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0년 탈 화산 분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탈 화산 분화는 2020년 1월 12일 필리핀 바탕가스 주 따알 화산에서 시작된 일련의 분화 활동을 의미한다. 이 분화로 인해 필리핀 전역과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까지 화산재가 확산되었으며, 항공편 운항 중단 및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다. 2021년과 2022년에도 분화가 이어졌으며, 필리핀 정부는 재난 상태를 선포하고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국제 사회에서도 지원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필리핀 - 필리핀 마약 전쟁
    필리핀 마약 전쟁은 2016년 두테르테 대통령 취임 후 필리핀 정부가 불법 마약 근절을 목표로 시행한 캠페인으로, 마약 범죄 용의자 사살 명령과 현상금 지급 공언으로 시작되어 수천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며 국제형사재판소의 조사 대상이 되었다.
  • 2020년 필리핀 - 미스 어스 2020
    미스 어스 2020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으며, 린지 코피가 우승했다.
  • 2020년 자연재해 - 2020~2021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2020~2021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라니냐 현상으로 평년보다 활발했으며, 우에시, 해럴드, 야사, 아나 등 강력한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남태평양 일대에 큰 피해를 입혔고, 특히 사이클론 야사와 아나의 피해가 커 이름이 퇴출되었다.
  • 2020년 자연재해 - 2020~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2020년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는 라니냐 현상과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속에 8개의 사이클론과 여러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여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2020년 탈 화산 분화
지도
바탕가스주 지도, 14km 반경 위험 지역 표시
14km 반경 위험 지역 아래 지역을 표시한 바탕가스주의 지도
기본 정보
이름2020–2022년 탈 화산 분화
위치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주, 필리핀
좌표14°00′38″N 120°59′52″E
분화 정보
화산탈 화산
유형수증기 마그마
수증기
플리니식
분화 날짜2020년 1월 12일 – 2022년 3월 31일
분화 기록1차 분화: 2020년 1월 12–22일
2차 분화: 2021년 7월 1–9일
3차 분화: 2021년 11월 15–22일
4차 분화: 2022년 3월 26–31일
화산 폭발 지수 (VEI)4 (2020년 1월 분화)
3 (2021년 7월 – 2022년 3월 분화)
영향
사망자39명 (직접 1명, 간접 38명)
기타 영향수업 중단
NAIA 항공편 보류

2. 분화 상황 및 경과

2020년 1월 12일, 필리핀 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주에서 따알 화산 분화가 시작되었다.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영어(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는 경보 수준을 레벨 4로 상향 조정하고, 폭발 위험성을 가진 화산재 분화가 수일 내에 가능하다고 밝혔다. 화산재는 필리핀 전역은 물론,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까지 확산되었으나, 한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화산 폭발로 필리핀 항공편이 마비되는 등 교통 대란이 발생했다.

2. 1. 2020년 분화

2020년 1월 12일, 필리핀 칼라바르손 지방 바탕가스주에서 따알 화산 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6]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경보 수준을 레벨 4로 상향 조정하고, 폭발 위험성을 가진 화산재 분화 가능성을 경고했다.[14] 화산재는 필리핀 전역,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까지 확산되었으나, 한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타알 화산의 주요 분화구에서 포착된 첫 번째 폭발 사건으로 이어진 마그마 활동. 타알 화산 감시를 위해 PHIVOLCS가 설치한 IP 카메라에서 촬영한 비디오


필리핀 표준시(UTC+8) 오후 1시경 화산 섬 메인 분화구에서 수증기 분화가 발생했다.[8] 오후 3시경에는 1km가 넘는 화산재 기둥이 발생하여 경보 단계가 레벨 3으로 격상되었다.[10][11] 오후 7시 30분에는 경보 단계가 레벨 4로 격상되었고, 화산재가 케손 시티와 칼로오칸까지 쏟아졌다.[14] 화산재는 카비테, 라구나를 넘어 메트로 마닐라와 팜팡가까지 도달했다.[15][16]

타가이타이 시티 뷰데크에서 바라본 폭발.


1월 13일, 주 분화구의 활동이 오전 2시 48분에서 오전 4시 28분 사이에 용암 분수로 전환되었다.[17] 환경 천연 자원부(DENR)는 메트로 마닐라 도시들의 대기 질 지수가 악화되었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만달루용은 흡입 가능한 조대 입자상 물질(PM10)이 118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라스피냐스(108)와 타기그(104)가 따랐다.[19]

1월 15일, PHIVOLCS는 분화 전 분화구에 채워져 있던 약산성 호수가 말랐다고 보고했다.[20] 1월 28일, 주 분화구는 800m의 증기를 방출했으며, 경계 레벨 3이 유지되었다.[21]

2. 2. 2021년 분화

2021년 7월 1일 탈 화산 분화


2021년 2월, 2020년 분화 이후 1년여 만에 바탕가스 주 정부는 화산 활동 증가로 인해 탈 화산 섬 주민들에게 선제적 대피 명령을 내렸다.[26] 3월 9일,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화산 경보 단계를 2단계로 올리고 "불안정 증가" 징후를 보인다고 밝혔다.[27]

6월 말, 화산 인근 지역에서는 화산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황으로 인해 화산 스모그 또는 보그 현상이 발생했으며, 6월 28일에는 14,326톤에 달했다.[28] 이 보그는 중앙 루손 지역까지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9]

7월 1일, 화산은 현지 시간 오후 3시 16분경에 분화하여 5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경보 단계는 2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되었다. 그날 늦은 시간에도 화산은 여러 차례 작은 분화를 일으켰다.[30][31][32] 7월 4일,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탈 화산의 이산화황 배출량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고했다.[33]

7월 7일에는, 현지 시간 오전 5시 18분 주 분화구에서 단기간의 수증기 마그마 분화가 발생하여 남동쪽으로 이동하기 전에 300미터 높이로 솟아오르는 회색 기둥을 생성했다.[34] 이어서 오전 8시 47분에는 7분 동안 수증기 마그마 폭발과 약한 분화가 발생하여 또 다른 300미터 높이의 기둥을 생성했다.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오전 9시 15분과 오전 9시 26분에도 2분과 5분 동안 지속된 두 번의 수증기 마그마 현상을 기록했다. 또 다른 수증기 마그마 폭발은 오전 11시 56분에 발생하여 200미터 높이의 짙은 회색 기둥을 생성했다.[35] 탈 화산에서는 수요일에만 6번의 단기간 수증기 마그마 분화가 기록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분화는 오후 9시 41분이었다고 탈 화산 관측소의 파올로 레니바가 덧붙여 보고했다.

7월 8일에는 현지 시간 오전 6시 47분에 주 분화구에서 또 다른 단기간의 수증기 마그마 분화가 발생하여 200미터 회색 기둥을 생성했다.[36] 이어서 오후 6시 6분, 오후 9시 21분, 오후 9시 50분에 3번의 수증기 마그마 폭발이 더 발생했다.[37] 7월 9일에는 오전 2시 59분에 또 다른 수증기 마그마 폭발이 발생했다.[37] 7월 23일,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경보 단계를 경보 3단계에서 2단계로 낮췄다.[38]

몇 달간의 지속적인 불안정 이후, 2021년 11월 17일 오전 1시 46분과 오전 2시 54분에 인근의 여러 열화상 웹캠에서 2차례의 단기간 수증기 마그마 분화가 기록되었다. 17일 분화 며칠 전에도 또 다른 단기간 분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39]

2. 3. 2022년 분화

2022년 1월 29일부터 30일 사이에 탈 화산은 주 분화구에서 9차례의 프레아토마그마 분출을 일으켰다.[40][41]

2022년 3월 26일 분화구의 영상


3월 26일,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짧은 기간의 프레아토마그마 분출로 인해 화산 경보 단계를 경보 3단계로 상향 조정했으며, 인근 지역과 주변 마을의 약 1,100명의 주민을 대피시켰다.[42] 2차례의 프레아토마그마 활동이 기록되었으며, 이때 800미터와 400미터 높이의 유독성 가스 기둥을 뿜어냈다.[43] 현지 주민들은 오후 1시경(필리핀 표준시) 분화구 근처에서 폭발이 있었고, 그 후 호수 주변에 화산재가 흩날렸다고 보고했다. 높은 수준의 유독성 가스 배출과 함께 하루 동안 14차례의 화산 지진과 10차례의 화산성 미동이 기록되었다.[44][45] 3월 27일, 화산 활동은 비교적 조용했으며 거의 지진이 기록되지 않았지만, 이산화황 배출량은 1140ton으로 측정되었다.[46]

4월 9일, PHIVOLCS는 경보 단계를 3단계에서 2단계로 하향 조정했다.[47]

3. 지진 활동

2020년 2월 13일, 필리핀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위원회(NDRRMC)와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분화 이후 화산 주변에서 총 2,484건의 화산 지진이 발생했으며, 이 중 176건이 감지되었다고 보고했다.[48] 가장 강력했던 지진은 규모 지진으로, 아곤실로 북서쪽 지점에서 1월 12일 오후 11시 56분, 1월 13일 오전 3시 11분, 그리고 그날 오후 6시 35분에 최소 세 차례 기록되었다.[49] 그 결과, 타가이타이에서는 PHIVOLCS 지진 강도 등급에서 강도 III("약함")이, 말라본에서는 강도 II("약간 느껴짐")이 감지되었다.[50]

1월 13일 오후 11시 39분부터 다음 날 오전 5시 50분까지, PHIVOLCS는 칼라카, 로렐, 레메리, 마타아스나카호이, 산 루이스, 탈, 탈리사이, 알폰소 (카비테) 마을에서 총 44건의 지진을 보고했다. 이 중 가장 강력했던 지진은 탈에서 발생한 규모 지진으로 타가이타이에서 강도 III으로 감지되었고,[51] 탈리사이 북동쪽 지점에서 오전 2시 5분에 발생한 규모 지진은 타가이타이에서 강도 IV("보통 강함")로, 말라본과 파사이에서 강도 II로 측정되었다.[52]

이러한 지속적인 지진으로 인해, 바탕가스 주의 아곤실로, 레메리, 산 니콜라스, 탈리사이 마을에는 여러 균열 또는 금이 나타났다. 이 마을들은 탈 화산의 반경 14킬로미터 위험 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 아곤실로와 로렐을 연결하는 도로에도 균열이 생겼다.[53] 1월 15일, PHIVOLCS는 판시피트 강의 일부도 "마그마의 상승 운동으로 인한 지면 변형"의 결과로 물이 빠졌으며, 이는 일련의 지진을 일으킨 것과 동일한 과정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PHIVOLCS는 물이 빠졌을 가능성이 있는 탈 호수 내 수중 균열의 존재를 암시했다.[54]

4. 피해

2020년 1월 12일, 필리핀 바탕가스주에서 탈 화산 분화가 시작되면서 필리핀 전역은 물론,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까지 화산재가 확산되었다.[6] 이로 인해 필리핀의 항공편이 일제히 마비되는 등 교통 대란이 발생했다.[6]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1월 12일 오후 1시경(필리핀 표준시) 화산섬 메인 분화구에서 수증기 분화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8] 오후 3시경에는 1km가 넘는 화산재 기둥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경보 단계가 레벨 3으로 격상되었다.[10][11] 오후 7시 30분에는 경보 단계가 레벨 4로 격상되었으며, 화산재는 케손 시티와 칼로오칸까지 확산되었다.[14] 화산재는 카비테, 라구나, 메트로 마닐라, 팜팡가까지 도달했다.[15][16]

1월 13일에는 주 분화구에서 용암 분수가 관측되었고,[17][18] 1월 15일에는 분화 전 분화구를 채우고 있던 약산성 호수가 말라붙은 것이 확인되었다.[20]

환경 천연 자원부 (DENR)는 메트로 마닐라 도시들의 대기 질 지수 악화를 보고했다. 만달루용은 흡입 가능한 조대 입자상 물질(PM10)이 118로 가장 높았고, 라스피냐스 (108), 타기그 (104)가 뒤따랐다.[19]

4. 1. 인명 피해

2020년 탈 화산 분화로 총 39명이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대부분 대피 명령 불이행, 귀가, 심장마비 등이었다.[3] 화산재로 인해 남부 루손 고속도로의 칼람바, 라구나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1명이 사망했다.[56] 2020년 2월 15일에는 탈 화산 섬에서 흙과 재에 묻힌 남성의 시신이 발견되기도 했다.[57]

4. 2. 경제적 피해

2020년 탈 화산 분화로 N95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자, 일부 상점에서는 가격을 기존의 25PHP에서 200PHP까지 인상했다. 이에 통상산업부는 가격 감시 팀을 파견하고 폭리를 취하는 업체에 경고했으며, '가짜' N95 마스크를 판매하는 일부 의료 기관을 적발했다.[61][62] 마닐라 시장 이스코 모레노는 마스크 가격 인상에 연루된 의료 공급망의 허가를 취소하겠다고 경고했다.[63] 머큐리 드럭은 마스크 공급을 보충하고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고 약속했으며,[64][65] 보건부는 가격 통제를 시행하여 N95 마스크 가격을 45PHP에서 105PHP 사이로 규정했다.[67]

농무부는 분화로 인한 농작물 피해액이 30.6억필리핀 페소에 달한다고 보고했다. 특히 타알 호수의 어업은 16억필리핀 페소의 손실을 보았고, 바탕가스와 카비테의 주요 생산품인 ''카펭 바라코''와 ''코페아 리베리카'' 작물은 3.65억필리핀 페소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 파인애플 농장도 5.2725억필리핀 페소 상당의 손실을 보았다. 칼라바르손 지역의 쌀과 옥수수 작물도 각각 560만필리핀 페소, 8890만필리핀 페소의 피해를 입었다.[70]

필리핀 작물 보험 공사는 피해 농부와 어부에게 무이자 대출을 제공하고, 식물 산업국은 1.6억필리핀 페소 상당의 작물 및 가축 지원을 위한 자재와 기술을 배포할 계획을 세웠다.[71] 필리핀 물소 센터와 국립 유제품 당국은 사료를 지원했다.[72]

비냔 시에서는 화산재를 활용하여 벽돌을 생산, 주택 재건을 지원했다.[73] 스마트와 글로브는 무료 통화, 인터넷 서비스 및 충전소를 제공했으며,[74] 마닐라 워터는 급수차와 생수를 지원했다.[75] 메랄코는 태양광 발전 이동식 충전소를 설치했다.[76]

4. 3. 항공 교통 마비

2020년 1월 12일, 마닐라 국제공항청(MIAA)은 화산재의 영향으로 인해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의 모든 터미널에서 항공편 운항을 중단했다.[5] 최소 516편의 항공편이 중단되고 약 8만 명의 승객이 피해를 입었다.[81] 1월 13일 오전 10시부터 NAIA의 운영이 부분적으로 재개되었으나, 많은 항공편이 취소되거나 지연되었다.[82] NAIA로 향하던 국제선 항공편 다수는 앙헬레스 시의 클라크 국제공항, 막탄-세부 국제공항, 도쿄의 하네다 공항, 홍콩 국제공항, 의 안토니오 B. 원 팻 국제공항으로 우회했다.[83] 1월 14일까지 604편의 항공편이 취소되었으나, 1월 15일까지 이 중 537편이 운항을 재개했다.[48]

필리핀 민간 항공국은 클라크 국제공항에 화산재가 도달할 수 있다는 보고에 따라 루손 국제 프리미어 공항 개발 공사에 항공편 운항 중단을 권고했다.[84] 1월 13일에는 10편의 항공편이 취소되고 9편이 지연되었다.[85]

막탄-세부 국제공항(MCIA)에서는 1월 14일에 25편의 국내선(모두 NAIA행)과 1편의 국제선이 취소되었다. MCIA는 우회된 NAIA행 국제선 5편을 수용해야 했다. MCIA 운영사인 GMR-Megawide Cebu Airport Corporation(GMCAC)은 모든 우회 항공편을 항공기 주기장 가용성에 따라 "선착순"으로 수용했다. 우회 항공편 승객들에게는 호텔 예약 외에도 소량의 음식 팩이 제공되었다. MCIA는 공항 간 이동 및 시내 호텔 이동을 위해 승객에게 무료 버스 서비스를 제공했다. 공항 터미널의 소매점과 음식 판매점은 1월 12일부터 1월 14일까지 승객에게 할인을 제공하고 즉시 재고를 보충했다.[86]

4. 4. 스포츠 경기 연기

필리핀 대학교 체육 협회(UAAP)[87]와 필리핀 전국 대학 체육 협회(NCAA)는 화산재 낙하로 인해 2020년 1월 13일 메트로 마닐라에서 열릴 예정이던 경기들을 연기했다. UAAP는 주니어 농구 및 주니어 축구 경기를, NCAA는 배구 경기를 개최할 예정이었다.[88] 2020년 1월 14일 마닐라의 리잘 기념 경기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020년 AFC 챔피언스 리그 세레스–네그로스 FC와 샨 유나이티드 FC의 경기는 전날 화산재 낙하로 연기될 위기에 처했지만, 경기 관계자들은 경기를 강행하기로 결정했다.[89]

5. 대응

2020년 탈 화산 분화 이후, 필리핀 정부와 국제 사회는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다.

바탕가스 지방 의회는 해당 지역을 재난 상태로 선포하고 화산에서 14km 반경 내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내렸다.[90]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은 약 459,300명이 위험 지역 내에 있다고 발표했으며,[91] 세이브 더 칠드런은 그 중 21,000명이 아동이라고 추산했다.[92]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피해 주민들에게 260만달러 상당의 재정 지원을 약속하고, 탈 섬을 "무인지대"로 선언했다.[107][108]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더불어민주당)은 피해 주민들에게 식량 팩과 마스크를 나누어 주었다.[110] 필리핀 상원필리핀 하원 의원들은 정부 기관의 추가 지원을 촉구했다.

필리핀 정부는 국제적 지원을 수용하면서도 자체적인 대처 능력을 판단하여 외국 원조를 적극적으로 요청하지는 않았다.[144] 중국 해안 경비대는 N95 마스크, 식량 팩 등을 기증했고,[145] 미국 국제 개발처는 열화상 카메라와 원격 기술 지원을 제공했다.[146] 대한민국은 필리핀 적십자를 통해 200000USD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으며,[147] 싱가포르 적십자는 약 67000SGD 상당의 지원을 전달했다.[148] 아랍에미리트 적신월사도 구호 활동을 지원했다.[149] 유럽 연합은 Acute Large Emergency Response Tool(ALERT)를 통해 750000EUR의 인도적 지원을 기부했다.[151][152]

5. 1. 필리핀 정부의 대응

2020년 탈 화산 분화 이후 바탕가스 지방 의회는 해당 지역을 재난 상태로 선포하고 화산에서 14km 반경 내의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90]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은 약 459,300명이 14킬로미터 위험 지역 내에 있다고 발표했으며,[91] 자선 단체인 세이브 더 칠드런은 그 중 21,000명이 아동이라고 추산했다.[92]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2020년 1월 14일 바탕가스 시에서 대피자들을 방문하여 피해 주민들에게 260만달러 상당의 재정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107] 그는 델핀 로렌자나 국방부 장관의 권고에 따라 탈 섬을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것을 금지하고 "무인지대"로 선언했다.[108] 같은 날,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더불어민주당)은 산타 테레시타, 산호세, 산토 토마스 시를 방문하여 피해 주민들에게 식량 팩과 마스크를 나누어 주었다.[110] 필리핀 상원필리핀 하원 의원들은 정부 기관이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데 더 많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5. 1. 1. 2020년

2020년 1월 13일, 바탕가스 지방 의회는 화산 폭발 이후 해당 지역을 재난 상태로 선포하고 화산에서 14km 반경 내의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90]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은 약 459,300명이 14킬로미터 위험 지역 내에 있다고 발표했다.[91] 자선 단체인 세이브 더 칠드런은 그 중 21,000명이 아동이라고 추산했다.[92] 2020년 1월 18일 NDRRMC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총 16,174가구, 70,413명이 300개의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48]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2020년 1월 14일 바탕가스 시에서 대피자들을 방문하여 피해 주민들에게 260만달러 상당의 재정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107] 그는 델핀 로렌자나 국방부 장관의 권고에 따라 탈 섬을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것을 금지하고 "무인지대"로 선언했다.[108]

같은 날,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더불어민주당)은 바탕가스의 산타 테레시타, 산호세, 산토 토마스 시를 방문하여 피해 주민들에게 식량 팩과 마스크를 나누어 주었다.[110]

필리핀 상원필리핀 하원 의원들은 정부 기관이 피해자들을 지원하는 데 더 많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5. 1. 2. 2021년

2021년 분화로 인해 바탕가스 주 로렐 시의 화산 인근 3개 바랑가이(필리핀의 행정 구역 단위) 주민 4,000명 이상이 그날 밤 자발적으로 집을 떠나 16km 떨어진 곳에 대피했다.[137]

일부 대피자들은 나수그부로, 나머지는 카비테 주 알폰소로 이송되었으며, 알폰소에서는 해당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원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138] 국가 재난 위험 감소 관리 위원회(NDRRMC)는 2021년 7월 2일 인근 시에서 1,282명이 대피하여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고 보고했다.[139] 사회 복지 개발부(DSWD)는 대피자들을 위해 1400000PHP (28419USD 상당) 이상의 식량 꾸러미와 11000000PHP (223297USD 상당)의 비식량 물품을 준비했다.[140] 필리핀 군 남부 루손 사령부는 칼라바르손 지역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위원회(RDRRMC)와 해당 지역 지방 정부(LGUs)를 지원하기 위해 바탕가스에 파견되었으며, 칼라바르손 경찰 병력은 화산 활동으로 인해 7월 2일부터 경계 태세를 유지했다.[140]

5. 1. 3. 2022년

필리핀 화산 및 지진학 연구소(PHIVOLCS)는 화산섬을 영구 위험 지역으로 간주하고, 아곤실로 시의 빌리빈왕 및 바냐가 바랑가이, 로렐 시의 보소-보소, 굴로드 및 동부 부간 이스트 바랑가이 등 고위험 지역 주민들에게 대피를 권고했다.[141][142] 국가 재난 위험 감소 및 관리 위원회(NDRRMC)는 바탕가스 주 지방 자치 단체에서 최소 9,000명이 대피했다고 보고했다.[143]

5. 2. 국제 사회의 지원

필리핀 정부는 국제적 지원을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탈 화산 분화에 자체적으로 대처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하여 적극적으로 외국 원조를 요청하지는 않았다.[144]

중국 해안 경비대는 필리핀 해안 경비대를 통해 바탕가스에 있는 대피소에 N95 마스크 600개, 식량 팩, 기타 구호 물품을 기증했다.[145]

미국 국제 개발처와 산하 화산 재해 지원 프로그램은 주 필리핀 미국 대사관을 통해 필리핀 정부의 탈 화산 활동 감시를 지원하기 위해 열화상 카메라와 원격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146] 대한민국은 필리핀 적십자를 통해 200000USD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다.[147] 싱가포르 적십자는 필리핀 측의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약 67000SGD 상당의 인도적 지원을 전달했다.[148] 아랍에미리트 적신월사 또한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필리핀에 대표단을 파견했다.[149]

유럽 연합은 Acute Large Emergency Response Tool(ALERT)를 통해 4200만필리핀 페소 (750000EUR)의 인도적 지원을 기부했으며, 여기에는 긴급 대피소, 심리 사회적 지원 서비스(아동 보호 서비스 포함) 및 필수 생필품이 포함된다.[151][152]

참조

[1] 간행물 Taal: Eruptive History 2021-05-15
[2]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 Report on Taal (Philippines) – 21–27 July 2021 https://volcano.si.e[...] 2021-10-04
[3] 뉴스 39 deaths recorded during Taal Volcano's eruption https://mb.com.ph/20[...] 2020-03-01
[4] 뉴스 LIST: Class suspensions due to Taal Volcano eruption https://newsinfo.inq[...] 2020-01-13
[5] 뉴스 Taal eruption puts NAIA flights on hold https://www.gmanetwo[...] 2020-01-13
[6] 뉴스 Alert Level 3 raised as Taal volcano manifests steam-driven explosion https://news.mb.com.[...] 2020-01-13
[7] 뉴스 PHIVOLCS warns of 'hazardous explosive eruption' of Taal Volcano soon https://www.cnnphili[...] 2020-01-13
[8] 뉴스 BREAKING: Taal volcano spews ash in phreatic eruption https://newsinfo.inq[...] 2020-01-13
[9] 뉴스 Phivolcs raises alert level to 3 as Taal Volcano spews kilometer-high plumes https://www.philstar[...] 2020-01-13
[10] 뉴스 Taal Volcano spews ash column 100 meters high https://www.rappler.[...] 2020-01-13
[11] 뉴스 Pyroclastic density currents, volcanic tsunami likely around Taal –PHIVOLCS https://www.gmanetwo[...] 2020-01-13
[12] 뉴스 Residents flee Taal island, as volcano spouts giant ash column https://news.abs-cbn[...] 2020-01-13
[13] 뉴스 Evacuations underway as PHIVOLCS raises Alert Level 3 over Taal Volcano https://www.cnnphili[...] 2020-01-13
[14] 뉴스 Taal Volcano now on Alert Level 4 https://newsinfo.inq[...] 2020-01-13
[15] 뉴스 LOOK: Heavy ashfall in Batangas, Cavite, Laguna after Taal eruption https://newsinfo.inq[...] 2020-01-13
[16] 뉴스 Ash fall from Taal Volcano reaches parts of Metro Manila –NDRRMC https://www.gmanetwo[...] 2020-01-13
[17] 뉴스 BULKANG TAAL NAGBUGA NG LAVA FOUNTAIN https://www.dwiz882a[...] DWIZ 2020-01-13
[18] 뉴스 Lava fountain from Taal Volcano https://newsinfo.inq[...] 2020-01-13
[19] 뉴스 Ashfall from Taal blast worsened air quality in some parts of NCR https://newsinfo.inq[...] 2020-01-14
[20] 뉴스 Taal volcano lake all but gone in eruption https://www.bbc.com/[...] 2020-01-17
[21] 뉴스 Taal Volcano emits steam 800 meters high https://newsinfo.inq[...] 2020-01-28
[22] 뉴스 Phivolcs reports 'weak' steam emission from Taal Volcano https://newsinfo.inq[...] 2021-03-10
[23] 뉴스 PHIVOLCS: 20 volcanic quakes recorded around Taal in 24 hours; Alert Level 1 stays https://www.gmanetwo[...] 2021-03-10
[24] 뉴스 Phivolcs records 20 volcanic quakes around Taal – Manila Bulletin https://mb.com.ph/20[...] 2021-03-10
[25] 뉴스 Phivolcs: 4 active volcanoes under alert level 1 no cause for alarm https://news.abs-cbn[...] 2021-03-10
[26] 뉴스 Batangas residents evacuated over Taal Volcano's 'increased activity' https://news.abs-cbn[...] 2021-03-10
[27] 뉴스 Phivolcs raises alert level 2 over Taal Volcano https://www.cnn.ph/n[...] 2021-03-10
[28] 뉴스 Haze over Metro Manila not Taal Volcano vog, but pollution – Phivolcs https://cnnphilippin[...] 2021-07-02
[29] 뉴스 Sulfur dioxide from Taal spread to NCR and other provinces, Phivolcs clarifies with new data https://www.cnnphili[...] 2021-07-02
[30] 웹사이트 Taal Volcano Eruption Update, 11:00 pm of July 1, 2021 https://www.phivolcs[...] 2021-07-02
[31] 뉴스 Alert Level 3 raised over Taal Volcano https://mb.com.ph/20[...] 2021-07-01
[32] 뉴스 Taal Volcano erupts, placed on Alert Level 3 https://www.gmanetwo[...] 2021-07-01
[33] 뉴스 PHIVOLCS: Another Taal Volcano eruption may happen 'anytime soon' https://www.gmanetwo[...] 2021-07-04
[34] 웹사이트 Taal Volcano Bulletin 07 July 2021 8:00 am https://www.phivolcs[...] 2021-07-07
[35] 뉴스 Phivolcs observes more Taal Volcano phreatomagmatic activity on July 7 https://www.rappler.[...] 2021-07-07
[36] 뉴스 Another short-lived phreatomagmatic eruption recorded in Taal https://www.gmanetwo[...] 2021-07-08
[37] 뉴스 Live Updates: Taal Volcano unrest in 2021 https://www.rappler.[...] 2021-07-09
[38] 뉴스 Phivolcs lowers Taal Volcano to Alert Level 2 https://www.rappler.[...] 2021-07-23
[39] 웹사이트 Taal volcano (Luzon Island, Philippines): two small explosions earlier today give warning of potentially stronger eruptions to come https://www.volcanod[...] 2021-11-19
[40] 뉴스 Taal Volcano emits 900-meter high steam plumes https://news.abs-cbn[...] 2022-01-30
[41] 뉴스 Taal Volcano Bulletin 30 January 2022 8:00 am https://www.phivolcs[...] 2022-02-04
[42] 웹사이트 Taal Volcano on Alert Level 3 indicating 'magmatic unrest' https://news.abs-cbn[...] 2022-03-26
[43] 웹사이트 Live Updates: Taal Volcano unrest in 2022 https://www.rappler.[...] 2022-03-28
[44] 뉴스 Phivolcs records 14 volcanic earthquakes at Taal Volcano https://www.cnnphili[...] 2022-03-27
[45] 웹사이트 Taal Volcano Bulletin 27 March 2022 8:00 am https://www.phivolcs[...] Phivolcs.dost.gov.ph 2022-05-30
[46] 뉴스 No volcanic quake detected in Taal Volcano in past 24 hours https://www.pna.gov.[...] 2022-03-29
[47] 웹사이트 Taal Volcano Summary of 24Hr Observation 09 April 2022 5:00 AM https://www.phivolcs[...] 2022-04-09
[48] 웹사이트 NDRRMC Update: Situational Report No. 74 re Taal Volcano Phreatic Eruption https://reliefweb.in[...] Nation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Council 2020-02-14
[49] 뉴스 4.1 earthquake hits Batangas town near restive Taal https://www.manilati[...] 2020-01-13
[50] 뉴스 Tremors jolt Batangas, parts of Metro Manila https://news.abs-cbn[...] 2020-01-14
[51] 뉴스 More than 40 quakes hound areas reeling from Taal Volcano's eruption https://newsinfo.inq[...] 2020-01-14
[52] 뉴스 Magnitude 3.9 volcanic quake hits Talisay, Batangas; Intensity IV felt in Tagaytay https://newsinfo.inq[...] 2020-01-14
[53] 웹사이트 Taal Volcano Bulletin: 15 January 2020 8:00 a.m. https://www.phivolcs[...] 2020-01-15
[54] 뉴스 Phivolcs: Taal's main crater lake has been drained https://www.philstar[...] 2020-01-15
[55] 뉴스 Taal sulfur dioxide, volcanic earthquakes go down further http://www.rappler.c[...] 2020-01-28
[56] 뉴스 1 dead, 3 hurt in Laguna road crash amid Taal Volcano ashfall https://www.rappler.[...] 2023-05-20
[57] 뉴스 Man found dead on Taal's Volcano Island https://newsinfo.inq[...] 2023-05-20
[58] 뉴스 Stores run out of face masks as Taal Volcano ash spreads to Calabarzon, Metro Manila http://www.rappler.c[...] 2020-01-13
[59] 뉴스 Demand for N95 masks up after ashfall from Taal Volcano https://www.gmanetwo[...] 2020-01-13
[60] 뉴스 DTI orders crackdown on businesses raising face mask prices https://www.philstar[...] 2020-01-13
[61] 뉴스 'Not even medical grade': Trade department warns vs fake N95 masks https://news.abs-cbn[...] 2020-01-15
[62] 뉴스 DTI: 12 Manila establishments charged with profiteering on N95 masks https://news.mb.com.[...] 2020-01-15
[63] 뉴스 Isko wants explanation from firms which hiked prices of N95 masks amid ashfall https://www.gmanetwo[...] 2020-01-13
[64] 웹사이트 Mercury Drug Corporation https://m.facebook.c[...] 2020-01-13
[65] 뉴스 Mercury Drug replenishing face mask supply, says to keep price unchanged https://news.abs-cbn[...] 2020-01-13
[66] 뉴스 DoH orders price freeze on medicines http://tempo.com.ph/[...] 2020-01-15
[67] 뉴스 DOH orders price freeze on medical supplies in areas hit by Taal eruption https://news.abs-cbn[...] 2020-01-14
[68] 뉴스 Stocks, currency spot trading canceled Monday due to Taal eruption https://news.abs-cbn[...] 2020-01-13
[69] 웹사이트 Please be advised that there will be no trading at PSE, no clearing and settlement at the Securities Clearing Corporation of the Philippines today, January 13, 2020, to ensure the safety of employees and traders in light of the volcanic ash emission of Taal Volcano. https://mobile.twitt[...] Twitter 2020-01-13
[70] 뉴스 Farmers hit by Taal ashfall need aid, not loans https://www.philstar[...] 2020-01-14
[71] 뉴스 P577M worth of crops damaged by Taal Volcano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0-01-14
[72] 뉴스 Agri damage from Taal eruption reaches Php3B http://www.da.gov.ph[...]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0-01-17
[73] 뉴스 Philippines: Taal volcano residents turn ash and plastic waste into bricks https://www.dw.com/e[...] 2020-01-18
[74] 뉴스 Globe, Smart offer free calls, internet for Taal Volcano eruption victims http://www.rappler.c[...] 2020-01-13
[75] 뉴스 Ayala mobilizes relief efforts amid Taal eruption https://business.inq[...] 2020-01-13
[76] 뉴스 One Meralco Foundation offers free charging, food packs to Taal Volcano victims https://globalnation[...] 2020-01-14
[77] 뉴스 PHLPost suspends mail service in towns near Taal, volcano danger zone https://news.abs-cbn[...] 2020-01-16
[78] 뉴스 TAAL UPDATE: DOH issues health reminders as ashfall envelops Luzon {{!}} Claudeth Mocon-Ciriaco https://businessmirr[...] 2020-01-13
[79] 뉴스 Don't eat fish from Taal Lake, DOH says https://news.abs-cbn[...] 2020-01-14
[80] 뉴스 Ash-covered fruits, veggies still safe to eat after washing – DOH https://cnnphilippin[...] 2020-01-15
[81] 뉴스 80,000 passengers affected by NAIA closure https://news.mb.com.[...] 2020-01-13
[82] 뉴스 NAIA resumes partial ops as runway clearing continues https://www.pna.gov.[...] 2020-01-13
[83] 뉴스 LIST: Flight cancellations due to Taal Volcano eruption https://cnnphilippin[...] 2020-01-13
[84] 뉴스 NAIA flights canceled due to Taal ash explosion, Clark to be told to shut down too https://news.abs-cbn[...] 2020-01-12
[85] 뉴스 LIST: Canceled Clark flights on Monday, January 13, 2020 https://newsinfo.inq[...] 2020-01-13
[86] 뉴스 Cebu airport cancels 26 flights, hosts 4 diverted intl flights due to Taal https://newsinfo.inq[...] 2020-01-14
[87] 뉴스 UAAP, NCAA cancel games https://manilastanda[...] 2020-01-14
[88] 뉴스 NCAA volleyball: Games called off due to Taal volcano effects https://sports.mb.co[...] 2020-01-13
[89] 뉴스 Ceres battles Shan in knockout first round https://sports.inqui[...] 2020-01-14
[90] 뉴스 Batangas declares state of calamity due to Mayon Volcano eruption http://www.rappler.c[...] 2020-01-13
[91] 웹사이트 Philippines: Taal Volcano Eruption (As of 12 January 2020) https://reliefweb.in[...] 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2020-01-12
[92] 뉴스 Charity group appeals for priority care for children https://news.mb.com.[...] 2020-01-16
[93] 뉴스 Schools near Taal to undergo inspection https://www.philstar[...] 2020-01-16
[94] 뉴스 More than 24,000 people flee as Taal Volcano spews ash, lava http://www.rappler.c[...]
[95] 뉴스 WATCH: Almost zero visibility in Tagaytay due to Taal unrest https://www.gmanetwo[...] 2020-01-13
[96] 뉴스 Over 7,000 evacuated in Calabarzon due to Taal activity – NDRRMC https://www.gmanetwo[...] 2020-01-13
[97] 뉴스 NDRRMC on red alert over Taal unrest https://www.philstar[...] 2020-01-13
[98] 뉴스 Cavite now under state of calamity amid restive Taal Volcano https://newsinfo.inq[...] 2020-01-15
[99] 뉴스 Duterte declares state of calamity in Calabarzon due to Taal Volcano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0-02-27
[100] 뉴스 Duterte places Taal-hit Calabarzon under state of calamity https://www.philstar[...] 2020-02-27
[101] 뉴스 Duterte declares state of calamity in Calabarzon due to Taal Volcano unrest https://www.rappler.[...] 2020-02-27
[102] 뉴스 Duterte declares state of calamity in Calabarzon due to Taal eruption https://news.abs-cbn[...] 2020-02-27
[103] 뉴스 DILG to locals execs in areas affected by Taal's eruption: Be physically present https://news.mb.com.[...] 2020-01-14
[104] 뉴스 Air Force, Navy rescue units to help Taal volcano victims https://newsinfo.inq[...] 2020-01-13
[105] 뉴스 MMDA sends rescue team to Batangas for evacuation ops https://www.pna.gov.[...] 2020-01-13
[106] 뉴스 Duterte had difficulty flying back to Manila due to Taal unrest https://www.pna.gov.[...] 2020-01-13
[107] 뉴스 Duterte apologizes for late visit to Taal, assures victims of gov't aid https://news.mb.com.[...] 2020-01-14
[108] 뉴스 Duterte declares Taal Volcano island 'no man's land' https://www.manilati[...] 2020-01-15
[109] 뉴스 Duterte wants more evacuation centers built before term ends https://newsinfo.inq[...] 2020-01-16
[110] 뉴스 Robredo visits Batangas, office gives aid to those affected by Taal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0-01-14
[111] 뉴스 Duterte, Robredo make separate visits to Taal evacuees https://www.cnnphili[...] 2020-01-14
[112] 웹사이트 Villanueva asks DOLE to issue labor advisory for workers following Taal eruption, ash fall https://www.senate.g[...]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0-01-13
[113] 웹사이트 Congress must provide health audits to the evacuees - Imee https://www.senate.g[...]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0-01-16
[114] 웹사이트 Alternative livelihood, funding assistance for Taal-affected farmers, fisherfolk: Pangilinan https://kikopangilin[...] Office of Senator Kiko Pangilinan 2020-01-15
[115] 웹사이트 Nancy to DOH, DSWD: Include masks in relief packages https://www.senate.g[...]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0-01-13
[116] 웹사이트 Statement of Akbayan Senator Risa Hontiveros urging the provision of face masks and protective equipment to first responders and the vulnerable and sick https://www.senate.g[...]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0-01-13
[117] 뉴스 Hontiveros calls for mental health support for families affected by Taal eruption https://news.mb.com.[...] 2020-01-19
[118] 웹사이트 More aid for Taal evacuees needed- Revilla https://www.senate.g[...] Senate of the Philippines 2020-01-16
[119] 뉴스 Sotto wants cloud seeding in areas affected by Taal eruption, ashfall https://newsinfo.inq[...] 2020-01-13
[120] 뉴스 Why Filipinos did not welcome Tito Sotto's cloud seeding proposal to ashfall-stricken areas http://www.interaksy[...] 2020-01-14
[121] 뉴스 P10-B supplemental budget needed to aid Taal victims —Gatchalian https://www.gmanetwo[...] 2020-01-16
[122] 뉴스 House to help develop rehab plans for provinces hit by Taal eruption https://newsinfo.inq[...] 2020-01-15
[123] 뉴스 House to probe Phivolcs' lack of warning on Taal https://www.philstar[...] 2020-01-15
[124] 뉴스 'No man's land': Philippines volcano displaced fear future https://www.aljazeer[...] 2020-01-15
[125] 뉴스 Poe urges immediate creation of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https://pia.gov.ph/n[...] 2020-01-15
[126] 뉴스 Rehab plan for Taal-hit areas may cost P60-B: solon https://www.pna.gov.[...] 2020-01-16
[127] 뉴스 Survivors of Pinatubo eruption send aid to victims of Taal eruption https://news.mb.com.[...] 2020-01-13
[128] 뉴스 Local governments outside Batangas give aid to Taal Volcano eruption victims http://www.rappler.c[...] 2020-01-14
[129] 뉴스 More Luzon LGUs send donations to Taal volcano victims https://newsinfo.inq[...] 2020-01-16
[130] 뉴스 In Photos: Benguet farmers donate vegetables to Taal victims https://www.gmanetwo[...] 2020-01-16
[131] 뉴스 Agri losses from Taal blasts reach P3.06B https://www.manilati[...] 2020-01-18
[132] 뉴스 BARMM sends help to Taal victims https://www.mindanew[...] 2020-01-22
[133] 뉴스 'Tala' for Taal: How you can dance to help Taal Volcano victims https://www.philstar[...] 2020-01-17
[134] 뉴스 LOOK: Popsters to hold 'Tala para sa Taal' charity flash mob to help victims of Taal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0-01-15
[135] 뉴스 UP to open map data of Taal Volcano to the public https://news.mb.com.[...] 2020-01-28
[136] 뉴스 No budget yet for displaced Taal residents — NHA chief https://newsinfo.inq[...] INQUIRER.net 2020-10-27
[137] 뉴스 Thousands evacuated in Laurel town, mayor says, as Taal spews ash https://news.abs-cbn[...] 2021-06-02
[138] 뉴스 Mga residente sa barangay malapit sa Taal Volcano, dinala sa mga evacuation center https://news.abs-cbn[...] 2021-07-02
[139] 뉴스 Over 1,000 people evacuated in Batangas after Taal's explosion —NDRRMC https://www.gmanetwo[...] 2021-07-02
[140] 뉴스 Taal situation: Gov't readies food packs, mobilizes for relief operations https://www.rappler.[...] 2021-07-02
[141] 뉴스 Phivolcs raises Taal Volcano to Alert Level 3 https://www.rappler.[...] Rappler 2022-03-26
[142] 웹사이트 Taal Volcano Eruption, Philippines, Flash Update #1 (26 Mar 2022)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22-03-27
[143] 웹사이트 Taal eruption forces 9,000 residents to evacuate https://newsinfo.inq[...] 2022-03-27
[144] 뉴스 Palace: Amid Taal Volcano eruption, PH won't ask for foreign help yet https://newsinfo.inq[...] 2020-01-16
[145] 뉴스 PCG receives relief goods for Taal eruption victims https://www.pna.gov.[...] 2020-01-16
[146] 뉴스 USAID is helping Philippine government to monitor Taal eruption https://www.philstar[...] 2020-01-15
[147] 뉴스 S. Korea pledges US$200,000 in aid to Filipino victims of volcanic eruption https://en.yna.co.kr[...] 2020-01-16
[148] 뉴스 Singapore Red Cross gives $67,000 to victims of Taal volcano, launches public appeal for donations https://www.straitst[...] 2020-01-22
[149] 뉴스 UAE joins in aid mission to help victims of Taal Volcano in the Philippines https://www.arabianb[...] 2020-01-22
[150] 뉴스 Comedian Dave Chappelle just donated PHP 1 million to the Taal rescue efforts https://news.abs-cbn[...] 2020-01-16
[151] 뉴스 European Union donates P42M for Taal eruption victims https://newsinfo.inq[...] Inquirer News 2020-01-31
[152] 뉴스 EU donates P42 million to families hit by Taal Volcano eruption https://news.abs-cbn[...] 2020-01-31
[153] 간행물 Taal: Eruptive History 2021-05-15
[154] 웹인용 Global Volcanism Program {{!}} Report on Taal (Philippines) — 21–27 July 2021 https://volcano.si.e[...] 2021-10-04
[155] 뉴스 39 deaths recorded during Taal Volcano's eruption https://mb.com.ph/20[...] 20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