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험윤은 서주 시대에 강성했던 북방 민족으로, 흉노의 선조로 여겨지기도 한다. 험윤은 초획을 거점으로 서주를 위협했고, 주 선왕은 남중에게 명하여 북벌을 감행했다. 춘추 시대에는 융적으로 불렸고, 전국 시대에는 진, 조, 연나라 북쪽에 분포했다. 진나라 몽염에게 패배한 후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한나라 때부터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여겨졌다. 고고학적 증거와 문헌 기록을 통해 험윤의 문화와 주나라와의 관계를 알 수 있으며, 험윤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흉노 - 훈육
훈육은 고대 중국 역사서에 등장하는 유목민족 명칭으로, 흉노와의 관계에 대해 학계에서 논쟁이 있으며, 흉노의 다른 이름, 전신 또는 관련 부족, 별개의 민족 등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명칭의 연관성 및 역사적 위치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흉노 - 누란
누란은 기원전 2세기부터 4세기까지 타림 분지 로프노르 호수 근처에 위치하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동서 무역과 다양한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타림강 물길 변화로 쇠퇴하여 사라진 고대 왕국이자 도시이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험윤 | |
---|---|
위치 | |
![]() | |
명칭 | |
한자 | 猃狁 (간체) |
한자 (번체) | 獫狁, 玁狁 |
병음 | Xiǎnyǔn |
웨이드-자일스 | Hsien-yün |
역사적 정보 | |
시대 | 고대 중국 |
관련 국가 | 주나라 |
위치 | 중국 북부 |
문화적 특징 | |
언어 | 미상 (알타이어족 추정) |
추가 정보 | |
설명 | 중국 북방의 고대 부족 연맹. 주나라 시대에 현재의 허타오 지역에서 활동했다. |
관련 유물 | 간쑤성 박물관에 소장된 백초파에서 발굴된 청동 도끼는 험윤 또는 귀방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
2. 역사
험윤의 역사는 서주 시대부터 시작되어 춘추 시대, 전국 시대를 거쳐 진나라, 한나라 시대까지 이어진다.
서주 중기 험윤은 강성해져 초획(焦獲) 땅으로 옮겨 살았으며, 남쪽으로 침입해 서주를 위협했다. 주 선왕은 남중(南仲)에게 북벌을 명했고, 《시경·채미(采薇)》에는 당시 전투 상황이 묘사되어 있다.[50] 춘추 시대에 험윤은 융적(戎狄)으로 불렸으며, 전국 시대에는 진나라, 조나라, 연나라 북쪽에 분포했다. 진나라 통일 후 몽염에게 패배하여 북쪽으로 이동했다.[50] 진나라 말기에는 고비 사막 남북을 통치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한나라 때부터 험윤은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여겨졌다.[50]
근대 역사학자 왕궈웨이는 귀방(鬼方), 곤이(昆夷), 험윤이 동일한 민족이라고 주장했다.[50] 험윤은 황하의 허타오 지역에서 황하 상류 계곡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점유하며 비교적 잘 조직된 사회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험윤 사회는 문화적으로 상당히 균일했으며, 최상위 계층에 높은 수준의 집중이 이루어졌고, 주 왕조에 대항하여 조율된 행동을 할 수 있었다.[4] "험윤"은 그들이 스스로 지칭한 고유어였을 것이며, 주 왕조는 그들을 일반적으로 '융'(戎, "호전적인 민족")이라는 용어로 불렀다.[4]
험윤은 청동 투구, 창, ''정''(鼎)과 ''포''(铺)와 같은 청동 물건을 사용했고,[10] 전쟁용 전차를 사용했으며, 한 번의 공격에 최대 400대까지 동원했다.[11] 시경에는 주나라와 험윤 간의 군사 행동에 관한 4개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13]
문헌 기록에 따르면, 서융의 침략은 기원전 843년에 일어났다.[13] 기원전 840년, 여왕 재위 14년째에 험윤은 주나라 수도 호경에 도달했다. 다유정의 비문에 따르면, 무공은 다유에게 징시에서 험윤을 추격하라고 명령했고, 다유는 험윤에게서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14]
험윤은 기원전 823년, 선왕 재위 5년에 다시 공격했다. 일부 학자들은 험윤의 군사 전술이 기마병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하지만,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13][15] 오르도스 지역에서 발굴된 다유 청동 ''정'' 비문은 험윤 군대가 말에 끌린 전차에서 싸웠다는 것을 나타낸다.[13][16]
험윤 또는 흉노의 압력으로 인해 서주 왕조는 기원전 771년에 붕괴되었고, 수도를 뤄양으로 옮겨야 했다.[17]
2. 1. 서주 시대
서주 중기에 험윤은 강성하여 초획(焦獲) 땅으로 옮겨 살았다. 험윤은 초획을 거점으로 남쪽으로 침입해 호(鎬), 삭방(朔方), 경양(涇陽)에 이르러 서주를 직접적으로 위협하였고, 주 선왕은 대장(大將) 남중(南仲)에게 명령해 군사를 이끌고 북벌하도록 했으며, 또한 삭방에 성을 쌓았다.[50] 《시경·채미(采薇)》에서는 당시 주나라와 험윤의 전투 상황과 병사들의 고된 전투 생활을 묘사하고 있으며, 동진의 사현(謝玄)은 이 부분이 《시경》 중에서 가장 좋은 시편이라고 일컬었다.[50]2. 2.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
춘추 시대에 험윤은 융적(戎狄)으로 불렸으며, 전국 시대에는 진나라, 조나라, 연나라의 북쪽 지역에 분포하였다. 이후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였고, 몽염이 30만 대군으로 험윤을 패배시키자 험윤은 북쪽으로 이동하였다.[50]2. 3.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
진나라 말기, 험윤은 고비 사막 남북을 통치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한나라 때부터 험윤은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많이 여겨졌는데, 《사기·흉노열전(匈奴列傳)》에는 "당우(唐虞) 이전에는 산융(山戎), 험윤(玁狁), 훈육(葷粥)이 있어 북적(北狄)에 거주하며 기르는 가축을 따라 옮겨 다녔다."라는 기록이 있다.[50] 다만 이 부분은 "흉노의 선조는 하후씨(夏后氏)의 먼 후예이다."라는 설명과 상충된다.3. 문화와 사회
험윤은 비교적 잘 조직된 사회를 이루었으며, 문화적으로도 균일성을 보였다.
몽골의 사슴돌에 묘사된 유목 지도자들(기원전 1400~700년)은 대규모로 조직화된 유목 집단을 이끌었으며, 남쪽에 위치한 중국의 상 및 초기 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2] 이들은 단검, 자루 달린 도끼, 말 고삐 고리와 같은 무기와 전쟁 도구를 갖추고 있었다. 거대한 장식된 석묘를 건설할 수 있는 대규모 조직적 유목 집단을 이끄는 이 강력한 유목 지도자들은 초기 중국 왕조에 대한 유목민의 도전의 일부였을 수 있다.[22] 특히, 이들의 전차 기술은 중국의 전차 개발을 촉진했을 가능성이 있다.[18]
험윤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사와 문화(Siwa culture)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사와 유적지가 작고 생계 수준이 낮다는 점과 험윤이 더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는 점 때문에 이 이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19] 펑리(Feng Li)에 따르면, 사와 문화는 험윤과 같은 고도로 발달된 사회를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19] 이 논쟁은 여전히 열려 있다.[20]
기원전 7세기부터 사와 문화는 유라시아 스텝 문화, 특히 사카(Saka)의 스키타이 오르도스 문화(Ordos culture)의 출현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다시 중국의 중원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했다.[21]
상하가점 문화는 중국 북동부의 청동기 시대 고고학 문화로, 유라시아 스텝 청동기 전통에서 파생되었다.[23] 이 문화는 중국 역사 속의 동호("동쪽 오랑캐")와 관련이 있다.
3. 1. 주나라와의 관계
선윤은 주나라와 대립 관계에 있었으며, 전쟁용 전차를 사용하는 등 군사적으로도 강력했다. 이들은 주나라의 수도 시안 인근을 공격하기도 했다.[11]주나라와 선윤 간의 군사 행동에 관한 내용은 시경에 수록된 4개의 노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채기"(采其)라는 노래는 선윤과의 전투에서 3,000대의 주나라 전차를 언급한다. "육월"(六月)이라는 노래는 전투가 징허(泾河)과 뤄강(洛河) 하류와 웨이허(渭河) 계곡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이는 주나라의 중심부와 매우 가까운 곳이었다고 전한다.[13]
문헌 기록에 따르면, 서융("서쪽 융")이라는 이름으로 주나라에 대한 최초의 침략은 기원전 843년에 일어났다.[13] 기원전 840년, 여왕(기원전 877–841년) 재위 14년째에 선윤은 주나라 수도 호경에 도달했다. 다유정의 비문에 따르면, "선윤이 크게 일어나 징시를 광범위하게 공격했기 때문에 10월에 왕에게 보고되었다. 왕은 무공에게 명령했다: "가장 유능한 병사를 보내 징시에서 추격하라!" 무공은 다유에게 명령했다: "공작 전차를 이끌고 징시에서 추격하라!" (...) 다유는 머리를 베어 포로를 생포하여 심문했다: 총 205개의 머리를 베고 23명의 포로를 생포했으며 117대의 융 전차를 빼앗았다".[14] 여기서 "서융"과 선윤은 동일한 민족으로, 전자는 "서쪽의 호전적인 부족"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후자는 그들의 실제 민족 명칭으로 불렸다.[13]
선윤은 기원전 823년, 선왕 재위 5년에 다시 공격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들의 갑작스러운 공격으로 특징지어진 군사 전술은 고도로 기동성 있는 부대, 즉 말에 탄 기병에 의해서만 수행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지만, 선윤이 유목 전사였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13][15] 기원전 816년경 시안 근처에서 발굴된 곽계자백반 명문은 선윤 군대가 오르도스 지역 하류의 경(京) 수비대를 공격하여 주나라의 군사적 대응을 이끌어냈다고 전한다. 이는 주나라처럼 선윤이 말에 끌린 전차에서 싸웠다는 것을 나타낸다.[13][16]
서주 시대의 시와 청동기 명문에는 선윤과의 충돌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이름 | 유물 | 음역 | "선윤" | 번역 |
---|---|---|---|---|
채기 (Caiqi) 采芑 《시경》 제178편 4절 | 《시경》 | 蠢爾蠻荊 大邦為讎 方叔元老 克壯其猶 方叔率止 執訊獲醜 戎車嘽嘽 嘽嘽焞焞 如霆如雷 顯允方叔 征伐獫狁 蠻荊來威 | 어리석은 야만족들이여 대국을 적으로 삼다니! 방숙(方叔)은 위대한 원로 위대한 계획을 세우고, 그의 군대를 이끌고 나아갔네. 그는 심문할 포로를 붙잡았네. 그의 전쟁 마차는 많았고, 많고 충분하였네. 천둥 소리처럼 그들이 울렸네. 훌륭한 방숙은 진실되었고, 선윤(獫狁) 오랑캐를 쳐부쉈고, 형(荊) 부족을 위협했네.[46] | |
다우정 多友鼎 기원전 840년[47] | ![]() ![]() | |||
선윤이 크게 일어나 경시를 광범위하게 공격하여 왕에게 보고된 것은 10월이었다. 왕은 무공(武公)에게 명하여 "가장 유능한 자들을 파견하여 경시에서 추격하라!"라고 했다. 무공은 다우에게 명하여 "공작의 전차를 이끌고 경시에서 추격하라!"라고 했다. | ||||
곽계자백반 虢季子白盤 기원전 816년 | ![]() ![]() | |||
12년 정해(丁亥)년 정월 초하루에 곽계자백(郭季子白)이 이 보물 그릇을 만들었다. 훌륭한 자백(子白)은 군사 작전에 용감하고 뛰어났으며 세상을 다스렸다. 그들은 선윤을 공격하여 정복하고 낙수 북쪽에 이르렀다. 그는 500명의 적을 참수하고 50명의 포로를 잡았으며, 전군에서 선두가 되었다. 강력한 자백은 적의 왼쪽 귀를 잘라 왕에게 바쳤다. 왕은 자백의 위엄에 크게 감탄했다. 왕은 성주(Chengzhou)의 사당인 선해(Xuanxie)에 와서 모든 신하들을 위한 연회를 열었다. 왕은 "아버지 백(白)이여, 그대의 공로는 뛰어나고 극도로 영광스럽다."라고 말했다. 왕은 자백에게 왕을 돕도록 네 필의 말이 끄는 전차를 주었다. 그는 밝은 붉은 활과 화살을 주었다. 그는 야만족을 정복하는 데 사용할 큰 도끼를 받았다. (자백은 이 기물을 만들어 대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
부기궤 (JC: 4329) 기원전 815년[48] | ![]() ![]() ![]() | ![]() | 9월, 첫 번째 상서로운 날, 무신(45)일, 보시가 말했다: "부기(Buqi), 변경 수호자! 선윤이 서여(Xiyu)를 광범위하게 공격했고, 왕은 우리에게 서쪽으로 추격하라고 명령했다. 나는 포로를 보내기 위해 돌아왔다. 나는 너에게 로에서 방어하고 추격하라고 명령했고, 너는 우리 전차를 사용하여 고음에서 선윤을 맹렬히 공격했고, 많은 머리를 베고 많은 포로를 잡았다. 융은 크게 모여 너를 따라 추격했고, 너와 융은 크게 학살하고 싸웠다. 너는 잘했고, 우리 전차가 어려움에 갇히도록 하지 않았다. 너는 많은 사람들을 사로잡아 머리를 베고 포로를 잡았다." |
3. 2. 고고학적 증거
주 선왕 시대의 기록인 시경·채미(采薇)에는 주나라와 험윤 간의 전투와 병사들의 고된 생활이 묘사되어 있으며, 동진의 사현(謝玄)은 이를 시경 중 최고의 시편으로 꼽았다.[50]험윤은 사와 문화(Siwa culture)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사와 유적지의 규모가 작고 생계 수준이 낮다는 점, 그리고 험윤이 더 발전된 사회였다는 점 때문에 이 견해에는 의문이 있다.[19]
3. 2. 1. 사와 문화 (기원전 1300~600년)
몽골의 사슴돌에 묘사된 유목 지도자들(기원전 1400-700년)은 대규모로 조직화된 유목 집단을 이끌었으며, 그들의 남쪽에 있는 중국의 후기 상 및 초기 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2] 그들의 전차 기술은 중국에서 전차 개발을 촉진했을 수 있다.[18]
험윤은 고고학적으로 확인된 사와 문화(Siwa culture)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사와 유적지가 작고 생계 수준이 낮다는 점과 험윤이 더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는 점 때문에 이 이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19] 펑리(Feng Li)에 따르면, 이는 험윤과 같은 고도로 발달된 사회를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19] 논쟁은 여전히 열려 있다.[20]
기원전 7세기부터 사와 문화는 유라시아 스텝 문화, 특히 사카(Saka)의 스키타이 오르도스 문화(Ordos culture)의 출현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다시 중국의 중원과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했다.[21]
3. 2. 2. 사슴돌 문화 (기원전 1400~700년)
몽골의 사슴돌에 묘사된 기원전 1400년에서 700년 사이의 유목 지도자들은 대규모 조직적인 유목 집단을 이끌었으며, 남쪽에 위치한 중국의 상 및 초기 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2] 이들은 단검, 자루 달린 도끼, 말 고삐 고리와 같은 무기와 전쟁 도구를 갖추고 있었다. 거대한 장식된 석묘를 건설할 수 있는 대규모 조직적 유목 집단을 이끄는 이 강력한 유목 지도자들은 초기 중국 왕조에 대한 유목민의 도전의 일부였을 수 있다.[22]3. 2. 3. 상하가점 문화 (기원전 1000~600년)
상하가점 문화는 중국 북동부의 청동기 시대 고고학 문화로, 유라시아 스텝 청동기 전통에서 파생되었다.[23] 이 문화는 중국 역사 속의 동호("동쪽 오랑캐")와 관련이 있다.4. 후대 기록과 해석
사마천, 응소, 위소, 진탁 등 후기 중국 연대기에는 선윤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24][25][26][27] 이들은 훈육(獯鬻) 또는 ''선윤''이 한나라 시대에 "흉노"(匈奴)로 번역된 유목민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언급했다. 당나라 시대의 주석가인 사마정도 이러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28] 왕국유는 청동기 비문과 글자 구조에 대한 음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귀방"(鬼方), "훈육"(獯鬻), "선우"(鮮虞), 선윤, "융족"(戎), "북적"(狄), "오랑캐"(胡)라는 부족 이름이 연대기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흉노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등장한 동일한 민족을 지칭한다는 결론을 내렸다.[29][30][31]
유목민의 종족명이 표준 중국어 ''선윤''의 조상인 고대 중국어 음운론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중국학자 악셀 슐러는 청동기 비문과 시경을 사용하여 기원전 780년으로 추정했다.[32]
베세볼로트 타스킨은 사마천의 사기 및 기타 자료를 사용하여 고대 선사 시대(전설적인 황제 시대)에 흉노는 葷粥 ''훈육''으로 불렸고, 후기 선사 시대(전설적인 요임금과 순임금 시대)에는 戎 ''융''으로 불렸으며, 상나라 시대(기원전 1600–1046년)부터는 鬼方 ''귀방''으로 불렸고, 주 시대(기원전 1045–256년)에는 獫狁 ''선윤''으로 불렸으며, 진 시대(기원전 221–206년)부터 중국 연대기 작가들은 흉노 ''흉노''라고 불렀다고 결론 내렸다.[33][34][35]
리펑은 왕국유의 주장을 "본질적으로 연역적"이며 확실한 증거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37] 풀리블랭크(1983)를 따라 리펑은 선윤을 흉노와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하고, 선윤을 戎 ''서융'' ("호전적인 외국인"을 의미) 집단 중 하나로만 본다.[38] 리펑은 선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황하의 오르도스 루프에서 상류에 걸쳐 있는 "북부 지대 복합체"에서 널리 분포된 공동체에 거주하는 토착 사냥꾼, 농부, 유목민이었다.
- 오르도스 문화의 문화적 후계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기원전 6세기~2세기; 상나라 말기부터 서주 초까지), 유목이 점차 지배적이 되었다.
- 선윤 사회는 "상당한 규모와 높은 권력 집중"을 자랑하여 주나라에 대항하여 수백 대의 전차를 투입할 수 있었다.[39]
또한, 리펑은 ''선윤''과 ''견융''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40] 견융이라는 용어가 동주 시대에 선윤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41] 리펑은 서주 청동기 비문, 시경, 국어, 죽서기년을 볼때, 선윤이라는 이름이 獫狁과 같이 그래픽적으로 경멸적인 형태로 쓰여졌을 때, 犭"개" 부수로 인해 글자 獫의 개에 대한 개념이 ''견융''(犬戎; 문자 그대로 "개 오랑캐")이라는 단어를 만들도록 유도했다고 지적한다.[45]
4. 1. 흉노와의 관계
사마천[24], 응소[25], 위소[26], 진탁[27] 등은 선윤을 흉노의 선조로 보았다. 이들은 훈육(獯鬻) 또는 ''선윤''이 한나라 시대에 "흉노"(匈奴)로 번역된 유목민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언급했다.[28] 왕궈웨이는 청동기 비문과 글자 구조에 대한 음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귀방"(鬼方), "훈육"(獯鬻), "선우"(鮮虞), 선윤, "융족"(戎), "북적"(狄), "오랑캐"(胡)라는 부족 이름이 연대기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흉노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등장한 동일한 민족을 지칭한다는 결론을 내렸다.[29][30][31]그러나 폴 R. 골딘(2011)은 葷粥 ~ 獯鬻 ~ 獯鬻 ~ 薰育을 *''xur-luk'', 獫狁을 ''hram′-lun′'', 匈奴를 *''xoŋ-NA''로 재구성하며, 세 이름 모두 "분명히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음운 변화로 인해 이름이 실제보다 더 표면적으로 유사해졌고, 후대 역사가와 주석가들이 이러한 이름이 서로 다른 시대의 동일한 민족을 지칭했다고 결론 내리도록 유도했지만, 전국 시대의 사람들은 결코 그렇게 오해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6]
리펑(2006)은 왕궈웨이의 주장을 "본질적으로 연역적"이며 확실한 증거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특징짓는다.[37] 풀리블랭크(1983)를 따라 리는 선윤과 흉노의 동일시를 거부하고, 선윤을 서융 "호전적인 외국인" 집단 중 하나로만 식별한다.[38]
4. 2. 언어학적 분석
사마천, 응소, 위소, 진탁 등 후기 중국 연대기에는 선윤에 대한 언급이 여러 번 등장한다.[24][25][26][27] 이들은 훈육 또는 ''선윤''이 한나라 시대에 "흉노"로 번역된 유목민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언급했다. 당나라 시대의 주석가인 사마정도 이러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28] 왕국유는 청동기 비문과 글자 구조에 대한 음운 연구와 비교를 통해 "귀방", "훈육", "선우", 선윤, "융족", "북적", "오랑캐"라는 부족 이름이 연대기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나중에 흉노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등장한 동일한 민족을 지칭한다는 결론을 내렸다.[29][30][31]유목민의 종족명이 표준 중국어 ''선윤''의 조상인 고대 중국어 음운론을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중국학자 악셀 슐러는 청동기 비문과 시경을 사용하여 기원전 780년으로 추정했다.[32]
사마천의 사기 및 기타 자료를 사용하여 베세볼로트 타스킨은 고대 선사 시대(전설적인 황제 시대)에 흉노는 葷粥 ''훈육''으로 불렸고, 후기 선사 시대(전설적인 요임금과 순임금 시대)에는 戎 ''융''으로 불렸으며, 상나라 시대(기원전 1600–1046년)부터는 鬼方 ''귀방''으로 불렸고, 주 시대(기원전 1045–256년)에는 獫狁 ''선윤''으로 불렸으며, 진 시대(기원전 221–206년)부터 중국 연대기 작가들은 흉노 ''흉노''라고 불렀다고 결론 내렸다.[33][34][35]
폴 R. 골딘(2011)은 葷粥 ~ 獯鬻 ~ 獯鬻 ~ 薰育을 *''xur-luk'', 獫狁을 ''hram′-lun′'', 匈奴를 *''xoŋ-NA''로 재구성하며, 세 이름 모두 "분명히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음운 변화로 인해 이름이 실제보다 더 표면적으로 유사해졌고, 후대 역사가와 주석가들이 이러한 이름이 서로 다른 시대의 동일한 민족을 지칭했다고 결론 내리도록 유도했지만, 전국 시대의 사람들은 결코 그렇게 오해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6]
리펑(2006)은 왕국유의 주장을 "본질적으로 연역적"이며 확실한 증거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특징짓는다.[37] 풀리블랭크(1983)를 따라 리는 선윤과 흉노의 동일시를 거부하고, 선윤을 戎 ''서융'' "호전적인 외국인" 집단 중 하나로만 식별한다.[38] 리는 선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 황하의 오르도스 루프에서 상류에 걸쳐 있는 "북부 지대 복합체"에서 널리 분포된 공동체에 거주하는 토착 사냥꾼, 농부, 유목민이었다.
- 오르도스 문화의 문화적 후계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기원전 6세기~2세기; 상나라 말기부터 서주 초까지), 유목이 점차 지배적이 되었다.
- 선윤 사회는 "상당한 규모와 높은 권력 집중"을 자랑하여 주나라에 대항하여 수백 대의 전차를 투입할 수 있었다.[39]
또한, 리는 ''선윤''과 ''견융''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40] 견융이라는 용어가 동주 시대에 선윤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41] 리는 서주 청동기 비문, 시경, 국어, 죽서기년을 근거로, 선윤이라는 이름이 獫狁과 같이 그래픽적으로 경멸적인 형태로 쓰여졌을 때, 犭"개" 부수로 인해 글자 獫의 개에 대한 개념가 ''견융''(犬戎; 문자 그대로 "개 오랑캐")이라는 단어를 만들도록 유도했다고 지적한다.[45]
4. 3. 현대 역사학계의 논쟁
리펑(2006)은 왕국유의 주장이 "본질적으로 연역적"이며 확실한 증거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37] 풀리블랭크(1983)를 따라 리펑은 선윤을 흉노와 동일시하는 것을 거부하고, 선윤을 戎 ''서융'' ("호전적인 외국인"을 의미) 집단 중 하나로만 본다.[38] 리펑은 선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황하의 오르도스 루프에서 상류에 걸쳐 있는 "북부 지대 복합체"에서 널리 분포된 공동체에 거주하는 토착 사냥꾼, 농부, 유목민이었다.
- 오르도스 문화의 문화적 후계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기원전 6세기~2세기; 상나라 말기부터 서주 초까지), 유목이 점차 지배적이 되었다.
- 선윤 사회는 "상당한 규모와 높은 권력 집중"을 자랑하여 주나라에 대항하여 수백 대의 전차를 투입할 수 있었다.[39]
또한, 리펑은 ''선윤''과 ''견융''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거나,[40] 견융이라는 용어가 동주 시대에 선윤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41] 리펑은 서주 청동기 비문, 시경, 국어, 죽서기년을 볼때, 선윤이라는 이름이 獫狁과 같이 그래픽적으로 경멸적인 형태로 쓰여졌을 때, 犭"개" 부수로 인해 글자 獫의 개에 대한 개념이 ''견융''(犬戎; 문자 그대로 "개 오랑캐")이라는 단어를 만들도록 유도했다고 지적한다.[45]
5. 비문
서주 시대의 시와 청동기 명문에는 선윤과의 충돌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 선윤은 황하의 허타오 지역에서 황하 상류 계곡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점유하며 비교적 잘 조직된 사회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선윤 사회는 문화적으로 상당히 균일했으며, 최상위 계층에 높은 수준의 집중이 이루어졌고, 주 왕조에 대항하여 조율된 행동을 할 수 있었다. "선윤"은 아마도 그들이 스스로 지칭한 고유어였을 것이며, 주 왕조는 그들을 일반적으로 '융'(戎, "호전적인 민족")이라는 용어로 불렀다.[4] 이 용어들은 상당히 상호 교환 가능했는데, 의왕 (기원전 899–892년) 재위 기간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시는 융(戎)과 적(狄)의 침략을 번갈아 묘사하며, 선윤이 모든 것을 파괴했다고 결론 내린다.[9]
선윤은 청동 투구, 창, ''정''(鼎)과 ''포''(铺)와 같은 청동 물건을 사용했는데, 이는 주나라에 의해 포획되어 기록되었고, 그들 자신의 ''정'' 의례용기에 주조되었으며, 이는 모두 의왕과 효왕 (기원전 899–886년) 재위 기간에 일어났다.[10] 그들은 또한 주나라와 마찬가지로 전쟁용 전차를 사용했으며, 한 번의 공격에 최대 400대까지 동원했다. 그들은 선왕 (기원전 827/25–782년) 재위 기간 동안 수도 시안 인근을 공격했다.[11]
선윤에 대한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기록은 주 선왕 (기원전 827/25–782년) 재위 기간에 대량으로 나타난다.[12] 문헌 기록에 따르면, 서융 "서쪽 융"이라는 이름으로 주나라에 대한 최초의 침략은 기원전 843년에 일어났다.[13] 기원전 823년, 선왕 재위 5년에 선윤은 다시 공격했다.
5. 1. 《시경》
《시경》에는 주나라와 선윤 간의 군사 행동에 관한 노래가 4편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채기"(采其)는 선윤과의 전투에서 주나라 전차 3,000대가 동원되었음을 언급하고 있다.[13] "육월"(六月)은 전투가 징강 (경수)과 낙수 하류 및 위수 유역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이는 주나라 중심부와 매우 가까운 곳이었음을 보여준다.[13] 《시경·채미(采薇)》는 당시 주나라와 험윤의 전투 상황과 병사들의 고된 전투 생활을 묘사하고 있으며, 동진의 사현은 이 시를 《시경》 중 가장 뛰어난 시편으로 꼽았다.5. 2. 다우정 (기원전 840년)
기원전 840년, 주 여왕(기원전 877년 ~ 841년) 재위 14년에 험윤은 다유정 비문에 기록된 대로 주나라 수도 호경에 도달했다. "험윤이 크게 일어나 징시를 광범위하게 공격했기 때문에 10월에 왕에게 보고되었다. 왕은 무공에게 명령했다: "가장 유능한 병사를 보내 징시에서 추격하라!" 무공은 다유에게 명령했다: "공작 전차를 이끌고 징시에서 추격하라!" (...) 다유는 머리를 베어 포로를 생포하여 심문했다: 총 205개의 머리를 베고 23명의 포로를 생포했으며 117대의 융 전차를 빼앗았다."[14] 여기서 "서융"과 험윤은 동일한 민족으로, 전자는 "서쪽의 호전적인 부족"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이고, 후자는 그들의 실제 민족 명칭이다.[13]5. 3. 괵계자백반 (기원전 816년)
괵계자백반에는 괵계자백이 선윤을 공격하여 낙수 북쪽에 이르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3][16] 기원전 816년경 시안 근처에서 발굴된 다유 청동 ''정'' 비문에는 선윤 군대가 오르도스 지역 하류의 경(京) 수비대를 공격하여 주나라가 군사적으로 대응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는 주나라처럼 선윤이 말에 끌린 전차에서 싸웠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시 증거는 선윤의 기동성 증가가 활과 화살로 무장한 기마 유목민의 출현과 관련이 없음을 나타낸다.[13][16]5. 4. 부기궤 (기원전 815년)
부기궤(不盨簋)에는 부기(Buqi)가 선윤을 공격하고 포로를 잡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참조
[1]
웹사이트
灵台白草坡 西周墓葬里的青铜王国
http://www.kaogu.net[...]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19 November 1995 - 2 September 1996, Arthur M. Sackler Gallery
https://ia601307.us.[...]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 [u.a.]
1995
[3]
서적
Traders and raiders on China's northern frontier: 19 November 1995 - 2 September 1996, Arthur M. Sackler Gallery
https://ia601307.us.[...]
Arthur M. Sackler Gallery, Smithsonian Inst. [u.a.]
1995
[4]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2017-11-23
[5]
간행물
Early Pastoral Economies and Herding Transitions in Eastern Eurasia
https://www.nature.c[...]
2020-01-22
[6]
문서
"Phonological Notes on Hàn Period Transcriptions of Foreign Names and Words"
http://www.ling.sini[...]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2014
[7]
서적
Outlines of Ethnic Groups in China
Shanxi Education Press
[8]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9]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2017-11-23
[10]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2017-11-23
[11]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2017-11-23
[12]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urasian Neighbors: Artifacts, Identity and Death in the Frontier, 3000–700 BCE
2017-11-23
[13]
문서
The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4]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15]
문서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2006
[16]
문서
2006
[17]
간행물
Seeking Horses: Allies, Clients and Exchanges in the Zhou Period (1045–221 BC)
https://link.springe[...]
2021-12-01
[18]
간행물
Understanding early horse transport in eastern Eurasia through analysis of equine dentition
https://doi.org/10.1[...]
2021-12
[19]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0]
간행물
Review of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https://www.jstor.or[...]
2008
[21]
간행물
Stable Isotopic Evidence for Human and Animal Diets From the Late Neolithic to the Ming Dynasty in the Middle-Lower Reaches of the Hulu River Valley, NW China
2022
[22]
간행물
Steppe Weapons in Ancient China and the Role of Hand-to-hand Combat
https://www.academia[...]
2015
[23]
서적
The Rise of Civilization in East Asia: the Archaeology of China, Korea and Japan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24]
문서
"Shiji"
Bo-na
1958
[25]
문서
Suoyin
https://ctext.org/wi[...]
[26]
문서
Shiji jijie
https://ctext.org/wi[...]
[27]
문서
Suoyin
https://ctext.org/wi[...]
[28]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Science", Moscow
1992
[29]
문서
"Guantang Jilin"
[30]
문서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31]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Xiongnu"
"Science", Moscow
1968
[32]
문서
2014
[33]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s://ctext.org/sh[...]
[34]
문서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35]
문서
Classic of Poetry
https://ctext.org/bo[...]
[36]
논문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https://www.academia[...]
Penn Museum International Research Conferences
2011
[37]
서적
Li (2006)
[38]
서적
Li (2006)
[39]
서적
Li (2006)
[40]
서적
Li (2006)
[41]
서적
Li (2006)
[42]
기타
Shijing Airs of Qin - Iron-black Horse-Quartet
https://ctext.org/bo[...]
[43]
기타
Erya Elucations on Domesticated Animals
[44]
기타
SWJZ Radical 犬
https://ctext.org/sh[...]
[45]
서적
Li (2006)
[46]
간행물
The Triumph: A Heritage of Sorts
http://www.chinaheri[...]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9
[47]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48]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The Crisis and Fall of the Western Zhou 1045–77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8-17
[49]
기타
說文解字
[50]
서적
鬼方、昆夷、玁狁考
觀堂集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