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메르페스트 (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메르페스트는 노르웨이 핀마르크에 위치한 도시로, 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1789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기 전까지 중요한 어업 및 북극 사냥 정착지였으며, 1890년 화재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파괴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노르웨이 최북단 도시 지위를 놓고 호닝스보그와 논쟁 중에 있으며, 멜쾨위아 섬과 연결된 멜쾨위순 터널과 스노휘트 공장 등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함메르페스트의 기후는 아한대 기후에 속하며, 상세 기후 데이터는 연중 기온과 강수량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 오슬로
오슬로는 노르웨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오슬로 피오르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과 노벨 평화상 시상식으로 유명하다. - 노르웨이의 항구 도시 - 베르겐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0년에 건설되어 한자 동맹의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해양 사업, 관광, 교육의 중심지이자 베스트란주의 자치구이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베르겐
베르겐은 노르웨이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070년에 건설되어 한자 동맹의 무역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해양 사업, 관광, 교육의 중심지이자 베스트란주의 자치구이다. - 노르웨이의 도시 - 나르비크
노르웨이 북부의 나르비크는 스웨덴 철광석의 주요 수송 항구이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관광 도시로서 오포텐 철도와 해상 및 도로 교통의 요충지이다.
함메르페스트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함메르페스트 |
토착어 명칭 (노르웨이어) | Hammerfest |
토착어 명칭 (사미어) | Hámmárfeasta |
도시/읍 종류 | 도시/읍 |
별칭 | (정보 없음) |
지리 | |
면적 | 3.02 km2 |
해발 고도 | 2 m |
좌표 | 70° 39′ 48″ N, 23° 40′ 56″ E |
행정 구역 | |
국가 | 노르웨이 |
지역 | 북부 노르웨이 |
주 | 핀마르크 주 |
행정 구역 | 베스트-핀마르크 |
지방 자치체 | 함메르페스트 지방 자치체 |
인구 | |
인구 (2023년) | 7882명 |
인구 밀도 | 2610명/km2 |
거주민 | Hammerfesting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01:00 |
시간대 (DST) | CEST |
UTC 오프셋 (DST) | +02:00 |
우편 번호 | 9600 Hammerfest |
역사 | |
설립 유형 | (정보 없음) |
설립 날짜 | (정보 없음) |
셰핑 (Kjøpstad) | 1789년 |
구 지방 자치체 정보 (Hammerfest kjøpstad) | |
공식 명칭 | 함메르페스트 셰핑 (Hammerfest kjøpstad) |
ID 번호 | 2001 |
주 | 핀마르크 |
행정 구역 | 베스트-핀마르크 |
수도 | 함메르페스트 |
설립 | 1852년 |
이전 | 함메르페스트 시 및 농촌 지역 |
해체 | 1992년 1월 1일 |
계승 | 함메르페스트 지방 자치체 |
언어 | 중립 |
면적 | 2.9 km2 |
2. 역사
함메르페스트는 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될 정도로 오랜 거주 역사를 지닌 곳이다. 1789년 덴마크-노르웨이 국왕에 의해 시장 도시 지위를 부여받으며 중요한 어업 및 북극 교역 중심지로 발전했다.[8] 이후 나폴레옹 전쟁 시기 영국의 공격, 1890년의 대화재,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에 의한 파괴와 소련군의 폭격 등 시련을 겪었으나 재건되었다.
1989년에는 도시 지정 200주년을 기념했으며, 2003년에는 멜쾨위아 섬과 도시를 잇는 멜쾨위순 터널이 완공되었다. 2007년에는 멜쾨위아 섬의 스노휘트(Snøhvit) LNG 공장이 가동을 시작하며 북부 노르웨이 최대의 산업 개발 프로젝트가 이루어졌다.
2. 1. 초기 역사
이 지역에서는 석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무덤이 발견되어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함메르페스트는 1789년 덴마크-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7세 국왕이 내린 왕령에 의해 시장 도시로서의 권한을 부여받기 전까지 오랫동안 중요한 어업 및 북극 사냥의 중심지였다.[8]
함메르페스트 초기 주요 연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사건 |
---|---|
석기 시대 | 다수의 무덤 발견, 오랜 거주 역사 증명 |
1684년 | 최초의 함메르페스트 교회 건설. 당시 인구는 약 60명이었다. |
1764년 | 러시아가 포모르 무역의 일환으로 함메르페스트에 곡물을 실은 선박을 보내기 시작했다. |
1789년 7월 17일 | 덴마크-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7세 왕령에 따라 시장 도시(kjøpstad)로서의 도시 지위를 공식적으로 받았다.[8] |
1792년 | 첫 번째 의사가 함메르페스트에 도착했다. |
1807년–1814년 | 군함 전쟁 기간 동안 영국 해군의 해상 봉쇄로 인해 질병 유행과 식량 부족을 겪었다. |
1809년 | 영국의 브리그 군함 두 척의 공격을 받아 점령되었고, 영국군이 철수하기 전에 도시가 약탈당했다. |
1839년 | 함메르페스트 최초의 소방관이 고용되었다. |
1859년 | 핀마르크 지역 최초의 등대인 푸글레네스 등대가 건설되었다. |
1868년 | 도시 최초의 정수 시설이 건설되었다. |
1870년 | 핀마르크 전체에서 사용되는 전신국이 건설되었다. |
1890년 | 큰 화재가 발생하여 도시의 3분의 2가 파괴되었다. |
1891년 | 도시 재건이 시작되었고, 감리교 예배당이 문을 열었다. 같은 해, 함메르페스트는 노르웨이와 북유럽 전체에서 최초로 전기 가로등을 설치한 도시가 되었다. |
2. 2. 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덴마크-노르웨이는 1807년 영국 해군 함대가 선제 공격을 가한 후 중립을 포기하고 프랑스 제1 제국과 동맹을 맺어 연합에 대항했다. 서부 핀마르크의 주요 상업 및 운송 중심지 중 하나였던 함메르페스트는 영국의 해상 봉쇄 대상이 되었다. 그리하여, 지역 상인들의 요청에 따라, 이 도시는 트론헤임의 정부 무기고로부터 4문의 6파운드포를 받았다. 그 후, 영국 해군의 공격으로부터 함메르페스트를 방어하기 위해 50명 규모의 민병대가 조직되었다. 지역 상인들이 민병대의 장교단을 구성했고, 사미족과 크벤족이 부대원으로서 복무했다.1809년 7월 22일, 영국 군함 HMS ''Snake''와 HMS ''Fancy''가 도시에 접근했다. 함메르페스트에 도착하기 전에, 두 척의 배는 하스비크 마을을 성공적으로 공격했다. 두 개의 포대를 설치한 함메르페스트의 민병대와, 총 32문의 대포를 장착한 ''Snake''와 ''Fancy'' 사이의 전투는 이례적으로 격렬했고, 노르웨이군이 약 90분간의 전투 후에 화약을 다 소진하여 철수하면서 끝났다. ''Snake''와 ''Fancy''는 여러 발의 포격을 받았고 한 명이 사망했는데, 그는 지역 묘지에 묻힌 선원이었다. 전투 동안, 도시의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대피했고, ''Snake''와 ''Fancy''의 선원들은 노르웨이군의 철수 후 8일 동안 함메르페스트에 머물렀다. 선원들은 철수하기 전에 비어있는 도시를 약탈했다.
습격 이후, 함메르페스트는 수비대 주둔 도시가 되었고, 정규군 병력과 대폭 개선되고 확장된 요새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나폴레옹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함메르페스트를 기지 삼아 대포로 무장한 소규모 함대가 운용되었다.

2. 3. 1890년 대화재와 재건
1890년, 함메르페스트는 한 빵집에서 시작된 화재로 인해 도시 주택의 거의 절반이 불타는 큰 피해를 입었다. 이 화재 이후 함메르페스트는 전 세계로부터 많은 기부와 인도적 지원을 받았다. 특히 독일의 빌헬름 2세 황제가 가장 큰 기부자였는데, 그는 개인 요트로 여러 차례 이 도시를 방문하며 작은 북부 정착지인 함메르페스트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보였다.화재 이후 재건 과정에서 함메르페스트는 1891년 북유럽에서 최초로 전기 가로등을 설치한 도시가 되었다.[9] 이는 파리에서 열린 박람회에서 전기 가로등을 본 함메르페스트 상인 두 명이 이 기술을 도입하면서 이루어졌다.[10]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파괴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웨이 전역에서 승리한 나치 독일은 함메르페스트를 요새화하여 주요 기지로 사용했다.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을 통해 소련을 침공한 후 독일에게 함메르페스트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독일 점령군은 함메르페스트와 그 주변에 3개의 해안 포대를 설치했는데, 마을 근처 멜쾨야 섬에 10.5cm 포 4문, 마을 바로 외곽 언덕에 10.5cm 포 3문, 그리고 리페피오르 근처 립클루벤 반도에 벙커로 보호되는 13cm 포를 배치했다.
핀마르크의 주요 독일 유보트 기지는 함메르페스트에 있었으며, 이곳은 소련으로 향하는 연합군 보급 호송선단을 공격하는 잠수함들의 중요한 보급 기지 역할을 했다.[11] 루프트바페 수상기는 인근 리페피오르의 임시 해군 항공 기지에 배치되었다.[12] 함메르페스트 수비대는 약 4,000개의 지뢰와 수많은 대공포로 방어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페차모-키르케네스 작전 이후 긴 퇴각 과정에서 독일군은 집중적인 소비에트 공군의 공습으로 인해 더 이상 병력을 바다를 통해 동쪽으로 수송할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44년 가을 함메르페스트는 핀마르크에서 독일군의 주요 해상 수송 항구가 되었다.[13]
함메르페스트는 소비에트 공군에 의해 두 차례 폭격을 받았다. 첫 번째는 1944년 2월 14일 폭발물과 소이탄 공격이었으나 피해는 미미했다. 1944년 8월 29일 소련 폭격기들의 두 번째 공습은 함메르페스트 시내의 건물과 기반 시설에 훨씬 더 큰 피해를 입혔다. 이 폭격으로 항구에 있던 두 척의 배, 지역 수송선 타나호른과 브리닐렌이 침몰했다.[14][15][16]
1944년 가을, 동부 전선 북단에서 소련군의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가 핀마르크 동부로 진입하자, 노르웨이를 점령한 독일군은 주민들을 강제로 대피시키는 초토화 작전을 벌였다. 1945년 독일군이 후퇴하면서 마을을 포함한 핀마르크 전체를 약탈하고 불태웠으며, 1945년 2월 10일 독일군이 최종적으로 떠날 때까지 마을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1937년에 지어진 마을의 작은 장례 예배당만이 유일하게 남았다.[14] 함메르페스트의 재건 박물관은 이러한 파괴와 이후 지역 재건의 역사를 보여준다. 핀마르크 동부에 주둔했던 소련군은 1945년 9월 철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매설된 지뢰와 남겨진 탄약은 이후에도 계속 발견되어 2008년까지 제거 작업이 이루어졌다.[17]
2. 5. 현대
1838년 1월 1일, formannskapsdistrikt 법에 따라 함메르페스트 마을과 주변 농촌 지역을 포함하는 ''함메르페스트 by og landdistrikt''라는 자치체가 처음 설립되었다. 당시 법은 모든 마을을 농촌 지역과 분리하도록 규정했지만, 함메르페스트는 인구가 적고 유권자 수가 매우 적어 1838년에는 이를 실행하기 어려웠다. 이는 핀마르크의 다른 마을인 바드쇠와 바르되에서도 마찬가지 상황이었다.1839년, 북부 지역(당시 인구 498명)이 분리되어 새로운 모세이 시가 되었다. 이 분리로 인해 ''함메르페스트 by og landdistrikt''에는 2,024명의 주민이 남게 되었다.
1852년 1월 1일, 함메르페스트는 다시 분할되었다. 마을 외곽의 농촌 지역(당시 인구 1,256명)은 새로운 함메르페스트 란디스트리크트로 독립했다. 이로써 기존의 광대한 함메르페스트 자치체는 마을 지역만 남게 되었으며, 당시 마을 인구는 1,125명이었다. (분리된 농촌 지역은 이후 북쪽의 쇠로위순 시와 남쪽의 크발순 시로 다시 나뉘었다.)
1992년 1월 1일, 함메르페스트 마을(당시 인구 6,909명)은 인접한 쇠로위순 시(당시 인구 2,341명)와 합병하여 현재의 더 큰 함메르페스트 시를 형성하게 되었다.[18]
3. 최북단 도시 논쟁
함메르페스트는 스스로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도시라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은 인근 노르웨이 도시인 호닝스보그와의 논쟁 대상이다. 호닝스보그는 1996년에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 어떤 도시가 더 북쪽에 있는지는 '도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노르웨이어에서는 '도시(city)'와 '타운(town)'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by|뷔no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는 영어로 번역될 때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다.
지리적으로 함메르페스트는 호닝스보그보다 남쪽에 위치한다. 하지만 함메르페스트 타운의 인구는 약 8,000명(지방 자치 단체 전체 인구는 11,000명 이상)으로, 1997년 제정된 노르웨이 법에서 도시 지위를 선언하기 위한 최소 인구 기준인 5,000명을 넘는다. 그러나 이 법은 소급 적용되지 않았고, 호닝스보그는 1997년 법 제정 이전에 이미 도시 지위를 인정받았다. 따라서 현재 노르웨이 법상 호닝스보그는 '타운'이며, 노르웨이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타운이 된다.
결과적으로 함메르페스트는 인구 5,000명 이상인 정착지 중에서는 최북단에 위치한 타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두 타운 모두 각자의 근거를 들어 노르웨이 최북단 타운이라고 주장하며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미국 알래스카주의 배로(인구 약 4,000~5,000명)는 함메르페스트와 호닝스보그보다 더 북쪽에 위치하지만, 스스로 최북단 타운이라는 칭호를 주장하지는 않는다. 또한, 세계에는 이들보다 더 북쪽에 위치한 작은 규모의 "최북단 정착지"들이 다수 존재한다.
4. 기후
함메르페스트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 상 툰드라 기후(ET) 바로 위인 아한대 기후(Dfc)에 속한다. 이는 여름철인 7월과 8월의 일 평균 기온이 10°C를 넘기 때문이다.[19]
4. 1. 상세 기후 데이터 (1991년~2020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역대 최고 기온 (°C) | 8°C | 8.1°C | 9.8°C | 12.3°C | 23.9°C | 28.9°C | 29.7°C | 29.3°C | 21.6°C | 18.9°C | 10°C | 9.9°C | 29.7°C |
평균 최고 기온 (°C) | -1.3°C | -1.6°C | -0.2°C | 3°C | 7.3°C | 10.7°C | 15.3°C | 13.9°C | 10.4°C | 5.3°C | 2.4°C | 0.6°C | 5.5°C |
일평균 기온 (°C) | -3.5°C | -4°C | -2.5°C | 0.1°C | 4°C | 7.6°C | 11.3°C | 10.6°C | 7.9°C | 2.9°C | -0.4°C | -1.8°C | 2.7°C |
평균 최저 기온 (°C) | -6.7°C | -6.9°C | -5.2°C | -2°C | 1.9°C | 5.2°C | 8.9°C | 8.3°C | 5.7°C | 1.1°C | -2.4°C | -4.5°C | 0.3°C |
역대 최저 기온 (°C) | -23.5°C | -23°C | -21°C | -16.5°C | -14.3°C | -4.3°C | 2.5°C | 0°C | -8.2°C | -15°C | -18.1°C | -20.4°C | -23.5°C |
평균 강수량 (mm) | 71 | 65 | 62 | 60 | 47 | 52 | 56 | 60 | 79 | 93 | 85 | 90 | 820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15 | 13 | 13 | 12 | 10 | 12 | 11 | 12 | 15 | 16 | 15 | 16 | 160 |
평균 상대 습도 (%) | 76 | 76 | 76 | 75 | 74 | 76 | 77 | 80 | 79 | 80 | 79 | 77 | 77 |
출처 1: 노르웨이 기상학회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57년~현재, 강수: 1961년~1990년)[21][22][23] | |||||||||||||
출처 2: 미국 해양대기청[24] |
5. 미디어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Hammerfest (Finnmark)
https://web.archive.[...]
yr.no
2018-06-23
[2]
문서
[3]
웹사이트
Urban settlements. Population and area, by municipality
https://www.ssb.no/e[...]
2023-12-23
[4]
백과사전
Hammerfest by
https://snl.no/Hamme[...]
Kunnskapsforlaget
2018-06-23
[5]
웹사이트
Hammerfest: The world's northernmost town
https://www.visitnor[...]
VisitNorway.com
2018-06-23
[6]
웹사이트
Byer i Norge
https://web.archive.[...]
2012-03-27
[7]
뉴스
It's a matter of latitude: Norwegians trade barbs in northernmost-town spat
http://www.seattlepi[...]
2010-03-16
[8]
백과사전
Hammerfest
https://snl.no/Hamme[...]
Kunnskapsforlaget
2024-05-28
[9]
웹사이트
The Norwegian town the world tried to erase
http://www.bbc.com/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017-12-08
[10]
서적
Lapland
Globe Pequot Press
[11]
서적
Ubåtkrig - tyske ubåtmannskaper i norske farvann 1940-1945
DANOR Forlag AS
[12]
서적
Flyalarm - luftkrigen over Norge 1939-1945
Sem og Stenersen
[13]
서적
Finnmark under Hakekorset - Festung Finnmark
Agdin Forlag
[14]
백과사전
Hammerfest
https://web.archive.[...]
Cappelen
2010-01-27
[15]
웹사이트
D/S Tanahorn
http://warsailors.co[...]
2010-01-27
[16]
웹사이트
M/S Brynilen
http://warsailors.co[...]
2010-01-27
[17]
뉴스
Tysk mine på 300 kilo sprengt
http://www.finnmarkd[...]
2008-06-09
[18]
웹사이트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http://www.ssb.no/em[...]
Statistisk sentralbyrå
[19]
웹사이트
eKlima
http://eklima.met.no[...]
[20]
웹인용
Urban settlements. Population and area, by municipality
https://www.ssb.no/e[...]
2017-01-01
[21]
웹인용
Observations and weather statistics
https://seklima.met.[...]
노르웨이 기상학회
2023-10-08
[22]
웹인용
EKlima
http://sharki.oslo.d[...]
2021-01-31
[23]
웹인용
Hammerfest (June 2022)
https://www.yr.no/en[...]
노르웨이 기상학회
2023-10-16
[24]
웹인용
Hammerfest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