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19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19 운동은 1970년 콜롬비아 대통령 선거 부정 의혹과 쿠데타 시도 등 정치적 혼란 속에서 결성된 콜롬비아의 게릴라 단체 M-19에 대한 문서이다. M-19는 반미, 민족주의, 반공 이념을 표방하며, 1974년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훔치는 등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1980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사건, 1985년 대법원 점거 사건 등 과격한 활동을 벌였으며, 대법원 점거 사건은 메데인 카르텔의 개입 의혹을 낳기도 했다. 국제적 고립과 동독의 지원 거부로 인해 M-19는 1980년대 후반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평화 협정을 통해 M-19 민주 동맹으로 전환,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 대선 후보 카를로스 피사로가 암살당하는 등 어려움 속에서도 1991년 헌법 제정에 참여했으며, M-19 출신 구스타보 페트로는 2022년 콜롬비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반군 - 콜롬비아 무장혁명군
    콜롬비아 무장혁명군은 1964년 콜롬비아에서 결성된 좌익 게릴라 단체로, 과두제 타도, 토지 개혁, 부의 재분배를 목표로 사회주의 혁명 정권 수립을 추구했으나, 마약 밀매와 납치 등의 불법 활동으로 비판을 받았고, 2016년 평화 협정 체결 후 무장 해제와 함께 합법 정당으로 전환했다.
  • 콜롬비아의 반군 - 국민해방군 (콜롬비아)
    국민해방군(ELN)은 콜롬비아의 좌익 게릴라 조직으로, 쿠바 혁명의 영향을 받아 창설되었으며, 자금 조달을 위해 유전 지대 공격, 마약, 납치 등의 활동을 했고, 콜롬비아 정부와 평화 협상을 시도했으나 무산된 적도 있지만, 2023년 휴전에 합의했으며, 미국과 유럽연합은 ELN을 테러 단체로 지정했다.
  • 유격대 - 후크발라합
    후크발라합은 1942년 루손섬에서 결성된 농민 기반 반일 게릴라 조직으로, 일본군 축출과 지주 계급 타도를 목표로 활동했으나, 전후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탄압받으며 필리핀 사회의 불평등과 토지 문제를 드러낸 반란을 일으켰다.
  • 유격대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은 서사하라 독립을 목표로 결성된 무장 정치 조직으로, 모로코와 무력 투쟁 후 휴전했으나, 국민투표 연기와 모로코의 자치권 부여 방안 제시로 갈등이 지속되고 2020년 휴전이 깨지면서 서사하라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이다.
  • 1990년 폐지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 1990년 폐지 - 신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은 1987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자유경제체제를 강령으로 내세웠으며, 1988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35석을 얻었으나 1990년 민주자유당 창당으로 해체되었다.
4·19 운동
개요
M-19의 깃발
M-19의 깃발 및 로고
본명Movimiento 19 de Abril (스페인어)
한국어 명칭4월 19일 운동
다른 이름Alianza Democrática M-19 (스페인어, M-19 민주동맹)
상세 정보
활동 기간1974년 1월 17일 – 1990년 3월 8일
이념볼리바르주의
좌익 민족주의
혁명적 사회주의
주요 지도자하이메 파테만 카이온 (1974년 1월 17일 – 1983년 4월 28일)
이반 마리노 오스피나 (1983년 4월 28일 – 1985년 8월 28일)
알바로 파야드 (1985년 8월 28일 – 1986년 3월 13일)
카를로스 피사로 레옹고메스 (1986년 3월 13일 – 1990년 3월 8일)
카를로스 톨레도 플라타
국가콜롬비아
본부카우카
카케타
나리뇨
바예델카우카
킨디오
활동 지역콜롬비아 남부 및 중부 집중
소속시몬 볼리바르 게릴라 협력단
전신(정보 없음)
후신M-19 민주동맹
동맹¡Alfaro Vive, Carajo!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
산디니스타 민족 해방 전선
투파마로스
적대 세력콜롬비아 정부
콜롬비아 준군사 조직
Muerte a Secuestradores
활동
주요 활동볼리바르의 칼 절도 (1974년)
호세 라켈 메르카도 납치 및 살해 (1976년)
북부 기지에서 무기 절도 (1978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1980년)
아에로페스카 커티스 C-46 항공기 납치 (1981년)
엘 카리나 침몰 (1981년)
마르타 니에베스 오초아 납치 (1981년)
야루말레스 전투 (1984년)
아메리카 대대 (1986년)
알바로 고메스 우르타도 납치 (1988년)
정치인, 기업가 및 언론인 납치
48개 마을 게릴라 점령
신문, 라디오 및 텔레비전 개입
대대 및 대사관 공격
인기있는 부문에서 상품을 배포하기 위해 우유 트럭 절도
공격나리뇨 하우스 공격 (1982년)
법원 포위 공격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포위 공격

2. 역사적 배경 및 결성

1970년 대통령 선거에서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가 부정 선거로 패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국인민동맹(ANAPO)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1973년 M-19가 창설되었다.

1974년 1월, M-19는 보고타박물관에서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탈취하여 "그의 유지가 달성될 때까지 반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처음에는 ANAPO의 군사 부문을 자처했지만 ANAPO 지도부는 M-19와의 관계를 부인했다. 1976년 4월 19일에는 CIA 요원인 노동 조합 간부를 유괴하여 암살했다. 이후 유괴 전술을 반복하여 1977년에는 400명 이상을 유괴, 감금했다. 1979년 1월 2일, 보고타의 국방부터널을 뚫어 총 5700정을 훔쳤지만, 1개월 이내에 무기는 회수되었고 참가자 대부분이 체포되었다.

1981년, M-19가 메데인 카르텔 간부 오초아 형제의 여동생을 유괴하자, 카르텔은 준군사 조직 "유괴범에게 죽음을(Muerte a Secuestradores)"을 창설했다. M-19는 피해를 우려해 오초아의 여동생을 석방하고 카르텔과 화해, 이후 공조하게 된다.

2. 1. 1970년 대선 부정 의혹

1970년 4월 19일 콜롬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군사 정권 시대 지도자였던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 장군이 망명지인 스페인에서 귀국, "전국인민동맹(ANAPO)" 후보로 출마하여 우세를 보였다. 그러나 보수당 후보인 미사엘 파스트라나 보레로에게 5만 표 차이로 패배했다. 같은 날 치러진 하원 의원 선거에서는 로하스파가 3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야당 등 반정부 세력은 부정 선거로 로하스의 당선이 저지되었다고 주장하며 대규모 항의 시위를 벌였다. 로하스파 콜롬비아 육군과 콜롬비아 공군 간부들의 쿠데타 계획이 발각되어 장교 다수가 체포되고, 로하스가 가택 연금되는 등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었으며, 정부는 비상 사태 선언을 발령했다.[1]

2. 2. M-19 결성 (1973년)

M-19는 전국인민동맹(ANAPO)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1973년에 창설되었다. 이들은 반미, 민족주의, 반공 이념을 내세웠으며, 하이메 바테만 카욘과 카를로스 트레도 플라타 등이 이끌었다.

3. 무장 투쟁 (1974년 ~ 1980년대 후반)

M-19는 초기부터 과격한 무장 투쟁 방식을 택했다. 1979년 새해 전야에는 콜롬비아 육군 무기 창고로 통하는 터널을 뚫어 5,000점 이상의 무기를 탈취했는데,[1] 이는 이 단체가 무장 행동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최초의 징후 중 하나로 여겨졌다.[1]

1980년에는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사건을 일으켰다. 게릴라들은 칵테일 파티가 열리던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을 습격하여 미국 대사를 포함, 콜롬비아 역사상 가장 많은 수의 외교관을 인질로 잡았다.[17] 훌리오 세사르 투르바이 아얄라 정부와의 협상 끝에 인질들은 평화롭게 석방되었고, 인질범들은 쿠바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일부는 나중에 돌아와 M-19 활동에 다시 합류했다. 콜롬비아 정부가 인질 석방 대가로 이 단체에 100만달러에서 250만달러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17]

3. 1. 시몬 볼리바르의 검 탈취 (1974년)

M-19는 1974년 박물관에서 시몬 볼리바르의 검 중 하나를 훔치는 매우 상징적인 행동을 했다. 이 사건은 그들이 부당하다고 여긴 정권에 대한 시민 봉기를 상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 M-19는 1830년 볼리바르 사망 160주년인 1990년 12월 18일까지 검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했으나,[1] 지키지 못했고 더 이상 검을 소유하고 있지 않음을 인정해야 했다.[1] 그러나 1991년에 M-19는 결국 검을 돌려주었다.[1]

3. 2. 노동 조합 지도자 납치 및 살해 (1976년)

1976년 2월 15일, M-19는 콜롬비아 노동자 연맹(CTC) 회장이었던 노동조합 지도자 호세 라켈 메르카도를 납치하여, 콜롬비아 노동자들의 이익을 미국 제국주의에 팔아넘겼다는 혐의로 기소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M-19는 메르카도가 뇌물을 받고 CIA와 협력했다고 비난했다. M-19는 정부가 해고된 수천 명의 노동자를 복직시키고, 공무원에게 파업할 권리를 부여하며, 콜롬비아 신문 12곳에 성명을 발표한다면 노동 지도자의 사형을 "감형"하겠다고 제안했다.[5] 메르카도의 시신은 비닐에 싸여 보고타 공원 가로등에 기대어 놓였다.

3. 3. 군 무기고 탈취 (1979년)

1979년 새해 전야, M-19는 콜롬비아 육군 무기 창고로 통하는 터널을 뚫어 5,000점 이상의 무기를 탈취했다.[1] 이는 이 단체가 무장 행동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주는 최초의 징후 중 하나로 여겨졌다.[1]

3. 4.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1980년)

이 단체는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1980년 2월 27일, 게릴라들은 칵테일 파티가 열리던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을 습격하여 미국 대사를 포함, 콜롬비아 역사상 가장 많은 수의 외교관을 인질로 잡았다.[17] 훌리오 세사르 투르바이 아얄라 정부와의 협상 끝에 인질들은 평화롭게 석방되었고, 인질범들은 쿠바에서 망명 생활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일부는 나중에 돌아와 M-19 활동에 다시 합류했다. 콜롬비아 정부가 인질 석방 대가로 이 단체에 100만달러에서 250만달러를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17]

1980년 2월 27일, M-19 사령관 17명(그 중 1명은 경찰과 총격전으로 사망)이 독립 기념일 축하 파티가 열리고 있던 보고타의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을 습격, 점거하여 미국이집트 등 14개국 대사 등 52명을 인질로 잡고 정치범 석방을 요구했다(주 콜롬비아 도미니카 공화국 대사관 점거 사건).[17] 이 사건은 1975년 8월 4일 일본 적군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미국·스웨덴 양 대사관을 점거하고 아사마 산장 사건으로 체포된 동지들의 석방을 요구하여 일본 정부가 초법규적 조치로 응했던 쿠알라룸푸르 사건을 참고했다고 알려져 있다.[17] 당초에는 보고타의 일본 대사관을 점거할 예정이었으나, 당시 일본 대사관이 고층 빌딩 최상층에 위치하여 장기 농성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 단층 건물인 도미니카 대사관으로 변경했다고 한다(당시 주 콜롬비아 일본 대사는 파티에 참석하지 않아 화를 면했다).[17] 발생 61일 후인 4월 27일, 콜롬비아 정부가 몸값 지불 등 요구 일부에 응하여 범행 그룹은 쿠바로 출국, 무혈 해결되었다.[17] 1996년 12월 17일에 발생한 주 페루 일본 대사 공저 점거 사건은 범행 그룹인 투팍 아마루 혁명 운동(MRTA)이 M-19의 도미니카 대사관 점거 사건을 참고했다고 전해진다.[17] 과거 M-19와 MRTA는 공투 관계에 있었으며, MRTA는 M-19와 같은 합법화를 노렸다고 한다.

4. 대법원 점거 사건 (1985년)

1985년 11월 6일, M-19 게릴라들이 대법원이 있는 정의궁을 점거하고 300여 명을 인질로 잡았다.[6] 이들은 벨리사리오 베탄쿠르 대통령에게 "평화를 위한 직접 협상"을 요구하며, 대통령이 국가의 평화에 대한 열망을 배신했다고 주장했다.

4. 1. 정부의 강경 진압

1985년 11월 6일, 보고타의 대법원 겸 법무부 빌딩을 점거하여 판사, 변호사, 국회의원, 시민 등 300명 이상을 인질로 잡고 베탕쿠르 대통령에게 "평화를 위한 직접 협상"을 요구했다. (콜롬비아 대법원 점거 사건). 그러나 정부는 협상을 거부하고 EE-9 카스카벨과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군·경찰 부대를 투입시켜 M-19 코만도 35명 전원을 사살했고, 대법원장과 시민 60명을 포함한 인질 115명도 사망했다.[6] 이 사건은 메데인 카르텔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자신의 미국 송환을 막기 위해 대법원장 살해와 관련 서류 소각을 229.99999999999997만달러에 M-19의 카를로스 피사로에게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군은 M-19 활동가에 대한 인권 침해를 심리하던 대법원을 눈엣가시로 여기고 사건을 틈타 관계자 살해와 증거 서류 처분을 꾀한 것으로 여겨진다. 2010년 6월 9일 콜롬비아 사법 당국은 당시 육군 대령 루이스 알폰소 플라사스 베가의 책임을 인정하여 금고 30년을 선고했다.

4. 2. 사건의 배후 논란

1985년 11월 6일, 보고타 대법원 점거 사건 당시 메데인 카르텔파블로 에스코바르가 자신의 미국 송환을 막기 위해 M-19에게 대법원장 살해와 관련 서류 소각을 의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5] 이 사건으로 콜롬비아 대법원 판사 11명을 포함하여 100명 이상이 사망하고, 귀중한 법적 기록이 파괴되었다.[7]

군은 M-19 활동가에 대한 인권 침해를 심리하던 대법원을 제거하기 위해 사건을 이용했다는 의혹도 있다.[15] 2010년 6월 9일 콜롬비아 사법 당국은 당시 육군 대령 루이스 알폰소 플라사스 베가의 책임을 인정하여 금고 30년을 선고했다.

5. 평화 협상과 무장 해제 (1989년 ~ 1990년)

M-19는 최고재판소 점거 사건으로 국내외에서 비난받고 고립되었다. 동서 냉전 종결로 동독으로부터의 무기 지원도 얻을 수 없게 되자, 1989년 11월 평화 협정에 조인하고 1990년 3월 세사르 가비리아 대통령의 사면을 받아 무장을 해제했다.[18] M-19는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반환하고 합법 정당인 M-19 민주 동맹으로 전환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카를로스 피사로가 입후보했지만 암살당했고, 다른 간부 대부분도 살해되었다. 같은 해 M-19의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는 대통령 선거에서 3위에 올랐고, 제헌 의회 선거에서는 70석 중 19석을 획득하여 후생상을 배출했다.[18]

5. 1. 무장 투쟁 포기와 평화 협정

최고재판소 점거 사건으로 국내외에서 비난을 받고 고립된 M-19는 동서 냉전 종결로 동독으로부터의 무기 지원도 얻을 수 없게 되자, 무장 투쟁을 포기했다.[18] 1989년 11월에 평화 협정에 조인했고, 1990년 3월에 세사르 가비리아 대통령의 사면을 받아 무장을 포기했다.[18] 최종적으로 M-19는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반환하고, 합법 정당 M-19 민주 동맹이 되었다.[18]

5. 2. M-19 민주 동맹 결성과 사면

1980년대 후반, 국제적으로 고립된 M-19는 무장 투쟁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동서 냉전 종결로 동독으로부터의 무기 지원도 받을 수 없게 되자,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1989년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1990년 3월, 세사르 가비리아 대통령의 사면을 받아 무장을 해제하고, 합법 정당인 M-19 민주 동맹("Alianza Democrática M-19", AD/M-19)으로 전환했다. M-19는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반환하며 합법적인 정치 참여를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4]

6. 정치 참여와 1991년 헌법 제정

M-19는 최고재판소 점거 사건으로 국내외의 비난을 받고, 동서 냉전 종결로 동독으로부터의 무기 지원도 끊기면서 무장 투쟁을 포기했다. 1989년 11월 평화 협정에 서명하고, 1990년 3월 세사르 가비리아 대통령의 사면을 받아 무장을 해제했다. M-19는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반환하고 합법 정당인 M-19 민주 동맹으로 전환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 M-19의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는 3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12월 제헌 의회 선거에서는 70석 중 19석을 얻어 후생상을 배출했다.[18] 1991년에는 약 100년 만에 헌법이 전면 개정되었으며, M-19도 이 과정에 적극 참여했다.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전 보고타 시장 구스타보 페트로는 전 M-19 구성원이다.

6. 1. 카를로스 피사로 암살 (1990년)

1990년, M-19의 주요 인물이자 대선 후보였던 전 게릴라 사령관 카를로스 피사로 레옹고메스는 비행기 탑승 중 암살당했다. 이는 마약 카르텔과 준군사 지도자들의 지시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4] 사라진 AUC 사령관 카를로스 카스타뇨 길은 2002년 책과 인터뷰에서 이 살인에 대한 자신의 책임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4] 다른 회원들도 여러 차례 위협을 받거나 살해당했다.[4]

6. 2.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의 활약

카를로스 피사로 레옹고메스가 암살당한 후,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는 피사로를 대신하여 당의 후보이자 지도자가 되었으며, 1990년 대선에서 3위를 차지했다.[18] 같은 해 12월 제헌 의회 선거에서는 70석 중 19석을 획득하여 후생상을 배출했다.[18]

6. 3. 1991년 헌법 제정 주도

M-19는 콜롬비아의 현대적인 1991년 헌법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는 콜롬비아 제헌 의회 공동 의장 3인 중 한 명이었다.[18]

7. M-19의 유산과 구스타보 페트로

M-19는 최고재판소 점거 사건으로 국내외에서 비난받고 고립되었으며, 동서 냉전 종결로 동독으로부터의 무기 지원도 끊기게 되었다. 결국 M-19는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1989년 11월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1990년 3월 세사르 가비리아 대통령의 사면을 받아 무장을 해제하고 시몬 볼리바르의 검을 반환했으며, 합법 정당인 M-19 민주 동맹으로 전환했다. 1990년 대통령 선거에서 M-19의 후보였던 카를로스 피사로는 암살당했고, 다른 간부들 대다수도 살해되었다. 같은 해 대통령 선거에서 안토니오 나바로 울프는 3위를 기록했다. 이후 제헌 의회 선거에서 M-19는 70석 중 19석을 얻어 후생상을 배출했다.[18] 1991년에는 헌법이 약 100년 만에 전면 개정되었는데, M-19도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7. 1. 구스타보 페트로 대통령 당선 (2022년)

202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당선된 전 보고타 시장 구스타보 페트로는 전 M-19의 구성원이다.[18]

참조

[1] 웹사이트 Colombia: The 19th of April Movement http://www.country-d[...] Federal Research Division of the Library of Congress 2015-07-31
[2] 서적 Encyclopedia of U.S. – Latin American Relations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2-01-31
[3] 웹사이트 Is Gustavo Petro Leaving Behind Colombian Progressives? https://americasquar[...] 2022-05-27
[4] 뉴스 Secret Of Bolivar's Sword https://www.washingt[...] 2023-01-19
[5] 뉴스 Labor Leader Found Slain In Colombia 1976
[6] 뉴스 Colombia president apologises for military actions in 1985 law courts assault https://www.reuters.[...] 2023-04-21
[7] 웹사이트 Colombia guerrilla-turned-mayor bans guns from the streets of Bogotá https://www.theguard[...] 2012-02-01
[8] 뉴스 Colombia president apologises for military actions in 1985 law courts assault https://www.reuters.[...] 2023-04-21
[9] 서적 The Palace of Justice: A Colombian Tragedy Four Walls Eight Windows
[10] 웹사이트 Noticias de Medellín, Antioquia, Colombia y el mundo – Peridico El Mundo http://www.elmundo.c[...] 2014-12-16
[11] 웹사이트 Murió Juan David Ochoa, uno de los fundadores del cartel de Medellín http://www.eltiempo.[...] 2014-12-16
[12] 웹사이트 Marta Nieves Ochoa, hermana de Fabio Ochoa http://www.wradio.co[...] 2014-12-16
[13] 웹사이트 1981-Plagio de Martha Ochoa se creó el MAS http://www.elespecta[...] 2014-12-16
[14] 간행물 "Colombia’s Palace of Justice tragedy revisited: a critique of the conspiracy theory"
[15] 뉴스 M-19 cambió drogas por armas http://www.elpais.co[...] El País 2006-10-07
[16] 문서
[17] 서적 知られざるコロンビア サイマル出版会
[18] 웹사이트 4月19日運動 | 国際テロリズム要覧(要約版) | 公安調査庁 https://www.moj.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