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9년 보스턴 반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89년 보스턴 반란은 1680년대 잉글랜드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사건이다. 잉글랜드 국왕 찰스 2세는 뉴잉글랜드 식민지를 재편성하고, 제임스 2세는 뉴잉글랜드 자치령을 창설하여 에드먼드 앤드로스를 총독으로 임명했다. 앤드로스의 강압적인 통치와 잉글랜드의 명예 혁명이 맞물리면서, 보스턴을 중심으로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군은 앤드로스를 체포하고, 자치령을 해체했으며, 각 식민지는 이전 헌장을 복원했다. 이후 잉글랜드는 매사추세츠 만 자치령을 설립하여 식민지 통제를 강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반란 - 보스턴 차 사건
보스턴 차 사건은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수입에 반대하여 보스턴 시민들이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미국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 미국의 반란 - 말레르 국립야생보호구역 점거사건
말레르 국립야생보호구역 점거사건은 2016년 1월, 연방 정부의 토지 관리 정책에 반대하는 무장 시위대가 오리건주 말레르 국립야생보호구역을 점거하며 시작되어, 해먼드 부자 방화 사건 촉발, 애먼 번디 등 지도자들의 주도, 정부의 협상 및 체포 작전 시도, 라보이 피니컴 사망, 관련자 기소 및 재판, 그리고 보호구역 재개방으로 이어진 사건이다. - 명예혁명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 명예혁명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1689년 보스턴 반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쟁 | 1689년 보스턴 반란 |
일부 | 명예 혁명 |
날짜 | 1689년 4월 18일 |
장소 | 보스턴, 뉴잉글랜드 자치령 |
결과 | 뉴잉글랜드 자치령 해체; 제임스 2세의 통치에 충성하는 관리들의 축출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보스턴 식민지 개척자 |
교전국 2 | 뉴잉글랜드 자치령 |
지휘관 및 지도자 | |
지휘관 1 | 사이먼 브래드스트리트 코튼 매더 |
지휘관 2 | 에드먼드 안드로스 존 조지 |
병력 규모 | |
병력 1 | 민병대 2,000명 많은 시민 |
병력 2 | 병사 약 25명 프리깃함 1척 |
2. 역사적 배경
1680년대 초, 잉글랜드의 찰스 2세 국왕은 아메리카 식민지에 대한 왕실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다.[1] 1684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헌장이 폐지되었는데, 이는 식민지 지도자들이 개혁 요구에 따르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2] 찰스 2세는 1685년에 사망했지만, 그의 뒤를 이은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는 이러한 노력을 계속하여 뉴잉글랜드 자치령을 설립했다.[62] 제임스 2세는 가톨릭교 신자였으며, 그의 종교 정책은 청교도가 대다수인 뉴잉글랜드 주민들에게 반감을 샀다.
1686년 뉴잉글랜드 자치령 총독으로 임명된 에드먼드 앤드로스는 지역 대표성을 무시하고, 기존 토지 소유권을 부정하며, 타운 회의를 제한하고, 성공회를 강요하는 등 강압적인 통치를 시행했다.[65] 또한 항해법을 시행하여 뉴잉글랜드의 무역 관행을 위협했고, 이는 경제적 불만을 야기했다.[66] 보스턴에 주둔한 왕실 부대는 총독 지지자이자 성공회나 가톨릭 신자인 장교들에게 학대받는 경우가 많았다.[67]
한편, 잉글랜드에서도 제임스 2세의 인기는 떨어지고 있었다. 그는 관용 칙령을 발표하여 종교의 자유를 제한적으로 확립했지만, 이는 성공회 교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또한 정규군의 힘을 강화하고 가톨릭 신자들을 군 요직에 임명하여 의회의 권위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69][70] 1688년 6월, 제임스 2세의 아들 제임스 프란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태어나자, 일부 휘그당과 토리당 의원들은 제임스 2세를 대신하여 그의 프로테스탄트 사위인 오렌지 공 윌리엄 3세를 왕위에 올리려는 음모를 꾸몄다.[73] 명예 혁명으로 윌리엄 3세와 그의 아내 메리 2세가 공동 통치자로 즉위했다.[75]
코튼 매더와 인크리스 매더를 비롯한 매사추세츠의 종교 지도자들은 앤드로스의 통치에 반대하며 런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인크리스 매더는 잉글랜드로 건너가 제임스 2세를 만나 식민지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지만, 명예 혁명으로 인해 이는 무산되었다.[79]
2. 1. 명예 혁명과 뉴잉글랜드의 상황
1680년대 초, 잉글랜드의 국왕 찰스 2세는 뉴잉글랜드의 여러 식민지를 재편성하기 시작했다.[60] 1684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헌장이 무효화되었는데, 이는 식민지 내 개혁에 대한 국왕의 요구를 퓨리턴 통치자가 거부했기 때문이었다.[61] 찰스 2세는 소규모 식민지의 행정을 합리화하여 본국의 지배 아래에 더 가깝게 두려고 했다.[61] 찰스 2세는 1685년에 사망했고, 그의 후계자인 가톨릭 신자 제임스 2세가 이 일을 계속하여 마침내 뉴잉글랜드 자치령이 창설되었다.[62]1686년, 뉴욕 식민지의 전 총독인 에드먼드 앤드로스가 뉴잉글랜드 자치령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이 자치령은 매사추세츠 만, 코네티컷, 뉴햄프셔, 로드아일랜드 각 식민지로 구성되었다.[63] 1688년에는 뉴욕, 이스트 저지, 웨스트 저지까지 그 관할이 미쳤다.[64]
뉴잉글랜드에서 앤드로스의 통치는 매우 불평이 많았다. 그는 각 식민지의 대표를 무시하고 매사추세츠의 토지 소유권의 효력을 부정했는데, 이 소유권은 이전 헌장에 명시되어 있었다. 그 외에도 시민 의회를 규제하고 퓨리턴이 많은 지역에 적극적으로 성공회를 추진했다.[65] 또한, 뉴잉글랜드에서 확립된 교역 관습을 위협하는 항해 조례를 강요했다.[66] 보스턴에는 영국 본국의 부대가 주둔했고, 그 장교들 중에는 성공회 신자나 가톨릭 신자도 있었다. 앤드로스 정부의 지지자로 여겨졌던 일부 장교들은 자신이 지휘하는 민병대를 혹사시켰다.[67]

그 동안 잉글랜드에서는 제임스 2세가 점점 인기를 잃고 있었다. 제임스는 자치령 문제와는 별개로 형법 완화에 관해 자신의 지지 정당인 토리와 거리를 두었다.[68] 그리고 1687년에는 신앙 자유 선언을 발표하여 종교의 자유를 제한적으로 확립했다. 이는 성공회를 정점으로 하는 사회 계층에 대한 대항 수단이었다. 또한 상비군의 힘을 강화했지만, 이는 의회파로부터 의회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게다가 가톨릭 신자를 군의 요직에 임명했다.[69][70] 제임스는 많은 관청에서 시행을 요구받고 있던 성공회 신자임을 확인하는 심사율을 무효화하기 위해 자신의 지지자를 의원으로 만들려고까지 했다.[71] 1688년 6월에 다음 왕위 계승 예정자인 아들 제임스가 탄생한 데 따라,[72] 휘그당과 토리당 일부 의원들이 정치적 신념의 차이를 잠시 미루고 제임스를 퇴위시키고 사위인 윌리엄에게 즉위시키는 것을 공모했다.[73] 이 네덜란드 왕족은 제임스에게 정책을 재검토하도록 권했지만 실패했고,[74] 잉글랜드 왕실 침입에 동의한 후 1688년 11월부터 12월에 걸쳐 명예 혁명이 일어나 윌리엄과 왕비 메리가 잉글랜드의 공동 통치자가 되었다.[75]
코튼 매더와 인크리스 매더가 이끄는 매사추세츠의 종교 지도자들은 앤드로스의 통치에 반대하여 런던의 왕궁에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반성공회 종교 단체를 결성했다. 제임스가 신앙 자유 선언을 발표한 후, 인크리스는 국왕에게 이 결의에 경의를 표하는 감사 편지를 보내 다른 매사추세츠의 비성공회 목사들에게도 국왕에게 호감을 얻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감사를 표하도록 시사했다.[76] 10명의 목사가 이에 동의하고, 인크리스를 잉글랜드로 보내 앤드로스의 악정을 개별 사례로 주장하게 했다.[77] 왕령의 사무관인 에드워드 랜돌프가 기소하는 것을 포함하여 반복적으로 만류했음에도 불구하고 1688년 4월 인크리스는 몰래 잉글랜드행 배를 탔다.[78] 인크리스와 다른 매사추세츠 대표는 제임스에게 환영받았고, 제임스는 그 해 10월에 식민지 문제를 처리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명예 혁명으로 식민지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은 좌절되었다.[79]
이에 매사추세츠의 대표는 상무청의 전신 조직으로 식민지 문제를 감독했던 상무경(Lords of Trade)에 매사추세츠 헌장의 부활을 간청했다. 게다가 인크리스 매더는 상무경에 명예 혁명을 앤드로스에게 통지하는 것을 늦추도록 약속을 받아냈다.[80] 매더는 이미 전 매사추세츠 총독 사이먼 브래드스트리트에게 매사추세츠 헌장의 무효화는 위법이며 행정 장관은 "변화를 위해 주민들에게 각오를 시키라"라는 명예 혁명 전에 준비된 보고가 담긴 편지를 보냈다.[81] 공식적인 소식이 도착하기 전에 보스턴에서는 몇몇이 명예 혁명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 이 후의 폭동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하게 되는 보스턴 상인 존 넬슨은 3월 말 날짜의 편지에서 이 혁명에 대해 언급했다.[82] 이 편지는 매사추세츠의 반앤드로스파의 고참 정치인과 종교 지도자들의 회의를 촉발하게 되었다.[83]
앤드로스가 처음 자신의 지배에 대한 폭동이 임박했다는 경고를 받은 것은 프랑스와 인디언의 연합군의 공격으로부터 메인의 페마키드 요새를 지키기 위해 공략을 위해 원정군을 이끌고 있는 도중이었다. 1688년 및 1689년 1월 앤드로스는 제임스로부터 편지를 받았는데, 네덜란드군이 전력을 증강하고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84] 1월 10일, 그는 개신교 (비국교회파)의 선동에 대항하기 위해 자치령에 대한 봉기를 금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85] 메인에서 앤드로스가 이끌던 군대는 영국의 정규군과 매사추세츠 그리고 메인의 민병의 혼합군이었다. 민병대의 중대 지휘관은 정규 장교였지만, 병사들에게 상당히 엄격한 규율을 부과하여 지휘관과 병사들 사이에 상당한 간극이 생겼다.[86] 앤드로스는 보스턴에서 타운 미팅에 위기감을 느껴, 명예 혁명의 비공식 보고를 받음에 따라 3월 중순에 메인에서 보스턴으로 돌아왔다.[67][84] 보스턴은 앤드로스가 이른바 "가톨릭 음모 사건"의 일환으로 병사들을 메인으로 데려갔다는 터무니없는 소문이 떠돌아다니면서 민병대 내부에서 반란이 일어나 매사추세츠의 민병은 임무를 버리고 각자 집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87] 4월 초에 명예 혁명을 알리는 선언이 보스턴에 도착하자 앤드로스는 그 사자를 체포했다. 그러나 이 소식은 곳곳으로 퍼져 보스턴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었다.[88] 앤드로스는 페마키드에 있는 지휘관에게 4월 16일에 편지를 썼다. 거기에는 "주민들이 과거 헌장의 부활을 크게 기대하며 여기저기서 시끄럽게 떠들고 있다"고 적혀 있었다. 이는 돌아온 탈영병들을 앤드로스가 체포하여 메인으로 배로 돌려보내던 시기였다.[89] 자신들의 지역 민병으로부터 체포될 것이라는 공포감이 보스턴 주민과 자치령 정부 간의 긴장을 높였다.[90]
3. 1689년 보스턴 반란
1689년 4월 18일, 보스턴에서 민병대와 시민들이 들고일어나 앤드로스 총독과 자치령 관리들을 체포하고 자치 정부를 복원했다. 이 반란은 찰스타운과 록스베리에서 시작되어 보스턴으로 확산되었다. 민병대는 포트 메리를 포위하고 앤드로스 총독을 체포했다.
반란 이후, 앤드로스는 여자 옷을 입고 탈출을 시도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성공회 목사 로버트 래트클리프는 이를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43] 앤드로스는 로드아일랜드로 도주했다가 다시 체포되어 독방에 갇히기도 했다.[44] 그는 런던으로 압송되어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46] 이후 앤드로스는 버지니아와 메릴랜드의 총독으로 재직했다.[47]
3. 1. 반란의 전개 과정

4월 18일 오전 5시경, 찰스강 건너편 찰스타운과 보스턴을 본토와 연결하는 넥 끝에 있는 록스베리에서 민병대가 모이기 시작했다.[31] 오전 8시경, 찰스타운 부대는 배로 강을 건넜고, 록스베리 부대는 넥을 따라 도시로 진군했다. 고대 명예 포병대는 도시 연대 고수(鼓手) 집에 들어가 장비를 압수했다. 오전 8시 30분경 민병대는 불어나는 군중과 합류, 도독령 및 연대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앤드로스가 있던 포트 메리를 포위했다.[32]
가장 먼저 체포된 사람 중 하나는 오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상륙한 존 조지 선장이었다. 그는 민병대 소대 및 배의 목수와 마주쳤다.[31] 조지는 체포 영장을 요구했고, 민병대는 칼을 뽑아 그를 구금했다. 오전 10시까지, 대부분의 도독령 및 군 관계자는 체포되거나 캐슬 아일랜드 등 요새 기지로 도망쳤다. 보스턴 성공회 신자들은 교회 치안 판사와 약국을 포함하여 시민들에게 체포되었다.[33] 정오 전, 약 1,500명의 민병대가 비컨힐에 오렌지색 깃발을 게양, 도시에 진입하라는 신호를 보냈다. 이들은 시장 광장에 집결하여 "끔찍한 ''교황 음모''" 때문에 봉기를 촉구하며 "오렌지 공의 고귀한 사업"을 지지하는 선언문을 읽었다.[34]
전 주지사 사이먼 브래드스트리트가 이끄는 매사추세츠 식민지 지도부는 앤드로스 총독에게 안전을 위해 항복할 것을 촉구했다.[35] 앤드로스는 거부하고 ''Rose''호로 도망치려 했지만, 민병대가 ''Rose''호에서 온 보트를 가로막아 포트 메리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36] 협상 후 앤드로스는 의회와 만나기 위해 요새를 떠났다. 안전을 약속받고 경비 아래 시청으로 행진하여 의회가 소집된 곳에서 "정부를 자신들의 손에 넣어야 하고 그렇게 할 것이다"라는 말을 듣고 체포되었다.[37][38] 다니엘 피셔가 그의 옷깃을 잡고[39] 도독령 관리 존 어셔의 집으로 데려가 감시했다.[38][40]
''Rose''호와 캐슬 아일랜드의 포트 윌리엄은 처음에는 항복을 거부했다. 그러나 4월 19일 ''Rose''호 승무원들이 선장이 망명한 제임스 2세와 합류하려 프랑스로 배를 가져갈 계획이라는 말을 들었다. 격투 후 승무원 중 개신교도들이 배의 밧줄을 끊었고, 캐슬 아일랜드 병사들은 이를 보고 항복했다.[41]
3. 2. 반란 이후 상황
1689년 4월 19일, 요새 메리가 항복하자 앤드로스 총독은 어셔의 집에서 요새로 옮겨졌다. 그는 조셉 더들리 등 다른 지배령 관리들과 함께 6월 7일까지 감금되었다가 캐슬 아일랜드로 이송되었다. 앤드로스가 여자 옷을 입고 탈출을 시도했다는 소문이 널리 퍼졌으나,[42] 보스턴의 성공회 목사 로버트 래트클리프는 이를 "진실의 근거가 전혀 없는 거짓말"이라며 앤드로스를 혐오스럽게 만들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43]8월 2일, 앤드로스는 하인이 감시병에게 술을 주고 매수한 덕분에 캐슬 아일랜드에서 탈출, 로드아일랜드로 도주했지만 곧 다시 체포되어 사실상 독방에 갇혔다.[44] 앤드로스는 반란 이후 체포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재판을 받기 위해 영국으로 보내지기 전까지 10개월 동안 구금되었다.[45] 런던 주재 매사추세츠 대리인들은 앤드로스에 대한 혐의를 열거한 문서에 서명을 거부했고, 그는 즉시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46] 이후 앤드로스는 버지니아와 메릴랜드의 총독으로 재직했다.[47]
4. 뉴잉글랜드 자치령의 해체
보스턴 반란 이후, 잉글랜드 관료들은 붕괴된 뉴잉글랜드 자치령을 복원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57] 대신, 런던에서는 매사추세츠와 그 철회된 헌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1691년 매사추세츠 만 직할 식민지가 형성되었다. 이 새로운 식민지는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와 플리머스 식민지, 낸터킷, 마서스 비니어드, 엘리자베스 제도, 그리고 메인의 일부를 포함하여 이전 뉴욕에 속했던 영토를 합병한 것이었다.[58]
인크리스 매더는 이전의 청교도 통치를 복원하려고 시도했지만, 새로운 헌장은 국왕이 임명한 총독과 종교적 관용을 요구했기 때문에 실패했다.[58][59]
4. 1. 뉴잉글랜드 각 식민지의 자치 정부 복원
도미니언 내의 다른 뉴잉글랜드 식민지들은 앤드로스의 실각 소식을 접하고, 식민지 당국은 도미니언 이전의 정부 구조를 복원하기 위해 움직였다.[48] 로드아일랜드와 코네티컷은 이전 헌장에 따라 통치를 재개했고, 매사추세츠는 판사, 매사추세츠 만 관리, 앤드로스의 의회 다수로 구성된 위원회에 의해 임시로 통치된 후 무효화된 헌장에 따라 통치를 재개했다.[49] 뉴햄프셔는 임시로 정식 정부 없이 남겨졌고, 매사추세츠와 그 주지사 사이먼 브래드스트리트의 통제를 받았으며, 그는 북부 식민지의 "사실상" 통치자 역할을 했다.[50] 플리머스 식민지 또한 이전 형태의 통치를 재개했다.[51]4. 2. 뉴욕의 상황과 레이슬러의 반란
뉴잉글랜드의 다른 식민지들은 앤드로스 총독의 전복 소식을 접하고, 도미니언 이전의 정부 구조로 복귀하기 시작했다.[48] 앤드로스는 억류 중에도 뉴욕 부지사 프랜시스 니콜슨에게 지원을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그러나 5월 중순에 도착한 이 요청은 니콜슨의 병력 대부분이 메인에 파견되었고 뉴욕 내 긴장 고조로 인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웠다.[52] 결국 니콜슨은 레이슬러의 반란으로 야코프 레이슬러파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잉글랜드로 도주했다.[53] 레이슬러는 1691년 군대가 도착할 때까지 뉴욕을 통치했으며,[54] 이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임명한 헨리 슬라우터 총독에게 권력을 넘겨주었다.[55] 슬라우터는 레이슬러를 대역죄로 기소하여 유죄 판결 후 처형했다.[56]5. 결과 및 영향
왕령을 구성하고 있던 다른 식민지들도 앤드로스가 실각했다는 소식을 듣고, 각자의 정부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였다.[107] 로드아일랜드와 코네티컷은 이전 칙허장 하의 통치를 재개했다. 매사추세츠는 무효화되었던 칙허장에 따라 임시 위원회에서 통치를 했지만, 급진파의 폭동 위협으로 해산되었다. 뉴햄프셔는 매사추세츠 총독 사이먼 브래드스트리트가 임시 통치했으며, 그는 13개 식민지 북부의 "사실상의" 통치자가 되었다.[109] 플리머스 역시 이전의 통치 방식을 재개했다.[110]
수감 중에도 앤드로스는 뉴욕의 왕령 부총독 프랜시스 니콜슨에게 지원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니콜슨은 5월 중순에 요청을 받았지만, 병력이 메인에 배치되어 있었고 뉴욕 내 긴장 고조로 인해 효과적인 행동을 취할 수 없었다.[111] 니콜슨은 제이콥 레이슬러가 이끄는 반란으로 쫓겨나 잉글랜드로 도망쳤다.[112] 레이슬러는 1691년까지 뉴욕을 지배했고,[113] 이후 윌리엄과 메리 양 국왕에 의해 헨리 슬로터가 총독으로 취임했다.[114] 슬로터는 레이슬러를 대역죄 혐의로 재판에 넘겨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했다.[115]
레이슬러의 반란 진압과 뉴잉글랜드 각 식민지의 정부 부활 이후, 잉글랜드 관료들은 "산산이 부서진" 왕령을 재건하려 하지 않았다.[116] 앤드로스의 체포가 기정사실화되자, 런던에서의 논의는 매사추세츠와 그 무효화된 칙허장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로 바뀌었다. 이 논의를 통해 매사추세츠 만 직할 식민지가 구성되었다. 칙허장이 없던 플리머스 식민지, 낸터킷, 마서스 비니어드, 엘리자베스 제도와 과거 뉴욕에 속했던 지역, 메인의 일부 지역이 매사추세츠와 합병되었다. 인크리스 매더는 과거 청교도 통치를 부활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새 칙허장에서는 국왕이 선임한 총독과 모든 종교를 수용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117][118]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Webb의 저서)
[37]
서적
(Palfrey의 저서)
[38]
서적
(Webb의 저서)
[39]
서적
Dedham, Massachusetts, 1635–1890
https://books.google[...]
Dedham Historical Society
[40]
서적
(Lustig의 저서)
[41]
서적
(Webb의 저서)
[42]
서적
(Fiske의 저서)
[43]
서적
(Lustig의 저서)
[44]
서적
(Lustig의 저서)
[45]
서적
(Lustig의 저서)
[46]
서적
(Kimball의 저서)
[47]
서적
(Lustig의 저서)
[48]
서적
(Palfrey의 저서)
[49]
서적
(Lovejoy의 저서)
[50]
서적
(Tuttle의 저서)
[51]
서적
(Lovejoy의 저서)
[52]
서적
(Lustig의 저서)
[53]
서적
(Lovejoy의 저서)
[54]
백과사전
Leisler, Jacob
Encyclopædia Britannica
[55]
서적
(Lovejoy의 저서)
[56]
서적
(Lovejoy의 저서)
[57]
서적
(Evans의 저서)
[58]
서적
(Evans의 저서)
[59]
서적
(Barnes의 저서)
[60]
서적
(Lovejoy의 저서)
[61]
서적
(Lovejoy의 저서)
[62]
서적
(Lovejoy의 저서)
[63]
서적
(Barnes의 저서)
[64]
서적
(Barnes의 저서)
[65]
서적
(Lovejoy의 저서)
[66]
서적
(Barnes의 저서)
[67]
서적
(Webb의 저서)
[68]
서적
(Miller의 저서)
[69]
서적
(Lovejoy의 저서)
[70]
서적
(Webb의 저서)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