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해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해법은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이 자국의 해운업과 무역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제정한 일련의 법률들을 통칭한다. 1651년 제정된 최초의 항해 조례는 영국과 식민지 간의 무역을 영국 선박과 선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고, 특정 상품의 수출을 규제하여 네덜란드 등 경쟁국의 상업적 우위를 견제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1660년 이후, 찰스 2세는 항해법을 더욱 강화하여 식민지 수입품과 수출품을 영국 선박으로 제한하고, '열거된' 상품의 범위를 확대했다. 이러한 정책은 영국 해군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식민지 경제를 제약하고 불만을 야기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세기 들어 자유 무역 사상이 확산되면서 1849년과 1854년에 항해법은 완전히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법에 관한 - 차법
    차법은 영국이 동인도 회사를 구제하기 위해 북아메리카 식민지에 차를 무관세로 수출하도록 허용한 법률로,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사 보스턴 차 사건과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영국의 정치와 정부 - 차법
    차법은 영국이 동인도 회사를 구제하기 위해 북아메리카 식민지에 차를 무관세로 수출하도록 허용한 법률로, 식민지 주민들의 반발을 사 보스턴 차 사건과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항해법
지도
개요
유형법률
제정 국가잉글랜드 왕국
역사
배경네덜란드 공화국의 해상 무역 우위
중상주의 정책
주요 조례1651년 항해 조례
1660년 항해 조례
1663년 항해 조례
1673년 항해 조례
1651년 항해 조례영국과 식민지로 수입되는 상품은 영국 선박으로만 운송해야 함
외국 선박은 자국 상품만 영국으로 수입 가능
1660년 항해 조례지정된 상품(담배, 설탕 등)은 영국 항구로만 수입 가능
식민지 상품은 영국이나 다른 식민지로만 운송 가능
1663년 항해 조례유럽 물품은 영국을 거쳐 식민지로 수출해야 함
1673년 항해 조례식민지 간 무역에 세관 공무원을 파견
시행 기간1651년 ~ 1849년
영향영국 해상 무역 성장 촉진
미국 독립 혁명의 원인 중 하나
식민지 무역 제한 및 불만 야기
목적
목표영국 해상 운송 산업 보호
식민지 무역 통제
네덜란드 해상 무역 견제
주요 조항영국 선박에 의한 무역 독점
지정 상품의 영국 항구 수입 의무화
식민지 무역 제한
결과 및 영향
긍정적 영향영국 해군력 강화
영국 상업 및 해상 무역 성장
중상주의 경제 정책 강화
부정적 영향식민지 불만 증가
밀수 증가
미국 독립 혁명의 원인 중 하나
평가영국 경제 발전에 기여, 식민지 관계 악화
관련 법률 및 사건
관련 사건영국-네덜란드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폐지1849년 폐지 (곡물법과 함께)
자유 무역 정책 도입의 영향
추가 정보
유사 법률항해 조례 (스웨덴) (1636년 스웨덴 제정)
참고 문헌로버트 웨이플스, "미국 경제 사학자들 사이의 합의는 어디에 있는가?"

2. 역사적 배경

1381년, 1485년, 1540년의 항해 조례는 해운 활성화와 해상 방어 강화에 역점을 둔 법안이었다.[63][64][65] 그러나 이 법들은 당시 영국의 선박 부족과 네덜란드 선박 선호 등으로 인해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1651년 항해 조례는 올리버 크롬웰이 실권을 잡고 있던 잉글랜드 공화국 의회에서 통과된 법으로, 네덜란드 상인에 의한 중계 무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이 조례는 영국-네덜란드 전쟁의 계기가 되었지만, 영국 상업 혁명을 가져오기도 했다. 비록 명문화되지는 않았지만, 이 법안은 프랑스와 당시 중계 무역의 주역이었던 네덜란드를 겨냥한 것이었고, 법안의 초안자와 지지자들도 그러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2. 1. 초기 항해 조례 (14세기~16세기)

1381년 리처드 2세는 영국 선박을 이용한 수출입을 의무화하는 법령을 제정했다.[63][64][65] 이는 해운 활성화와 해상 방어 강화를 위한 조치였으나, 당시 영국 선박 부족으로 실효성이 크지 않았다.[63] 1485년1540년에도 유사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나,[64][65] 당시 영국 상인들은 크고 불편한 잉글랜드 배보다 작고 기동성이 뛰어난 네덜란드 선박을 선호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65]

2. 2. 17세기 초 식민지 정책과 무역 통제

17세기 초, 영국은 본격적으로 식민지를 개척하면서 식민지 무역을 통제하려는 정책을 강화했다. 런던 회사와 플리머스 회사에 부여된 특허장, 왕실 특허, 담배 무역 규정 등에서 항해 조례의 초기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1621년 10월 24일 Order in Council은 버지니아 식민지가 외국으로 담배 및 기타 상품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했다.[12] 1624년 런던 회사는 헌장이 박탈되었고, 같은 해 선포령과 뒤이은 Order in Council은 버지니아 담배 무역에 외국 선박의 사용을 금지했다.[10]

1640년대, 영국 의회는 식민지와의 자유 무역을 위한 법령을 통과시키고, 영국 선박 장려 정책을 추진했다. 1644년 11월, "뉴잉글랜드 식민지와의 자유 무역에 관한 법령"이 통과되었다. 1645년, 장의회는 영국에서 건조된 선박이 아닌 선박으로의 고래수염 운송을 금지했다.[13] 또한, 프랑스산 와인, 양모 및 실크의 수입을 금지했다.[14] 1647년 1월 23일에는 "버지니아, 버뮤다, 바베이도스 및 미국의 다른 지역의 식민지 개척자들을 위한 특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통과시켜, 영국 선박으로 운송되는 경우 3년 동안 식민지로 향하는 상품에 대해 수출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10] 아담 앤더슨은 이 법률에 대해 "이로써 이후에 항해법의 기초가 마련되었는데, 이는 영국의 상업 팔라디움이라고 정당하게 불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15]

2. 3. 1650년대 영란 전쟁과 항해 조례 제정 배경

80년 전쟁 이후, 네덜란드는 중계 무역의 중심지로 부상하며 영국과 경쟁 관계에 놓였다. 영국은 네덜란드의 상업적 우위를 견제하고 자국의 해운업을 보호하기 위해 항해 조례를 제정하게 되었다. 청교도 혁명 이후 권력을 잡은 올리버 크롬웰 정부는 1651년 항해 조례를 통과시켰다.[66][67][68][69]

1647년 스페인 제국네덜란드 공화국 사이의 통상 정지가 끝나면서,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의 중계 무역은 더욱 활성화되었다. 이는 이베리아반도, 지중해 지역, 레반트 무역에서 영국 상인들을 압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심지어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조차도 네덜란드가 독점하는 상황에 이르렀다.[66]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1649년 잉글랜드는 장기의회를 통해 교회와 왕실, 왕당파의 영지를 몰수하는 등 재정 안정을 도모했다. 그러나 재정 부족은 계속되었고, 군대 감축 요구에 대한 군부의 반발로 장기의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베어본 의회가 탄생하고, 1653년 올리버 크롬웰호국경에 취임하면서 정치적 안정을 찾아갔다.[67]

영국은 자국의 무역 경쟁력 약화를 인지하고 있었다. 1645년 그린란드 회사는 자사 선박 외의 화물선으로 고래 제품 수입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정했고, 1648년 레반트 회사는 터키 상품을 네덜란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수입하도록 의회에 청원했다.[68] 1650년에는 상설 무역 위원회와 잉글랜드 공화국 국무위원회가 지중해와 식민지 물품의 네덜란드 상선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입안했다.[69]

이러한 배경 속에서, 1651년 올리버 크롬웰 정부는 항해 조례를 통과시켜 네덜란드의 중계 무역을 견제하고 자국의 해운업을 보호하고자 했다.

3. 1651년 항해 조례 (제1차 항해 조례)

1381년, 1485년, 1540년의 항해 조례는 해운 활성화와 해상 방어 강화에 역점을 둔 법안이었다.[63][64][65] 1381년에 제정된 조례는 당시 영국 소유의 선박이 적었기 때문에 무효화되었다. 1540년 법 제정 당시 영국의 무역상들은 크고 불편한 잉글랜드 배보다 기동성이 좋은 네덜란드 선박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65]

올리버 크롬웰


1651년 항해 조례는 올리버 크롬웰이 실권을 잡고 있던 잉글랜드 공화국의 의회에서 통과된 법으로, 네덜란드 상인에 의한 중계 무역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는 영국-네덜란드 전쟁의 계기가 되었고, 영국 상업 혁명을 가져오기도 했다.

항해 조례 제정의 원인은 팔십 년 전쟁으로 인해 영국 무역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스페인 제국네덜란드 공화국 사이의 통상 정지가 1647년에 해제되면서, 중계 무역항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네덜란드가 다른 나라와 경쟁할 수 있는 유일한 이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잉글랜드 상인들은 이베리아반도, 지중해 지역, 레반트 무역에서 네덜란드에 압도당했다. 잉글랜드 식민지와의 무역조차도 네덜란드에게 독점당했고, 직접 무역도 고전했으며, 서인도 제도와의 무역도 네덜란드 화물선이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네덜란드의 수익이 되었다.[66]

1649년 잉글랜드는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대출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의회가 교회와 왕실 및 왕당파의 영지를 몰수했다. 그럼에도 재정은 부족했고, 의회는 군대 감축을 요구했다. 이에 반발한 군은 장기의회를 해산하고 총선거를 요구했다. 이후 국정 혼란을 거쳐 크롬웰의 호국경 취임으로 이어져 베어본 의회가 탄생했다.[67]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이러한 원치 않는 수입을 막는 것이 필요했다. 잉글랜드가 선례로 삼은 것은 그린란드 회사가 1645년에 자사 선박 이외의 화물선으로 고래 제품 수입을 금지한 조례였다. 1648년에는 레반트 회사가 의회에 터키 상품을 네덜란드를 통하지 않고 생산지에서 직접 영국으로 수입해 달라는 청원을 했다.[68] 발트해 연안 국가들과 무역을 하는 상인들도 이에 편승하여, 1650년에는 상설 무역위원회와 잉글랜드 공화국 국무위원회가 지중해와 식민지의 물품을 네덜란드 상선을 통해 영국으로 수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종합 법안을 입안했다.[69]

3. 1. 주요 내용

1651년 올리버 크롬웰의 지휘 아래 국회에서 첫 항해 조례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영국의 식민지 무역 이권을 지키고, 급성장하는 네덜란드 해양 무역으로부터 영국의 산업을 보호할 목적이 있었다.[63] 그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오직 잉글랜드 혹은 식민지 배만 영국 식민지로 상품을 옮길 수 있다.[63]
  • 잉글랜드인(식민지 주민 포함) 선원이 최소한 절반 이상을 차지해야 한다.[70]
  • 담배와 설탕, 직물은 오직 잉글랜드로만 팔 수 있다.
  • 식민지로 향하는 모든 상품은 잉글랜드를 거쳐야 하며 수입관세를 내야 한다.


영국은 거주지가 아닌 국적을 중시했기 때문에, 잉글랜드 식민지 주민들은 식민지 간의 무역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잉글랜드령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물품은 브리튼 제도와 북아메리카의 13개 식민지에만 보낼 수 있었다. 반대로, 서인도 제도13개 식민지에서 외국 선박으로 외국에 수출할 유럽 국가의 수출품은 잉글랜드 배로 운송하거나 생산국 배로 운송해야 했다.[70]

3. 2. 네덜란드와의 갈등과 영란 전쟁

1651년 올리버 크롬웰의 지휘 아래 국회에서 첫 항해 조례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은 영국의 식민지 무역의 이권을 지키고, 급성장하는 네덜란드 해양 무역으로부터 영국의 산업을 보호할 목적이 있었다.[63] 이 조례는 특히 네덜란드를 겨냥했다.[67] 원래 같은 개신교 공화국으로 우호 관계였던 네덜란드와의 관계는 30년 전쟁으로 네덜란드가 스페인의 영지와 시장의 많은 물건을 두고 잉글랜드와 경쟁하게 되면서 나빠졌다.[71] 네덜란드는 유럽 각국 간 무역의 대부분과 잉글랜드의 연안 무역을 다수 주도하고 있었다. 이 조례에 의해 네덜란드는 필수적인 잉글랜드와의 무역에서 배척되었다.

스케베닝겐 전투, 베일 스트라텐 작


1652년 양국은 교전을 벌이게 되었다. 1653년에 영국 해군은 포틀랜드 전투, 가바도 전투, 스케베닝겐 전투에서 승리하고, 자국 영해 전투에서 압도적인 힘을 보였다. 원래는 1651년 조례의 제한 조항을 무시한 네덜란드 선박에 대한 공격이 발단이었지만, 발트해지중해 같은 전장을 훨씬 떨어진 위치에서 네덜란드는 잉글랜드의 무역을 무력화시키고, 독점권을 쥐고 있었다. 영국과 네덜란드 양국은 서로의 목을 풀솜으로 묶는 것과 같은 일을 하고 있었다.[72] 결국 네덜란드는 조례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70]

4. 왕정복고 이후의 항해 조례 (1660년~1696년)

1660년 왕정복고 이후, 찰스 2세는 항해 조례를 더욱 강화하고 확대하는 새로운 법률들을 제정했다. 이 법률들은 영국의 상업, 조선, 항해 및 무역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거의 2세기 동안 시행되었다.[11][25]

1660년 법률은 "항해법"의 기초로 간주되며, 식민지 선박과 선원에게 영국에 적용되는 규정의 모든 혜택을 부여했다. "영국 선박"에는 영국 식민지, 특히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도 포함되었다. 영국 식민지 주민들은 열거된 상품 조항을 위반하지 않는 한, 자체 선박으로 다른 식민지나 영국 이외의 유럽 국가와 무역하거나 선박을 건조하는 것에 제한을 받지 않았다.[26] 미국 식민지의 가장 중요한 상품(곡물, 뉴잉글랜드 어업 등)은 비열거 상품이었다.

이후 1696년까지 제정된 주요 항해 조례는 다음과 같다.


  • 1660년 항해 조례
  • 1663년 항해 조례 (주요 상품법)
  • 1673년 항해 조례
  • 1696년 항해 조례


1696년 항해 조례는 상무 식민지청(Board of Trade and Plantations, 영국 상무부의 전신)을 설치하여 무역 통제 및 감독을 담당하게 했다.

4. 1. 1660년 항해 조례

Navigation Act of 1660영어은 크롬웰의 이전 법률의 제한을 확대하고 강화했다. 식민지의 수입품과 수출품은 이제 "진실로 그리고 사기 없이 오직 잉글랜드 국민에게만 속하거나... 어떤 잉글랜드 영토에 건설되고 속한" 배로만 운송하도록 제한되었다.[28] 또한 선박의 선원은 75%가 잉글랜드인이어야 했고, 선장은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보증금을 예치해야 했으며 도착 시 자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29]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배와 화물 모두 몰수되는 처벌을 받았다.

이 법은 식민지에서 잉글랜드 또는 다른 잉글랜드 식민지로만 수송되어야 하는 "열거된" 상품으로 7가지 식민지 생산품을 명시했다. 이 품목들은 모국에서는 재배할 수 없지만 경제적 가치가 높고 잉글랜드의 경쟁적인 제조업에 사용되는 열대 또는 아열대산 농산물이었다. 초기 생산품에는 설탕, 담배, 목화, 인디고, 생강, 후스틱 또는 기타 염료 나무가 포함되었다.[26]

4. 2. 1663년 항해 조례 (주요 상품법)

1663년 항해 조례(15 Cha. 2. c. 7)는 '무역 장려에 관한 법률'이라는 긴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1663년 무역 장려법 또는 주요 상품법으로도 불리는 법률로 1663년 7월 27일에 통과되었다.[29] 항해 시스템을 강화한 이 법은 아메리카와 기타 식민지로 향하는 모든 유럽 상품이 먼저 영국을 통해 환적되어야 함을 규정했다.[29] 영국에서는 상품이 하역되어 검사, 승인을 받고 관세를 지불한 후 최종 목적지로 재선적되었다. 이 무역은 영국 선박("선체") 또는 식민지 선박을 통해 이루어져야 했다. '열거된' 상품(담배와 목화 등)의 수입은 다른 국가로 계속 가기 전에 상륙하여 세금을 내야 했다. 여기서 사용된 "영국"에는 웨일스와 버윅어폰트위드가 포함되지만, 이들 지역은 식민지 무역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이 법의 상업적 목적은 식민지로 향하는 모든 유럽 제품의 주요 거래처를 영국으로 만들고 식민지가 독립적인 수입 무역을 확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었다.[35] 이러한 강제된 변화는 운송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켰고, 결과적으로 식민지 주민들이 지불하는 가격을 인상시켰다. 이로 인해 일부 면제가 허용되었는데, 여기에는 뉴잉글랜드와 뉴펀들랜드 어업을 위한 소금, 마데이라와 아조레스 제도의 와인,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식량, 하인, 말 등이 포함되었다.

동인도 회사의 이익을 위해 이 법에 포함된 가장 중요한 새로운 법률은 영국에서 해외로 주화와 금괴의 수출을 금지하는 법률의 폐지였다.[36] 은은 동인도 회사가 인도로 수출하는 주요 품목이었고, 은을 값싼 인도 금으로 교환했기 때문에 이 수출은 이 법의 실제 문제였다. 이러한 변화는 동인도 회사, 영국, 인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영국의 은 대부분은 인도로 수출되어 개인 참여자들에게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주었지만, 영국 왕실은 필요한 은과 세금을 빼앗겼다. 수출된 은의 상당 부분은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유럽으로 은을 운반하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상선을 공격하는 영국 해적에 의해 획득되었다. 이후 이 법이 의회를 통과한 것은 동인도 회사가 의회의 여러 영향력 있는 의원들에게 막대한 뇌물을 제공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37]

4. 3. 1673년 항해 조례

1673년 항해 조례는 식민지 간 무역에서 발생하는 허점을 막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전까지는 식민지 상품이 다른 식민지를 경유하여 외국으로 수출될 수 있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거 상품에 대한 관세를 식민지에서 출발할 때 지불하도록 규정했다.[38] 이 법은 미국 식민지의 주지사들이 매년 런던의 세관에 상품을 싣는 모든 선박의 목록과 모든 채권의 목록을 보고하도록 규정했다.

4. 4. 1696년 항해 조례

소위 '''항해법 1696년'''(7 & 8 윌리엄 3세. c. 22)은 '식민지 무역에서의 사기 방지 및 남용 규제에 관한 법률'이라는 긴 제목을 가지고 있으며, 광범위한 조항들 때문에 향후 몇 년 동안 효력을 발휘했다.[40] 이 법은 식민지 무역법 1695년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이 법률에는 식민지 무역에 대한 새로운 제한과 집행을 강화하고 이전 법률들을 통합하기 위한 여러 가지 행정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다.[40]

1660년 법률의 표현을 강화하고 매일 발생하는 "악의적인 사람들의 책략과 교활함으로 인해 저질러지는 많은 남용 행위"를 언급한 후, 이 법률은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에 있는 영국의 영토 간에 상품이나 물품을 수입, 수출 또는 운송하거나 잉글랜드, 웨일스 또는 버윅어폰트위드로 운송하는 경우, "잉글랜드 또는 아일랜드 또는 해당 식민지의 건조물이거나, 또는 해당 식민지의 사람들이 전적으로 소유하고, 선장과 선원의 4분의 3이 해당 지역 사람들인 경우에만" 허용하도록 규정했다. 이러한 변경을 시행하기 위해, 이 법률은 선박이 영국 건조물로 간주되기 전에 모든 선박과 선주에 대한 등록과 외국인 소유주가 없다는 선서를 요구했다. 압수된 외국 건조 선박 또는 식민지에서 해군 물자를 수입하는 데 해군이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예외 조항이 도입되었다. 선박 등록 마감일은 1697년 선박 등록법(9 윌리엄 3세 c. 42)에 의해 연장되었다.[41] 항해 집행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이 법률 제6조는 위반 사항이 "웨스트민스터의 폐하의 법원 또는 [아일랜드 왕국 또는 폐하의 식민지에서 열리는 해사 법원 또는 해당 위반 행위가 저질러진 폐하의 다른 식민지에서 공무원이나 고발인의 재량에 따라]" 재판될 것이라고 규정한다.[42] 발생한 수입은 국왕, 주지사, 고발 및 소송을 제기한 자 사이에 3분의 1씩 나누어졌다.

이전에는 식민지에서의 대부분의 관세 징수 및 집행은 주지사 또는 그의 임명자(일반적으로 "해군 장교"로 알려짐)가 수행했지만, 탈세, 부패 및 무관심이 흔했다. 1696년 법률은 모든 현직 주지사와 장교가 법률에 포함된 모든 조항이 "진정한 의도와 의미에 따라 충실하고 성실하게 준수될 것"이라는 선서를 할 것을 요구했다. 앞으로 임명될 주지사는 취임 전에 이 선서를 해야 했다. 식민지 관세 공무원들의 준수를 강화하기 위해, 이 법률은 모든 현직 및 미래의 공무원들이 잉글랜드의 관세 위원회에 보증금을 제공하여 "그들의 의무를 진실하고 충실하게 수행할 것"을 약속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이 법률은 식민지 관세 공무원들에게 잉글랜드의 관세 공무원과 동일한 권한을 부여했다. 여기에는 선박과 창고에 승선하여 검색하고,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하고, 금지된 수입 또는 수출 상품 또는 법률에 따라 관세를 지불해야 하는 상품을 압수할 수 있는 권한이 포함되었다. 재무부 위원과 잉글랜드의 관세 위원이 식민지 관세 공무원을 임명하게 되었다. 1660년 법률에 따라 요구되는 채권에 대한 식민지의 "의혹이나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1696년 법률은 요구되는 채권을 얻을 때까지 열거된 상품을 적재하거나 선적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43] 이 법률은 선서 및 왕실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지 않는 사유 주지사에 대한 특별 지시 사항이 뒤따랐는데, 이는 무역위원회에 의해 고려되어 1697년 5월 26일에 발표되었다.[44]

식민지가 이전에 자체적인 많은 법률과 임명을 통과했기 때문에, 이 법률에는 영국의 식민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여러 조항이 포함되었다. 이 법률은 법원에서 신뢰를 받는 모든 식민지 직책이나 재무부와 관련된 직책은 잉글랜드, 아일랜드 또는 식민지 출신의 원주민이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또한, 현재 또는 미래에 식민지에서 사용되는 모든 법률, 법규, 관습 또는 관례 중 항해법에 어떤 식으로든 반대되는 것으로 판명된 것은 불법, 무효 및 무효로 선언되었다. 또한, 이 법률은 어떤 섬이나 대륙 아메리카의 토지 구역에 대한 권리나 재산을 "헌장이나 특허장에 의해" 주장하는 모든 사람이나 그 상속인은 앞으로 폐하의 허가와 동의 없이 잉글랜드, 아일랜드, 웨일스 영토 또는 버윅어폰트위드 마을의 원주민에게만 섬, 토지 구역 또는 재산을 양도, 매각 또는 처분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식민지 출신 주민은 언급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매각은 사전에 국왕의 명령으로 공표되어야 했다.

이 법률을 통해 정부는 해사 법원을 설립하고 더 많은 새로운 장소에 직원을 배치하기 시작했다. 이는 "무역 및 항해법에 대한 더 일반적인 복종"을 확립했다. 무역위원회의 안내서를 저술한 존 리브스[45]는 1696년 법률을 비교적 사소한 후속 법률을 포함하여 마지막 주요 항해법으로 간주했다. 이 법률과 이전 법률에 의해 확립된 시스템은 1792년에 항해법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던 시스템이었다.[46] 그러나 그 사이에 주요 정책 변화와 그 뒤집힘이 있을 것이다.

5. 18세기 항해 조례와 식민지 저항 (1696년~1775년)

1651년 항해 조례는 잉글랜드 식민지에서 외국 선박(네덜란드 선박)의 무역을 금지했다.[56] 1660년에는 설탕이나 담배 등 식민지의 주요 생산물을 본국에만 수출할 수 있도록 하였고(다른 나라로의 수출 금지)[59], 잉글랜드로 직접 보내지는 특정 수출품 목록이 추가되었다. 이 목록에는 설탕(1739년까지), 쪽, 담배 등이 있었으며, 18세기에는 쌀과 당밀이 추가되었다.[49] 1663년 조례(지정 시장법)는 유럽에서 식민지로의 수출은 잉글랜드를 경유하도록 했다.[59] 잉글랜드는 식민지와의 무역을 완전히 장악했고, 밀무역 단속을 위해 1673년 조례를 재제정했다.

1696년 항해 조례는 상무 식민지청(상무원, 영국 상무부의 전신)을 설치하여 무역 통제 및 감독을 담당하게 했다.

버지니아의 담배 공장에서 일하는 노예들


이 항해 조례는 본국과 식민지의 상호 관계에 있었지만, 반대 운동도 일어났다. 제임스 2세가 조례를 악용하여 식민지의 자주성을 방해했다는 비난과, 조례의 과세 수단화에 대한 반발도 있었다. 또한, 본국의 산업 보호를 위해 모자 제작과 양모 산업에 제한을 두어 식민지 산업에 피해를 입혔다. 1750년에는 경쟁을 피하기 위해 식민지의 철강 가공 발달에 제동을 걸기도 했다.[61]

서인도 제도의 도크랜드 박물관, 원래는 설탕 공장이었다.


1707년 연합 조약 시행까지 스코틀랜드는 외국으로 취급되었고, 1670년부터 1779년 사이 아일랜드는 조례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다.[49]

5. 1. 몰라세스법 (1733년)

1733년 몰라세스법은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에서 미국 식민지로의 설탕 무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식민지 주민들이 더 비싼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설탕을 사도록 강제했다.[11] 이 법은 널리 무시되었지만, 영국이 밀수를 막으려는 노력은 적대감을 불러일으켰고 미국 독립 전쟁에 기여했다.[11] 몰라세스법은 설탕법 중 첫 번째였다.[11] 이 법은 1763년에 만료될 예정이었지만, 1764년에 설탕법으로 갱신되어 식민지 주민들 사이에서 더 큰 불만을 야기했다.[11]

5. 2. 식민지 저항과 밀무역

항해 조례는 식민지의 경제 활동을 제약하고 본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인식되어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49] 특히 1660년 항해 조례는 설탕이나 담배 등 식민지의 주요 생산물을 본국에만 수출하도록 제한하여, 다른 나라와의 자유로운 무역을 원하는 식민지 주민들에게 큰 반발을 샀다.[59]

복잡한 해안선, 관세 기관의 부패, 위조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밀무역이 성행했다. 1673년에는 밀무역을 단속하기 위한 조례가 제정되었지만, 오히려 불법 행위는 더욱 증가했다.[49] 1696년에는 상무 식민지청(Board of Trade and Plantations)을 설치하여 무역 통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이 역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60]

18세기 중반, 밀무역은 당연시되었고, 영국 정부는 추가적인 규제 법안을 통해 식민지 경제를 통제하려 했다. 1733년 몰라세스법은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에서 미국 식민지로의 설탕 무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식민지 주민들이 더 비싼 영국령 서인도 제도의 설탕을 사도록 강제했지만, 널리 무시되었다.[60] 1764년 설탕법은 몰라세스법을 갱신하여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을 더욱 증폭시켰다. 1773년 차법보스턴 차 사건을 유발하여, 미국 독립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60]

차법에 반대하는 미국 주민들의 항의 행동 (보스턴 차 사건)


결국, 미국 독립 전쟁 이후 불법 행위가 만연해지자 1822년에 수출 품목 열거 제도가 폐지되었다.[49] 영국에서 자유 무역 지지자들이 대두하면서, 항해 조례는 1849년1854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62]

5. 3. 미국 독립 전쟁

항해 조례는 미국 독립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항해 조례는 식민지의 모든 수입품이 영국에서 구입하거나 영국 상인을 통해 재판매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는 식민지 주민들이 다른 곳에서 더 싼 가격에 상품을 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에 경제적으로 종속되도록 강제하는 조치였다.[49]

1772년 가스피호 사건에서 분노한 식민지 주민들은 로드아일랜드 해안에서 항해법을 시행하던 영국 해군 함선을 공격하여 불태웠다. 이는 영국에 대한 식민지 주민들의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49]

로버트 토머스(Robert Thomas)는 항해법이 13개 식민지 경제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연간 소득 1,000파운드당 약 4파운드의 비용이 발생했으며, 당시 1년 평균 개인소득은 약 100파운드였다. 그러나 랜섬(Ransom)은 항해법에 의해 부과된 순 부담은 규모가 작았지만, 해당 법률이 서로 다른 집단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일부를 돕고 일부를 해침으로써 경제 형태와 성장률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은 상당했다고 주장한다.

월턴(Walton)은 항해법으로 인한 정치적 마찰이 경제적 영향보다 더 심각했다고 결론짓는다. 특히,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상인들이 정치적으로 가장 활동적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불만은 더욱 증폭되었다.

이처럼 항해 조례는 식민지 경제에 대한 영국의 통제를 강화하고, 식민지 주민들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억압함으로써 미국 독립 전쟁의 불씨를 키웠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식민지 지배와 경제적 착취에 반대하며, 자유와 자결권을 옹호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6. 항해 조례의 폐지 (19세기)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항해 조례는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으며, 1822년에는 수출 품목 열거가 폐지되었다.[63] 이후 영국에서 자유 무역 사상이 확산되면서 점진적으로 폐지되기 시작했다.

6. 1. 자유 무역 운동과 곡물법 폐지

18세기 후반부터 영국에서는 자유 무역을 옹호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항해 조례와 같은 보호 무역 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특히, 1846년에는 곡물법이 철폐되면서 보호 무역 정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73] 항해법은 자유무역 사상의 영향 아래 1849년에 폐지되었다. 항해법은 자유무역이 아닌 모국으로의 식민지 무역 제한을 통해 부를 증대시키려는 중상주의 경제 이론에 따라 제정되었다. 1849년까지 "영국 수입 전략의 중심은 값싼 외국 수입을 통해 식량 가격을 낮추고 이를 통해 노동력 유지를 위한 비용을 줄이는 것이었다."(반 하우텐) 항해법과 곡물법의 폐지는 결국 19세기 말까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게 되었다.

6. 2. 항해 조례 폐지 (1849년, 1854년)

1822년에 수출 품목 열거가 폐지되었다.[63] 영국의 자유 무역 옹호자들의 등장으로 항해 조례와 같이 보호 무역 정책이었던 곡물법1846년에 철폐되었다. 항해 조례도 1849년1854년에 걸쳐 폐지되었다.[73]

항해법은 자유무역 사상의 영향 아래 1849년에 폐지되었다. 항해법은 자유무역이 아닌 모국으로의 식민지 무역 제한을 통해 부를 증대시키려는 중상주의 경제 이론에 따라 제정되었다. 1849년까지 "영국 수입 전략의 중심은 값싼 외국 수입을 통해 식량 가격을 낮추고, 이를 통해 노동력 유지를 위한 비용을 줄이는 것이었다"(반 하우텐). 항해법과 곡물법의 폐지는 결국 19세기 말까지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게 되었다.

7. 항해 조례의 영향과 역사적 평가

항해 조례는 영국의 해운업 발전과 해상 제국 건설에 기여했지만, 식민지 경제를 억압하고 자유 무역을 저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1381년 리처드 2세 치하의 법령[8]은 영국의 해군 증강을 위해 영국 선박으로만 상품 수출입을 허용했다. 1498년 헨리 7세는 카봇(Cabots)에게 특허장을 주어 탐험으로 인한 상업 활동을 영국과 하도록 명시했다.[9] 헨리 8세는 선박이 영국에서 건조되고 선원 대다수가 영국 출신이어야 한다는 법령을 만들었다.[10]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법률도 이러한 문제를 다루었고, 영국 상선의 증가로 이어졌다.

해외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런던 회사와 플리머스 회사에 부여된 헌장, 찰스 1세와 찰스 2세의 왕실 특허, 담배 무역 규정 등에서 항해법의 선례를 찾을 수 있다. 1621년 Order in Council은 버지니아 식민지가 외국으로 담배 등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했다.[12] 왕실은 미국과의 상업 활동을 영국으로 제한하려 했고, 이는 1639년 찰스 1세가 윌리엄 버클리에게 부여한 특허장에 잘 나타난다.

1641년, 영국 상인들은 이러한 규칙을 의회 법률에 명문화할 것을 촉구했고, 장의회 기간 동안 관련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644년 "뉴잉글랜드 식민지와의 자유 무역에 관한 법령"이 통과되었다. 1645년, 장의회는 영국 건조 선박이 아닌 선박으로의 고래수염 운송을 금지했다.[13] 1647년에는 "버지니아, 버뮤다, 바베이도스 및 미국의 다른 지역의 식민지 개척자들을 위한 특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통과시켜 영국 선박으로 운송되는 경우 3년간 식민지로 향하는 상품에 대해 수출세를 부과하지 않았다.[10] 아담 앤더슨은 이 법률이 항해법의 기초가 되었다고 평가했다.[15]

1650년과 1651년 단기 의회의 법률들은 주목할 만하다. 1650년 설립된 무역 위원회는 무역, 식민지 등을 다루었다.[16] 같은 해 왕당파 식민지와의 무역을 금지하는 법률은 외국 선박의 영국 식민지와의 무역을 금지했다.[17] 1651년 항해법은 잉글랜드 내전 중 전시 조치로 통과되었지만, 왕정 복고 후 찰스 2세에 의해 무효화되었다.[11]

1651년 항해 조례는 올리버 크롬웰 통치 시기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으며, 네덜란드 상인의 중계 무역을 배제하고 영국 상업 혁명의 요인이 되었다. 이는 영란 전쟁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53] 80년 전쟁으로 인한 영국의 무역 위축과 스페인 제국과 네덜란드 공화국 간의 통상 정지 해제는 항해 조례 제정의 주요 원인이었다. 1647년 통상 정지 해제 이후, 암스테르담은 중계 무역항으로서의 전권을 쥐게 되었고, 영국 상인들은 네덜란드에 압도당했다.[52]

1651년 크롬웰 지휘하의 의회에서 통과된 최초의 항해 조례는 잉글랜드의 식민지 무역 이권을 보호하고, 네덜란드의 해양 무역으로부터 잉글랜드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주요 내용은 잉글랜드 및 식민지에 외국 선박을 허용하지 않고, 잉글랜드인(식민지 주민 포함) 선원이 최소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잉글랜드 선박일 것이었다.[49][56] 이 조례는 특히 네덜란드를 겨냥하여[53] 네덜란드 상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 항해 조례는 제1차 영국-네덜란드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잉글랜드의 대대적인 외교 정책의 일부에 불과했다.[58]

1652년 양국은 교전 상태에 돌입했고, 1653년 잉글랜드 해군은 여러 해전에서 승리하며 자국 영해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58] 결국 네덜란드는 조례를 인정했다.[56] 1658년 크롬웰 사후, 왕정 복고가 이루어졌고, 항해 조례는 계속되었지만 18세기 이후 여러 제약이 추가되었다.[53]

1660년에는 설탕, 담배 등 식민지의 주요 생산물을 본국에만 수출하도록 하는 조항이 추가되었다.[59] 1663년 조례는 유럽에서 식민지로의 수출은 잉글랜드를 경유하도록 했다.[59] 1696년 항해 조례는 상무 식민지청(Board of Trade and Plantations)을 설치하여 무역 통제 및 감독을 담당하게 했다. 1773년에는 당밀 조례(糖蜜条例)가 제정되어 설탕 가격이 급등했다.[60]

항해 조례에 대한 반대 운동도 일어났다. 제임스 2세는 조례를 악용하여 식민지의 자주성을 방해했다는 비난을 받았고, 조례의 과세 수단화에 대한 반발도 있었다. 본국의 산업 보호를 위한 제한은 식민지 산업에 피해를 입혔다.[61]

밀수도 성행했으며, 18세기 중반에는 밀수가 당연해져 설탕법(1764년)과 차법(1773년)이 제정되었지만, 오히려 미국 독립 운동의 불씨를 키웠다.[61]

이후 여러 항해 조례들은 점차 강제력이 강해졌고, 이에 대한 반발로 미국 독립 전쟁이 일어나면서 조례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이후 불법 행위가 증가하여 수출 품목의 열거는 1822년에 폐지되었다.[49] 영국에서 자유 무역 지지자들이 등장하면서, 항해 조례와 마찬가지로 보호 무역 정책이었던 곡물법이 1846년에 폐지되었다. 항해 조례 또한 1849년과 1854년에 폐지되었다.[62]

7. 1. 영국에 미친 영향

항해법은 1707년 이전 잉글랜드, 그리고 그 이후 영국의 해운업이 고립적으로 발전하도록 만들었다. 이 법은 영국 선박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네덜란드 선박의 영국 무역 참여를 크게 제한했다.[47] 영국 식민지 무역을 영국 선박에 한정함으로써, 런던이 미국 식민지 상품의 주요 입항 도시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했을 수 있다.[47]

일정 수준의 상선과 무역의 유지는 영국 해군(Royal Navy)의 규모와 질적 향상을 빠르게 촉진했고, 결국 영국이 20세기 중반까지 세계 초강대국이 되는 데 기여했다.[47] 그러나 영국 해군은 네덜란드의 무역력을 완전히 제한하지는 못했다. 네덜란드는 해외 시장과 해운 자원에 대한 충분한 영향력을 누렸고, 영국이 해상 양보를 얻어낼 만큼 오랫동안 해군 작전을 지속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47]

7. 2. 식민지에 미친 영향

항해법은 식민지에 여러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경우, 식민지 경제를 제약하고 본국인 영국의 경제적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으로 인식되어 식민지 주민들의 불만을 야기했다. 이러한 불만은 결국 미국 독립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예를 들어, 1772년 가스피 사건에서 식민지 주민들은 로드아일랜드 해안에서 항해법을 시행하는 영국 해군 함선을 공격하여 불태우기도 했다.[48]

역사학자 로버트 토마스(Robert Thomas)는 항해법이 13개 식민지 경제에 미친 영향은 미미했다고 주장했지만,[7] 랜섬(Ransom)은 항해법에 의해 부과된 순 부담은 규모가 작았지만, 해당 법률이 서로 다른 집단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쳐 일부를 돕고 일부를 해침으로써 경제 형태와 성장률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은 상당했다고 보았다.[7] 월턴(Walton)은 항해법에 의해 야기된 정치적 마찰이, 특히 가장 영향을 받은 상인들이 정치적으로 가장 활동적이었기 때문에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보다 더 심각했다고 결론짓는다.[7]

항해법은 또한 17세기 후반과 18세기 초 해적 행위 증가의 원인 중 하나였다. 상인들과 식민지 관리들은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해적들이 빼앗은 상품을 구입했고, 뉴욕의 벤자민 플레처와 같은 식민지 주지사들은 공공연히 해적이 될 의도가 있음을 인정한 사략선을 의뢰하기도 했다.[48]

아일랜드의 경우, 영국 상품에 대해서는 무관세를 적용했지만, 아일랜드 상품에는 관세를 적용하여 경제에 피해를 입혔다. 다른 조항들은 특정 상품의 영국이나 다른 곳으로의 수출을 완전히 금지하여 해당 시장의 붕괴를 초래했다. 예를 들어, 1699년 양모법(Wool Act 1699)은 영국 무역을 극대화하기 위해 아일랜드(그리고 미국의 식민지)에서의 양모 수출을 금지했다. "자유무역 아니면 혁명"은 18세기 후반 아일랜드 의용군의 슬로건이었다.

7. 3. 역사적 의의와 교훈

항해 조례는 중상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경제 정책으로, 국가 간의 무역 경쟁과 식민지 지배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 조례는 강대국의 경제 정책이 약소국에 미치는 영향과 국제 무역 질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8][9][10][11]

1651년 항해 조례는 올리버 크롬웰 통치 시기 영국 의회에서 통과되었으며, 네덜란드 상인에 의한 중계 무역을 배제하고 영국 상업 혁명의 요인이 되었다. 이는 영란 전쟁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53]

항해 조례는 본국과 식민지 간의 상호 관계 속에서 반대 운동도 야기했다. 제임스 2세는 이 조례를 악용하여 식민지의 자주성을 방해했다는 비난을 받았으며, 조례의 과세 수단화에 대한 반발도 있었다. 또한, 본국의 산업 보호를 위한 제한은 식민지 산업에 피해를 입혔다.[61]

대한민국은 과거 식민지 경험과 강대국 간의 무역 분쟁 속에서 경제 발전을 이룩해야 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항해 조례는 경제 주권과 공정한 무역 질서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사적 사례로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Development of British Immigration Law
[2] 서적 Revolutionary America, 1763–1815: A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https://books.google[...]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학술지 Where Is There Consensus Among American Economic Historians? The Results of a Survey on Forty Propositions 1995-03-01
[8]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Jones Act: America's 'expression of sovereignty' that's piling pressure on offshore wind https://www.recharge[...] 2024-06-30
[9] 웹사이트 1498 – The letters patent of King Henry the Seventh Granted unto Iohn Cabot and his Three Sonnes, Lewis, Sebastian and Santius for the Discouerie of New and Unknowen Lands; March 5 http://avalon.law.ya[...]
[10] 서적 Colonial Self-Government, 1652–1689 https://archive.org/[...]
[11] 서적 History of Domestic and Foreign Commerce of the United States – Vol. 1 https://www.questia.[...]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2] 서적 British Committees, Commissions, and Councils of Trade and Plantations 1622–1675 http://www.gutenberg[...]
[13] 법률 Ordinance to prevent the importation by foreigners of whale oil, fins or gills, commonly called whalebone. 1645-05-06
[14] 법률 Act prohibiting the importation of any Wines of the Growth of France, and all manufacturers of wool and silk made in France. 1649-08-28
[15] 서적 https://books.google[...]
[16] 웹사이트 August 1650: An Act for the Advancing and Regulating of the Trade of this Commonwealth. http://www.british-h[...]
[17] 서적 British Committees, Commissions and Councils of Trade and Plantations 1622–1675 http://www.gutenberg[...]
[18] 서적 The Rump Parliament 1648–5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19] 서적 The English Atlantic in an Age of Revolution: 1640–1661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20] 법률 An Act for increase of Shipping, and Encouragement of the Navigation of this Nation.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1] 서적 History of the Commonwealth of England Vol. 3 https://books.google[...] H. Colburn
[22] 서적 https://books.google[...]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The American coloni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26] 서적
[27] 웹사이트 The Second Navigation Act 1660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Navigation Act 1660, text http://www.british-h[...]
[29] 서적 A dictionary of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997
[30] 웹사이트 Charles II, 1660: An Act to prevent Fraudes and Concealments of His Majestyes Customes and Subsidyes. http://www.british-h[...]
[31] 웹사이트 An Act for preventing Frauds and regulating Abuses in His Majesties Customes. http://www.british-h[...]
[32] 웹사이트 An Act for prohibiting the Exportation of Wooll Woolfells Fullers Earth or any kinde of Scouring Earth https://www.british-[...]
[33] 웹사이트 An Act for Prohibiting the Planting Setting or Sowing of Tobaccho in England and Ireland http://www.british-h[...]
[34] 서적 https://books.google[...]
[35] 서적 https://archive.org/[...]
[36] 웹사이트 Charles II, 1663: An Act for the Encouragement of Trade https://www.british-[...]
[37] 웹사이트 Alexander del Mar (1836–1926) https://archive.org/[...]
[38] 웹사이트 An Act to prevent the planting of Tobacco in England, and for regulateing the Plantation Trade http://www.british-h[...]
[39] 서적 pp. 521–522 https://books.google[...] 1787
[40] 서적 pp. 81–91 https://books.google[...] 1792
[41] 서적 An Act for enlarging the Time for Registering of Ships pursuant to the Act for preventing Frauds and regulating Abuses in the Plantation Trade. https://books.google[...] 1867
[42] 문서 Brackets annexed to the original act in a separate schedule.
[43] 서적 A short history of British colonial policy https://archive.org/[...] 1897
[44] 서적 1792
[45] 논문 The Navigation Acts as Applied to European Trade https://www.jstor.or[...] 1904-07
[46] 서적 1792
[47] 서적 1997
[48] 서적 The Pirates of the New England Coast, 1630-1730 https://books.google[...] Marine Research Society 1923
[49] 웹사이트 Navigation Acts (United Kingdom) -- Brita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50] 웹사이트 Navigation Act http://www.proberten[...]
[51] 웹사이트 Liberty vs Power in Europe and England http://www.lewrockwe[...]
[52] 서적 1997
[53] 웹사이트 The Navigation Act 1651 http://www.british-c[...]
[54] 서적 1997
[55] 서적 1997
[56] 웹사이트 1651-Navigation Acts http://www.stamp-act[...]
[5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Navigation Act of 1651 http://www.helium.co[...]
[58] 서적 1997
[59] 서적 A dictionary of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1-07-26
[60] 웹사이트 Navigation Acts http://www.colonial-[...]
[61] 웹사이트 Navigation Acts Facts, information, pictures http://www.encyclope[...]
[62] 웹사이트 Free Trade and the Repeal of the Corn Laws http://www.liberalhi[...] 2004-01
[63] 웹사이트 Navigation Acts (United Kingdom) -- Brita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64] 웹사이트 Navigation Act http://www.proberten[...]
[65] 웹사이트 Liberty vs Power in Europe and England http://www.lewrockwe[...]
[66] 서적 1997
[67] 웹인용 The Navigation Act 1651 http://www.british-c[...] 2013-11-07
[68] 서적 1997
[69] 서적 1997
[70] 웹사이트 1651-Navigation Acts http://www.stamp-act[...]
[71]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Navigation Act of 1651 http://www.helium.co[...]
[72] 서적 Israel 1997
[73] 웹사이트 Free Trade and the Repeal of the Corn Laws http://www.liberalhi[...]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