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3년 3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 피겨스케이팅 대회이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주최하며, 남녀 싱글, 페어, 아이스 댄싱 4개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남자 싱글에서는 패트릭 챈(캐나다), 여자 싱글에서는 김연아(대한민국), 페어에서는 타티야나 볼로소자르/막심 트란코프 조(러시아), 아이스 댄싱에서는 메릴 데이비스/찰리 화이트 조(미국)가 각각 우승했다. 이 대회의 결과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출전권 배분에 반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에서 개최된 피겨스케이팅 대회 - 202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2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어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별 메달리스트, 대한민국 선수 성적, ISU 최고 점수 기록, 참가 자격, 쿼터, 선수 명단 등 관련 정보가 상세히 제시되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피겨스케이팅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퍼시픽 콜로세움에서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의 4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테사 버츄-스콧 모이어 조의 아이스 댄스 우승과 김연아의 여자 싱글 우승 등 아시아 국가들의 약진과 함께 여러 ISU 최고 점수가 경신되었다.
  •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2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2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어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별 메달리스트, 대한민국 선수 성적, ISU 최고 점수 기록, 참가 자격, 쿼터, 선수 명단 등 관련 정보가 상세히 제시되었다.
  •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2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21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되었으며, 2022년 동계 올림픽 예선을 겸하여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종목에서 진행되었다.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대회 종류ISU 선수권 대회
시즌2012–13
개최 기간3월 11일 - 17일
개최지런던, 캐나다
경기장버드와이저 가든스
결과
남자 싱글 우승자패트릭 챈
여자 싱글 우승자김연아
페어 우승자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아이스 댄싱 우승자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이전/다음 대회
이전 대회2012 세계 선수권 대회
다음 대회2014 세계 선수권 대회
기타
2013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로고

2. 대회 개최지 선정 및 준비 과정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ISU의 결정에 따라 캐나다 온타리오주런던에서 개최되었다. 이는 2006년 캘거리 대회 이후 7년 만에 캐나다에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였다. 대회는 2013년 3월 10일부터 3월 17일까지 버드와이저 가든스에서 진행되었다. 대회 참가를 위해서는 선수들이 특정 연령 요건을 충족하고, ISU가 정한 최소 기술 점수를 국제 대회에서 획득해야 했다.[14] 또한, 2012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결과에 따라 국가별 출전 가능 인원이 결정되었다.

2. 1. 대회 유치 과정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은 2010년 6월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을 개최 도시로 선정했다. 이로써 캐나다는 2006년 앨버타주 캘거리에서 대회를 개최한 이후 7년 만에 다시 세계 선수권 대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2013년 대회의 예상 비용은 1200만캐나다 달러였다. 대회는 버드와이저 가든스에서 열렸다. 이 대회 개최를 통해 온타리오주 전체에서 발생한 총 경제 활동은 4260만캐나다 달러(런던 3210만캐나다 달러)였으며, 순 경제 활동(GDP)은 2320만캐나다 달러(런던 1720만캐나다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2. 경기장 및 시설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3년 3월 10일부터 3월 17일까지 캐나다 온타리오주 런던에 위치한 버드와이저 가든스에서 개최되었다.

2. 3. 대회 준비 및 예산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2. 4. 참가 자격

선수들은 ISU 회원국을 대표해야 하며, 2012년 7월 1일 이전에 출생하여 15세가 된 경우 이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 각 국가 협회는 자체 기준에 따라 출전 선수를 선발했지만, ISU는 선수들이 세계 선수권 대회 전에 열리는 국제 대회에서 최소 기술 요소 점수(TES)를 획득하도록 규정했다.

출전을 위해서는 최저 기술점(미니멈 테크니컬 스코어)이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시즌과 전 시즌의 국제 빙상 연맹이 인정하는 대회에서 쇼트 프로그램(쇼트 댄스)과 프리 스케이팅(프리 댄스) 모두 기준 점수를 통과해야 출전이 가능하다.[14]

최저 기술점
종목쇼트 프로그램(쇼트 댄스)프리 스케이팅(프리 댄스)
남자 싱글32.0060.00
여자 싱글26.0046.00
페어24.0041.00
아이스 댄스29.0039.00


2. 5. 최소 기술 점수 (TES)

출전을 위해서는 최저 기술점(미니멈 테크니컬 스코어)이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시즌과 전 시즌의 국제 빙상 연맹(ISU)가 인정하는 대회에서 쇼트 프로그램(쇼트 댄스)과 프리 스케이팅(프리 댄스) 모두 통과해야 출전이 가능하다.[14]

최저 기술점
종목쇼트 프로그램 (쇼트 댄스)프리 스케이팅 (프리 댄스)
남자 싱글32.0060.00
여자 싱글26.0046.00
페어24.0041.00
아이스 댄스29.0039.00


2. 6. 종목별 출전 선수

일본
프랑스이탈리아
러시아
일본러시아
중국캐나다
미국
러시아2체코
카자흐스탄
미국
스페인
이탈리아미국
중국
조지아일본
캐나다
미국
이탈리아프랑스
이탈리아



위에 언급되지 않은 국가는 종목별로 1명의 출전이 허용되었다.

3. 대회 결과

2012년-2013년 시즌에 열린 201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시니어 부문 남녀 싱글, 페어, 아이스 댄스 종목 경기가 2013년 3월 10일부터 3월 17일까지 캐나다 런던의 버드와이저 가든스에서 열렸다.

각 종목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대회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및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출전 쿼터 배정을 겸했다. 일본은 남녀 싱글에서 각각 3장의 출전 쿼터를 확보했으나, 아이스 댄스에서는 쿼터를 얻지 못해 최종 예선 대회인 네벨혼 트로피에 출전하게 되었다.

3. 1. 남자 싱글

캐나다패트릭 챈이 총점 267.78점으로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2][3][4] 이는 알렉세이 야구딘 이후 21세기 들어 전 종목을 통틀어 처음 달성된 3연패 기록이다.

카자흐스탄데니스 텐은 총점 266.4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2][3][4] 이는 카자흐스탄 선수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이자, 데니스 텐 개인으로서도 ISU 선수권 대회 첫 메달이다.

스페인의 하비에르 페르난데스는 총점 249.06점으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2][3][4] 이는 스페인 선수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이다.

쇼트 프로그램은 3월 13일에, 프리 스케이팅은 3월 15일에 진행되었다.

순위이름국가총점[2]쇼트[3]프리[4]
순위점수순위점수
1패트릭 챈캐나다267.78198.372169.41
2데니스 텐카자흐스탄266.48291.561174.92
3하비에르 페르난데스스페인249.06780.764168.30
4하뉴 유즈루일본244.99975.943169.05
5케빈 레이놀즈캐나다239.98385.167154.82
6다카하시 다이스케일본239.03484.678154.36
7맥스 애런미국238.36878.206160.16
8무라 타카히토일본234.181173.465160.72
9브라이언 쥬베르프랑스232.26584.1710148.09
10미할 브제지나체코229.00683.0911145.91
11페터 리버스독일216.841371.2012145.64
12플로랑 아모디오프랑스216.831075.7315141.10
13안드레이 로고진캐나다216.601867.359149.25
14로스 미너미국211.901470.2413141.66
15쑨 난중국207.681273.0318134.65
16미샤 지우즈베키스탄207.501568.4516139.05
17막심 코프툰러시아207.401965.8514141.55
18알렉산데르 마요로프스웨덴204.291668.3217135.97
19요릭 헨드릭스벨기에192.192362.0419130.15
20빅토르 파이퍼오스트리아189.442164.1020125.34
21토마시 베르너체코180.501768.0522112.45
22빅토르 로마넨코프에스토니아177.092065.3323111.76
23야코프 고도로자우크라이나174.982461.8821113.10
24유스투스 스트리드덴마크165.232263.2524101.98
프리 스케이팅 진출 실패
25마치에이 치에플루차폴란드align="center" |2560.96colspan="2" |
26김진서대한민국align="center" |2660.75colspan="2" |
27파올로 바키니이탈리아align="center" |2760.31colspan="2" |
28압잘 라킴갈리예프카자흐스탄align="center" |2859.14colspan="2" |
29졸탄 켈레멘align="center" |2958.24colspan="2" |
30로널드 람홍콩align="center" |3057.94colspan="2" |
31알렉세이 비첸코이스라엘align="center" |3157.53colspan="2" |
32김루신align="center" |3257.35colspan="2" |
33폴 보니파시오 파킨슨이탈리아align="center" |3351.54colspan="2" |
34크리스토퍼 칼루자align="center" |3449.15colspan="2" |
WD파벨 이그나텐코벨라루스colspan="7" | 기권


3. 2. 여자 싱글

김연아가 압도적인 기량으로 총점 218.31점을 기록하며 4년 만에 세계 선수권 대회 정상에 복귀했다.[5] 이탈리아카롤리나 코스트너가 총점 197.89점으로 은메달을, 일본아사다 마오가 총점 196.47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5] 김연아는 쇼트 프로그램[6]프리 스케이팅[7]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완벽한 우승을 거머쥐었다.

김연아의 이번 우승은 2011년 세계 선수권 이후 약 2년 만의 국제 대회 복귀 무대에서 거둔 값진 성과였다. 이 우승으로 대한민국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여자 싱글 출전권 3장을 확보하게 되었다.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3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으며, 아사다 마오는 3년 만에 시상대에 복귀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순위이름국가총점[5]쇼트[6]프리[7]
1김연아대한민국218.31169.971148.34
2카롤리나 코스트너이탈리아197.89266.863131.03
3아사다 마오일본196.47662.102134.37
4무라카미 카나코일본189.73366.647123.09
5애슐리 와그너미국187.34563.986123.36
6그레이시 골드미국184.25958.855125.40
7리 지준중국183.851256.314127.54
8케이틀린 오스먼드캐나다176.82464.7310112.09
9아델리나 소트니코바러시아175.98859.629116.36
10엘리자베타 툭타미셰바러시아174.241454.728119.52
11마에 베레니스 메이테프랑스165.031156.9011108.13
12스즈키 아키코일본164.59761.1713103.42
13알레나 레오노바러시아159.061356.3014102.76
14비르키니아 헬게손스웨덴158.801058.3615100.44
15나탈리아 포포바우크라이나155.521751.6712103.85
16옐레나 글레보바에스토니아152.491554.591697.90
17모니카 시만치코바슬로바키아149.021951.181797.84
18발렌티나 마르케이이탈리아147.232150.411896.82
19나탈리 바이엔치얼독일142.482448.141994.34
20제나 매코켈영국142.271851.232191.04
21브룩리 한호주141.882050.622091.26
22소니아 라푸엔테스페인139.661652.442387.22
23장커신중국137.412348.802288.61
24케르스틴 프랑크오스트리아127.982249.662478.32
프리 스케이팅 진출 실패
25이자도라 윌리엄스브라질align="center" |2546.63align="center" |align="center" |
26아니타 마드센덴마크align="center" |2646.16align="center" |align="center" |
27캐롤 브레사누티이탈리아align="center" |2744.51align="center" |align="center" |
28카트 반 다엘레벨기에align="center" |2842.51align="center" |align="center" |
29엘레네 게데바니슈빌리조지아align="center" |2942.40align="center" |align="center" |
30티나 슈테르징거스위스align="center" |3042.36align="center" |align="center" |
31율리아 투르키라핀란드align="center" |3140.70align="center" |align="center" |
32안네 라인 예르셈노르웨이align="center" |3238.53align="center" |align="center" |
33잉가 야눌레비츄테리투아니아align="center" |3336.79align="center" |align="center" |
34파트리샤 글레슈치치슬로베니아align="center" |3436.66align="center" |align="center" |
35알리나 표도로바라트비아align="center" |3536.44align="center" |align="center" |


3. 3. 페어

페어 메달리스트


러시아의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가 총점 225.71점으로 첫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8] 독일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조는 총점 205.56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7년 연속 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8] 캐나다의 메건 듀어멀 / 에릭 래드퍼드 조는 총점 204.56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하여 캐나다에 5년 만의 페어 종목 메달을 안겨주었다.[8]

쇼트 프로그램은 3월 13일에, 프리 스케이팅은 3월 15일에 진행되었다.

순위이름국가총점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
순위점수기술구성감점출전 순서순위점수기술구성감점출전 순서
1러시아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225.71175.8439.7036.140.00#181149.8776.3674.511.00#16
2독일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205.56373.4739.2734.200.00#122132.0964.1868.911.00#14
3캐나다 메건 듀어멀 / 에릭 래드퍼드204.56273.6141.1032.510.00#163130.9565.7565.200.00#13
4캐나다 커스틴 무어-타워스 / 딜런 모스코비치199.50569.2537.9431.310.00#115130.2566.7863.470.00#9
5중국 팡칭 / 퉁젠194.64663.9532.3931.560.00#154130.6964.7565.940.00#11
6러시아 가와구치 유코 / 알렉산드르 스미르노프191.59469.9837.0932.890.00#147121.6156.3965.220.00#15
7러시아 베라 바자로바 / 유리 라리오노프184.72761.9132.0129.900.00#176122.8162.4160.400.00#10
8프랑스 바네사 제임스 / 모건 시프레180.17860.9832.8928.090.00#108119.1961.3857.810.00#12
9미국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크니에림173.511255.7330.3625.370.00#79117.7861.1556.630.00#7
10이탈리아 스테파니아 베르톤 / 온드레이 호타레크171.77959.0731.5628.511.00#1310112.7058.8353.870.00#5
11중국 펑청 / 장하오167.181058.5232.7725.750.00#511108.6656.5054.162.00#8
12중국 수이 원징 / 한충165.891157.6531.6726.981.00#213108.2455.5553.691.00#6
13미국 마리사 캐스텔리 / 사이먼 슈나피어164.001355.6829.6227.061.00#412108.3256.9651.360.00#1
14이탈리아 니콜 델라 모니카 / 마테오 구아리제136.031547.8225.7322.090.00#61488.2145.2442.970.00#3
15영국 스테이시 켐프 / 데이비드 킹133.561448.6027.2921.310.00#91684.9643.3242.641.00#4
16독일 마리 발트만 / 아론 반클리브133.121647.3625.9723.392.00#31585.7644.3044.463.00#2
이하, 프리 스케이팅에 진출하지 못함
17불가리아 엘리자베타 마카로바 / 레리 켄차제1736.4818.7717.710.00#8
18폴란드 마그달레나 크라츠카 / 라도스와프 플루시친스키1835.4418.5916.850.00#1


3. 4. 아이스 댄싱

아이스 댄스 종목은 쇼트 댄스가 3월 14일에, 프리 댄스가 3월 16일에 진행되었다.

미국의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총점 189.56점으로 2년 만에 두 번째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캐나다의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 조는 총점 185.04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하며 6년 연속 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예프 조는 총점 169.19점으로 동메달을 목에 걸었는데, 이는 러시아 아이스 댄스 조로는 4년 만의 메달이었다.

아이스 댄스 메달리스트


순위이름국가총점쇼트 댄스프리 댄스
순위점수기술구성감점출전 순서순위점수기술구성감점출전 순서
1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미국189.56177.1238.2938.830.00#201112.4453.6558.790.00#18
2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캐나다185.04273.8735.5738.300.00#242111.1752.8558.320.00#16
3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예프러시아169.19370.0534.7135.340.00#29499.1445.3153.830.00#19
4안나 카펠리니 / 루카 라노테이탈리아168.04567.9334.2833.650.00#263100.1148.2951.820.00#17
5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캐나다166.20667.5434.2233.320.00#23598.6647.1451.520.00#15
6나탈리 페샬라 / 파비앙 부르자프랑스165.60469.6534.5735.080.00#25795.9543.3553.601.00#20
7매디슨 초크 / 에반 베이츠미국163.93766.7434.7831.960.00#15697.1947.3549.840.00#14
8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미국157.71866.1434.1432.000.00#27991.5743.1248.450.00#13
9엘레나 일리니흐 / 니키타 카잘라포프러시아157.52966.0731.2834.790.00#281091.4539.6551.800.00#12
10넬리 지간시나 / 알렉산더 가지독일154.271160.5930.8529.740.00#22893.6845.6448.040.00#7
11예카테리나 리아자노바 / 일리야 토카첸코러시아149.781359.5228.8630.660.00#181190.2642.6447.620.00#10
12페르넬 카론 / 로이드 존스프랑스145.981260.5831.8628.720.00#191285.4042.1944.211.00#6
13페니 쿰스 / 니콜라스 버클랜드영국145.711063.6633.4330.230.00#211782.0536.8345.220.00#11
14시오반 히킨-케네디 / 드미트로 둔우크라이나141.881459.2032.9326.270.00#81682.6839.0443.640.00#8
15이사벨라 토비아스 / 데이비다스 스타그뉴나스리투아니아141.641857.3931.1326.260.00#91384.2541.1143.140.00#3
16율리아 즐로비나 / 알렉세이 시트니코프아제르바이잔141.441757.8029.6528.150.00#161483.6439.9643.680.00#2
17샤를렌 기냐르 / 마르코 파브리이탈리아140.951657.8930.8527.040.00#71583.0642.2241.841.00#5
18파이퍼 길레스 / 폴 푸아리에캐나다140.021558.6131.0027.610.00#51881.4138.5543.861.00#9
19사라 우르타도 / 아드리안 디아스스페인131.282053.1229.9223.200.00#41978.1640.8838.281.00#4
20캐시 리드 / 크리스 리드일본129.941953.9528.2926.661.00#172075.9937.0138.980.00#1
이하 프리 댄스 진출 실패
21루치에 미슬리베치코바 / 닐 브라운체코2151.8228.1323.690.00#11
22올레시아 카르미 / 막스 린드홀름핀란드2248.0627.2920.770.00#3
23앨리슨 리드 / 바실리 로고프이스라엘2346.6325.7820.850.00#1
24너지 주전너 / 페예시 마테헝가리2445.6022.7322.870.00#12
25이리나 슈토르크 / 타비 란트에스토니아2545.2922.7922.500.00#10
26페데리카 테스타 / 루카시 체일리슬로바키아2644.7322.5022.230.00#6
27유스티나 플루토프스카 / 피터 거버폴란드2744.0023.5720.430.00#2
28알리사 아가포노바 / 알페르 우차르터키2843.9822.2122.771.00#13
29빅토리아 카발리우바 / 유리 비엘리아이에프벨라루스2932.5014.5018.000.00#14


4. 메달 집계

남자 싱글에서는 패트릭 챈이 3연패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는 알렉세이 야구딘 이후 21세기 들어 전 종목을 통틀어 최초의 3연패 기록이다. 스페인의 하비에르 페르난데스는 자국 최초의 세계 선수권 메달을, 카자흐스탄의 데니스 텐은 생애 첫 ISU 선수권 대회 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자 싱글에서는 대한민국의 '''김연아'''가 4년 만에 압도적인 기량으로 2번째 세계 선수권 우승을 차지하며 '피겨 여왕'의 귀환을 알렸다.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3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고, 아사다 마오는 3년 만에 시상대에 복귀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페어 종목에서는 러시아의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 조가 첫 세계 선수권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독일의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조는 7년 연속 메달이라는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캐나다의 메건 뒤아멜 / 에릭 래드포드 조는 5년 만에 캐나다에 페어 메달을 안겼다.

아이스 댄스에서는 미국의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가 2년 만에 다시 정상에 올랐고, 캐나다의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 조는 6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예프 조는 4년 만에 러시아 아이스 댄스 커플에게 메달을 안겨주었다.

4. 1. 국가별 메달 순위

국가별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캐나다1113
2러시아1012
3대한민국1001
미국1001
5독일0101
이탈리아0101
카자흐스탄0101
8스페인0011
일본0011
합계9개국44412


4. 2. 종목별 입상자

남자 싱글 메달리스트


여자 싱글 메달리스트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 싱글캐나다 패트릭 챈카자흐스탄 데니스 텐스페인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여자 싱글대한민국 김연아이탈리아 카롤리나 코스트너일본 아사다 마오
페어러시아 타티아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독일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캐나다 메건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아이스 댄싱미국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캐나다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러시아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 드미트리 솔로비예프


5.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출전권

이 대회는 소치 동계 올림픽과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출전 자격 배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대회였다. 각 국가의 올림픽 출전권 수는 이 대회의 결과와 이후 열리는 최종 예선 대회인 네벨혼 트로피를 통해 결정되었다.

5. 1. 올림픽 출전권 획득 국가 (2013년 세계선수권 결과 기준)

이 대회는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과 2014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출전권이 배분되는 대회였다. 일본은 남자 싱글과 여자 싱글에서 각각 3장의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러나 아이스 댄스 종목에서는 출전권을 확보하지 못해, 최종 예선 대회인 네벨혼 트로피를 통해 출전권을 노리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ntries and schedule http://www.isuresult[...] 2013-02-23
[2]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Men – Result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3]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Men – Short Program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4]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Men – Free Skating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5]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Ladies – Result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7
[6]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Ladies – Short Program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7
[7]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Ladies – Free Skating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7
[8]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Pairs – Result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5
[9]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Pairs – Short Program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5
[10]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Pairs – Free Skating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5
[11]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Ice Dance – Result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12]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Ice Dance – Short Dance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13] 웹사이트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Senior Ice Dance – Free Dance http://www.isuresult[...] isuresults.com 2013-03-16
[14] 문서 ISU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2013, London, ON / Canada Minimum Total Technical Scores http://isu.sportcent[...]
[15] 트위터 パヴェル・イグナテンコのツイッター https://twitt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