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인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인지대는 원래 중세 시대부터 사용된 용어로, 분쟁 지역이나 법적 분쟁에 휘말린 지역을 지칭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참호 사이의 위험한 지역을 의미했으며, 윌프리드 오웬과 같은 종군 시인들은 전쟁의 참혹함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 냉전 시대에는 철의 장막 일대가 무인지대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이스라엘-요르단 국경, 관타나모 미군 기지 주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바흐무트 전투 등에서 무인지대 개념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호전 - 참호족
    참호족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 환경에서 비롯되어 습하고 추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된 발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얼얼함, 가려움, 무감각, 통증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괴사 및 궤양으로 이어질 수 있고, 발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참호전 - 교차사격
    교차 사격은 여러 지점에서 화력을 집중하여 특정 지점을 공격하는 군사 전술로, 참호전 방어의 핵심이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피해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지만, 아군 오사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장소에 대한 비유 - 그라운드 제로
  • 장소에 대한 비유 -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은 특정 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그 행위가 용납할 수 없는 결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증 방식이며, 정치적 논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에 사용되고, 개념적, 결정적, 인과적 유형으로 나뉜다.
  • 육전 - 쿨리코보 전투
    쿨리코보 전투는 1380년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이끄는 루스 연합군이 마마이가 이끄는 킵차크 칸국 군대에 돈 강 유역 쿨리코보 평원에서 기습적인 승리를 거두어, 모스크바 대공국의 위상을 높이고 러시아 국가 형성의 토대를 마련한 사건이다.
  • 육전 - 제2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는 임진왜란 중 일본군이 진주성을 함락시킨 전투로, 일본군의 압도적인 병력에 맞서 조선군이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결국 함락되어 수많은 조선군과 민간인이 학살당한 임진왜란 최악의 참극 중 하나이다.
무인지대

2. 어원

런던대학교 로열할로웨이 소속 인문지리학 전문가인 알래스데어 핑커턴(Alasdair Pinkerton)에 따르면, "무인지대"라는 용어는 1086년 도메스데이 북(Domesday Book)에 처음 등장하여 런던 성벽(London city walls) 바로 바깥의 토지 구획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6][7] 옥스퍼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은 1320년에 분쟁 중이거나 법적 분쟁에 휘말린 지역을 묘사하는 "nonesmanneslond"라는 철자로 된 용어를 언급한다.[2][8][9] 같은 용어는 나중에 런던 북쪽 성벽 밖에 위치한 처형장 부지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9] 이 용어는 선박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원래는 여러 밧줄, 장비, 블록 및 기타 물품이 보관되는 범선(square-rigged vessel)의 예포실(forecastle)과 붐(boom) 사이의 중앙부 공간을 가리켰다.[2][10] 영국에서 "무인지대"라고 불리는 여러 장소는 "교회의 통치를 받지 않고, 왕이 할당한 여러 봉토의 통치를 받지 않는 교구 밖 공간, 이러한 서로 다른 권력 체계 사이의 좁고 긴 토지"를 나타냈다.[6]

3. 제1차 세계 대전

플랑드르의 무인지대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1914년 8월 영국군이 프랑스에 상륙했을 때는 '무인지대'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지 않았다. 당시 참호 사이의 땅은 '참호 사이'라는 말로 불렸다.[11] '무인지대'라는 용어는 어네스트 스윈튼이 그의 단편 소설 "관점(The Point of View)"에서 처음 사용했다.[8] 그는 1914년 바다로의 경주와 관련하여 서부 전선에 관한 전쟁 보고서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11] 크리스마스 정전 이후 공식 문서, 신문 등에서 이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11]

무인지대는 폭이 좁은 곳은 10m 미만, 넓은 곳은 수백 야드에 달했다.[12] 기관총, 박격포, 포병, 소총으로 무장한 양측 군대는 무인지대를 향해 공격을 퍼부었다. 무인지대는 철조망, 급조 지뢰, 시체, 불발탄 등으로 가득했으며, 전투와 포격으로 생긴 구덩이 때문에 이동이 어려웠다. 또한 양측 참호의 공격에 그대로 노출되었다.[13] 병사들은 진격, 후퇴, 부상자 후송을 위해 무인지대를 건너야 했고, 이 과정에서 큰 희생을 치렀다.[14] 전차 등장 이전까지 무인지대 돌파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무인지대의 참상은 베르됭 등에 남아 있다. 불발탄이 묻혀 있고 비소, 염소, 포스젠에 오염된 이곳은 적색지대라 불리며, 여전히 민간인 출입이 통제된다.[6]

3. 1. 참호전과 무인지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인 1914년 8월 영국군이 프랑스에 상륙했을 때 '무인지대'라는 용어는 널리 쓰이지 않았다. 당시에는 참호 사이의 땅을 '참호 사이'라고 불렀다.[11] '무인지대'라는 용어는 어네스트 스윈튼이 처음 사용했으며, 1914년 바다로의 경주와 관련하여 이 용어를 사용했다.[11] 크리스마스 정전 이후 이 용어는 널리 사용되었고, 공식 문서와 신문 등에도 등장했다.[11]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무인지대는 좁은 곳은 10m 미만, 넓은 곳은 수백 야드에 달했다.[12] 양측은 기관총, 박격포, 포병, 소총으로 무장하고 무인지대를 향해 공격을 퍼부었다. 무인지대는 철조망, 급조 지뢰, 시체, 불발탄 등으로 가득했다. 전투로 황폐화되고 포격으로 생긴 구덩이 때문에 이동이 어려웠으며, 양측 참호의 공격에 그대로 노출되었다.[13] 병사들은 진격, 후퇴, 부상자 후송을 위해 무인지대를 건너야 했고, 이 과정에서 큰 희생을 치렀다.[14] 전차가 등장하기 전까지 무인지대 돌파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무인지대의 참상은 베르됭 등에 남아 있다. 불발탄이 묻혀 있고 비소, 염소, 포스젠에 오염된 이곳은 적색지대라 불리며 여전히 민간인 출입이 통제된다.[6]

3. 2. 무인지대의 참상

1918년 솜 전투터에서 무인지대에 쓰러져 있는 캐나다군 병사들


무인지대는 기관총, 박격포, 포병, 소총병에 의해 집중적으로 방어되었고, 포탄의 폭발로 인해 광범위하게 분화구가 생겼으며, 철조망과 조잡한 지뢰가 흩어져 있었다.[13] 또한 포탄, 폭발, 화염의 맹렬한 공격 속에서 살아남지 못한 시체와 부상당한 병사들이 널려 있었고, 때때로 화학 무기에 의해 오염되기도 했다.[13] 이러한 환경은 적의 참호에서 발사되는 사격에 노출되어 있었고, 일반적으로 어려운 지형 때문에 어떤 진격 시도도 느려지게 만들었다.[13]

병사들은 진격할 때뿐만 아니라 후퇴할 때도 무인지대를 건너야 했으며, 공격 후에는 후송반이 부상자들을 데려오기 위해 무인지대에 들어가야 했다.[14]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군 장교로 참전하여 전사한 시인 윌프리드 오웬은 무인지대에 대해 다음과 같은 편지를 남겼다.[33]

[No Man's Land] is pock-marked like the body of foulest disease and its odour is the breath of cancer...No Man's Land under snow is like the face of the moon, chaotic, crater-ridden, uninhabitable, awful, the abode of madness.|(무인지대는) 병든 나무처럼 구멍투성이이며, 암 환자의 숨 냄새가 난다. 눈이 내리면 그곳은 달 표면처럼, 무질서하고, 크레이터 투성이이며, 살 수 없고, 무섭고, 광기의 거처이다.영어

Hideous landscapes, vile noises....everything unnatural, broken, blastered; the distortion of the dead, whose unburiable bodies sit outside the dug-outs all day, all night, the most execrable sights on earth.|끔찍한 광경, 불쾌한 소리... 모든 것이 부자연스럽고, 부서지고, 파괴되었다. 죽은 자의 왜곡된 모습, 매장할 수 없는 시체들이 참호 밖에서 밤낮으로 비바람에 노출되는, 지상에서 가장 끔찍한 광경이다.영어

4. 냉전 시대

냉전 시대에는 철의 장막 근처가 무인지대의 한 예였다. 공식적으로는 동구권 국가들에 속했지만, 철의 장막 전체에는 수백 미터 너비의 무인 지역이 여러 곳 있었고, 감시 초소, 지뢰밭, 불발탄 등이 있었다.[16]

미국 해군의 쿠바 과테말라 만 기지는 '칵터스 커튼'이라 불리는 지역을 사이에 두고 쿠바 본토와 분리되어 있다. 1961년 말, 쿠바 혁명군은 기지를 둘러싼 28km 길이의 울타리 북동쪽 구역에 약 13km 길이의 선인장 장벽을 설치하여 쿠바에서 탈출하는 경제적 이민자들이 미국에 정착하는 것을 막았다. 이는 유럽의 철의 장막과 동아시아의 죽의 장막을 빗댄 표현이다. 미국과 쿠바군은 무인지대에 약 5만 5천 개의 지뢰를 매설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고, 미주 대륙에서는 가장 큰 지뢰밭을 조성했다. 1996년 5월 16일, 빌 클린턴 대통령은 미국의 지뢰를 제거하고 침입자를 감지하는 동작 및 소리 감지 센서로 교체하라고 명령했다. 쿠바 정부는 국경 너머 자국 측 지뢰밭을 제거하지 않았다.

4. 1. 철의 장막과 무인지대

냉전 시대에는 철의 장막 일대가 무인지대가 되었다. 수백 미터에 달하는 이 지역은 공식적으로는 동구권에 속했지만, 감시초소와 지뢰밭, 불발탄과 잔해가 흩어져 있었다.[16] 동구권 국가에서 탈출을 시도한 사람들은 국경 요새를 넘더라도, 이 지역에서 국경 경비대에 체포되거나 총에 맞을 수 있었다.

4. 2. 한국의 비무장지대 (DMZ)

냉전 시대 대표적인 무인지대 중 하나로 한국 전쟁 이후 한반도에 설치된 비무장지대(DMZ)가 있다. DMZ는 남한북한의 군사력을 분리하는 완충 지대 역할을 하며, 현재까지도 한반도 분단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5. 현대의 무인지대

1949년 휴전 협정은 1949년 4월 3일 유엔 중재로 로도스에서 이스라엘요르단 사이에 체결되었다.[17] 1948년 11월에 결정된 휴전선 사이에 남겨진 영토는 무인지대로 정의되었다.[18][19] 예루살렘의 예루살렘 성벽 서쪽과 남쪽 부분과 무사라 사이 지역, 라트룬 남북쪽 지대도 1948년부터 1967년까지 이스라엘이나 요르단 어느 쪽의 통제도 받지 않아 "무인지대"로 알려져 있었다.[20][21] 이 무인지대는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이 정복하면서 사라졌다.

관타나모 미군 기지는 "선인장의 장막"이라는 무인지대에 의해 쿠바 본토와 격리되어 있다.[35] 1961년, 쿠바는 군대를 동원하여 기지 북동쪽 펜스를 따라 부채선인장을 심어 주민들의 망명을 막으려 했다.[35] 이것은 유럽철의 장막[36]이나 동아시아의 대나무 장막에 빗대어 "선인장의 장막"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미군과 쿠바군은 무인지대에 5만 5천 개의 지뢰를 매설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서반구에서는 최대) 지뢰밭을 만들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1996년 지뢰 제거를 명령했지만, 대신 원격 감시 기능과 음향 센서가 장착된 고성능 지뢰가 새로 매설되었다. 쿠바 정부는 국경 쪽 지뢰 제거에 응하지 않고 있다.

진행 중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발생한 바흐무트 전투는 21세기의 가장 잔혹한 전투 중 하나로 묘사되며,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모두에게 "고기 분쇄기"이자 "소용돌이"와 같은 전장으로 불린다.[22][23]

바흐무트 외곽의 무인지대


극심한 사상자, 획득한 영토에 비해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지상 공격, 포탄으로 훼손된 풍경으로 인해 자원봉사자, 언론, 정부 관계자들은 바흐무트 전투를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의 전투 상황과 비교했다.[24][25] 앤드류 밀번 퇴역 미 해병대 대령은 바흐무트 교외의 상황을 파스샹달 전투에, 도시 자체를 제2차 세계 대전 드레스덴 폭격에 비유했다.[26] 2023년 1월 11일, 미하일로 포돌략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은 바흐무트와 솔레다르에서 진행 중인 전투를 침공 시작 이후 가장 잔혹한 전투라고 묘사했다.[27] 서방 및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바흐무트를 베르됭 전투, 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비교하기도 했다.[28][29][30]

1974년 이후 키프로스 섬에는 터키계 키프로스와 그리스계 키프로스 사이에 유엔 완충 지대가 설치되어 무인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1] 키프로스 유엔 완충지대(그린라인)와 버려진 바로샤가 이에 해당한다.[1]

5. 1. 이스라엘-요르단

주로 빈 땅. 구시가지 성벽 근처, 성모 승천 수도원(오른쪽 끝), <a href=다윗의 탑(왼쪽 중앙).">
1964년경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 예루살렘의 무인지대


1949년부터 1967년까지 이스라엘과 요르단의 국경에는 양측 어느 쪽도 관할권을 행사하지 않아 "무인지대"로 간주되는 몇몇 작은 지역이 있었다. 1949년 휴전 협정은 1949년 4월 3일 유엔 중재로 로도스에서 이스라엘요르단 사이에 체결되었다.[17] 1948년 11월에 결정된 휴전선 사이에 남겨진 영토는 무인지대로 정의되었다.[18][19] 예루살렘의 예루살렘 성벽 서쪽과 남쪽 부분과 무사라 사이 지역에도 그러한 지역이 존재했다.[20] 라트룬의 남북쪽 지대도 1948년부터 1967년까지 이스라엘이나 요르단 어느 쪽의 통제도 받지 않아 "무인지대"로 알려져 있었다.[21]

무인지대는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이 정복하면서 사라졌다.

5. 2. 쿠바 관타나모 미군 기지

관타나모 미군 기지는 "선인장의 장막"이라는 무인지대에 의해 쿠바 본토와 격리되어 있다.[35] 1961년, 쿠바는 군대를 동원하여 기지 북동쪽 펜스를 따라 부채선인장을 심어 주민들의 망명을 막으려 했다.[35] 이것은 유럽철의 장막[36]이나 동아시아의 대나무 장막에 빗대어 "선인장의 장막"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더욱이, 미군과 쿠바군은 무인지대에 5만 5천 개의 지뢰를 매설하여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서반구에서는 최대) 지뢰밭을 만들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1996년 지뢰 제거를 명령했지만, 대신 원격 감시 기능과 음향 센서가 장착된 고성능 지뢰가 새로 매설되었다. 한편, 쿠바 정부는 국경 쪽 지뢰 제거에 응하지 않고 있다.

5. 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진행 중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발생한 바흐무트 전투는 21세기의 가장 잔혹한 전투 중 하나로 묘사되며,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모두에게 "고기 분쇄기"이자 "소용돌이"와 같은 전장으로 불린다.[22][23]

극심한 사상자, 획득한 영토에 비해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지상 공격, 포탄으로 훼손된 풍경으로 인해 자원봉사자, 언론, 정부 관계자들은 바흐무트 전투를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의 전투 상황과 비교했다.[24][25]

이 전투를 목격한 퇴역 미 해병대 대령 앤드류 밀번은 바흐무트 교외의 상황을 파스샹달 전투에, 도시 자체를 제2차 세계 대전 드레스덴 폭격에 비유했다.[26] 2023년 1월 11일,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 미하일로 포돌략은 바흐무트와 솔레다르에서 진행 중인 전투를 침공 시작 이후 가장 잔혹한 전투라고 묘사했다.[27] 서방 및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바흐무트를 베르됭 전투, 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비교하기도 했다.[28][29][30]

5. 4. 키프로스

1974년 이후 키프로스 섬에는 터키계 키프로스와 그리스계 키프로스 사이에 유엔 완충 지대가 설치되어 무인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1] 키프로스 유엔 완충지대(그린라인)와 버려진 바로샤가 이에 해당한다.[1]

참조

[1] 서적 Coleman
[2] 사전 no man's land
[3] 웹사이트 No-man's land definition and meaning https://www.collinsd[...]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No-Man's-Land https://www.merriam-[...]
[5] 웹사이트 Portraits of No-Man's-Land https://artsandcultu[...]
[6] 뉴스 Adventures in No Man's Land https://www.bbc.com/[...] 2015-09-30
[7] 웹사이트 Nomansland https://opendomesday[...] 2021-11-15
[8] 서적 Persico
[9] 서적 Levenback
[10] 서적 Facts on File Dictionary of Word and Phrase Origins 2008
[11] 웹사이트 No Man's Land http://www.westernfr[...] Western Front Association 2008-07-08
[12] 서적 Trench Fighting of World War I ABDO 2003
[13] 웹사이트 Weapons of the western front https://www.nam.ac.u[...]
[14] 웹사이트 Life in the Trenches of World War I https://www.history.[...] 2018-04-23
[15] 웹사이트 Guantanamo Bay Naval Base and Ecological Crises http://www1.american[...] American University
[16] 잡지 Yankees Besieged http://www.time.com/[...] 1962-03-16
[17] 웹사이트 S/1302/Rev.1 of 3 April 1949 https://unispal.un.o[...]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fa.gov.i[...]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fa.gov.i[...]
[20] 뉴스 Reclaiming Jerusalem's No-man's-land http://www.haaretz.c[...] 2011-10-30
[21] 웹사이트 Palestinians for Peace and Democracy http://www.p4pd.org/[...]
[22] 뉴스 In Ukraine, Bakhmut Becomes a Bloody Vortex for 2 Militaries https://www.nytimes.[...] 2022-11-27
[23] 뉴스 Maria Senovilla: 'Bakhmut is the blackest point of the Ukrainian war. Up to 400 Ukrainian soldiers a day are being killed' https://atalayar.com[...] 2022-12-12
[24] 웹사이트 Ukraine Situation Report: The Bloody Battle For Bakhmut https://www.thedrive[...] 2022-11-29
[25] 웹사이트 Trenches, mud and death: One Ukrainian battlefield looks like something out of World War I https://www.cnbc.com[...] 2022-11-30
[26] 뉴스 Notorious Wagner Group Targeting Volunteers in Ukraine, U.S. Trainer Says https://www.newsweek[...] 2022-12-07
[27] 뉴스 Fighting for Soledar and Bakhmut is the 'Bloodiest' of the War https://www.kyivpost[...] 2023-01-11
[28] 뉴스 Fighting in Soledar and Bakhmut comparable to Battle of Verdun, Zelenskyy's chief-of-staff says https://news.yahoo.c[...] 2023-01-13
[29] 웹사이트 How Long Should Ukrainian Forces Defend Bakhmut? Lessons From Stalingrad https://mwi.usma.edu[...]
[30] 웹사이트 Horrifying stories of Ukraine war by Wagner’s convicts https://tvpworld.com[...]
[31] 서적 Persico
[32] 서적 Levenback
[33] 서적 Facts on File Dictionary of Word and Phrase Origins 2008
[34] 웹사이트 No Man's Land http://www.westernfr[...] Western Front Association 2008-07-08
[35] 웹사이트 Guantanamo Bay Naval Base and Ecological Crises http://www1.american[...] American University
[36] 논문 Yankees Besieged http://www.time.com/[...] 1962-03-16
[37] 뉴스 No Man's Land http://www.time.com/[...] 2000-04-10
[38] 웹사이트 Jerusalem post | Israel travel guide | Jerusalem tours | Special tours and attractions in Israel. Former Israel / Jordanian border – No man's land http://www.jposttrav[...] 2011-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