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8년은 후한 건무 14년에 해당하며, 무술년이다. 일본에서는 스이닌 천황 67년, 황기 698년에 해당하고, 중국에서는 후한 건무 14년, 한국에서는 고구려 대무신왕 21년, 신라 유리 이사금 15년, 백제 다루왕 11년에 해당한다. 이 해에는 로마 제국에서 클라우디우스와 메살리나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피온이 칼리굴라에게 유대인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기 위해 대표단을 이끌었고, 알렉산드리아에서 반유대인 폭동이 발생했다. 중국에서는 전염병이 발생했으나, 충리이가 약을 제공하여 많은 생명을 구했다. 문화적으로는 파이드루스가 그의 우화집을 저술했고, 종교적으로는 안드레아가 초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되었으나 사임했으며,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베드로와 야고보를 만났다. 38년에는 드루실라,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리키니아누스,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 등이 태어났고, 율리아 드루실라, 킬리키아의 아르켈라오스, 두시, 에니아 트라실라, 나에비우스 수토리우스 마크로, 로이메탈케스 2세, 티베리우스 게멜루스,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아스푸르구스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38년 | |
---|---|
38년 | |
달력 | |
로마 숫자 | XXXVIII |
간지 | 병술년 (丙戌年) |
단기 | 2371년 |
불기 | 582년 |
황기 | 798년 |
서력 기원 | |
연도 | 38년 |
세기 | 1세기 |
2. 연호
- 후한(後漢) 건무(建武) 14년
- 간지 : 무술
- 일본
- * 스이닌 천황 67년
- * 황기 698년
- 중국
- * 후한 : 건무 14년
- 조선
- * 고구려 : 대무신왕 21년
- * 신라 : 유리왕 15년
- * 백제 : 다루왕 11년
- * 단기 2371년
- 불멸기원 : 581년
- 유대력 : 3798년 - 3799년
3. 기년
- 간지 : 무술
- 일본
- * 스이닌 천황 67년
- * 황기 698년
- 중국
- * 후한 : 건무 14년
- 조선
- * 고구려 : 대무신왕 21년
- * 신라 : 유리 이사금 15년
- * 백제 : 다루왕 11년
- * 단기 2371년
- 불멸기원 : 581년
- 유대력 : 3798년 - 3799년
후한의 광무제 14년
4. 사건
- 로마 제국
클라우디우스와 메살리나는 이 시점에 결혼했을 가능성이 크다.
아피온은 황제 칼리굴라에게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들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기 위해 대표단을 이끌었다.
헤롯 아그리파 1세의 방문 중에 알렉산드리아에서 반유대인 폭동이 발생하였고, 군중들은 모든 회당에 칼리굴라의 조상을 세우기를 원했다.
- 중국
전염병이 가오이지에서 발생하여 많은 사망자를 냈으나, 조정 관료 충리이가 약을 제공하여 많은 생명을 구했다.
- 한반도
이 문서는 비어있으며,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4. 1. 로마 제국
클라우디우스와 메살리나는 이 시점에 결혼했을 가능성이 크다.아피온은 황제 칼리굴라에게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들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기 위해 대표단을 이끌었다.
헤롯 아그리파 1세의 방문 중에 알렉산드리아에서 반유대인 폭동이 발생하였고, 군중들은 모든 회당에 칼리굴라의 조상을 세우기를 원했다.
4. 2. 중국
전염병이 가오이지에서 발생하여 많은 사망자를 냈으나, 조정 관료 충리이가 약을 제공하여 많은 생명을 구했다.4. 3. 한반도
이 문서는 비어있으며,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5. 문화
파이드루스는 그의 유명한 우화집을 저술한다.
6. 종교
안드레아가 초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되었으나 곧 사임했고, 스타키스 (사도)가 두 번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되었다. 바울은 예루살렘에서 베드로와 야고보를 만났다. 이는 그가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환상"을 본 지 3년 후였다.(갈라디아서 1장 18절)
7. 탄생
- 드루실라는 헤로데스 아그리파 1세의 딸이자 유대 공주로 79년에 사망했다.
- 드루실라는 마우레타니아의 공주였다.
-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는 코마게네의 왕자로 92년에 사망했다.
-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리키니아누스는 로마 공동 황제로 69년에 사망했다.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는 로마의 라틴어 시인이었다.
7. 1. 실존 인물
- 드루실라는 헤로데스 아그리파 1세의 딸이자 유대 공주로 79년에 사망했다.
- 드루실라는 마우레타니아의 공주였다.
- 율리우스 아르켈라우스 안티오쿠스는 코마게네의 왕자로 92년에 사망했다.
-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 리키니아누스는 로마 공동 황제로 69년에 사망했다.
-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는 로마의 라틴어 시인이었다.
8. 사망
- 6월 10일 - 율리아 드루실라, 칼리굴라의 누이 (16년 출생)[1]
- 킬리키아의 아르켈라오스, 로마의 속국 왕
- 두시, 중국의 발명가이자 정치가
- 에니아 트라실라, 로마 귀족 여성
- 나에비우스 수토리우스 마크로, 로마의 프리펙투스 (기원전 21년 출생)
- 로이메탈케스 2세, 로마의 속국 왕
- 티베리우스 게멜루스, 티베리우스의 손자 (19년 출생)
-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아스푸르구스, 로마의 속국 왕
8. 1. 실존 인물
- 6월 10일 - 율리아 드루실라, 칼리굴라의 누이 (16년 출생)[1]
- 킬리키아의 아르켈라오스, 로마의 속국 왕
- 두시, 중국의 발명가이자 정치가
- 에니아 트라실라, 로마 귀족 여성
- 나에비우스 수토리우스 마크로, 로마의 프리펙투스 (기원전 21년 출생)
- 로이메탈케스 2세, 로마의 속국 왕
- 티베리우스 게멜루스, 티베리우스의 손자 (19년 출생)
-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아스푸르구스, 로마의 속국 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