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화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화는 1913년 허베이성 츠 현에서 태어난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옌안에서 마오쩌둥 등 공산당 지도자들의 통역으로 활동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외교부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가나, 이집트, 캐나다 주재 대사를 거쳐 1971년 유엔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초대 대사를 지냈고, 1976년부터 1982년까지 외교부장을 역임했다. 이후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을 지내며 우호 외교에 기여했으며, 2010년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리바오둥
    리바오둥은 베이징 출신의 중국 외교관으로, 다양한 외교 직책을 거쳐 잠비아 대사, 유엔 제네바 사무소 대표, 유엔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하며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 유엔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마자오쉬
    마자오쉬는 1963년 하얼빈 출생으로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하고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입부하여 주영국 및 주벨기에 대사관 근무, 외교부 정책계획국 국장, 외교부 보도국 국장 겸 대변인, 외교부 부장조리, 유엔 중국정부대표부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하고 2023년 외교부 상무부장에 임명된 외교관이다.
  • 옌징 대학 동문 - 빙신
    빙신은 셰 완잉이라는 본명을 가진 중국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아동 문학에 대한 기여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시했고 타고르와 지브란의 작품을 중국에 소개했다.
  • 옌징 대학 동문 - 위안자류
    위안자류는 중국 태생의 미국인 물리학자이자 교육자로, 중화민국 초대 총통 위안스카이의 손자이며 실험물리학자 우젠슝의 남편으로, 미국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 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고 대만의 싱크로트론 방사선 연구 센터 설립을 지원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부장 - 리자오싱
    리자오싱은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장을 역임했으며, 주미 대사, 유엔 대사 등을 지내며 이라크 전쟁, 북한 핵 문제 등 국제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40여 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시인 외교관"이라는 별칭을 얻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직설적인 화법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황화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황화
본명왕루메이
로마자 표기Hwang Hwa
출생1913년 1월 25일
출생지허베이성 츠 현
사망2010년 11월 24일
사망지베이징
배우자허리량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경력
직책국무원 부총리
임기 시작1980년 9월 10일
임기 종료1982년 5월 4일
총리자오쯔양
직책외교부장
임기 시작1976년 12월 3일
임기 종료1982년 11월 19일
총리화궈펑, 자오쯔양
전임차오관화
후임우쉐첸
직책국제 연합 주재 중화인민공화국 상임대표
임기 시작1971년 11월 2일
임기 종료1976년 11월 29일
전임류지에 (중화민국 대표)
후임천추

2. 생애

1935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였고,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황화'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후반 마오쩌둥중화소비에트공화국 혁명 근거지 옌안에서 에드거 스노의 통역을 맡았다. 에드거 스노중국의 붉은 별을 썼는데, 이 책은 중국 공산당을 세계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1937년 이후 저우언라이 밑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간사, 1940년 중공 옌안 청년간부학교 교육장, 1941년 주더의 정치 비서, 1944년 중국 공산당 외사조 연락부장을 역임했다. 1949년 중국 공산당 톈진 군관회 외사처 처장, 같은 해 중국 공산당 난징 군관회 외사처 처장을 지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신민주주의청년단 중앙위원, 중국 공산당 상하이 군관회 처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휴전 회담(1953년)에 중국 공산당 외사조 구성원으로 참여했고, 이후 중공 외교부 본부에서 바르샤바 미국과의 초기 접촉(1958년) 및 중국 공산당의 유엔 가입(1971년) 등에 참여했다.

1960년가나이집트 주재 대사를 지냈다. 문혁 기간 중 귀국하여 부인과 함께 구류되어 노동 개혁을 당하기도 했으나, 1971년 중국 공산당 당원으로 복권되었다.

1971년 유엔에서 중공의 의석 확보 후 초대 유엔 대사를 역임했다. 1978년 8월 12일 일본 소노다 스나오 외상과 중일평화우호조약 조인식에 참여했다.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차오관화의 후임으로 외교부장에 임명되어 6년간 재직했다. 1979년 미국과의 수교에 참여했다.

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사망 시, 중공 외교부장으로서 중화인민공화국 사절단을 이끌고 장례식에 참석, 브레즈네프를 "세계 평화의 괄목할 만한 옹호자"라 칭하며 소련과의 관계 복원 의지를 표명했다. 귀국 후 외교부장에서 퇴임했다.

2010년 11월 24일 베이징에서 97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중국 공산당 입당

'''왕루메이'''(王如美)라는 본명으로 중화민국 허베이성 한단 시 츠 현에서 출생하였다.[2]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으로 학업을 중단했고, 중국 동북부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32년, 베이징의 옌칭 대학에 입학하여 초기 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 그곳에서 뛰어난 영어를 배우고 옌칭 대학을 설립한 미국 선교사 존 레이튼 스튜어트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4] 또한 좌파 교수들과 대화하고 마르크스주의 서적을 읽으며 공산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 1935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였고, 193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황화'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12·9 운동에 참가했다.

2. 2. 옌안 시절

1936년 후반, 황화에드거 스노와 함께 옌안의 혁명 근거지로 이동하여 마오쩌둥을 포함한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통역을 담당했다.[3] 에드거 스노중국의 붉은 별을 썼는데, 이 책은 중국 공산당을 세계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3] 황화는 스노가 떠난 후에도 옌안에 남아 주더의 조수, 예젠잉의 비서로 일했다.[3]

1942년 옌안 정풍운동 기간 중, 황화는 상사의 직인을 허가 없이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았으나, 주더의 보호로 위기를 모면했다. 1944년 미국 육군 관찰단이 옌안에 파견되었을 때 황화는 통역을 담당했다. 또한 조지 C. 마셜의 마셜 중재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 측 통역관으로 활동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4월 중공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황화는 중화민국 외교부를 접수하고 마오쩌둥의 지시로 당시 주중 미국 대사였던 존 레이튼 스튜어트와 회담했으나 실패했다.[3]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황화는 새로 설립된 외교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다.[3] 처음에는 난징에 머물렀지만, 이후 상하이로 옮겨 외교 업무를 처리했다.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회담에 중국 측 대표로 참여했다.[3] 1954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휴전에 관한 제네바 회담에 대표단 고문 및 보도관으로 참석했다. 1955년 반둥 회의에 대표단 고문 및 보도관으로 참석했다. 1958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미국과의 초기 접촉에 참여했다.[3]

2. 4. 대사 및 외교부장 시절

1960년부터 1971년까지 가나, 이집트, 캐나다 주재 대사를 역임했다.[3] 문화 대혁명 기간(1967년) 중 귀국하여 부인과 함께 구류되어 노동 개혁을 당하기도 했으나,[3] 1970년에 복권되었다. 복권 후, 1970년 8월 에드거 스노와의 인터뷰에서 마오쩌둥의 통역관으로 활동했다.[3] 1971년 국제 연합에서의 중화인민공화국 대표권 획득 후, 중화인민공화국 초대 유엔 대사에 취임했다.[3] 1976년 마오쩌둥 사망 이후, 사인방의 동맹이었던 차오관화가 해임되자 그의 후임으로 외교부장에 취임했다. 1978년 일본 외무대신 소노다 나오와 중일 평화 우호 조약에 서명했다. 1979년 덩샤오핑미국 방문에 동행, 미국과의 수교를 이끌었다. 1981년 남북 정상 회담에 자오쯔양 총리와 함께 참여했으나, 자오쯔양의 반소련 발언 완화 지시를 따르지 않아 갈등을 빚었다. 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지도자 사망 시, 중국 대표단을 이끌고 장례식에 참석하여 중소 분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중소 관계 개선 의지를 표명했다. 1982년 외교부장직에서 물러난 후, 우쉐첸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3]

2. 5. 퇴임 이후

1980년 국무원 부총리, 1983년 제6기 전국인민대표대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전인대 대표단을 이끌고 각국을 방문했으며, 1992년 중일 국교 정상화 20주년을 기념하여 단장으로 다시 방일했다. 퇴임 후에도 '우호 외교'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 기간에 헨리 키신저를 만났다.[1] 2010년 11월 24일 베이징에서 신장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97세였다.

3. 개인사

1944년 옌안에서 허리량과 결혼하여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uang Hua https://www.collinsd[...]
[2] 뉴스 Huang Hua, 97, a Diplomat Who Served China, Dies https://www.nytimes.[...] 2010-11-24
[3] 뉴스 Huang Hua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0-11-24
[4]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Americ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6-07-18
[5] 웹사이트 何理良:和黄华携手走过的日子 - 亲历者口述 - 抗日战争纪念网 http://www.krzzjn.co[...]
[6] 뉴스 Huang Hua, Former Chinese Foreign Minister, Dies http://www.nytimes.c[...]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0-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