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과사전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담아낸 참고 자료로, 인쇄술 발달과 함께 널리 보급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백과사전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이며, 중세 시대에는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어원》, 비잔틴의 《수다》 등이 제작되었다. 르네상스 시대 인쇄술 발명은 백과사전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18세기에는 《백과전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등이 등장하며 근대 백과사전의 형태를 갖추었다. 20세기에는 CD-ROM, DVD-ROM 등의 전자 백과사전이 등장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백과사전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온라인 백과사전은 정보 갱신이 빠르고,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이 용이하며, 위키백과와 같이 누구나 참여하여 지식을 공유하는 형태도 나타났다. 백과사전은 목적과 범위, 권위, 접근성, 기술 형식, 형태적 특징, 특징과 가격 등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수 100 - FTSE 100 지수
FTSE 100 지수는 런던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으로 구성된 주가지수로, FTSE 러셀이 관리하며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계산되고 1984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 명수 100 -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다양한 사상가와 학파들을 일컫는 제자백가는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등 여러 학파를 이루어 사회 질서, 정치, 윤리에 대한 독자적인 주장을 펼치며 중국 사상과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백과사전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백과사전 - 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은 강희제의 명으로 편찬되어 1726년에 완성된 백과사전으로, 고대부터 청나라 초기까지의 문헌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천문, 지리, 인간, 자연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다.
백과사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참고 문헌, 학습 자료 |
언어 | 다국어 |
역사 | 기원전 4세기 |
관련 항목 | 지식 정보 사전 연감 |
정의 | |
어원 | |
특징 | |
특징 | 백과사전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참고 문헌이다. 백과사전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백과사전은 일반적으로 알파벳순 또는 주제별로 구성되어 있다. 백과사전의 각 항목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한다. 백과사전은 항목의 이름, 어원,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여 항목을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
역사 | |
종류 | |
온라인 백과사전 | |
기타 | |
참고 | 지식의 보고, 백과사전 |
2. 백과사전의 역사
백과사전의 기원은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가 편찬한 박물지로, 이는 중국의 유집(類集)과 유사한 편찬 방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17세기까지 이어졌다. 최초의 알파벳 배열 백과사전은 1674년 모레리의 《역사대사전》에서 시도되었고, 알스티드가 《Encyclopaedia Septem Tomisdistincta》에도 이용하였다.
디드로는 백과사전의 목적을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지식을 수집하여... 우리의 후손들이 더 잘 교육받아 동시에 더 훌륭하고 행복해지며, 우리가 미래의 인류에게 봉사하지 않고 죽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13]
"백과사전"(encyclopedia)이라는 단어는 코이네 그리스어 ἐγκύκλιος παιδεία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음역하면 로, '일반 교육'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두 단어가 하나의 단어로 줄어든 것은 필사 오류 때문이었다.[17]
광사원 제7판에 따르면, 백과사전은 "학술・기예・사회・가정 기타 모든 과목에 걸쳐 지식을 모아 기록하고, 이를 부문별 또는 가나다순 등으로 배열하여 해설을 더한 책[37]"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대사전에서는 "인류의 지식이 미치는 모든 분야의 사항에 대해, 사전의 형식에 준하여 항목을 세워 배열하고, 해설을 더한 책[38]"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가 편찬한 박물지는 백과사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이는 중국에서 경사자집(經史子集)의 여러 책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엮은 유집(類集)과 유사한 편찬 방식이었으며, 17세기까지 이어졌다.[13]현대에 전해지는 가장 초기의 백과사전은 서기 1세기에 살았던 고대 로마 정치가 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la이다.[7][29][23][24] 그는 자연사, 건축, 의학, 지리,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를 37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24] 이 책은 고대 로마 세계, 특히 로마 미술, 로마 기술 및 로마 공학에 대한 중요한 정보원으로 남아있다.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보편적인 지식을 집대성하려 한 최초의 기독교 작가로, 《어원》을 저술했다. 이 백과사전은 최초의 기독교 요약본으로, 박물지la를 포함한 수백 개의 고전 자료를 바탕으로 20권 448개 장으로 구성되었다.[26] 문법, 수사학, 수학, 기하학, 음악, 천문학, 의학, 법, 로마 가톨릭 교회 및 이단 종파, 이교도 철학자, 언어, 도시, 동물 및 새, 물리적 세계, 지리, 공공 건물, 도로, 금속, 암석, 농업, 선박, 의류, 음식, 도구 등을 다루었다.
카시오도루스의 《신성 및 세속 문학 연구》(543–560)는 기독교 신학과 자유 7과에 헌정된 또 다른 기독교 백과사전이었다.[23][7] 10세기의 비잔틴 백과사전 수다는 3만 개의 항목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리스 문자로 정렬되었다.[23]

조선에서는 이수광의 지봉유설(1614)이 최초의 백과사전으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 이덕무의 청장관전서, 최명길의 고사촬요,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이 있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의 참고 자료인 ''시변''이 계보 백과사전으로 묘사되었고, 220년대에 완성된 ''황란''은 초기 ''유서'' 백과사전이었다. 624년에 완성된 ''예문유취''는 초기 당나라의 문학 백과사전이었다. 11세기에 편찬된 ''송사사대서''는 4대 백과사전 중 마지막인 ''책부원구''가 1,000권에 940만 한자에 달했다. 영락대전 (1408년 완성)은 11,095권으로 구성되었다.
유럽에서는 기원전 2세기경부터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와 같이 오래된 서적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동로마 제국 중기 '마케도니아 왕조 르네상스' 시대에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는 그리스 및 라틴 고전에서 역사와 사상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통치의 참고서로 편찬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요한 1세 치미스케스 치하에 그리스어 사전 《수다 사전》이 완성되었다. 이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알파벳순 배열에 따른 백과사전으로 여겨진다.
명나라 시대의 중국에는 14부 구성, 총 106권에 달하는 그림이 있는 백과사전 《삼재도회》가 있었으며, 1607년에 완성되어 2년 후에 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이를 본떠 에도 시대인 1712년에 데라지마 료안에 의해 《화한삼재도회》가 정리되었다.
2. 2. 근대 백과사전의 성립
17세기 초, 그전까지 분야별로 나뉘어 있던 각 항목의 배열이 알파벳 순으로 정렬되었다. 이로 인해 백과사전은 편집자의 가치관에 의해 질서가 부여되는 개념의 관계에 의존하지 않고, 알파벳에 의한 기계적이고 일률적인 구성이 되었다[54]. 1695년부터 1697년까지 피에르 베일에 의해 '역사 비평 사전'이 쓰여졌다[55]. 영국의 이프라임 체임버스는 1728년에 《사이클로피디아, 또는 여러 기술 및 학문의 백과사전》을 출판했다[56]. 《사이클로피디아》에서는 각 항목 간의 상호 참조가 처음으로 도입되었으며, 이후의 백과사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57]. 또한, 《사이클로피디아》는 그전까지의 사전이 인문학 계열에 치우쳐 있었던 것에 비해, 과학과 기술 계열의 기술을 대폭 늘린 것도 특징이다.프랑스에서는 계몽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달랑베르, 디드로, 볼테르, 루소 등이 기획한 《백과전서》(L'Encyclopédie)가 1751년에 출간되었다. 이들은 예약 구독자를 모집하여 분책 판매로 출간하였고, 이 기획으로 인해 '백과전서파'라고 불린다. 《백과전서》는 '미(美)', '사랑', '음악'과 같은 대항목 외에도, 근대에 등장한 새로운 기술을 단면도 등을 포함한 그림 해설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새로운 지식을 널리 일반의 공유 재산으로 만들려고 했다[58]. 이후 백과사전은 명망 있는 학자들이 각자 전문 분야에서 기고를 하고, 그것을 집적하여 하나의 거대한 사전을 만드는 방향성을 제시했으며[59], 이후 백과사전은 이 방식으로 제작되게 되었다.
같은 시기 영국에서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1768년부터 매주 분책으로 발행되어 1771년에 3권으로 완간되었다.
2. 3. 현대 백과사전의 발전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백과사전은 여러 국가와 언어로 출간되었고, 국가 간 경쟁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61]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을 시작으로, 산세이도의 《일본 백과사전》,[62] 헤이본샤의 《세계대백과사전》 등이 출간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58년 학원사의 《대백과사전》을 시작으로, 동아출판사의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의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태극출판사의 《대세계백과사전》, 동서문화사의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학원출판공사의 《학원세계대백과사전》 등 다양한 백과사전이 출간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과학백과사전출판사에서 《광명대백과사전》, 《조선대백과사전》 등을 출간하였다.
2. 4. 전자 백과사전의 등장
1990년대부터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CD-ROM, DVD-ROM 등 대용량 광학 드라이브의 등장으로 백과사전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형태로도 출시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컴퓨터를 통해 백과사전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2000년대 중반에는 인터넷 백과사전이 주류가 되면서 디스크 기반 백과사전은 쇠퇴했다.[7]CD-ROM 백과사전은 macOS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3.0, 3.1 또는 95/98)용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었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백과사전 항목을 검색하거나, 하이퍼링크, 사진, 오디오 클립(역사적 연설, 악기 소리 등), 비디오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할 수 있었다. CD-ROM 시대의 비디오 클립 해상도는 160x120 또는 320x240 픽셀 수준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엔카르타는 1993년에 출시되어 인쇄본 없이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한 혁신적인 사례로 꼽혔다.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는 2009년에 엔카르타를 단종시켰다.[32] 그롤리어 멀티미디어 백과사전과 브리태니커도 CD-ROM 백과사전의 예시이다.
1990년 종이 백과사전인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판매량이 최고를 기록했지만,[73] 1993년부터 엔카르타 등 CD-ROM 백과사전이 급성장하면서 종이 백과사전 판매량은 급감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판매량은 수년 만에 5분의 1로 감소했고,[74] 1994년에는 브리태니커도 CD-ROM 버전을 출시했다. 그러나 2000년 백과사전 전체 판매량은 1990년에 비해 10분의 1로 감소하는 등 CD-ROM/DVD-ROM 백과사전 발행은 전반적으로 큰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했다.[75]
2000년 무렵부터 인터넷 발달과 보급으로 웹 기반 인터넷 백과사전이 등장했다. 1999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웹에서 무료 공개를 시작했고, 『라루스』 등 전통적인 백과사전들도 온라인 버전을 함께 제공하기 시작했다.
2001년 지미 웨일스와 래리 생어가 설립한 위키백과는 누구나 집필, 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특징으로 크게 성장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백과사전이 되었다. 위키백과의 성공 이후, 여러 독자 참여형 인터넷 백과사전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3. 백과사전의 특징
백과사전은 단순한 단어 정의를 넘어, 주제에 대한 폭넓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전과 구별된다. 백과사전은 독자가 주제를 깊이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다양한 지도와 삽화, 참고 문헌 및 통계를 활용한다.[7]
디드로는 백과사전의 목적을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지식을 수집하여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그 일반적인 체계를 제시하고, 앞으로 올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13] 이는 백과사전이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지식을 체계화하고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준다.
"백과사전"(encyclo|pedia)이라는 단어는 코이네 그리스어 ἐγκύκλιος παιδεία ()에서 유래되었으며,[14] '일반 교육'을 의미한다.[16]
현대 백과사전은 18세기에 사전에서 진화했다.[20] 역사적으로 백과사전과 사전 모두 교육을 잘 받고 정보에 정통한 전문가에 의해 편집되었지만, 구조는 상당히 다르다. 사전은 주로 단어와 그 정의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는 언어학적 작업이다. 동의어와 주제와 관련된 단어들은 사전에 흩어져 있어 심층적인 설명을 위한 명확한 자리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전은 일반적으로 정의된 단어에 대한 제한된 정보, 분석 또는 배경을 제공한다. 정의를 제공할 수 있지만, 독자는 이해 부족으로 인해 용어의 의미, 중요성 또는 한계, 그리고 그 용어가 더 넓은 지식 분야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매쿼리 사전''처럼 특정 분야에 관련된 경우나, 고유 명사의 사용과 그 파생어를 인지하여 백과사전식 사전이 되는 경우도 있다.
백과사전은 다루는 주제의 범위에 따라 '일반 백과사전'과 '전문 백과사전'으로 나눌 수 있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나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과 같은 일반 백과사전은 모든 분야의 주제를 다루는 반면,[4] '''대(大)소련 백과사전''' 또는 '''유대 백과사전'''과 같이 특정 문화, 민족 또는 국가적 관점에서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백과사전도 있다. 의학, 철학, 법률 등 특정 주제 영역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백과사전은 전문 백과사전에 해당한다.
3. 1. 구성 및 배열
백과사전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각 항목을 분야별로 분류하여 편성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각 항목의 명칭을 기준으로 배열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는 알파벳순으로, 일본어 백과사전에서는 가나다순으로 배열한다. 각 항목에서 해당 백과사전에 기사가 있는 단어에는 표시가 되어 있어 상호 참조가 가능한 경우가 많다. 온라인 백과사전에서도 마찬가지로, 위키백과에서는 내부에 기사가 있는 단어에 하이퍼링크가 걸려 있어 상호 참조를 쉽게 할 수 있다. 중국어는 기계적인 배열이 불가능하므로 대부분의 사전, 백과사전이 분류 배열을 따른다.[6]백과사전의 항목 구성 방식은 크게 대항목주의와 소항목주의로 나뉜다. 대항목주의는, 예를 들어 일본 문학에서 "근대 문학"처럼 큰 주제 항목 아래에 문예 사조, 유명 작가, 작품 등을 묶어 하나의 항목 내에서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항목은 수 페이지에서 수십 페이지에 이르는 긴 내용이 될 수도 있다. 소항목주의는 "나쓰메 소세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자연주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처럼 개별적인 세부 주제나 대상마다 항목을 만들어 각각 간결하게 해설하는 방식이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초판은 대항목주의를 따랐고,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은 소항목주의를 철저히 따른 것으로 유명하다.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다. 대항목주의는 전체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좋지만, 특정 작품이나 작가를 찾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소항목주의는 개별 항목을 찾기 쉽지만, 전체적인 통일성이 부족하다. 그러나 두 방식이 반드시 대립하는 것은 아니며, 절충적인 방식(중항목주의)을 채택하는 백과사전도 많다. 어떤 방식이 더 적합한지는 다루는 주제, 편찬자의 관점, 이용자의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2. 온라인 백과사전의 특징
온라인 백과사전은 종이 매체의 백과사전과는 달리, 내용 변경이 즉시 반영되어 정보 갱신이 빠르다는 장점을 지닌다.[47] 종이 백과사전은 정기적인 개정과 신판 발행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며, 새로운 정보 반영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만, 온라인 백과사전은 실시간으로 내용 수정이 가능하여 최신 정보를 빠르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우위에 있다.[47]웹판 백과사전은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백과사전의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76] 검색, 상호 참조 기능 등 사용자 편의성이 뛰어나며, 2012년에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이 서적판 발행을 중단하고 웹판으로 완전히 전환하는 등 온라인 백과사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73]
2001년 지미 웨일스와 래리 생어가 설립한 위키백과는 "누구나" 집필 및 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독자 참여형 백과사전이다.[78] 이러한 특징으로 위키백과는 크게 성장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백과사전이 되었으며, 다른 독자 참여형 인터넷 백과사전들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독자 참여형 백과사전은 전문가 중심 백과사전에 비해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78][79][80][81][82][83][84] 무료 서비스가 많아지면서 기존 출판업계에 경영상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지적도 있지만,[85] 위키백과의 질을 옹호하는 전문가들의 평가도 존재한다.[86][87][88][89]
4. 한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199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기존의 출판 형태 백과사전들은 종이책 출간을 중단하고 CD롬이나 인터넷 형태로 변화해갔다. 2012년 기준으로, 두산세계대백과사전의 후신인 두피디아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50]
5. 백과사전 평가 요소
박준식과 김문영은 백과사전의 평가 요소를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범주화하였다.[95]
- 목적과 범위: 편찬 목적, 취급 범위, 주된 독자, 내용의 깊이
- 권위: 편집자, 집필진, 판사의 권위, 기사의 서명 여부, 역사와 계보, 신뢰성(정확성), 서지, 서평지의 평가 내용
- 접근성: 배열 방법, 상호 참조, 색인, 여백 주기
- 기술 형식: 표현 형식, 객관성, 최신성(계속적 갱신, 연감, 보유판의 발행)
- 형태적 특징: 인쇄본과 전자본, 제본과 레이아웃 등의 체재와 삽도와 지도
- 특징과 가격
이들은 A. B. Kroeger의 《Guide to Reference Books》(1902년), James I. Wyer의 《Reference Work》(1930년), Louis Shores의 평가 기준(1950년대 중반), Kenneth Kister의 저서(1978년)와 그의 후속 연구, Bopp와 Smith의 백과사전 평가에 관한 조언(1994년), Sader와 Lewis의 평가 기준(1995년), William A. Katz의 저서(1997년)를 참고하여 이러한 평가 요소를 제시하였다.[95]
참조
[1]
백과사전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1-30
[2]
웹사이트
Encyclopedia {{!}} Definition, History,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13
[3]
웹사이트
Encyclopedia.
http://library.rcc.e[...]
[4]
웹사이트
What are Reference Resources?
https://eiu.libguide[...]
2022-12-17
[5]
서적
Dictionary of Lexic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7-27
[6]
웹사이트
Encyclopedia
https://www.merriam-[...]
2022-12-17
[7]
웹사이트
What is an Encyclopedia?
https://www.language[...]
2023-01-24
[8]
서적
Modern Lexico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백과사전
Encyclopaedia
https://www.britanni[...]
2010-07-27
[10]
서적
Dictionary of Lexic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7-27
[1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English Lexicography, Volume 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17
[12]
서적
Amateur Media: Social, Cultural and Leg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3]
웹사이트
Encyclopédie
http://quod.lib.umic[...]
[14]
웹사이트
Ἐγκύκλιος παιδεία
https://www.perseus.[...]
[15]
웹사이트
ἐγκύκλιος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παιδεία
https://www.perseus.[...]
[17]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ttp://www.thefreedi[...]
[18]
서적
Reading the world: encyclopedic writing in the scholastic age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서적
Encyclopaedism from antiquity to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Encyclopaedic Visions: Scientific Dictionaries and Enlightenment Cul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Dictionary of Lexic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7-27
[22]
서적
Modern Lexic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History of Encyclopaedias
https://www.britanni[...]
2022-12-09
[24]
웹사이트
Encyclopedias Are Time Capsules
https://www.theatlan[...]
2022-12-17
[25]
서적
Histoire du livre et de l'édition
Albin Michel
[26]
문서
MacFarlane 1980:4; MacFarlane translates ''Etymologiae'' viii.
[27]
문서
Braulio, ''Elogium'' of Isidore appended to Isidore's ''De viris illustribus'', heavily indebted itself to Jerome.
[28]
문서
Needham, Volume 5, Part 7, 102.
[29]
웹사이트
Long before Google, there was the encyclopedia
https://www.chicagot[...]
2022-12-09
[30]
웹사이트
How Two Artists Turn Old Encyclopedias Into Beautiful, Melancholy Art
https://slate.com/hu[...]
2019-09-23
[31]
서적
Kister's Best Encyclopedias: A Comparative Guide to General and Specialized Encyclopedias
https://archive.org/[...]
Oryx Press
1994
[32]
웹사이트
Important Notice: MSN Encarta to be Discontinued
http://encarta.msn.c[...]
MSN Encarta
[33]
웹사이트
Encyclopedia Service Are About To Become A Huge Market
https://www.stillwat[...]
2021-09-27
[34]
웹사이트
Wikipedia Passes 300,000 Articles making it the worlds largest encyclopedia
http://linuxreviews.[...]
Linux Reviews
[35]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 Meta
https://meta.wikimed[...]
2023-08-20
[36]
서적
Are libraries obsolete? an argument for relevance in the digital age
McFarland & Company
2014
[37]
문서
広辞苑 第七版 「百科辞典・百科事典」
[38]
문서
大辞泉
[39]
문서
数や種類が多いことを象徴するのに中国語や日本語では「百」「千」「万」などの数字を用いて表す。例えば、広辞苑の「百」の項目の解説には「多くのもの、種々のもの」とある。(広辞苑 第五版 p.2270「百」)。「百」「千」「万」などの数字を用いているからといって、ちょうどその数になっているという意味ではない。
[40]
문서
「科」は「一定の基準を立てて区分した一つ一つ」(出典:広辞苑 第五版 p.423「科」、第六版「科」)
[41]
문서
一つの分野だけの場合は「単科」や「専科」などと呼ぶ。
[42]
문서
「事典」という名称は、平凡社の創業社長・下中弥三郎の造語である(出典:石山茂利夫,『裏読み深読み国語辞典』,98ページ,草思社)。もっぱら言葉とその用法を解説する辞典(辞書)とは異なり、事典は写真や図も用いて総合的な解説を行うことを特徴とする。字典(字書)を「もじてん」、辞典(辞書)を「ことばてん」というのと区別して、事典を「ことてん」という。
[43]
웹사이트
Encyclopaedia
http://www.etymonlin[...]
[4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45]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46]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47]
문서
ウィキペディアの前身は、専門家だけが執筆・編集するヌーペディアだったが、ボランティア執筆者の不足によって廃止となった。
[48]
학술지
薬学専門の辞典類
https://doi.org/10.1[...]
1984
[49]
웹사이트
哲学百科事典
https://www.google.c[...]
2023-01-26
[50]
서적
知識の社会史2――百科事典からウィキペディアまで
新曜社
2015-07-15
[51]
웹사이트
改訂新版 世界大百科事典 全34巻 5訂版便覧入り
http://www.heibonsha[...]
平凡社
2016-06-09
[52]
문서
Wikipedia:全言語版の統計
[53]
문서
『山海経』との共通が指摘される。
[54]
서적
大英帝国の大事典作り
講談社
2005-11-10
[55]
서적
世界を変えた100の本の歴史図鑑 古代エジプトのパピルスから電子書籍まで
原書房
2015-05-25
[56]
서적
ビジュアル版 本の歴史文化図鑑 5000年の書物の力
柊風舎
2012-05-22
[57]
서적
大英帝国の大事典作り
講談社
2005-11-10
[58]
서적
図説 本の歴史
河出書房新社
2011-07-30
[59]
서적
大英帝国の大事典作り
講談社
2005-11-10
[60]
서적
ビジュアル版 本の歴史文化図鑑 5000年の書物の力
柊風舎
2012-05-22
[61]
서적
知識の社会史2――百科事典からウィキペディアまで
新曜社
2015-07-15
[62]
웹사이트
三省堂辞書の歩み 日本百科大辞典
http://dictionary.sa[...]
三省堂書店
2016-06-04
[63]
웹사이트
平凡社のこれまで|平凡社創業100周年特設サイト
http://100th.heibons[...]
2024-01-29
[64]
학술지
出版史の中の学習文化
https://ygu.repo.nii[...]
2016-03-30
[65]
웹사이트
日本百科大事典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0-06-23
[66]
웹사이트
世界原色百科事典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0-06-23
[67]
웹사이트
平凡社のこれまで
http://100th.heibons[...]
2016-05-16
[68]
뉴스
弁護士まで加担 強引商法まだ横行
朝日新聞
1972-06-14
[69]
뉴스
ブリタニカ全面降伏 配本後の解約のむ 夜間訪問も禁止
朝日新聞
1970-12-06
[70]
웹사이트
現代用語の基礎知識とは
http://gendaiyougo.j[...]
2016-06-09
[71]
뉴스
「イミダス」「知恵蔵」休刊 ネットに移行
https://www.itmedia.[...]
ITmediaニュース
2007-08-31
[72]
웹사이트
英文日本大百科事典を編纂する日々に出会った「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という新しい学問。
https://www.kandagai[...]
[73]
뉴스
ブリタニカ百科事典、書籍出版を終了へ
http://jp.wsj.com/pu[...]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日本版
2012-03-15
[74]
서적
大英帝国の大事典作り
講談社
2005-11-10
[75]
서적
大英帝国の大事典作り
講談社
2005-11-10
[76]
서적
ビジュアル版 本の歴史文化図鑑 5000年の書物の力
柊風舎
2012-05-22
[77]
뉴스
信頼性でWikipedia対抗 朝日新聞、講談社、小学館など無料辞書サイト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09-04-22
[78]
웹사이트
SEVERAL COLLEGES PUSH TO BAN WIKIPEDIA AS RESOURCE
https://web.archive.[...]
2007-03-28 # 추정 날짜. 원본 링크가 사라져서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79]
웹사이트
WIKIPEDIA: What do they know; when do they know it, and when can we trust it?
http://vermonttoday.[...]
2007-04-01
[80]
웹사이트
There's no Wikipedia entry for 'moral responsibility'
http://www.theregist[...]
2005-12-12
[81]
웹사이트
The Amorality of Web 2.0
http://www.roughtype[...]
[82]
서적
ウィキペディア革命 そこ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岩波書店
2008
[83]
서적
ウィキペディアで何が起こっているのか 変わり始めるソーシャルメディア信仰
オーム社
2008
[84]
간행물
ハッカージャパン
2007-07 # 월만 표기되어 있어서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85]
서적
ウィキペディア革命 そこで何が起きているのか?
岩波書店
2008 # 추정 날짜. 출처가 책이기에 정확한 날짜는 확인 불가
[86]
웹사이트
Internet encyclopaedias go head to head
https://www.nature.c[...]
[87]
웹사이트
『ネイチャー』誌、ウィキペディアの正確さを評価
https://wired.jp/200[...]
2005-12-19
[8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ウィキペディア過大評価」とネイチャー誌に抗議
http://wired.jp/wv/a[...]
2006-03-27
[89]
뉴스
Wikipediaはブリタニカ並みに正確」記事に反論
https://www.itmedia.[...]
ITmedia News
2006-03-24
[90]
서적
チェコスロヴァキア史
白水社
1993-02
[91]
웹사이트
Biographisch-Bibliographisches Kirchenlexikon (BBKL) - T.Bautz-Verlag
http://www.bbkl.de/
[92]
웹사이트
Pallas Nagy Lexikona
http://www.mek.iif.h[...]
[93]
웹사이트
AEIOU - The Austrian Cultural Information System
http://www.aeiou.at/[...]
[94]
저널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 방향과 전망
https://www.riss.kr/[...]
실천민속학회
2024-10-18
[95]
저널
인쇄본 백과사전의 평가요소 분석
https://www.riss.kr/[...]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