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차 자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차 자료는 1차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자료로, 1차 자료를 요약, 분석, 해석하거나 재구성한 것이다. 2차 자료는 연구 분야의 지식 상태에 따라 1차 자료로 간주되기도 하며, 과학, 문헌정보학, 수학, 인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2차 자료는 1차 자료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자료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자료의 분류

정보는 다양한 출처에서 얻을 수 있지만, 주로 타인에게 정보를 전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상징적 자료'를 중심으로 분류한다. 자료는 1차 자료와 2차 자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주관적이고 맥락에 따라 달라지며 엄밀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자료의 분류는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상징적 자료에만 적용된다.

과학 및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체계화하려는 시도에는 1차, 2차 및 추가 "수준"의 분류 개념이 필요하다. 그러한 모델 중 하나는 UNISIST 모델을 통한 정보 보급으로 유엔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모델 내에서 자료 분류 개념은 서로 관련하여 정의되며, 특정 분류 방식을 수용하는 것은 모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일부 현대 언어는 영어 단어 "source"에 대해 두 단어 이상을 사용한다. 독일어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2차 자료에 대해 일반적으로 ''Sekundärliteraturde''("2차 문헌")을 사용하고, 역사학에는 ''Sekundärquellede''("2차 자료")를 사용한다.

2. 1. 1차 자료와 2차 자료의 구분

1차 자료와 2차 자료의 구분은 주관적이고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9] 엄밀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10] 실제로 많은 자료는 고려되는 맥락에 따라 1차 자료 또는 2차 자료로 분류될 수 있다.[8]

예를 들어, 어떤 역사적 텍스트가 새로운 역사적 결론을 밝힐 정도로 특정 오래된 문서를 면밀히 논의하는 경우, 해당 역사적 텍스트는 새로운 결론에 대한 1차 자료로 간주될 수 있지만, 여전히 오래된 문서에 대한 2차 자료로 간주된다.[11] 자료가 1차 및 2차 역할을 모두 가질 수 있는 다른 예로는 부고나 특정 주제에 대한 기사의 빈도를 세기 위한 여러 저널의 조사 등이 있다.[12]

또한, 주어진 맥락에서 자료가 1차 또는 2차로 간주되는지는 연구 분야 내의 과거 및 현재 지식 상태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13] 예를 들어, 특정 문서가 이전의 발견되지 않은 편지의 내용을 언급하는 경우, 해당 문서는 원본 자료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1차"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누락된 편지가 나중에 발견되면 해당 특정 문서는 "2차"로 간주될 수 있다.[14]

2. 2. 상징적 자료

정보는 다양한 발견된 물체로부터 해석될 수 있지만, 1차 또는 2차 자료 상태 등에 대한 자료 분류는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어떤 사람에게 공적으로 또는 사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체인 '''상징적 자료'''에만 적용된다.[8] 전형적인 상징적 자료에는 편지, 메모, 영수증, 원장, 원고, 보고서 또는 공공 표지판과 같은 문서나 그래픽 아트 등이 포함되지만,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굴된 깨진 도자기 조각이나 음식 찌꺼기는 포함되지 않는다.[8] 이는 고대 쓰레기 더미에서 얼마나 많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 또는 문서에서 얼마나 적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지에 관계없이 적용된다.[8]

3. 학문 분야별 2차 자료

여러 학문 분야에서 2차 자료는 다르게 정의되고 활용된다.

학문 분야2차 자료의 정의 및 활용
과학, 기술, 의학검토 논문, 메타 분석 등 "2차 문헌"이라고 불린다. 1차 자료에 대한 종합 및 분석을 제공하며, 과학 논문 서론의 문헌 요약이나 참고 도서 한 챕터의 특정 주제 설명도 포함된다. 도서 서평은 책 내용에 대한 2차 자료이다.
문헌정보학연구 중인 특정 정보나 아이디어의 맥락에서 1차 자료를 요약하거나 논평을 추가하는 자료이다.[1][2]
수학1차 자료의 어렵고 복잡한 수학적 아이디어와 증명을 대중이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20]
인문학 및 역사학후대 학자의 관점에서 쓰여진 이나 학술 저널이다. 동료 심사를 거친 논문은 항상 2차 자료이다. 역사학에서 처음으로 자료를 1차와 2차로 구분했으며, 자료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하게 활용된다. 랑케 모델에 따라 역사가들은 1차 자료 아카이브를 사용한다.
법학판례, 헌법, 법령 등 1차 자료와 달리 서적, 판례 보고서의 항목, 논문, 백과사전 등이 2차 자료이다. 1차 자료만이 권위 있고 선례가 될 수 있어 법률 저술가들은 1차 자료 인용을 선호한다.[25][26]
가족사직접 목격자가 아닌 사람이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기록하거나 진술한 것이다. 기억의 오류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27]
자서전회고록은 주제 이외의 정보에 사용될 때 2차 자료가 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회고록은 당시의 지배적인 인식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28][29]



각 분야별 2차 자료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과학, 기술, 의학

일반적으로 과학적 맥락에서 2차 자료는 "2차 문헌"이라고 하며, 검토 논문 또는 메타 분석으로 불릴 수 있다.

1차 자료는 보통 "실제로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가 작성한 원본 연구 논문"으로 정의된다. 1차 자료의 예로는 연구를 수행한 저자가 과학 저널에 게재한 연구 논문의 목적, 방법, 결과, 결론 섹션(IMRAD 형식)이 있다.[17] 일부 분야에서 2차 자료는 과학 논문의 서론에 있는 문헌 요약, 참고 도서의 한 챕터에서 질병이나 치료법에 대해 알려진 내용에 대한 설명 또는 사용 가능한 문헌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된 종합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17] 1차 동료 심사 자료에서 해당 분야의 이전 연구에 대한 조사는 2차 자료 정보다. 이를 통해 아직 전체 검토 논문이 출판되지 않은 분야에서 최근 발견된 내용에 대한 2차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도서 서평은 서평가의 책에 대한 판단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서평가의 의견에 대한 1차 자료이며, 책의 내용에 대한 2차 자료이다.[18][19] 서평 내의 책 요약은 2차 자료이다.

3. 2.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에서 2차 자료는 일반적으로 연구 중인 특정 정보나 아이디어의 맥락에서 1차 자료를 요약하거나 논평을 추가한 자료로 간주된다.[1][2]

3. 3. 수학

수학 분야에서 2차 자료는 1차 자료에 기록된 난해한 수학 개념이나 증명을 일반 대중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된다.[20][48] 다른 과학 분야에서는 3차 자료가 입문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4. 인문학 및 역사학

역사 및 인문학 분야의 2차 자료는 대개 후대의 해석자, 특히 후대 학자의 관점에서 쓰여진 이나 학술 저널이다. 인문학에서 동료 심사를 거친 논문은 항상 2차 자료에 해당한다.[21]

자료를 1차 자료와 2차 자료로 구분하는 것은 역사 기술가들이 역사 저술의 자료를 식별하고 분류하려 시도하면서 역사학 분야에서 처음 등장했다. 학술 저술에서 자료를 분류하는 중요한 목적은 자료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것이다.[22] 역사가들은 학술적 해석의 맥락에서 1차 자료를 읽는다.[22]

랑케 모델에 따라 역사가들은 1차 자료의 아카이브를 사용한다.[23] 대부분의 학부 연구 프로젝트는 2차 자료에 의존하지만, 1차 자료의 일부를 활용할 수도 있다.[24]

법학 분야에서 자료 분류는 자료의 설득력이 대개 그 역사에 달려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1차 자료에는 판례, 헌법, 법령, 행정 규정 및 기타 구속력 있는 법적 권위의 출처가 포함될 수 있으며, 2차 법률 자료에는 서적, 판례 보고서의 항목, 논문, 백과사전 등이 포함될 수 있다.[25] 법률 저술가들은 일반적으로 1차 자료를 인용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이는 1차 자료만이 권위 있고 선례가 될 수 있는 반면, 2차 자료는 기껏해야 설득력이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26]

3. 5. 가족사

2차 자료는 사건 발생 시점 또는 그 이후에, 직접적인 목격자가 아닌 사람에 의해 기록되거나 진술된 기록 또는 진술이다. 기억의 오류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27] 따라서 이 정의에 따르면, 사건 발생 후 오랫동안 작성된 "기억의 오류가 중요한 요소인" 1차 자료는 해당 사건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설명일지라도 2차 자료이다.[55]

3. 6. 자서전

자서전 또는 회고록은 주제 이외의 정보에 사용될 때 2차 자료가 될 수 있다.[28] 예를 들어,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한 많은 회고록은 종전 후 몇 년 동안 당시의 전쟁에 대한 지배적인 인식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현대의 여론과는 상당히 달랐다.[29]

4. 한국의 관점

한국 학계 및 사회에서 1차 자료와 2차 자료의 개념은 서구권과 유사하게 적용되지만, 한국 특유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강조점이나 해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차 자료는 주로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 현상이 발생한 당시에 직접 작성된 기록물이나 유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편지, 6.25 전쟁 당시의 사진 등이 1차 자료에 해당한다. 이러한 1차 자료는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역사 연구나 사회 현상 분석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차 자료는 1차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분석, 해석하여 만들어진 자료를 의미한다. 역사 연구 논문, 사회 현상 분석 보고서, 다큐멘터리 등이 2차 자료에 해당한다. 2차 자료는 1차 자료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제공하며, 일반 대중이 1차 자료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한국에서는 특히 역사 연구 분야에서 1차 자료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는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진 역사와 일제강점기, 6.25 전쟁 등을 거치면서 많은 1차 자료가 소실되거나 왜곡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자료의 발굴과 보존,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역사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는 언론 보도나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정보의 진위 여부와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1차 자료와 2차 자료를 구분하고, 정보의 출처를 확인하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ources http://lib.guides.um[...] University Libraries, University of Maryland
[2] 웹사이트 Secondary sources http://libguides.jcu[...] 2014-11-06
[3] 웹사이트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https://web.archive.[...]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ograph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Future Historians: Their Quest for Information http://crl.acrl.org/[...]
[6] 간행물 Historical research in literacy http://www.readingon[...] 2022-01-21
[7] 서적 Writing, Reading, and Research
[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ograph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11-24
[9] 간행물 Historians and Their Information Sources https://crl.acrl.org[...] 2004-09
[10] 문서
[11] 웹사이트 Important Sources of History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http://www.historydi[...] 2013-09-23
[12] 서적 History of Medicine: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 간행물 Primary Source by Primary Source? On the Role of Epidemics in New World Depopulation Duke University Press
[14] 문서
[15] 웹사이트 UNISIST Study Report on the feasibility of a World Science Information System,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tific Unions http://unesdoc.unesc[...] Unesco, Paris
[16] 웹사이트 4.2 Secondary literature https://www.open.edu[...] 2023-03-22
[17] 서적 Health Sciences Literature Review Made Eas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0
[18] 웹사이트 Book reviews http://wordnetweb.pr[...] Princeton 2011-09-22
[19] 웹사이트 Book reviews http://www.lib.vt.ed[...]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2011-09-22
[20] 서적 Riemann's Zeta Function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1] 문서
[22] 서적 Between Two Cultures: An Introduction to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23] 서적 The German Historicist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P.
[24] 서적 Social Knowledge in the Making https://books.google[...] U. of Chicago Press
[25] 서적 Cite Checker: A Hands-On Guide to Learning Citation Form https://archive.org/[...] Thomson Delmar Learning
[26] 문서
[27] 문서
[28] 간행물 Building a bridge of words: the literary autobiography as historical source material http://www.jstor.org[...] 2006
[29] 문서 Holmes,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30] 웹사이트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ources http://lib.guides.um[...] University Libraries, University of Maryland 2020-08-23
[31] 웹사이트 Secondary sources http://libguides.jcu[...] James Cook University 2013-06-11
[32] 웹사이트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http://www.ithacalib[...] Ithaca College Library 2020-08-23
[3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ograph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간행물 Future Historians: Their Quest for Information http://crl.acrl.org/[...]
[35] 간행물 Historical research in literacy http://www.readingon[...]
[36] 서적 Writing, Reading, and Research 2009
[3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iography of Sc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11-24
[38] 기타 1989
[39] 기타 2004
[40] 기타 1999
[41] 웹사이트 Important Sources of History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http://www.historydi[...] 2013-09-23
[42] 간행물 History of Medicine: A Scandalousl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43] 간행물 Primary Source by Primary Source? On the Role of Epidemics in New World Depopulation Duke University Press
[44] 기타 1986
[45] 서적 Health Sciences Literature Review Made Eas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0
[46] 웹사이트 Book reviews http://wordnetweb.pr[...] Princeton
[47] 웹사이트 Book reviews http://www.lib.vt.ed[...]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48] 간행물 Riemann's Zeta Function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49] 기타 1989
[50] 간행물 Between Two Cultures: An Introduction to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51] 서적 The German Historicist Tra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P.
[52] 서적 Social Knowledge in the Making https://books.google[...] U. of Chicago Press
[53] 간행물 Cite Checker: A Hands-On Guide to Learning Citation Form https://books.google[...] Thomson Delmar Learning
[54] 기타 2000
[55] 문서 Harland, p. 39
[56] 문서 Holmes, particularly the introduction
[57] 웹사이트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ources http://lib.guides.um[...]
[58] 웹사이트 Secondary sources http://libguides.jc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