺고 데탕트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이 원칙은 서독 외교에 불리하게 작용하기 시작했다.
1969년 5월 30일, 구스타프 하이네만 대통령의 성명을 통해 할슈타인 원칙은 사실상 폐기되었고, 같은 해 서독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그해 총리로 취임한 빌리 브란트는 10월 28일 두 개의 독일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여 할슈타인 원칙을 완전히 부정했다.
이후 서독과 동독은 동서독 기본 조약을 통해 서로를 주권 국가로 인정하고, 외교를 통해 통일을 추구하게 되었다.
4. 1. 법적 근거
서독은 독일 재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동독 인정을 피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방 연합국들은 1955년 일반 조약을 포함한 여러 협정에서 서독만을 인정하기로 합의했다.1950년 9월 18일 뉴욕 선언에서 서방 점령국(프랑스, 영국, 미국)은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
"독일 연방 공화국 정부를 자유롭고 합법적으로 구성된 유일한 독일 정부로 간주하며, 따라서 국제 문제에서 독일 국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다."
동시에 발표된 미공개 "해석 각서"는 이 공식이 연방 공화국 정부를 모든 독일의 ''사실상'' 정부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명시했다.
이 정책의 법적 근거는 독일의 재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동독의 인정을 피하거나 방지하여 독일 분단을 막아야 할 의무(헌법 및 일반 조약에 근거)가 있다는 것이었다.
4. 2. 정치적 근거
동독 인정은 독일 분단을 영구화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동독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현상 유지를 거부하고, 공산주의 정권을 거부하는 동독 주민에게 도덕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동독 불인정은 동독과 소련의 국제적 위상을 약화시키고 서독의 위상을 높이는 반면, 동독을 인정하는 것은 상대방이 정치적 자살을 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기 때문에 재통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 동독의 반응
동독은 처음에는 서독과의 재통일을 추진했지만, 자유 선거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1955년부터는 '두 개의 국가' 해결책을 선호하며 서독의 주장에 반대했다. 동독은 다른 국가에 대표부를 개설할 때마다, 해당 국가가 동독에도 유사한 대표부를 개설하도록 설득하려 했다.
6. 할슈타인 독트린의 적용과 문제점
할슈타인 독트린은 서독이 스스로를 "독일 지역에서 유일하게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 국민을 대표하는 정통성을 가진 국가"로 규정하고, 소련을 제외하고 동독을 승인한 국가와는 외교 관계를 단절한다는 원칙이었다. 이는 동독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1960년대에 들어 동독이 제3세계의 새롭게 독립한 여러 국가들과 국교를 맺고 데탕트 흐름이 강해지면서, 이 원칙을 고수하는 것은 서독 외교에 불이익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졌다.
1969년 5월 30일 구스타프 하이네만 대통령의 성명을 통해 할슈타인 원칙은 사실상 폐기되었고, 같은 해 서독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같은 해 빌리 브란트 총리는 10월 28일 두 개의 독일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여 할슈타인 원칙을 완전히 부정했다. 이후 서독과 동독은 동서독 기본 조약에서 서로 주권 국가임을 인정하고, 외교 노선을 통한 통일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6. 1. 적용 사례
1957년 유고슬라비아가 동독과 외교 관계를 맺자, 서독은 할슈타인 독트린을 적용하여 유고슬라비아와 단교하였다. 1963년 쿠바 혁명 이후 쿠바가 동독과 수교하자, 서독은 쿠바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하지만 1960년대 데탕트 분위기와 함께 동독이 제3세계 국가들과 외교 관계를 맺으면서, 할슈타인 독트린은 서독의 외교적 고립을 야기했다. 1969년 빌리 브란트 총리는 '두 개의 독일 국가'가 존재함을 인정하며 할슈타인 독트린을 사실상 폐기했다.
6. 2. 문제점
할슈타인 독트린은 동독을 고립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동시에 서독의 외교 활동에도 제약을 가했다. 1960년대에는 이 원칙을 유지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졌는데, 특히 제3세계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그러했다. 동독이 6일 전쟁에서 아랍 국가들을 지원하면서, 많은 아랍 국가들이 서독과의 관계를 단절했지만, 자동적으로 동독을 승인하지는 않았다. 1969년 캄보디아가 동독을 승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독은 외교 관계 단절을 실행하지 않아 독트린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7. 할슈타인 독트린의 폐기
1969년 빌리 브란트 총리는 동방 정책을 통해 동독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다. 이는 할슈타인 독트린을 사실상 폐기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브란트 총리의 ''새로운 동방 정책''은 동독 주민들의 상황을 개선하고 동서독 간 방문을 지원하기 위해 동독 정부와 협상하는 정책이었다. 서독은 동독을 서독 내에 있지 않은 독일의 일부 지역의 국가 조직으로 ''사실상'' 인정했으며, 양국 관계가 특별한 종류임을 강조했다.
1971년 베를린 4자 협정과 1972년 동서독 기본 조약 체결로 양국은 서로를 사실상 인정하게 되었다. 이 조약들을 통해 서독과 동독은 서로가 주권 국가임을 인정하고, 외교를 통한 통일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원래 할슈타인 독트린은 서독이 "독일 지역에서 유일하게 민주적으로 선출되었으며, 독일 국민을 대표하는 정통성을 가진 국가"이며, "소련 이외에 동독을 국가 승인한 국가와는 외교 관계를 단절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는 동독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
1957년, 동독과 국교를 맺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처음으로 이 원칙이 적용되어 양국은 단교 상태에 들어갔다. 쿠바 혁명 이후 동구권에 들어선 쿠바에 대해서도, 서독은 1963년 쿠바와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그러나 1960년대 동독이 제3세계의 여러 신생 독립국과 국교를 맺고 데탕트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이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서독 외교에 불이익을 주는 경우가 많아졌다.
1969년 5월 30일, 구스타프 하이네만 대통령의 성명을 통해 할슈타인 원칙은 사실상 폐기되었고, 같은 해 서독은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국교를 수립했다. 그해 총리로 취임한 빌리 브란트는 10월 28일 두 개의 독일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며 할슈타인 원칙을 완전히 부정했다.
8. 유사 사례
외교에서 다른 국가를 승인하지 않고, 제3국이 이를 따르지 않도록 하는 것은 흔한 전술이다.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미국은 이들과 외교적 접촉을 거부했다. 배타적 위임 정책(하나의 중국)은 현재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대만)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 상황도 다소 유사했다.
8. 1. 대한민국
이승만 정부는 할슈타인 독트린을 원용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외교 관계를 맺는 국가와는 국교를 수립하지 않았다. 1973년 6월 23일 박정희 대통령의 "6.23 평화 선언"으로 이 원칙은 파기되었고, 세계 각국에서 남북 등거리 외교는 일반화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6.23 평화 선언'이 남북 화해와 협력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한다.8. 2.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통해 중화민국(대만)을 승인하는 국가와는 외교 관계를 맺지 않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맺으려는 국가에 대해서는 중화민국과의 단교를 요구하고 있다. 이는 배타적 위임 정책의 일종이다.9. 새로운 접근 (할슈타인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시각)
2016년, 토르벤 귈스토르프는 할슈타인 독트린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3] 그에 따르면, 이 독트린이 서독과 동독의 외교 정책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으며, 현실보다는 신화에 가까웠다.[4] 냉전 기간 동안, 독일 외교는 양측 모두에서 국가 경제적 이익과 국제 지정학적 이익이 지배했다.[5][6][7]
참조
[1]
문서
[2]
AV media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FRG and the USSR and the Hallstein Doctrine (1955)
http://www.cvce.eu/v[...]
Centre virtuel de la connaissance sur l'Europe
1987
[3]
doctoralThesis
Trade follows Hallstein? Deutsche Aktivitäten im zentralafrikanischen Raum des 'Second Scramble'.
http://edoc.hu-berli[...]
Humboldt Universität
[4]
학술지
Die Hallstein-Doktrin – Abschied von einem Mythos.
http://www.bpb.de/25[...]
2018
[5]
웹인용
Between Economic Interests and Cold War Motives: German Activities in the Central African Region During the Second Scramble for Africa
http://europe.columb[...]
Cold War History Research Center
2017
[6]
웹사이트
On Both Sides of the Berlin Wall: Africa and the Two Germanies.
http://roape.net/201[...]
2018-08-01
[7]
학술지
Klassenkampf um neue Märkte: Das verkannte ökonomische Primat ostdeutscher Außenpolitik am Beispiel Zentralafrika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