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캐나다 몬트리올의 몬트리올 바이오돔에서 열렸다. 남자 유도 6개 세부 종목(63kg급, 70kg급, 80kg급, 93kg급, 93kg이상급, 무제한급)으로 진행되었으며, 45개국이 참가했다. 일본이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소련이 2위, 대한민국이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로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캐나다 몬트리올 등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고, 동독이 금메달을, 폴란드가 은메달을,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안제이 샤르마흐가 6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 농구는 남자부에서 미국, 유고슬라비아, 소련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여자부에서는 소련, 미국, 불가리아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하며 남자 12개국, 여자 6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 2010년 동계 패럴림픽
2010년 동계 패럴림픽은 캐나다 밴쿠버와 휘슬러에서 개최되어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아이스 슬레지 하키, 휠체어 컬링의 5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마스코트 '수미'를 활용한 마케팅과 장애인 스포츠 참여 증가 및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은 2010년 2월 12일부터 28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되었으며, 82개국이 참가하여 7개 종목 15개 세부 종목에서 86개의 경기가 진행되었고, 캐나다가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유도 |
주관 기구 | IOC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개최 연도 | 1976년 |
개최 장소 | 몬트리올 바이오돔 |
개최 도시 | 몬트리올, 퀘벡 주, 캐나다 |
대회 기간 | 1976년 7월 26일 – 1976년 7월 31일 |
참가 선수 | 131명 |
참가 국가 | 46개국 |
세부 종목 - 남자 | |
63kg급 | 남자 63kg |
70kg급 | 남자 70kg |
80kg급 | 남자 80kg |
93kg급 | 남자 93kg |
+93kg급 | 남자 +93kg |
오픈 체급 | 남자 오픈 |
2. 경기장
경기는 몬트리올에 있는 몬트리올 바이오돔에서 열렸다.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남자 6종목으로 진행되었다. 세부 종목은 아래와 같다.[1]
3. 세부 종목
1972년 뮌헨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남자부 6개 체급만 실시되었다. 이전 대회까지는 예선에서 한 번 져도 패자부활전을 거쳐 우승할 수 있는 시스템이었으며, 뮌헨 올림픽에서는 실제로 중량급의 세키네 오사무, 경량급의 쇼타 초초시빌리, 무차별급의 빌렘 루스카 3명이 그 혜택을 받았다. 이후 이 시스템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1975년 IJF는 도중에 패한 선수는 최대 3위까지만 가능하도록 규칙을 개정했다.[1]
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63kg 이하급 | rowspan="2" | | rowspan="2" | | |
70kg 이하급 | rowspan="2" | | rowspan="2" | | |
80kg 이하급 | rowspan="2" | | rowspan="2" | | |
93kg 이하급 | rowspan="2" | | rowspan="2" | | |
93kg 초과급 | rowspan="2" | | rowspan="2" | | |
무차별급 | rowspan="2" | | rowspan="2" | | |
4. 참가국
참가국 | 참가 선수 |
---|---|
아르헨티나 | 2 |
오스트레일리아 | 3 |
오스트리아 | 4 |
벨기에 | 2 |
브라질 | 3 |
불가리아 | 4 |
캐나다 | 5 |
쿠바 | 2 |
체코슬로바키아 | 1 |
동독 | 3 |
에콰도르 | 2 |
핀란드 | 1 |
프랑스 | 5 |
영국 | 5 |
홍콩 | 1 |
헝가리 | 6 |
아이슬란드 | 2 |
이스라엘 | 1 |
이탈리아 | 3 |
일본 | 6 |
쿠웨이트 | 4 |
레바논 | 1 |
리히텐슈타인 | 3 |
멕시코 | 1 |
몽골 | 5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 2 |
니카라과 | 1 |
조선민주주의인민 공화국 | 3 |
파나마 | 1 |
폴란드 | 5 |
포르투갈 | 2 |
푸에르토리코 | 5 |
세네갈 | 5 |
싱가포르 | 1 |
대한민국 | 4 |
소련 | 6 |
스페인 | 2 |
수리남 | 1 |
스웨덴 | 1 |
스위스 | 2 |
태국 | 1 |
튀르키예 | 3 |
미국 | 5 |
베네수엘라 | 2 |
서독 | 4 |
유고슬라비아 | 4 |
5. 메달 집계
1976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일본 | 3 | 1 | 1 | 5 |
2 | 소련 | 2 | 2 | 1 | 5 |
3 | 쿠바 | 1 | 0 | 0 | 1 |
4 | 대한민국 | 0 | 1 | 2 | 3 |
5 | 영국 | 0 | 1 | 1 | 2 |
6 | 서독 | 0 | 1 | 0 | 1 |
7 | 프랑스 | 0 | 0 | 1 | 1 |
헝가리 | 0 | 0 | 1 | 1 | |
이탈리아 | 0 | 0 | 1 | 1 | |
폴란드 | 0 | 0 | 1 | 1 | |
스위스 | 0 | 0 | 1 | 1 | |
미국 | 0 | 0 | 1 | 1 | |
유고슬라비아 | 0 | 0 | 1 | 1 |
일본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로 총 3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4위에 올랐다.
5. 1.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일본 | 3 | 1 | 1 | 5 |
2 | 소련 | 2 | 2 | 1 | 5 |
3 | 쿠바 | 1 | 0 | 0 | 1 |
4 | 대한민국 | 0 | 1 | 2 | 3 |
5 | 영국 | 0 | 1 | 1 | 2 |
6 | 서독 | 0 | 1 | 0 | 1 |
7 | 프랑스 | 0 | 0 | 1 | 1 |
헝가리 | 0 | 0 | 1 | 1 | |
이탈리아 | 0 | 0 | 1 | 1 | |
폴란드 | 0 | 0 | 1 | 1 | |
스위스 | 0 | 0 | 1 | 1 | |
미국 | 0 | 0 | 1 | 1 | |
유고슬라비아 | 0 | 0 | 1 | 1 | |
합계 | 6 | 6 | 12 | 24 |
5. 2. 메달리스트
툰치크 요제프 (헝가리)패트릭 비알 (프랑스)
박영철 (대한민국)
데이비드 스타브룩 (영국)
엔도 스미오 (일본)
쇼타 초치슈빌리 (소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